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493A - Hcg 절편들을 포함하는 점막 및 경구 투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Hcg 절편들을 포함하는 점막 및 경구 투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493A
KR20060017493A KR1020057019200A KR20057019200A KR20060017493A KR 20060017493 A KR20060017493 A KR 20060017493A KR 1020057019200 A KR1020057019200 A KR 1020057019200A KR 20057019200 A KR20057019200 A KR 20057019200A KR 20060017493 A KR20060017493 A KR 2006001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gene
peptides
nfκb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833B1 (ko
Inventor
니사르 아흐메드 칸
로베르트 베너
게르트 웬스부르
Original Assignee
바이오템프트,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3076022A external-priority patent/EP1466611A1/en
Priority claimed from EP03076023A external-priority patent/EP1466612A1/en
Priority claimed from EP03076030A external-priority patent/EP1466613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0/409,671 external-priority patent/US20030220261A1/en
Priority claimed from CNB031312276A external-priority patent/CN1310674C/zh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템프트, 비.브이. filed Critical 바이오템프트,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1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7Tetra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4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Chorionic gonadotropins, e.g. HCG; Luteinising hormone [LH]; 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0Anthelmin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Vi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러지, 자가-면역질환, 이식 관련 질환, 및 기타 염증질환과 같은 면역-매개성 장애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경구 혹은 점막 투여에 의한 염증질환의 전신성 치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와 함께 약학적 유효량의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질병을 앓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점막 적용을 위한 형태의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유전자-조절 펩티드, 염증질환, 점막

Description

HCG 절편들을 포함하는 점막 및 경구 투여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mucosal and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HCG fragments}
본 발명은 면역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러지, 자가면역질환, 이식-관련 질환 및 다른 염증 질환과 같은 면역-매개성 장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한 염증질환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유럽특허청 (EPO)에 2003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EP 특허 제03076028.4호, EPO에 2003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EP 특허 제03076029.2호, EPO에 2003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EP 특허 제03076027.6호, EPO에 2003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EP 특허 제03076026.8호, EPO에 2003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EP 특허 제03076022.7호, US 특허 제10/409,671호, EPO에 2003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EP 특허 제03076021.9호, EPO에 2003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EP 특허 제03076025.0호, EPO에 2003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EP 특허 제03076024.3호, EPO에 2003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EP 특허 제03076030.0호, EPO에 2003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EP 특허 제 03076023.5호, 및 중국특허청에 2003년 4월 30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제03131227.6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면역체계는 숙주가 유해인자들, 미생물 감염 또는 손상에 의해 위협을 받을 때, 숙주를 보호하기 위해 염증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사이토카인들 및 다른 체액성 및 세포성 인자들을 생산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복잡한 방어망은 성공적으로 정상적인 항상성(homeostasis)을 회복시키지만, 어느 시점에서는 면역성 또는 염증매개체들이 실제로는 숙주에게 유해함이 입증될지도 모른다. 초과민반응 쇼크, 자가면역질환, 및 면역 복합체 장애을 포함하여 면역질환 및 면역체계-매개성 손상의 몇몇 예들이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학, 분자생물학 및 병리학에 있어서의 최근의 발달은 면역-매개 염증질환의 일종으로 여겨지는 자가-면역에 대한 통상적인 개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발달은 항체, B-세포 및 T-세포 다양성, 선천성의 형성 (단핵구, 대식세포, 과립구, 자연사세포, 비만세포, γδT 세포, 보체, 급성기 단백질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및 적응성(T 및 B 세포 및 항체) 또는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 및 이들의 상호의존, (자기)-내성 유도 기작 및 면역반응성이 자가-항원 성분들에 대해 발생하는 수단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의 이해를 증가시켜왔다.
1900년 이후로, 면역학의 중심원리(central dogma)는 일반적으로 면역체계는 자기 자신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자가-면역반응이 이전에 생각되어 온 것처럼 그렇게 드문 현상이 아니며, 모든 자가-면역반응이 유해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최근에 명백해지고 있다; 일부 반응은 일반적으로 면역반응을 매개하는데 독특한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면, 주조직적합복합체 (MHC)에 의해 암호화되는 세포 표면항원의 인식, 및 자가 유전형에 대한 항-개별특이적 반응과 같은 특정 형태의 자가-면역반응은 본래의 면역체계의 다양성(diversification) 및 정상적인 기능발휘에 중요하고, 실제로는 필수적이다.
명백하게, 견제과 균형의 복잡한 시스템은 면역체계 세포들 (즉, T-세포)의 다양한 아집단들 사이에서 유지되고, 그로 인해 개체에게 외래 침입자들에 대해 대항할 수 있는 면역체계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자가-면역은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현재는 또한 비정상적인 자가-면역반응이 많은 인간과 동물의 질병에 있어서 때로는 일차적인 원인이고, 어느 시점에서는 이차적인 공헌자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자가-면역질환의 유형들은 종종 중복되는데, 한 개 이상의 자가-면역장애가 동일한 개체, 특히 자가-면역 내분비병증을 갖는 개체에서 유발되는 경향이 있다. 자가-면역 증상들은 림프구 증식, 악성 림프구 또는 형질세포 증식 및, 저감마글로불린혈증, 선택적 Ig 결핍 및 보체 성분 결핍과 같은 면역결핍장애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
일부를 언급하자면,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산후 갑상선 기능장애, 자가-면역 저혈소판증과 같은 자가-면역질환들은, 예를 들어 광범위하게 분포된 자기-항원결정기들에 대해 유도된, 혹은 기관 또는 조직 특이적인 항원들에 대해 유도된 자가-면역 염증반응으로 특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은 단 하나의 항원표적이나 수많은 자기항원들에 대해서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을 동반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자가-면역반응이 비변형된 자가-항원들, 또는 바이러스성, 세균성 항원들 및 합텐기(haptenic group)와 같은 수많은 인자들 중의 하나가 변형된 (혹은 유사해진) 자기-항원들에 대해 유도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아직까지는 다양한 자가-면역장애의 기원과 병리를 설명하기 위한 어떠한 개념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실험동물을 이용한 연구는 자가-면역질환이 한 개체와 다른 개체간에 서로 다르고 많은 중첩된 외인성 (바이러스, 세균) 또는 내인성 (호르몬, 사이토카인, 비정상 유전자들) 촉진인자들의 부재 혹은 존재에 따라 일생의 전반 또는 후반에 스스로를 발현하게 되는 광범위한 범위의, 유전적 및 면역학적 비정상의 결과라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다양한 질병에 대한 하나의 통상적인 관점이 가시화되었는데; 이들 모두는, 종종 대부분이 전신성인, 염증반응을 공유한다는 것이다.
또한, 후미에서 원발성 자가-면역질환(primary auto-immune disease)을 유지하는, 유사한 견제(check)과 균형은 알러지 (천식)와 같이 다른 면역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패혈증 또는 패혈쇼크와 같은 급성염증질환, 만성염증질환 (즉, 류마티스 질환, 쇼그렌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이식-관련 염증반응 (이식편대숙주반응(graft-versus-host-diease), 수혈후 저혈소판증), 및 이를 담당하는 항원들이 (적어도 초기에는) 자기-항원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론상으로는 면역반응이 개체에게 부족하지 않고 유해하지 않은 많은 다른 질환들에서 손상된다.
