KR200364335Y1 -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 - Google Patents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335Y1
KR200364335Y1 KR20-2004-0017189U KR20040017189U KR200364335Y1 KR 200364335 Y1 KR200364335 Y1 KR 200364335Y1 KR 20040017189 U KR20040017189 U KR 20040017189U KR 200364335 Y1 KR200364335 Y1 KR 200364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finishing
groove
finishing member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윤
Original Assignee
김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윤 filed Critical 김기윤
Priority to KR20-2004-0017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의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막대 모양을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금속판의 절단면과 맞물리는 홈을 구비하는 마감부재; 상기 금속판의 절단형태에 대응되는 만곡도를 가지는 만곡도조절지지대와, 상기 마감부재를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에 밀착시킨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마감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고정봉 및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와 상기 고정봉의 고정을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절곡기; 및 상기 금속판이 상기 마감부재의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금속판과 상기 마감부재를 용접하는 용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마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미리 제작된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절단된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할 수 있으며, 또한 금속판의 절단형태가 직선이 아닌 곡선인 경우에도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Finishing element for metal plate and finishing system therefor}
본 고안은 판금 작업을 통하여 제작되는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레스나 철 등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금속판(100)을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경우 절단면을 마감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마감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을 절단한 금속판(100)을 원하는 지점(101)에서 소정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90°로 구부린 후 이를 다시 90°구부려서 180°로 구부린 상태에서 절단면과 금속판의 맞닿는 부분(102)을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마감방법은 금속판을 직선으로 절단한 후 마감시에는 유용할지 모르지만 판넬을 곡면으로 절단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금속판이 소정 두께 이상으로 두꺼운 경우에는 도 1과 같은 방법으로 금속판을 절곡시키는 작업은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렇게 금속판이 두꺼워서 도 1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상 금속판의절단면을 연삭 등의 공정을 거쳐 절단면의 모서리가 둥글게 되도록 하는 작업을 수행하지만, 이러한 공정은 노력이 많이 들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금속판의 절단 형태에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절단한 금속판을 마감할 수 있는 금속판 마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금속판의 절단 형태에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절단한 금속판을 마감할 수 있는 금속판 마감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금속판의 마감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마감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절단면이 마감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마감부재의 단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서 용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절곡기를 이용하여 마감부재를 절곡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절곡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고안에서 절곡된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금속판을 마감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310 : 금속판
200, 210 : 마감부재
201 : 마감부재의 홈
900 : 절곡기
910, 920 : 고정봉
930 : 받침대
940 : 만곡도조절지지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소정의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막대 모양을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금속판의 절단면과 맞물리는 홈을 구비하는 마감부재; 상기 금속판의 절단형태에 대응되는 만곡도를 가지는 만곡도조절지지대와, 상기 마감부재를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에 밀착시킨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마감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고정봉 및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와 상기 고정봉의 고정을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절곡기; 및 상기 금속판이 상기 마감부재의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금속판과 상기 마감부재를 용접하는 용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마감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기는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를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표면에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와 상기 고정봉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의 표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을 이용하여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와 상기 고정봉이 상기 받침대에 탈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기는 상기 금속판의 절단 형태에 따라 각각 다른 만곡도를 가지는 만곡도조절지지대 중 어느 하나를 부착하여 상기 마감부재를 절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접기는 전기아크 용접 또는 아르곤 용접에 의하여 상기 마감부재와 상기 금속판을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의 홈은 상기 금속판의 두께의 1.05 내지 1.20배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의 단면의 형상 중 상기 마감부재의 홈의 반대편의 단면의 형상은 각진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금속판의 절단형태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판은 상기 마감부재의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하여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마감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마감부재(200)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단면을 따라 금속판의 절단면과 맞물리는 홈(2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마감부재(200)는 철,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마감의 대상이 되는 금속판과 동일한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마감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200)의 홈(201)에 금속판(300)이 맞물려 금속판(300)의 절단면이 마감되는 방식으로 금속판에 부착된다.
