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605B1 -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 Google Patents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605B1
KR101878605B1 KR1020170088256A KR20170088256A KR101878605B1 KR 101878605 B1 KR101878605 B1 KR 101878605B1 KR 1020170088256 A KR1020170088256 A KR 1020170088256A KR 20170088256 A KR20170088256 A KR 20170088256A KR 101878605 B1 KR101878605 B1 KR 101878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loisonne
metal plate
plat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중
Original Assignee
홍현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중 filed Critical 홍현중
Priority to KR102017008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칠보 처리된 금속판의 테두리에 절곡형 난집을 고정하여 장신구를 제조하는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이 개시된다. 본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은 칠보판 제조부에 의해, 금속판에 칠보기법(七寶技法)이 사용되어 칠보판이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 마감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제조된 칠보판의 외주연이 절곡형 난집으로 둘러싸이도록 외주연을 마감 처리하는 단계; 및 연결부재 고정부에 의해, 상기 마감 처리된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에 상기 칠보판을 장신구로 활용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칠보판의 테두리에 균열 및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반 영구적인 수명을 갖으며, 칠보판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브로치 및 목걸이 등의 장신구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Method for manufacturing cloisonne metal plates used bending type housings for accessory, and products using same}
본 발명은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칠보 처리된 금속판의 테두리에 절곡형 난집을 고정하여 장신구를 제조하는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에 관한 것이다.
칠보란 바탕금속 위에 유리질의 유약(釉藥)을 바른 다음 이를 고온 열처리하여 금속에 고착하는 기법으로서,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칠보 금속은 유약에 함유된 금속산화물이 열처리를 통해 여러 가지 색을 띠게 되면서 바탕금속의 색과 더불어 아름다운 색상으로 발색되어 각종 장신구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칠보기법(七寶技法)을 사용하여 제조된 금속판(이하 '칠보판'이라 한다.)은 칠보 공예에 사용되는 유리질의 유약이 어느 금속에도 잘 고착되고, 열팽창률이나 냉각수축률도 금속과 비슷하여 쉽게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산이나 알칼리, 가스 등에 잘 부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칠보판의 테두리 부분은 유약이 잘 고착되지 않아, 칠보판의 테두리의 균열 및 부식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칠보판을 이용한 장신구 제조를 위하여 브로치용 핀, 목걸이용 연결고리 등의 연결부재를 칠보판에 고정하기 위한 열처리 과정에서, 칠보판 표면에 검은 피막이 발생하여 미관을 해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칠보판의 테두리의 균열 및 부식을 방지하면서도, 칠보판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방법의 모색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6331 "칠보 금속 장식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칠보 금속 장식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칠보판의 테두리에 절곡형 난집을 고정하여 칠보판의 테두리에 발생 가능한 균열 및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곡형 난집에 연결부재가 고정되도록 하여 칠보판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은 칠보판 제조부에 의해, 금속판에 칠보기법(七寶技法)이 사용되어 칠보판이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 마감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제조된 칠보판의 외주연이 절곡형 난집으로 둘러싸이도록 외주연을 마감 처리하는 단계; 및 연결부재 고정부에 의해, 상기 마감 처리된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에 상기 칠보판을 장신구로 활용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형 난집은,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주연의 마감 처리 단계는, 상기 칠보판의 외주연을 따라서 밀착되도록 상기 절곡형 난집이 벤딩되는 단계; 상기 절곡형 난집이 상기 칠보판의 외주연을 따라 밀착되도록 벤딩되면, 상기 벤딩된 절곡형 난집의 양 끝단이 절단되는 단계; 및 상기 양 끝단이 절단된 절곡형 난집이 상기 칠보판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형 난집은, 은이 포함되는 금속이고, 상기 절곡형 난집에 포함되는 은의 함유량은, 상기 칠보판의 외주연의 곡률계수(Coefficient of curvature)에 비례하여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형 난집의 고정 단계는, 상기 벤딩된 절곡형 난집의 양 끝단이 절단되면, 상기 절단된 양 끝단이 서로 접합 되도록 하고, 상기 절곡형 난집의 내주연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칠보판의 외주연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칠보판을 상기 절곡형 