급성 전신면역반응의 특징적인 예로서, 패혈증/SIRS 개념이 여기서 논의된 다. 패혈증은 예를 들어 미생물 침입, 손상 또는 다른 인자들에 의해 유도되는 면역매개체들이 비정상적 항상성, 기관 손상 및 최종적으로는 치명적인 쇼크를 유발하는 증상이다. 패혈증은 심각한 감염에 대한 전신반응으로 간주된다. 패혈증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열, 빈맥, 빠른 호흡, 백혈구 증가증 및 국부적 위치의 감염으로 명백해진다. 혈액 또는 감염 부위의 미생물 배양은, 그 결과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종종 양성을 나타낸다. 만약 이러한 증상이 저혈압 또는 다발성 기관계 상실 (MOSF)을 유발한다면, 이러한 상태를 패혈증 또는 패혈쇼크라고 한다. 초기에는, 미-생물들(micro-organisms)이 감염의 병소(nidus of infection)에서 증식한다. 상기 생물들은 혈류로 침투하여 양성 혈액 배양을 나타내거나, 혹은 국소적으로 성장하여 혈류 내로 다양한 물질들을 분비할 수도 있다. 이들을 병리학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면 두 개의 카테고리로 나뉜다: 내독소 및 외독소. 내독소는 전형적으로 스타필로콕사이(staphylococci) 유래 테이코산 항원들 또는 LPS와 같은 그람-음성 생물들 유래 내독소와 같은 미-생물들의 구조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독소 (예컨대, 독성 쇼크 증후군 독소-1, 또는 스타필로코칼 엔테로톡신 A, B 또는 C)는 미-생물에 의해 합성되고 직접 방출된다. 이들의 이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세균성 독소의 이러한 유형들은 모두 병변효과(pathogenic effect)를 가지고 있어서 다량의 내생적 숙주-유래 면역매개체들이 혈장 단백질 전구체 또는 세포 (단핵구/대식세포, 내피세포, 중성구, T 세포, 및 기타 등등)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촉진시킨다. 패혈증/SIRS는 다양한 유해 손상 (특히, 세균성 감염과 같은 감염성 기원의 손상이지만, 비-감염성 손상 역시 잘 알려져 있고 빈번하게 나타난다)에 대 한 급성 전신성 염증반응이다. 패혈증/SIRS에 동반되는 전신성 염증반응은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산화질소, 및 인체의 다른 면역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화학물질과 같은 다양한 면역매개체들에 의해 활성화되는 면역과정에 의해 야기된다. 이러한 면역매개체들은 일반적으로 패혈증/SIRS에 동반되는 생명을 위협하는 전신질환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이러한 면역매개체들은, 예를 들면 효과적인 항균반응으로서 국소적으로 요구되지만, 반대로, 순환계로 분비되면 잠재적으로 독성을 나타낸다. 이들이 순환계로 분비되면, 이들 매개체들은, 원인과 결과의 상향 나선형으로, 이들 매개체들의 추가적인 전신방출을 야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다발성 기관 기능상실 및 사망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유발한다. 중요한 염증매개체들로는 종양괴사인자-알파 (TNF-알파), 조직 성장인자-베타 (TGF-베타), 인터페론 감마, 인터루킨 (IL-1, IL-4, IL-5, IL-6, IL-10, IL-12, IL-23, IL-40 및 기타 등등), 산화질소 (NO), 아라키돈산 대사산물 및 프로스타글란딘 1 및 2 (PGE1 및 PGE2) 등이 있다.
본질적으로, 패혈증 (sepsis 또는 septicemia)은 혈중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 혹은 이러한 존재와 관련된 전신염증질환과 협력하는 이들의 독소와 관련이 있다. 환자에게서 패혈증 발병의 핵심은 환자의 미생물 감염으로, 이는 감염된 환자의 혈액 내 이들의 존재에 의해, 혹은 환자의 혈액 내 이들의 독소의 존재에 의한 염증매개체들이 전신 방출되는 원인을 제공한다. 오직 상기와 같은 존재만이 전반적으로 인체와 관련되거나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을 유발한다고 할 때, 패혈증은 전신질병으로서 언급된다.
패혈증 분야는 환자의 혈액 내 미생물 또는 이들 독소의 존재에 의해서, 그리고 (개별적으로) 상기 미생물에 대한 환자의 전신반응(들) 또는 상기 독소에 대한 환자의 전신반응(들)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 특정되는 이러한 조건들로 제한된다. 여기서 패혈증은 중증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를 포함하는데, 중증 패혈증은 기관 기능장애를 수반하는 패혈증에 관한 것이고, 패혈성 쇼크는 저혈압 또는 관류 비정상 또는 이들 모두를 수반하는 패혈증에 관한 것이다. SIRS는 패혈증의 경우에 나타나는 중증 전신질환과 관련이 있지만, 또한 병원성 미생물 또는 이들의 독소가 혈액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신염증질환과도 관계가 있다
환자에게서 SIRS 발병의 핵심은 전반적으로 인체와 관련이 있거나 영향을 미치는 질병, 즉 전신질환을 발생시키는 면역매개체들의 존재 및 효과이다. 이러한 전신면역반응은 외상, 화상, 췌장염과 같은 다양한 임상적 손상에 의해서 야기될 수 있다. 또한, 흡입 손상(inhalation injury)이 있거나 없는 화상 환자들은 보통 전신염증에 의해 발생하는 임상 상 (clinical picture)을 나타낸다. 상기 문구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 (SIRS)은 이러한 조건에 의해 고통받는 환자들의 징후와 증상들을 지칭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SIRS는 빈맥(tachypnea), 빠른 호흡(tachycardia), 열 및 백혈구 증가증의 존재부터 불응성 저혈압 및, 가장 심각한 형태인, 쇼크 및 다발성 기관계 기능장애에 이르는 범위의 중증도의 연속성을 갖는다. 열적 손상을 입은 환자들에게서, SIRS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화상 그 자체이다. 패혈증, 감염 또는 균혈증을 동반하는 SIRS 또한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대사성, 심장혈관, 위장관 및 응고 시스템의 병리학적 변화들은 과활동성 면역체계의 결과로서 야기된다. 세포성 및 체액성 기작들은 모두 이러한 질병의 진행과정에 관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화상 및 패혈증 모델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상기 문구 전신성 염증반응 (SIRS)은 그의 원인과는 별개로, 전신성 염증과정을 표현하기 위하여 1992년에 ACCP/SCCM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Society for Critical Care Medicine) 컨센서스 컨퍼런스에 의해 제안되었다. 상기 제안은 감염성 및 비감염성 모두 (즉, 화상, 허혈성-재관류 손상(ischemia-reperfusion injury), 다발성 외상(multiple trauma), 췌장염(pancreatitis))를 포함하는 다양한 조건들이 유사한 숙주반응을 유도함을 나타내는 임상적 및 실험적 결과에 기초한 것이었다. SIRS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하기 조건들이 반드시 충족되어야만 한다:
▷ 체온 > 38℃ 혹은 < 36℃;
▷ 심장박동수 > 90 박동/분
▷ 호흡수 > 20/분 혹은 Paco2 < 32 ㎜Hg;
▷ 백혈구 계산 > 12.000/㎕, < 4000/㎕, 혹은 > 10% 미성숙 (밴드) 형태
이러한 모든 병태생리학적 변화들은 반드시 다른 알려진 원인들이 없는 조건에서 기준선으로부터 벗어나는 급성 변화, 예를 들면 화학요법-유도성 호중구 감소증(chemotherapy-induced neutropenia) 및 백혈구 감소증(leukopenia)과 같은 변화로서 일어난다.