도 2에서는 본 고안이 봉의 형상에 길이 방향으로 홈이 파여 있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마감부재의 형상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마감부재의 단면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마감부재는 도 4와 같이 원의 일측에 홈이 형성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반원과 사각형이 합쳐진 형상이고 사각형의 각면 중 반원과 반대방향에 위치한 면에 홈이 형성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타원의 일측에 홈이 형성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으며, 반원과 삼각형이 합쳐진 형상이고, 반원과 반대방향에 위치한 삼각형의 꼭지점 부분에 홈이 형성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마감부재의 단면의 형태는 상기한 도 4 내지 도 7에도시된 형상에 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단면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금속판의 절단면과 같이 날카로운 부분을 마감하는데 사용되므로 금속판(200)에 부착되는 부분의 반대부분에 위치한 부분의 단면은 원과 같이 각진 모서리를 가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마감부재(200)와 금속판(300)은 단순히 본 고안의 마감부재(200)의 홈(201)에 금속판(300)을 삽입하는 방식만으로도 마감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렇게 하는 경우 마감부재(200)와 금속판(300)이 쉽게 분리될 수도 있고, 또한 꽉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마감부재(200)의 홈(201)의 크기를 금속판(300)의 두께와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금속판(300)과 마감부재(200)를 결합하는 과정이 너무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마감부재(200)가 용접 등을 통하여 금속판(300)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전기 아크 용접법, 아르곤 용접법, 저항 용접법, 압접법, 확산 접합법 등 그 사용되는 용접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8은 적용 가능한 용접 방법 중의 하나이고 저항 용접법의 일종인 스폿용접법을 본 고안에 적용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마감부재(200)와 금속판(300)을 결합시킨 후, 이를 용접장치의 상, 하 프레스(801, 810)에 의해 압력을 가하면서 상, 하 프레스 중 일측의 프레스(801)와 금속판(300)에 부착된 전극(802)을 통하여 전류를 흘려보내주면 마감부재(200)의 홈(201)과 금속판(300)의 결합부분의 저항에 의하여 결합부분에 높은 열이 발생하고 이 열과 압력으로 인해 마감부재(200)와 금속판(300)은서로 결합되게 된다.
도 9는 역시 적용 가능한 용접 방법 중의 하나인 아르곤 용접법 중의 티그 용접법을 본 고안에 적용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르곤 용접법은 용접을 할 때 가스노즐(813)을 통하여 아르곤 가스(812)를 분사하면서 텅스텐 전극(814)과 또 다른 전극(미도시)이 연결되어 있는 금속판(300) 또는 마감부재(200)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 아크를 이용하여 용가재(811)를 녹여 금속판(300)과 마감부재(200)를 서로 접합시킨다. 아르곤 용접법은 불활성 가스인 아르곤 가스를 용접부위에 분사함으로써 용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포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 마감부재(200)와 금속판(300)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마감부재(200)의 홈(201)의 크기는 금속판(300)의 두께와 정확히 일치할 필요는 없다.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판(300)의 두께와 홈(201)의 폭이 정확하게 일치할 경우 마감부재(200)와 금속판(300)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작업이 번거로워 질 수 있으므로, 금속판(300)을 마감부재(200)의 홈(201)에 끼웠을 때 조금 여유가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마감부재(200)의 두께보다 1.05 ~ 1.2배 정도로 홈(201)의 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감부재(200)의 길이, 마감부재(200)의 홈(201)의 깊이 및 마감부재(200)의 직경 등의 크기 등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며, 그 범위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 고안의 마감부재(200)는 금속판의 절단형태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절곡될수 있다는 점이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마감부재(200)는 그 재질 및 굵기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마감부재가 소정 굵기 이상이 되거나 재질이 철과 같이 사람의 손으로 쉽게 구부릴 수 없는 경우에는 소정의 기구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마감부재(200)를 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고안의 마감부재(200)를 금속판(300)의 절단형태에 따라 절곡시키는 절곡기(9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절곡기(900)는 하단에 위치한 받침대(930)와, 제1고정봉(910), 제2고정봉(920) 및 만곡도조절지지대(940)를 포함한다.
도 10에서 고정봉(910, 920)을 두 개를 도시하였으나, 하나만 있어도 본 고안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고정봉을 이용하는 경우, 마감부재(210)와 만곡도조절지지대(940)가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용이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마감부재(210)를 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지게 되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마감부재(210)를 만곡도조절지지대(940)와 제1고정봉(910) 및 제2고정봉(920) 사이에 위치시킨 후 횡으로 압력을 가하여 마감부재(210)가 마감부재(210)와 만곡도조절지지대(940)가 닿는 면의 형상에 따라 휘어지도록 하여 원하는 만곡도를 갖도록 한다.