난집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형 난집의 고정 단계는, 상기 벤딩된 절곡형 난집의 양 끝단이 절단되면, 상기 절단된 양 끝단이 서로 접합 되도록 하고, 상기 칠보판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복수의 고정발이 상기 절곡형 난집의 외주연에 부착되어, 상기 돌출된 복수의 고정발을 상기 칠보판의 중심방향으로 굽힘으로써, 상기 칠보판을 상기 절곡형 난집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브로치용 핀 및 목걸이용 연결고리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제1 연결부재와 브로치용 핀 및 목걸이용 연결고리 중 적어도 하나가 별도로 마련된 밑판에 결합 되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칠보판의 제조 단계는,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칠보 유약이 도포되는 단계; 및 상기 유약이 도포된 금속판에 700℃~800℃의 열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유약이 경화되도록 하여 상기 금속판에 고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칠보판의 제조 단계는, 금속판이 가열되어 산화막(Oxide film)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여 전처리 되도록 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단계는, 상기 칠보판 제조 단계 이전에 수행되어, 상기 금속판의 표면의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의해, 칠보판의 테두리에 균열 및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반 영구적인 수명을 갖으며, 칠보판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브로치 및 목걸이 등의 장신구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 방법을 이용한 제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원형의 절곡형 난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나선형의 절곡형 난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외주연 마감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20)의 고정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연결부재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이 활용된 장신구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난집(20)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 방법을 이용한 제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블록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난집(20)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 방법(이하,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 방법'이라 한다.)을 이용한 제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 방법을 이용한 제조 시스템은 칠보판(10)의 테두리에 절곡형 난집(20)을 고정하여 칠보판(10)의 테두리에 발생 가능한 균열 및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곡형 난집(20)에 연결부재(30)가 고정되도록 하여 칠보판(10)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 방법을 이용한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 방법을 이용한 제조 시스템은 칠보판 제조부(100), 마감 처리부(200) 및 연결부재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칠보판 제조부(100)는 금속판에 칠보기법을 사용하여 칠보판(10)이 제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칠보판 제조부(100)에 의해 금속판이 가열되어 산화막이 형성되고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여 전처리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처리된 금속판의 표면에 칠보 유약이 도포되고, 칠보 유약이 도포된 금속판에 700℃~800℃의 열이 가해져, 칠보 유약이 경화되어 금속판에 고착되어 칠보판(10)이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마감 처리부(200)는 칠보판 제조부(100)에 의해 제조된 칠보판(10)의 외주연이 절곡형 난집(20)으로 둘러싸여 마감 처리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마감 처리부(200)는 절곡형 난집(20)이 칠보판(10)의 외주연을 따라서 밀착되어 벤딩 되도록 할 수 있고, 밀착되어 벤딩된 절곡형 난집(20)의 양 끝단이 절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절단된 절곡형 난집(20)을 칠보판(10)의 외주연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재 고정부(300)는 칠보판(10)에 마감 처리된 절곡형 난집(20)에 연결부재(30)가 고정되도록 하여 칠보판(10)이 장신구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때, 연결부재(30)는 절곡형 난집(20)이 고정된 칠보판(10)이 브로치로 활용되기 위한 핀 및 목걸이로 활용되기 위한 연결고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난집(20)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칠보판 제조부(100)에 의해, 금속판에 칠보기법이 사용되어 칠보판(10)이 제조되도록 한다(S210).
첨언하면, 칠보기법이란 금속재료에 아름다운 색상을 내는 유약을 입히고 유리질화 하도록 구워서 부식을 막고 강도가 좋아지게 만드는 기법이다,
여기서 칠보판(10)의 제조 단계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조된 칠보판(10)은 마감 처리부(200)에 의해 칠보판(10)의 외주연이 절곡형 난집(20)으로 둘러싸여 마감 처리되도록 한다(S220).
여기서 칠보판(10)의 제조 단계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외주연이 마감 처리된 칠보판(10)은 장신구로 활용되기 위하여, 연결부재 고정부(300)에 의해 칠보판(10)에 고정된 절곡형 난집(20)에 연결부재(30)가 고정되도록 한다(S230).