아급성(subacute) 혹은 만성 전신 염증반응의 특징적인 대표적 예로서, 당뇨병과 같이 자가-면역 염증질환에 수반되어 나타나는 임상증상들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다. 비-비만성 당뇨병 (non-obese diabetic, NOD) 마우스는 자가-면역질환 모델로, 이 경우는 그의 주된 임상 특징이 혈중 포도당 농도가 증가하는 (고혈당증) 인슐린-의존성 당뇨병 (IDDM)이다. 상기 증가된 혈중 포도당 수준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내 인슐린 생산 β 세포들의 자가-면역 염증 파괴에 의해 야기된다. 이는 CD4+ 및 CD8+ T 림프구, B 림프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의 이종 혼합물로 구성된 상기 랑게르한스섬 (췌도염)을 둘러싸고 침투하는 대규모의 세포성 침윤(massive cellular infiltration)에 의해 수반된다. 또한, 아급성 및 만성염증에서, 중요한 염증매개체들로는 종양괴사인자-알파 (tumor necrosis factor-α,TNF-알파), 조직성장인자-베타 (TGF-베타), 인터페론 감마, 인터루킨 (IL-l, IL-4, IL-5, IL-6, IL-10, IL-12, IL-23, IL-40), 산화질소 (NO), 아라키돈산 대사산물 및 프로스타글란딘 1 및 2 (PGE1 및 PGE2), 및 기타 등등이 있다.
상기 NOD 마우스는 염증매개체들에 의해 매개되고 베타-세포들에 대해 유도된 일차 염증반응이 IDDM의 발병에 있어서 일차적인 사례가 되는 모델을 나타낸다. 상기 NOD 마우스가 아직 당뇨병이 아닌 경우에는, 베타-세포에서 일정하게 유도되는 염증이 발생한다. 당뇨병 발생기전은 인간 질병에서와 같이, 독특한 MHC 클래스 Ⅱ 유전자와 다인성, 비연관된(unlinked), 유전자좌간(genetic loci)의 상호작용을 통해 매개된다. 또한, 상기 NOD 마우스는 유전과 환경간의 결정적인 상호작용 및, 일차 및 이차적인 염증반응간의 상호작용을 성공적으로 증명하는데, 예컨대 다양한 외부적 조건들, 가장 중요하게는 NOD 마우스가 사육되는 환경에 가득한 미생물에 의존하게 된다. 당뇨병기 동안에, 상기 마우스 (및 만성 당뇨병을 앓는 인간들)에서의 염증반응은 훨씬 더 다양하고, 고 포도당 농도에 의해 야기되는 혈관 손상으로 인한 조직 손상이 전신적으로 일어나며, 다시 염증매개체들이 방출되고, 이차적인 염증이 활발해져, 결과적으로는 온 몸에 염증이 생기게 되지만, 일견 이들이 야기된 것으로 생각되는 시기보다 먼저 환자에게 훨씬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NOD 마우스에서 입증가능한 자가-면역의 측면에서, 다양한 항원에 대해 유도된 대부분의 항원-특이적 항체들 및 T-세포 반응은 당뇨병 환자들에게서 자기-항원으로서 검출되었다. NOD 마우스에서 이러한 자기-항원들의 역할에 대한 이해는, 나아가 그 자체로 당뇨병기로 이끄는 병원성 자기-항원들에 의해 유도된 초기 염증반응과, 부가적인 현상으로 관찰되는 이차적인 염증반응을 구분하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T 림프구는 면역-매개성 질환의 발병과정을 개시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CD4+ T-세포들은 적어도 두 개의 주요 아집단 Thl 및 Th2로 구분될 수 있다. 활성화된 Thl 세포들은 IFN-γ 및 TNF-α를 분비하는 반면, Th2 세포들은 IL-4, IL-5 및 IL-10을 생산한다. Thl 세포들은 효과적인 세포성 면역의 형성에 결정적으로 관여하는 반면, Th2 세포들은 호산구(eosinophils) 및 비만세포(mast cell)들의 활성화와 IgE의 생산을 포함하는 체액성 및 점막성 면역 및 알러지를 형성하는 수단이 된다. 현재 많은 연구들이 Thl 표현형질 발현을 갖는 마우스와 인간에서의 당뇨병을 서로 연관시키고 있다. 한편, Th2 T 세포들은 상대 적으로 무해한 것으로 보인다. 몇몇 연구들은 사실 Th2 T 세포들이 방어적일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비실험 수용자(naive recipient)에게 당뇨병을 전파하는 CD4+ T 세포들의 능력은, 본질적으로 TCR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 특이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T 세포 반응의 표현형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강하게 편광된 Th1 T 세포들은 NOD 신생아 마우스에서 당뇨병을 유발하는 반면, Th2 T 세포들은 이들이 비록 활성화되고 당뇨병 유발 Th1 T 세포 집단으로서 동일한 TCR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당뇨병을 유발하지 못하였다. 더욱이, 동시-전달인 경우에 Th2 T 세포들은, Th2 세포들이 10배 과량으로 동시-전달된 경우조차도 Thl-유도성 당뇨병을 개선시키지 못하였다.
요약하면, 전신염증뿐만 아니라 급성염증을 촉진하는 결정적인 병태생리학적 사례는 염증과정을 개시하는 염증매개체들, 특히 사이토카인들이 분비된 후의 조직 손상이다. 이는, 예를 들면 허혈성-재관류 손상 후에 혹은 상기 조직에 미생물이 감염된 기간동안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면역 혹은 염증매개체들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손상뿐만 아니라, 기계적 혹은 열적 외상에 의한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으로서도 야기될 수 있다. 세포 손상은 전염증성(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급성 방출의 결과이다. 만약 손상이 광범위한 조직 손상과 같이 심각하다면, 사이토카인의 충분한 방출이 일어나서 전신성 염증반응이 유도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전신성 염증반응에 (급성적으로 혹은 만성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숙주의 능력은 상기 반응의 크기(magnitude), 반응의 기간, 및 숙주의 적응 능력(adaptive capacity)에 의존적이다.
본 발명은 중요한 생리학적 과정을 조절하는 신체의 본능적인 방법에 관한 것이고, WO99/59617, WO01/72831 및 PCT/NL02/00639에 보고된 내용을 토대로 한다.
상기 이전 출원들에는, 임신한 여성에게서 임신기간 동안에 자연적으로 나타나고 생산되는, 인간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 (hGH)과 같은 태반 생식샘자극호르몬의 단백질 효소분해로부터 유래된 작은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이 기술되어 있다. 이들 펩티드들은(활성상태에서는 주로 약 4 내지 6개 아미노산 길이인) 사이토카인과 같은 염증매개체들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발휘되는 매우 뛰어난 면역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랍게도, hCG의 분해는 임신한 여성이 면역학적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도와주는 펩티드들의 연속단계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펩티드들은, 모체는 면역적으로 건강하고, 태아가 임신기간 동안 조산되지 않는 대신에 그의 탄생일에 안전하게 출생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면역체계를 균형 잡히게 하는 천연 물질들이다.