금속판(300)의 절단형태는 경우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므로 금속판(300)의 절단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만곡도조절지지대(940)를 이용하여 절곡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절곡기(900)는 각각 다른 만곡도, 다른 크기를 가지는 만곡도조절지지대(940)를 탈부탁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도조절지지대(940)와 받침대(930)을 탈부착하는 방법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11은 만곡도조절지지대(940) 및 고정봉(910, 920)를 받침대(930)와 탈부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절곡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930)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홈(931)이 구비되어 있으며, 만곡도조절지지대(940)와 고정봉(910, 920)에는 이 홈(931)에 고정시킬 수 있는 돌출부(941, 942, 911, 912)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의 홈(931)에 만곡도조절지지대(940) 및 고정봉(910, 920)에 구비된 돌출부(941, 942, 911, 912)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만곡도조절지지대(940) 및 고정봉(910, 920)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절곡기를 사용하면 크기가 다른 만곡도조절지지대(940)를 사용하더라도 마감부재(210)이 만곡도조절지지대(940)와 밀착될 수 있도록 만곡도조절지지대(940)와 고정봉(910, 9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도 12는 직선이 아닌 일부 곡선의 절단형태를 보이는 금속판(310)과 도 10 또는 도 11의 절곡기에 의하여 금속판(310)의 절단형태에 따라 절곡된 마감부재(21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본 고안에서는 금속판의 절단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만곡도조절지지대(940)를 사용함으로써 금속판이 직선으로 절단되지 않은 경우에도 그 절단면을 마감부재가 감싸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미리 제작된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절단된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할 수 있으며, 또한 금속판의 절단형태가 직선이 아닌 곡선인 경우에도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소정의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막대 모양을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금속판의 절단면과 맞물리는 홈을 구비하는 마감부재;
    상기 금속판의 절단형태에 대응되는 만곡도를 가지는 만곡도조절지지대와, 상기 마감부재를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에 밀착시킨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마감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고정봉 및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와 상기 고정봉의 고정을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절곡기; 및
    상기 금속판이 상기 마감부재의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금속판과 상기 마감부재를 용접하는 용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마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기는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를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마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표면에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와 상기 고정봉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의 표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을 이용하여 상기 만곡도조절지지대와 상기 고정봉이 상기 받침대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마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기는 상기 금속판의 절단 형태에 따라 각각 다른 만곡도를 가지는 만곡도조절지지대 중 어느 하나를 부착하여 상기 마감부재를 절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마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의 홈은 상기 금속판의 두께의 1.05 내지 1.20배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마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의 단면의 형상 중 상기 마감부재의 홈의 반대편의 단면의 형상은 각진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는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마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는 전기아크 용접 또는 아르곤 용접에 의하여 상기 마감부재와 상기 금속판을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마감 장치.
  8. 막대 모양을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금속판의 절단면과 맞물리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의 홈은 상기 금속판의 두께의 1.05 내지 1.20배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의 단면의 형상 중 상기 마감부재의 홈의 반대편의 단면의 형상은 각진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는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금속판의 절단형태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마감부재의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하여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
  13. 제8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전기아크 용접법 또는 아르곤 용접법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절단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
KR20-2004-0017189U 2004-06-18 2004-06-18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 KR200364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189U KR200364335Y1 (ko) 2004-06-18 2004-06-18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189U KR200364335Y1 (ko) 2004-06-18 2004-06-18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335Y1 true KR200364335Y1 (ko) 2004-10-08

Family

ID=4943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189U KR200364335Y1 (ko) 2004-06-18 2004-06-18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3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556A (ko) * 2006-02-08 2006-02-23 김정식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KR101037194B1 (ko) * 2009-11-17 2011-05-26 이병노 조립식 t-바
KR101878605B1 (ko) * 2017-07-12 2018-07-13 홍현중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556A (ko) * 2006-02-08 2006-02-23 김정식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KR101037194B1 (ko) * 2009-11-17 2011-05-26 이병노 조립식 t-바
KR101878605B1 (ko) * 2017-07-12 2018-07-13 홍현중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9495A3 (en) Apparatus for joining metal components using broad, thin filler nozzle
WO2003068046A3 (en) Tissue fusion/welder apparatus corporation
KR200364335Y1 (ko)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
JP4889551B2 (ja) 薄板鋼板の肌付治具
CN103406667A (zh) 一种不锈钢薄板角焊缝的激光焊接方法及其夹具
CA2626406C (en) Spot welding tip for a spot welding machine
EP1260284A3 (en) Welded tub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welded tube internal surface bead cutting apparatus
JP2007301598A (ja) 溶接用位置決め治具
KR200443638Y1 (ko) 휴대용 용접와이어 송급장치
CN208840678U (zh) 车用液化天然气气瓶管路接头用全位置自动焊接装置
US5584427A (en) Weld spring clip and welding technique
CN203592236U (zh) 一种不锈钢薄板角焊缝的激光焊接夹具
CN208961197U (zh) 防止蒸汽头板焊接变形的焊接装置
CN103506754B (zh) 应用在贯通地线所用金属带材接续过程的模具
KR200449643Y1 (ko) 티그 용접용 작업대
KR102516969B1 (ko) 곡선 용접기능을 갖는 모재이송형 자동용접장치
KR101439636B1 (ko) 스트립 클램프장치
CN110039146A (zh) 一种纹身针焊柄机
CN212705136U (zh) 一种定位精确的钢结构焊接设备
ES2932445T3 (es) Sonotrodo y método para influir en el comportamiento vibratorio de un sonotrodo
KR200217989Y1 (ko) 저항용접기용 용접건
JP4988780B2 (ja) 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JPH08309525A (ja) 鉄筋の接合方法
JP3274335B2 (ja) 棒鋼溶接用裏当て材
JP2610327B2 (ja) パイプ材の溶接継手部の成形方法および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