여기서 연결부재(30) 고정 단계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난집(20)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칠보판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금속판이 가열되어 산화막이 형성되도록 하고, 금속판에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함으로써 금속판 표면의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전처리한다(S310).
그리고 전처리된 금속판에 칠보 유약을 도포하고(S320), 700℃~800℃의 열을 가하여 도포된 칠보 유약이 경화되어 금속판에 고착되도록 한다(S330).
이때, 금속판의 재질은 동, 은 및 은이 포함된 동일 수 있으며, 금속판의 재질이 동일 경우, 칠보 유약이 금속판에 고착되도록 하기 위해 가해지는 열은 780℃~800℃의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의 재질이 은일 경우, 칠보 유약이 금속판에 고착되도록 하기 위해 가해지는 열은 700℃~760℃의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판의 재질이 은이 포함된 동일 경우, 700℃~800℃의 열을 가하되, 은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700℃에 가까운 온도의 열이 가해지도록 하며, 은의 비율이 낮아질수록 800℃에 가까운 온도의 열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첨언하면, 금속판이 동에 은박을 입힌 것일 경우, 동판에 칠보 유약을 도포하여 열을 가한 뒤 은박을 입히고 다시 투명유약을 발라 열을 가하여 은의 밝고 화려한 바탕에 어우러지는 투명유약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칠보 유약이 금속판에 고착되면, 칠보판(10)의 외주연을 따라서 절곡형 난집(20)이 벤딩되어 밀착되도록 하고(S340), 벤딩된 절곡형 난집(20)의 양 끝단은 칠보판(10)의 외주연의 길이에 맞게 절단되며(S350), 절단된 난집(20)은 절단된의 양 끝단이 서로 땜 하여 접합 되도록 한 후 칠보판(10)의 외주연에 고정되도록 한다(S360).
이때, 땜은 땜질을 뜻하며, 은 합금을 사용하여 땜 하는 경우, 은의 함유량은 60%~80%일 수 있다.
여기서, 절곡형 난집(2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고, 절단된 난집(20)을 칠보판(10)의 외주연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칠보판(10)의 외주연에 고정된 난집(20)에 연결부재(30)를 고정하여(S370), 장신구용 칠보판이 완성되면, 고정된 연결부재(30)를 이용하여, 목걸이 브로치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30)는 제1 연결부재(31) 또는 제2 연결부재(32)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30)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재(31) 및 제2 연결부재(32)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2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원형의 절곡형 난집(21)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나선형의 절곡형 난집(22)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2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장신구용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20)은 칠보판(10)의 외주연이 둘러싸이여 마감 처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절곡형 난집(20)은 단면(20a)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되, 직선형뿐 아니라 도 5a처럼 원형이거나, 도 5b처럼 나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원형의 절곡형 난집(21)일 경우에도 단면(21a)이 'ㄴ'자 형상이며, 나선형의 절곡형 난집(22)일 경우에도 단면(22a)은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절곡형 난집(20)의 재료는 은이 포함된 금속일 수 있다.
절곡형 난집(20)의 재료가 은이 포함된 금속일 경우, 포함된 은의 함유량은 칠보판(10) 외주연의 곡률계수에 비례하여 조정되도록 하여, 칠보판(10) 외주연의 곡률이 높더라도, 절곡형 난집(20)의 벤딩이 쉬워 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곡률계수란 곡선이나 곡면의 굽은 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뜻한다.