단백질의 가장 작은 분해산물들이 (면역체계를 위한 항원으로 제공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특이적인 생물학적 기능도 갖지 않는다고 일반적으로 생각되었던 경우에 반해, 현재는 실제로 신체가 정기적으로 단백질의 단백질분해의 정상적인 과정을 이용하여 자신의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중요한 유전자-조절 화합물들인, 짧은(short) 펩티드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생산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명백하게도 신체는 그 자신의 유전자들에 의해 암호화된 해당 단백질들의, 작게 분해된 산물들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조절 시스템을 이용한다.
임신기간 동안에 모체 시스템은, 태아에 대해 유도되는 모체 거부반응을 억 제하는 일시적 면역-조절 상태를 도입한다. 역설적으로, 임신 중에는 종종 감염에 대한 모체의 저항성이 증가하여, 모체는 류마티즘 및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의 임상적 증상들로부터 훨씬 더 잘 보호된다. 태아의 보호는 그러한 면역억제의 결과로서만 해석될 수 없다. 상기 세 출원들 각각은 모체의 보호와 태아의 방어 사이의 면역학적 균형이 이해될 수 있는 식견을 제공한다.
hCG의 짧은 분해 산물들 (즉, 만약 변형될 필요가 있다면, 용이하게 합성될 수 있고, 약학 조성물로 사용되는 짧은 펩티드들)은 신체의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전사인자들의 패밀리인 NFκB 패밀리에 의해 지배되는, 전(pro)- 혹은 항(anti)-염증성 사이토카인 캐스케이드에 대한 주된 조절활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에 생산된 대부분의 hCG는, 모체와 자식의 세포 및 조직이 가장 집중적으로 접촉하고, 면역-조절이 거부반응에 대항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기관인 태반 세포들에 의해 생산된다. 국소적으로 생산된, 태반에서 hCG로부터 분해된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은 곧바로 모체와 자식간의 노 맨즈 랜드(no-mans land)에서 발견되는 전- 혹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캐스케이드의 균형을 잡아준다. 전형적인 태반 세포인 영양막으로부터 생산된 펩티드들은 세포외 공간을 가로지르고; 세포의 면역체계 내로 유입되어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NFκB-매개성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그들의 면역-조절 활성을 발휘하고, 그로 인해 후미에서 태반의 면역반응을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유전자 조절 펩티드들 4 + 5 + 6 (실험예 3, LQGV + GVLPALPQ + VLPALP (각각, SEQ ID NOs: 1, 23 및 4)의 점막 처리가 미성숙 MP20 고 양성 골수세포들의 비율을 현저히 증가시킴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는 임신한 여성에게서 자가-면역질환의 발생 및 중증도에서 보여지는 유익한 효과들이, hCG-유래 펩티드들의 체내로의 전신적인 유출(oversplill)의 결과라는 사실을 가정한다; 하지만, 단지 태반에서 생산된 펩티드들이 신체의 전부에 전반적으로 희박하기 때문인 경우에만, 태반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태아의 거부반응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면역-조절활성이 점점 낮아질 것으로 쉽게 이해되므로, 이러한 효과들은 과대 평가되지 말아야한다. 그러나, 상기 펩티드들의 면역-조절 및 유전자-조절활성이 결코 임신 중에 태반에서만 야기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져서는 안된다; 남성과 여성은, 예컨대 그들의 뇌하수체에서, 똑같이 hCG를 생산하고, 확실히 전반적으로 펩티드들의 이러한 유전자-조절활성을 전부 이용한다. 따라서, 유전자-조절 펩티드들 및 이들의 유도체들의 약학적 잠재력을 이용한 신규한 치료학적 침입이 제공된다. 실제로, 신체의 면역반응을 각각, 및 동시에, 지시하는 전- 혹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캐스케이드들을 조종하는 NFκB의 특이적인 상향- 혹은 하향-조절의 증거는 면역세포들의 처리 후 생체외 (in vitro) 연구 및 유전자-조절 펩티드들로 처리된 실험동물에서의 생체내 (in vivo) 연구와 같은 발현 분석연구에 의한 유전자-배열 내 컴퓨터 모의실험 (in silico)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NFκB가 질병의 일차적인 효과자임을 고려할 때 (A.S. Baldwin, J. Clin. lvest., 2001, 107:3-6), hCG 유래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의 사용은 다양한 인간 및 동물 질병의 치료에 중요한 잠재력을 제공하고, 그로 인해 그녀의 임신이 안전하게 유지되는 것과 같이 모체의 면역체계를 균형 잡히게 도와주는 상기 물질들의 약학적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약리학적으로 유효량의 유전자-조절 펩티드(gene-regulatory peptide) 또는 이의 기능적 유사체(functional analogue)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환자에게 점막,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하여 질병에 걸렸거나 질병에 걸린 것으로 생각되는 환자의 치료를 제공한다. 특히 유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는 멸균수 또는 0.9%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염 (PBS)과 같은 등장 염 용액(isotonic salt solution)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약리학적으로 유효량의 두 개 이상의 유전자-조절 펩티드들 또는 이의 기능적 유사체들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환자에게 점막,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함에 의해 질병에 걸렸거나 질병에 걸린 것으로 생각되는 환자의 치료를 제공한다. 상기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투여 용량은 상당히 넓은 범위에서 달라질 수 있다. 투여될 수 있는 활성분자의 농도는 하한값에서의 효과 및 상한값에서의 화합물의 용해도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특정 환자에 대한 최적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및 연령과 같은 관련 인자들 및 관련된 외과의사 혹은 의학 전문가들의 다른 의견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 구석구석까지 세포 내 유전자 발현의 전신조절(systemic modulation)을 형성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점막,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를 위한 조절 펩티드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유용한 예들은 올리고펩티드 LQG, AQ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LQGA (SEQ ID NO: 3), VLPALPQVVC (SEQ ID NO: 21), VLPALP (SEQ ID NO: 4), ALPALP (SEQ ID NO: 5), VAPALP (SEQ ID NO: 6), ALPALPQ (SEQ ID NO: 7), VLPAAPQ (SEQ ID NO: 8), VLPALAQ (SEQ ID NO: 9), LAGV (SEQ ID NO: 10), VLAALP (SEQ ID NO: 11), VLPALA (SEQ ID NO: 12), VLPALPQ (SEQ ID NO: 13), VLAALPQ (SEQ ID NO: 14), VLPALPA (SEQ ID NO: 15), GVLPALP (SEQ ID NO: 16), GVLPALPQ (SEQ ID NO: 23), LQGVLPALPQVVC (SEQ ID NO: 17), VVCNYRDVRFESIRLPGCPRGVNPVVSYAVALSCQCAL (SEQ ID NO: 24), RPRCRPINATLAVEK (SEQ ID NO: 25의 아미노산 1-15), EGCPVCITVNTTICAGYCPT (SEQ ID NO: 25의 아미노산 16-35), SKAPPPSLPSPSRLPGPS (SEQ ID NO: 26), SIRLPGCPRGVNPVVS (SEQ ID NO: 27), LPGCPRGVNPVVS (SEQ ID NO: 18), LPGC (SEQ ID NO: 19), MTRV (SEQ ID NO: 20), MTR, VVC, QVVC (SEQ ID NO: 29) 및 이들의 기능적 유사체들 혹은 유도체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기능적 유사체들은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유래된 요 분획 또는 hCG의 상업적 제제에서 발견되고; 상기 상업적 제제는 적어도 상당량의 hCG 분해산물을 포함하고 유전자-조절 활성을 갖지만, 이러한 요 분획(urinary fraction)들 혹은 심지어 상업적 hCG 제제들의 사용에 있어서의 단점은 이들이 (충분한) 용량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사실에 있으므로, 합성 펩티드들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바람직한 크기는, 비록 분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지만, 최대 15개 아미노산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소 펩티드(small peptide)들을 국소적으로 점막에 적용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이 전신적으로 조정되거나 조절될 수 있다는 기술적 특징을 제공한다. 경구 치료가 바람직하지만, 본 명세서에는 경구 치료 이외에 점막 치료 역시 제공된다. 바람직한 펩티드들은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CG) 및 성장호르몬과 같은 보다 큰 폴리펩티드의 분해산물, 혹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EGF, VEGF, RNA 3' 말단 인산염 사이클라제 및 CAP18과 같은 성장인자들 또는 이들의 합성물의 분해산물들이다. 5개 아미노산보다 작은, 즉 3 혹은 4개 아미노산 길이의 펩티드들이 경구 치료에 바람직하다. 대체로, 이러한 조절 펩티드 서열들은 원핵 및/또는 진핵세포들에 의해 생산된 폴리펩티드 분자의 특정 단백질로부터 유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펩티드들, 바람직하게는 올리고펩티드들,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있어서 유전자-조절 펩티드로서 자연적으로 관여하고,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은 크기의 올리고펩티드들의 분해산물들이 전신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점막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는 기술적 특징을 제공한다. 특히, 베타-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beta-hCG), 바람직하게는 닉(nicked) 베타 HCG로부터 얻을 수 있거나 유래될 수 있는 (합성) 유전자-조절 펩티드가 제공된다. 종래에는 베타 hCG의 분해산물들이 유전자 발현의 조절을 통한 면역-조절 (WO99/59671, WO01/72831, PCT/NL02/00639)에 관여하거나 소모성 질환 증상의 치료 (WO97/49721)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특히 점막에 혹은 점막을 통한 국소적 적용시의, 유전자 발현의 전신조절과의 상호관계는 상기 발표들에서 제시된 적이 없다. 물론, 이러한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이의 기능적 등가물(functional equivalent) 혹은 유도체는, 분해 혹은 단백질 분해(proteolysis)되고 유전자 조절 캐스케이드에 밀접한 다른 단백질들로부터 얻을 수 있거나 유도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티드 신호분자는 아미노산 서열 MTRVLQGVLPALPQVVC (SEQ ID NO: 30), SIRLPGCPRGVNPVVS (SEQ ID NO: 27), VVCNYRDVRFESIRLPGCPRGVNPVVSYAVALSCQCAL (SEQ ID NO: 24), RPRCRPINATLAVEKEGCPVCITVNTTICAGYCPT (SEQ ID NO: 25), CALCRRSTTDCGGPKDHPLTC (SEQ ID NO: 31), SKAPPPSLPSPSRLPGPS (SEQ ID NO: 26), CRRSTTDCGGPKDHPLTC (SEQ ID NO: 32), TCDDPRFQDSSSSKAPPPSLPSPSRLPGPSDTPILPQ (SEQ ID NO: 33)을 갖는 펩티드와 같이 적어도 10개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로부터 얻어진다.
실시예
이론에 얽매이지 않기를 바라면서, 본 명세서에서는 질병의 경구 혹은 점막 치료에 중대한 결과를 가져오는 유전자 조절의 예측하지 못한 방식이 밝혀진 것으로 가정한다. 내생적(endogenous) CG, EFG 등과 같은 폴리펩티드들, 그러나 또한 바이러스성, 세균성 또는 원충성(protozoal) 폴리펩티드 같은 병원성(pathogen) 폴리펩티드들은, 예컨대 세포내 단백질분해에 의해 독특한 올리고펩티드들로 분해된다. 독특한 단백질분해 효소들이 세포 내에서, 예를 들면 진핵세포의 리소좀 혹은 프로테오좀 시스템 내에서 폭넓게 사용된다. 몇몇 최종 분해산물들은 3 내지 15개,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개의 아미노산 길이를 갖는 올리고펩티드들이다. 상기 올리고펩티드는 세포에 어떠한 기능 또는 효과도 나타내지 않는 것이 아니라, 놀랍게도 본 명세서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LQGV (SEQ ID NO: 1), VLPALPQVVC (SEQ ID NO: 21), LQGVLPALPQ (SEQ ID NO: 17), LQG, GVLPALPQ (SEQ ID NO: 23), VLPALP (SEQ ID NO: 4), VLPALPQ (SEQ ID NO: 13), GVLPALP (SEQ ID NO: 16), VVC, MTRV (SEQ ID NO: 20), 및 MTR에 의해 NFκB와 같은 유전자 전사인자의 활성 혹은 전이의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는 내생적 폴리펩티드들의 분해시 피드백 (feedback) 기작을 통해,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신호분자로서 관여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들 펩티드들의 합성물들, 및 이들 분해산물들의 기능적 유사체 또는 유도체들이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제공되고, 유전자 발현 혹은 전신질병의 점막 혹은 경구 치료에 있어서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된다. LQG, AQG, LQGV (SEQ ID NO: 1), AQGV, LQGA (SEQ ID NO: 3), VLPALP (SEQ ID NO: 4), ALPALP (SEQ ID NO: 5), VAPALP (SEQ ID NO: 6), ALPALPQ (SEQ ID NO: 7), VLPAPQ (SEQ ID NO: 8), VLPALAQ (SEQ ID NO: 9), LAGV (SEQ ID NO: 10), VLAALP (SEQ ID NO: 11), VLPALA (SEQ ID NO: 12), VLPALPQ (SEQ ID NO: 13), VLAALPQ (SEQ ID NO: 14), VLPALPA (SEQ ID NO: 15), GVLPALP (SEQ ID NO: 16), GVLPALPQ (SEQ ID NO: 23), LQGVLPALPQVVC (SEQ ID NO: 17), SIRLPGCPRGVNPVVS (SEQ ID NO: 27), SKAPPPSLPSPSRLPGPS (SEQ ID NO: 26), LPGCPRGVNPVVS (SEQ ID NO: 18), LPGC (SEQ ID NO: 19), MTRV (SEQ ID NO: 20), MTR, VVC, 또는 (분해산물을 포함하여) 이들의 보다 긴 서열들의 기능적 유사체들 또는 삼량체 또는 사량체 유도체들과 같은 올리고펩티드들이 특히 효과적이다. 특히, LQG, QVV, PALP (SEQ ID NO: 34), AQG, LA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및 LAGV (SEQ ID NO: 10)의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사이토카인과 같은 염증매개체들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약리학적으로 유효량의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점막,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에 의해 염증질환에 걸렸거나 걸린 것으로 생각되는 환자의 치료를 제공한다. 질환, 특히 염증질환의 치료를 위한 경구투여용 약학적 적용에 포함될 수 있는 유용한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은 임신기간 동안에 임신한 여성에게서 자연적으로 나타나고,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hCG)과 같은 태반 성선자극호르몬의 단백질 분해로부터 유래되는 펩티드들이지만, 기능적으로 동등하거나 유사한 활성을 갖는 이들 펩티드들의 합성 변이체(synthetic variant)들 및 변형체(modification)들이 합성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NOD 마우스를 이용한 실험과 같은 동물실험을 통해 이들의 활성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사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이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점막 적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점막 적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유전자-조절 펩티드 또는 이들의 기능적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점막 표면, 볼 안쪽 표면 및 혀의 표면, (상부 및 하부) 위장관 표면, 코의 점막 표면 및 (상부 및 하부) 기도에 적용하기에 가장 유용하고, 그로 인해, 일반적으로 점막 표면이 9개보다 적은,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7개 아미노산 보다 적은, 예컨대 3 또는 4개 아미노산 길이인, 대부분의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에 투과성을 나타냄을 고려할 때, 상기 조성물은 종종 그것이 적용되는 부위를 넘어서 영향을 끼치며, 신체를 전신적으로, 즉 전반적으로 치료하는데 가장 유용하다.