예를 들어, 칠보판(10) 외주연의 곡률계수가 커질수록 절곡형 난집(20)의 은 함유량이 많아지며, 칠보판(10) 외주연의 곡률계수가 작아질수록 절곡형 난집(20)의 은 함유량이 적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외주연 마감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외주연 마감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외주연 마감 방법은, 도 6과 같이 제조된 칠보판(10)의 형태가 원형에 가까울 경우, 칠보판(10)의 외주연에 원형의 절곡형 난집(21)이 벤딩, 절단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칠보판(10)의 형태가 원형일 경우 원형의 절곡형 난집(21)을 사용하여 적은 벤딩으로도 원형의 칠보판(10)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둘러쌀 수 있어서, 절곡형 난집(20)의 벤딩 과정이 더욱 용이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칠보판(10)의 형태가 원형에 가깝지 않고, 칠보판(10)의 외주연의 곡률계수가 높을 경우, 나선형의 절곡형 난집(22)이 사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20)의 고정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a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20)의 고정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장신구용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20)의 고정 방법은, 절곡형 난집(20)의 절단된 양 끝단을 서로 땜 하여 접합 되도록 하고, 접합 된 절곡형 난집(20)의 내주연에 접착제(G)를 도포하여, 칠보판(10)의 외주연과 절곡형 난집(20)의 내주연이 서로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칠보판(10)을 절곡형 난집(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G)로는 에폭시접착제(epoxy resin adhesive)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20)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b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20)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20)의 다른 고정 방법은, 절곡형 난집(20)의 절단된 양 끝단을 서로 땜 하여 접합 되도록 하고, 접합 된 절곡형 난집(20)의 외주연에 칠보판(10)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복수의 고정발이 부착되도록 하여, 칠보판(10)이 양 끝단이 접합 된 절곡형 난집(20)에 삽입되면, 복수의 고정발이 내측으로 굽혀짐으로써 칠보판(10)이 절곡형 난집(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제1 연결부재(31)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a를 참고하여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제1 연결부재(31)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연결부재(31)는 장신구용 칠보판이 브로치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연결부재 브로치용 핀(31a), 목걸이의 체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굽어져 있는 제1 연결부재 목걸이용 연결고리(31b) 및 스트랩(strap)이 매듭지어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 형태인 스트랩용 연결고리(31C)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재(31)는 칠보판(10)의 외주연을 둘러싸고 있는 절곡형 난집(20)에 직접 부착되어, 브로치 및 목걸이 등의 장신구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31)는 제조된 칠보판(10)의 활용 목적에 따라 귀걸이, 팔찌 등의 다양한 장신구로 활용되기 위한 연결부재일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연결부재는 칠보판(10)의 외주연을 둘러싸고 있는 절곡형 난집(2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제2 연결부재(32)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b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의 제2 연결부재(3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연결부재(32)는 장식무늬로 이루어진 제2 연결부재 밑판(32c)에 브로치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연결부재 브로치용 핀(32a) 및 목걸이의 체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굽어져 있는 제2 연결부재 목걸이용 연결고리(32b)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조된 칠보판(10)의 활용 목적에 따라 귀걸이 팔찌 등의 다양한 장신구로 활용되기 위해, 제2 연결부재 밑판(32c)에 다양한 형태의 고리 및 핀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32)는 칠보판(10)의 외주연을 둘러싸고 있는 절곡형 난집(20)에 부착되어, 브로치 및 목걸이 등의 장신구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이 활용된 장신구(40)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장신구용 칠보판이 활용된 장신구(40)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와 같이 장신구용 칠보판은 목걸이(40-1), 측면이 장식된 브로치(40-2) 및 칠보판이 장식된 브로치(40-3) 등의 장신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칠보판에 장식 및 보석이 추가되어 다양한 형태로 