본 발명자들은 유전자 조절자로서 작용하는 인위적 혹은 합성 화합물의 동정 및 개발에 있어서의 예기치 못한 빠른 진보와, 점막 적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새로운 화학적 주체로서의 사용 또는,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점막 적용을 통한 염증질환의 치료에 있어서의 사용을 가능케 하는, 세포 생물(cellular organism)에서 유전자 조절을 위한 조절인자들의 성질에 대한 생물학 및 생리학에 있어서의 식견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상기 식견은, 생물의 내생적 단백질들의 단백질 분해에 의해 유도될 수 있거나 병원체의 단백질 분해, 즉 숙주 생물에서 상기 병원체가 존재하는 동안 병원체의 분해에 의해 유도될 수 있고, 상기 생물의 세포상에서 종종 매우 특이적인 유전자 조절활성을 발휘하는 많은 소 펩티드들이, 경구 사용, 직장내 적용, 코분무, 상부 기도 에어로졸 적용 등과 같은 점막 흡입을 통해 투여될 때, 이들의 활성이 실질적으로는 전신 수준에서 발휘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특정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예컨대 경구 사용에 의해, 점막 적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환자에게 처리함으로써 NFκB-개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환자에게서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전신기작에 관한 정보의 양과 질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조사자로서의 주된 가치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두 가지 방향에서 얻어졌다.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의 점막 흡수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고안된 실험에서, 비-당뇨병 NOD 마우스의 볼 주머니 내로 하루에 한번씩 서서히 주입된, NFκB-하향조절 펩티드들은 이들 마우스에서 당뇨병의 전반적인 발병에 예기치 못한 유익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당뇨병의 발병기전에서 일차적인 염증인 췌도염의 발병 빈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다른 실험에서는 이미 당뇨병에 걸린 NOD 마우스에게 NFκB-하향조절 펩티드들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음용수가 제공되었고, 역시 유익한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음용수 요법이 비처리군에 대한 처리군의 보다 나은 신체적 외양에 기여함으로써, 혈관 손상에 의해 야기된 전형적인 이차 및 전신염증의 임상적 예후는 현저하게 덜 심각하였다. 임신기간 동안에 생산된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hCG) 및 이의 단백질 분해산물들과 같은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점막 혹은 경구 투여한 마우스에서도 유사한 결과들이 확인되었지만, 예컨대 투여된 조절 펩티드들의 농도에 있어서의 회분식 (batch wise) 차이를 반영하는, 투여량 및 효과에 있어서의 회분식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발명의 특징과 함께, 본 발명은 원숭이 또는 랫트 또는 마우스처럼 작은 실험동물과 같은, 실험적으로 병을 유발시킨 동물에게서 생체외 혹은 생체내에서, 세포 내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펩티드 혹은 이들의 기능적 유도체 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점막 혹은 경구 적용에 적당한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규명하거나 수득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동물에게 적어도 한 개의 펩티드 혹은 이의 유도체 혹은 유사체를 점막 경로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동물에서 한 개 이상의 유전자의 처리 혹은 발현에 대한 동물의 임상적 반응과, 유전자 전사인자의 활성 및/또는 핵 전위에 대한 동물의 임상적 반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상기 펩티드가 3 내지 15개 아미노산 길이일 때 특히 유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티드가 3 내지 9개 아미노산 길이일때,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티드가 3 또는 4 내지 6개 아미노산 길이인 때이다.
본 명세서의 기능적 유도체 혹은 유사체는, 예컨대 NFκB 분석에 있어서 NFκB, 혹은 AP-1 분석에 있어서 AP-1같은 관련 전사인자의 유전자 발현 혹은 핵 전위에 대한 상기 펩티드,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의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혹은 당업계에 유용한 다른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유전자-조절효과 또는 활성과 관련이 있다. 절편(fragment)들은 그의 한쪽 혹은 양쪽 말단 모두에서 약간 (즉, 1 혹은 2개 아미노산) 작아지거나 커질 수 있지만, 여전히 기능적 활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 방법 또한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상기 유전자 전사인자가 사이토카인의 전사를 조절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러한 결정은, 예컨대 처리된 세포 혹은 동물에서 사이토카인 전사체의 수준 또는 실제 존재유무를 검출함으로써, 혹은 상기 유전자 전사인자가 NFκB/Rel 단백질을 포함하는지, 혹은 상기 동물에서 발현된 적어도 한 개의 표적 유전자 혹은 상기 동물에서 발현된 다수 유전자의 상대적인 상향-조절 및/또는 하향-조절을 결정함으로써, 유전자 칩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세포 내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데 유용한 신호분자로 작용하고,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 방법을 이용하여 동정될 수 있거나 수득될 수 있는, 예컨대 경구 사용과 같은 점막 적용을을 위한 약학 조성물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유용한 신호분자들은 NFκB/Rel 단백질에 의해 매개되는 유전자 발현의 조절자로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예컨대 NFκB/Rel 단백질의 활성 억제를 통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해 제공되는 신호분자들의 용도, 혹은 영장류 또는 가축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소 펩티드들 및 이들의 분해산물들까지도 생물학적 활성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내생적 단백질 또는 병원체로부터 유래된 단백질들의 단백질 분해산물들은, 예컨대 프로테오좀 시스템(proteasome system)에 의해 통상적으로 생성되어 클래스 Ⅰ 또는 Ⅱ 주조직적합복합체 (MHC)의 부분에 존재한다. 또한, 전형적으로 알려진 신경펩티드들(펩티드 신경전달물질로도 알려진), 혹은 항이뇨 호르몬, 옥시토신, 갑상선자극호르몬-분비 호르몬, 성선자극호르몬-분비 호르몬, 소마토스타틴 가스트린, 콜레시스토키닌, 기질-P, 엔케팔린스, 뉴로텐신, 안지오텐신, 및 이들의 유도체들 또는 등가물들과 같은 소 펩티드 호르몬들은 일반적으로 세포-표면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매개되는 독특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현재는 특정한 작은 아르기닌- 혹은 라이신- 혹은 프롤린-풍부 펩티드들, 즉 50% 이상의 아르기닌, 혹은 50% 이상의 라이신, 혹은 50% 이상의 프롤린을 포함하거나, 혹은 50% 이상의 아르기닌 및 라이신, 혹은 50% 이상의 아르기닌 및 프롤린, 혹은 50% 이상의 라이신 및 프롤린, 혹은 50% 이상의 아르기닌 및 라이신 및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는 펩티드들이 생물학적 활성을 유발하는 독특한 막-관통 특성(membrane-permeation property)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상기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은 전형적으로 알려진 신경펩티드들 또는 펩티드 호르몬과 다르고, 및 상기에 명시된 아르기닌- 혹은 라이신- 혹은 프롤린-풍부 펩티드들과도 다른 것이다.
본 발명은 전신적으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점막 적용에 적합한 소 펩티드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점막 적용은 이러한 소 펩티드의 점막 적용에 의해 처리된 환자의 질병 또는 상태에 전신효과를 나타낸다.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의 점막 사용 및 전신효과는 놀라운 것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들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크기는 4 내지 6개 아미노산이고, 2 내지 3개 아미노산의 펩티드들 또한 매우 적당하고, 7 내지 15개 아미노산 크기 역시 적당하지만, 점막 적용에는 덜 실용적이고, 10 내지 15개 아미노산 혹은 그 이상의 펩티드들은 보다 작은 크기의, 기능적으로 훨씬 활발한, 절편들로 분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생물체의 내생 단백질들의 단백질 분해에 의해 유도되거나 얻어질 수 있는 소 펩티드들, 또는 병원체 단백질의 단백질 분해, 즉 숙주 생물체 내에 상기 병원체가 존재하는 동안에 병원체 단백질들의 단백질 분해에 의해 유도되거나 얻어질 수 있는 소 펩티드들이, 상기 생물체의 점막 표면에만 적용되어진 경우에서조차도, 상기 생물체의 신체 전부에 매우 특이적이고 전신적인 유전자 조절활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발명의 특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발명의 특징은 점막 적용 후 유전자의 발현을 전신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여기서는 공동으로 선도 펩티드(lead peptide)로 칭함), 소 (올리고) 펩티드 혹은 그의 변형체 혹은 유도체의 능력(capacity) 혹은 소인(tendency)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신호분자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실시하거나 실행하기 위한 분류법적 접근(systematic approach)에 대한 즉각적인 동기를 부여하고, 진피내, 경피, 혹은 피하 적용의 가능성을 시도하고 시험하기 위한 동기를 제공한다.
유전자-조절 펩티드는 생체내로,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점막 경로를 통해, 그리고 가능하게는 피부를 통과함으로써 투여되고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펩티드, 혹은 그의 변형체 또는 유도체는 그 자체로서 투여되거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혹은 염기-부가 염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이들은 무기산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산, 과염소산, 질산, 티오시안산, 황산, 및 인산)과의 반응; 혹은 유기산 (예를 들면, 개미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라이콜산, 락트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말레산, 및 퓨마르산)과의 반응; 혹은 무기염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륨)와의 반응; 혹은 유기염기 (예를 들면, 모노-, 디-, 트리알킬 및 아릴 아민 및 치환된 에탄올아민)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선택된 펩티드 및 유도된 독립체들 중 어느 것이든지 DMSO, 전위 펩티드들, 당, 지질, 다른 폴리펩티드들, 핵산 및 PNA에 결합될 수 있고; 복합체로서 본래의 위치에서 작용하거나 표적하는 조직 혹은 기관에 도착한 후에 국소적으로 방출된다.
본 발명은 또한 질병 혹은 장애로 고통받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와 함께 약리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점막 적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 및 점막 적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유전자-조절 펩티드 또는 그 기능적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점막 적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점막 적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두 개 이상의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들의 용도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점막 투여에 적합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점막 투여를 위한 상기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수분 베이스(watery base)를 갖는, 분무제, 액제 및 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질병 혹은 장애로 고통받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와 함께 약리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포함하고,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상기 형태는 캡슐, 정제, 액제, 경구 현탁제(oral suspension), 에멀젼 및 산제(powde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자-조절 펩티드가 유사체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공지된 다른 방법들 (예를 들면, 고체상 합성에 의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한다. 제조공정 동안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1-뷰탄올, 2-뷰탄올,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드,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디에틸에테르, 물, 아세트산, 및 기타 등등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팔라듐 혹은 몰리브데늄을 포함하는 촉매 역시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전자-조절 펩티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퓨마르산, 인산, 아스코르브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락트산, 말레산, 팔미트산, 및 다른 알려진 산들과 같은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산 및 무기산으로부터 만들어진,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산과 아세트산 염이다. 상기 산 부가염은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산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화합물의 결정화 방법들은 체이스 등, 레밍턴 파마슈티컬 사이언스(16th ed.,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U.S.A:, 1980) (이하, "레밍턴"으로 약칭함), 제1535면에 기술되어 있다.
결정형 유전자-조절 펩티드는 흡입(insufflation)용 산제, 용시제조용 산제(powders for reconstitution), 정제 가루약(tablet triturates) (예를 들면, 조제정제 및 피하정제), 다른 정제들 등과 같은 수많은 투여용량 형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결정형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알약, 산제, 과립제, 좌약, 멸균 비경구(sterile parenteral) 용액 또는 현탁제, 및 경구 용액 또는 현탁제와 같은,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적당량 포함하는, 단위 복용량 형태로 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형들 (dosage forms)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산제를 만드는 방법 및 이들의 조성물은 레밍턴의 제1535면부터 제1552면까지 기재되어 있다. 흡입법은 제1552면에, 취입기는 제1792면에 기재되어 있다.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정제 및 알약을 제조하는 방법 및 조성물은 레밍턴의 제1553면부터 1584면까지 기재되어 있다. 약학적 제형을 코팅하고 약품에 서방출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레밍턴의 제1585면~1613면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해당면들의 내용은 참고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결정형 유전자-조절 펩티드는 또한 환자에게 이식될 목적으로 기구 (장치)내로 도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구, 이에 사용되기 위한 고분자, 및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들이 미국특허 제3,773,919호, 제4,767,628호, 및 제4,675,189호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충분한 양의 결정형 유전자-조절 펩티드는, 환자의 체내로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방출 (예를 들면, 1개월 동안 하루에 5 ㎎씩)을 가능케하기 위하여 PLAGA 임플란트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무정형 산물에 비하여 결정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갖는 한 가지 장점은, 무정형 산물의 두 배의 생체이용률을 갖는 결정형 염 산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단지 특정 점막층에 활성성분의 절대량의 절반만을 적용해도 되므로, 흡입되거나 혹은 다른 방법으로 투여되는 활성성분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조성물의 최종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점막층으로는 코 및 볼 점막층이 포함될 수 있다.
결정형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용해제와 같은 보조제와 함께 제제화될 수 있지만, 이들 보조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코 점막층에 적용되기 위하여 약학 조성물에서 결정형 유전자-조절 펩티드 (즉,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결정형 산부가염)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하나는, 특정 보조제들이 만성투여를 위해서는 적당하지 않다는 점이다. 그러나, 상기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섭취하는 특정 사람들을 위해서 장기간의 투여가 요구될 수도 있다. 다른 장점은 보조제들이 필수적으로 약학 조성물의 일부를 흡수한다(take up)는 것인데, 그 일부분이 점막 불쾌감을 줄이기 위하여 유전자-조절 펩티드에 훨씬 더 적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보조제의 사용이 요구된다면, 적절한 용해제들, 완충제들, 팽윤제들 등이 이러한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완충제들은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그의 비이온화 형태로 유지하는데 바람직하다.
투여되는 결정형 산부가염/유전자-조절 펩티드의 복용량은 일반적으로 치료될 장애의 종류, 치료받은 환자의 유형, 그의 연령, 건강상태, 체중, 만약 치료중이라면, 현재의 치료 형태, 치료기간 및 빈도에 의존적일 것이다.
제형은 기간을 달리하면서 투여될 것이다. 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 화합물은 환자가 고통받는 장애와 관련된 증상들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기간 동안 환자에게 투여된다.