꾸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약 도포 단계 이전의 금속판에 장식이 포함되도록 하여, 장식이 포함된 칠보판(10)이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칠보판(10)의 외주연에 고정된 절곡형 난집(20)의 외주연에 장식 및 보석을 부착함으로써, 칠보판(10)에 직접 장식 및 보석이 부착되는 과정에 발생하는 검은 피막 또는 접착제가 칠보판(10)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칠보판(10)의 상하면이 관통되도록 타공 하되, 장식 및 보석에 장식 및 보석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핀이 구비되고, 구비된 핀이 칠보판(10)의 타공된 곳을 관통하여, 관통된 핀을 물어 고정하도록 하는 보석 및 장식 고정부재가 끼워져 장식 및 보석이 칠보판(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하면이 관통되도록 타공되는 칠보판(10)은 외주연이 절곡형 난집(20)으로 둘러싸여 고정된 상태로 타공 되도록하여, 타공시 발생 가능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칠보판 20: 절곡형 난집
20a: 절곡형 난집의 단면 20b: 고정발
21: 원형의 절곡형 난집 21a: 원형의 절곡형 난집의 단면
22: 나선형의 절곡형 난집 22a: 나선형의 절곡형 난집의 단면
30: 연결부재 31: 제1 연결부재
31a: 제2 연결부재 브로치용 핀 31b: 제1 연결부재 목걸이용 연결고리
31c: 스트랩용 연결고리 32: 제2 연결부재
32a: 제2 연결부재 브로치용 핀 32b: 제2 연결부재 목걸이용 연결고리
32c: 제2 연결부재 밑판 40: 칠보판이 활용된 장신구
100: 칠보판 제조부 200: 마감 처리부
300: 연결부재 고정부 G: 접착제

Claims (10)

  1. 금속판이 가열되어 산화막(Oxide film)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여 상기 금속판의 표면의 불순물이 상기 산화막과 함께 제거됨으로써, 상기 금속판이 전처리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금속판에 칠보기법(七寶技法)이 사용되어, 칠보판이 제조되는 단계;
    마감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제조된 칠보판의 외주연이 절곡형 난집으로 둘러싸이도록 상기 외주연이 마감처리되는 단계; 및
    연결부재 고정부에 의해, 상기 마감 처리된 칠보판의 절곡형 난집에 상기 칠보판을 장신구로 활용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칠보판이 제조되는 단계는,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칠보 유약이 도포되는 단계; 및
    상기 칠보 유약이 도포된 금속판에 700℃~800℃의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칠보 유약이 경화되도록 하여, 상기 경화된 칠보 유약이 상기 금속판에 고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연이 마감처리되는 단계는,
    상기 절곡형 난집이 상기 외주연을 따라서 밀착되도록 벤딩되는 단계;
    상기 벤딩된 절곡형 난집의 양 끝단이 절단되는 단계; 및
    상기 양 끝단이 절단된 절곡형 난집이 상기 외주연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형 난집은,
    단면이 'ㄴ'자 형상이되,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나선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절곡형 난집은, 은이 포함되는 금속이고,
    상기 절곡형 난집에 포함되는 은의 함유량은,
    상기 외주연의 곡률계수(Coefficient of curvature)에 비례하도록 조정되고,
    상기 절곡형 난집이 상기 외주연에 고정되는 단계는,
    은의 함유량이 60%~80%인 은 합금을 사용하여, 상기 절단된 양 끝단을 땜 함으로써 상기 양 끝단이 서로 접합되고, 상기 칠보판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고정발이 상기 외주연에 부착되어, 상기 돌출된 복수의 고정발을 상기 칠보판의 중심방향으로 굽힘으로써, 상기 절곡형 난집이 상기 외주연에 고정되며,
    상기 칠보판이 제조되는 단계는,
    상기 금속판의 재질이 은이 포함된 동일 경우, 상기 금속판의 은의 함유 비율이 높아질수록 상기 금속판에 700℃에 가까운 온도의 열을 가하되, 상기 금속판의 은의 함유 비율이 낮아질수록 상기 금속판에 800℃에 가까운 온도의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칠보 유약이 상기 금속판에 고착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단계는,
    장식무늬로 이루어진 밑판에 브로치용 핀과 목걸이용 연결고리 중 적어도 하나가 부착되어 마련된 연결부재가 상기 절곡형 난집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밑판이 상기 절곡형 난집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절곡형 난집에 고정되며,
    상기 목걸이용 연결고리는,
    일단이 상기 밑판에 부착되고, 상기 밑판을 향해 굽어진 갈고리 형태이되, 타단이 변곡되어 반대 방향으로 다시 굽어진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타단을 통해 목걸이용 체인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칠보판이 목걸이로 활용되도록 하고,
    상기 목걸이용 연결고리는,
    상기 밑판에 상기 브로치용 핀과 함께 부착되어 마련되는 경우, 상기 타단이 상기 브로치용 핀과 밑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브로치용 핀이 잠긴 상태에서는 상기 타단의 변곡된 부분이 상기 밑판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체인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장식 및 보석이 칠보판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칠보판의 상하면이 관통되도록 타공되고, 상기 장식 및 보석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핀이 상기 칠보판의 타공된 곳을 관통하되, 상기 관통한 핀이 고정부재에 의해 물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장식 및 보석이 칠보판에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식 및 보석이 칠보판에 고정되는 단계는,
    상기 칠보판이 타공되는 과정에서 상기 칠보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주연이 마감처리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따른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KR1020170088256A 2017-07-12 2017-07-12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KR101878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256A KR101878605B1 (ko) 2017-07-12 2017-07-12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256A KR101878605B1 (ko) 2017-07-12 2017-07-12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605B1 true KR101878605B1 (ko) 2018-07-13

Family

ID=6291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256A KR101878605B1 (ko) 2017-07-12 2017-07-12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621B1 (ko) 2022-07-23 2022-09-07 (주)크리스챤모드 이중 판재 구조 방법을 응용한 칠보 시계 문자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749U (ko) * 1990-02-09 1991-10-28
JP2722184B2 (ja) * 1995-06-14 1998-03-04 株式会社小沢貴金属 コイン状装飾体ホルダー
KR20020048081A (ko) * 2000-12-16 2002-06-22 백병룡 목걸이용 장식구
KR20030042175A (ko) * 2001-11-21 2003-05-28 신원철 다수의 스톤으로 구성된 다면 입체보석 세팅체 및 그세팅방법
JP3103749U (ja) * 2004-03-03 2004-08-26 佐和子 西川 装身具材および装身具
KR200364335Y1 (ko) * 2004-06-18 2004-10-08 김기윤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
KR101636331B1 (ko) * 2016-03-04 2016-07-05 박광인 칠보 금속 장식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칠보 금속 장식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749U (ko) * 1990-02-09 1991-10-28
JP2722184B2 (ja) * 1995-06-14 1998-03-04 株式会社小沢貴金属 コイン状装飾体ホルダー
KR20020048081A (ko) * 2000-12-16 2002-06-22 백병룡 목걸이용 장식구
KR20030042175A (ko) * 2001-11-21 2003-05-28 신원철 다수의 스톤으로 구성된 다면 입체보석 세팅체 및 그세팅방법
JP3103749U (ja) * 2004-03-03 2004-08-26 佐和子 西川 装身具材および装身具
KR200364335Y1 (ko) * 2004-06-18 2004-10-08 김기윤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
KR101636331B1 (ko) * 2016-03-04 2016-07-05 박광인 칠보 금속 장식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칠보 금속 장식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103749호(2004.08.26.) 1부.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2722184호(1998.03.04.)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621B1 (ko) 2022-07-23 2022-09-07 (주)크리스챤모드 이중 판재 구조 방법을 응용한 칠보 시계 문자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605B1 (ko)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CN102578768B (zh) 嵌钻结构及嵌钻方法以及嵌钻眼镜
EP1374717A2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i-coloured ornamental items
JP3210197U (ja) 装飾具
KR102114050B1 (ko) 보석체인 기반 컬러디자인 신변 장신구 제조방법
US20140013800A1 (en) Jewelry article with formed illusion plate
CN208957077U (zh) 一种装饰配件
US7611599B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decorative article and decorative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840000535Y1 (ko) 장신구용 구슬의 캡
US20080041100A1 (en) Method for adding adornments to metal jewelry
CN210382922U (zh) 一种宝石饰品
KR200248089Y1 (ko) 장신구
CN214904305U (zh) 一种具有流光效果的装饰配件
CN209898461U (zh) 钻石饰品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KR20050014541A (ko) 칠보장식과 그 제조방법
JP2005323776A (ja) 装飾品の製造方法
JP2011130931A (ja) 人工爪への宝石類の取付方法および宝石類を取り付けた人工爪
KR200224193Y1 (ko) 팔찌 장신용 꽃
JP3103749U (ja) 装身具材および装身具
KR101985738B1 (ko) 장식부 내측에 외측으로 투시되는 문양이 형성된 장신구 제조 방법
KR100248538B1 (ko) 반짝이가 부착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230724Y1 (ko) 장식용 도예품 보호체
JPH0672407U (ja) 装飾品
JP2008018179A (ja) 宝石を備えたつけ爪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