이러한 기간은 달라질 수 있지만, 2개월을 초과하는 기간이 특히 바람직하다. 증상이 경감된 후에, 상기 화합물은 이것이 특정 환자에게 계속 요구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중단될 수 있다.
염증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고, 그로 인해 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화합물들은, 그 또는 그녀가 영향을 받고 있다고 믿고 있는 한, 장래 어느 시점에서 염증질환으로부터 고통받을 여지가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들 (예를 들면, 빈크리스틴과 같은 세포독성 약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 당뇨병 환자들; 알콜중독자들; 등등)에게 투여된다. 상기 화합물들의 예방 투여의 기간 역시 변화될 것이나, 반복하여 말하지만, 2개월을 초과하는 기간이 특히 바람직하다. 만약 염증질환에 대해 생각되고 있던 민감성의 원인이 사라졌다면,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중단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장애에 대한 원인이 사라지지 않았다면 (예컨대, 당뇨병의 경우에), 상기 화합물은 환자의 일생동안 투여될 필요가 있다. 실례적으로, 투여된 활성성분의 복용량 수준은 (코 내부로) 하루에 0.55 ㎎ 내지 270 ㎎ 범위일 수 있다. 인간의 치료에 있어서,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8 ㎎ 내지 120 ㎎ 사이의 일일 복용량은 바람직하게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은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이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 및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이의 기능적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이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 및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이의 기능적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유전자-조절 펩티드(들)는 경구 투여를 위한 복용량 단위로 통합된다. 상기 용어 "복용량 단위(dosage unit)"는 일반적으로 목적하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계산된 활성물질 (예를 들면,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미리 결정된 양을 각각 포함하는, 인간 혹은 동물을 위한 단일 투여량으로 적절하게 물리적으로 독립된(discrete) 단위를 말한다.
이러한 복용량 단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들 및 조성물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정제 및 알약을 제조하는 방법 및 조성물은 체이스 등, 레밍턴 파마슈티컬 사이언스 (16th ed.,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U.S.A., 1980)(이하, "레밍턴"이라 약칭함)의 제1553면부터 1584면까지 기재되어 있다. 산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들의 조성물은 상기 참고문헌의 제1535면부터 제1552면까지 기재되어 있다. 약학적 제형을 코팅하는 방법은 레밍턴의 제1585면부터 제1593면까지 기재되어 있다.
복용량 단위, 예컨대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첨가제들, 예컨대 충진제들, 착색제들, 중합체 결합제 등의 사용이 심사숙고된다. 일반적으로, 활성성분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가 한 개 이상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는 적당한 담체로는 적정량의 락토오스, 전분(starch), 셀룰로오스 유도체들 등이 포함된다. 락토오스가 바람직한 담체이다. 담체 혼합물 역시 사용될 수 있다.
경구 사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미리 결정된 양의 펩티드를 미리 결정된 양의 담체와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첫 번째 복용량 단위로 전환시키는 단계(예를 들면, 상기 혼합물과 임의의 바람직한 부형제들을 캡슐에 충진시키거나 정제로 성형함에 의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조절 산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공정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바람직한 복용량을 정제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로 다른 양과 형태의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을 포함하는 정제 또는 다른 복용량 단위들은 다른 색깔을 가질 수 있고, 예컨대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의 서로 다른 부분에 가두어 둘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좌약과 같은, 직장 투여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직장 투여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피하- 혹은 경피 투여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피하- 혹은 경피 투여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점막 투여 혹은 피부를 통한 투여를 위한 약학 조성물은 NFκB/Rel 단백질 매개성 사이토카인 활성 억제에 의한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특히 유용하다.
NFκB/Rel 단백질들은 구조적으로 서로 연관되고 진화적으로 보존된 단백질들 (Rel)의 그룹이다. c-Rel, ReIA (p65), RelB, NFκB1 (p50 및 그의 전구체 p105), 및 NFκB2 (p52 및 그의 전구체 p100)가 잘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NFκB 이량체들은 전사 활성인자들이다; p50/p50 및 p52/p52 동종이량체(homodimer)들은 이들의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를 억제한다. 모든 NFκB/Rel 단백질들은 매우 보존적인 NH2-말단 Rel 상동성 도메인 (RHD)을 공유한다. RHD는 DNA 결합, 이합체화, 및 IκBs로 알려진 억제성 단백질과의 결합을 담당한다. 휴지기세포들에서, NFκB/Rel 이량체들은 IκBs에 결합하여 세포질 내에서 불활성 형태로 유지된다. IκBs는 다유전자(multigene) 패밀리 (IκB알파, IκB베타, IκB감마, IκB엡실론, Bcl-3, 및 전구체 Rel-단백질들, p100 및 p105)의 구성원이다. 앙키린의 다중 복제수로의 존재는 RHD를 통해 NFκB와 상호작용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반복한다. 적절한 자극이 주어지면, IκB는 IκB 키나아제 (IKKs)에 의해 인산화되고, 유비퀴틴 리가아제 복합체(ubiquitin ligase complex)에 의해 다유비퀴틴화되고, 26S 프로테오좀에 의해 분해된다. NFκB는 방출되어 유전자 발현을 개시하기 위해 핵 내로 이동된다.
유전자 발현의 NFκB 조절은 자연면역반응을 포함한다: 예컨대 사이토카인 IL-1, IL-2, IL-6, IL-12, TNF-알파, LT-알파, LT-베타, GM-CSF; 부착성 분자(adhesion molecule)들 (ICAM, VCAM, 내피세포 백혈구 부착분자 [ELAM]), 급성기 단백질들 (SAA), 유도성 효소들 (iNOS 및 COX-2) 및 항미생물 펩티드들 (베타-디펜신)의 발현에 의해 조절된다. 적응면역(adaptive immunity)을 위하여, MHC 단백질들 IL-2, IL-12 및 IFN-알파는 NFκB에 의해 조절된다. 전체적인 면역반응의 조절은 아폽토시스(apoptosis)의 조절에 결정적인 유전자 (c-IAP-1 및 c-IAP-2, Fas 리간드, c-myc, p53 및 사이클린 D1)의 조절을 포함한다.
NFκB 및 관련된 전사인자들은 기본적인 전-염증성 전사인자들이고, 본 발명이 NFκB 및, 본 명세서에서 또한 NFκB 억제제로 언급된, NFκB와 다른 전-염증성 전사인자들을 전신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점막 적용에 적당한,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제공함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은 NFκB 활성화 유전자 발현을 전신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특히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핵심적인 전-염증성 경로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유전자-조절 펩티드는, 그것이 적용되는 점막 표면을 벗어나서, 그의 활성을 전신적으로 발휘하기 위해 경구적으로 투여된다.
경구 투여와 같은 점막을 통해 이러한 전-염증성 경로를 전신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상기 효과의 결과는 폭넓고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한 예로서, 신규한 치료학적 침입 (inroad)이, NFκB에 의해 매개된 질병을 조절하도록 유도된 전신반응을 형성하기 위하여 점막으로 혹은 경구로 투여된 유전자-조절 펩티드들 및 유도체들의 약학적 가능성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이전에 본 발명자들은, NFκB의 특이적인 상향- 혹은 하향조절이 각각 혹은 일제히 신체의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전- 혹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캐스케이드들을 유도한다는 증거가, 발현 프로필 연구에 의한 유전자-배열 내 컴퓨터 모의실험 (in silico), 생체외에서 면역세포들의 처리 후에, 그리고 생체내에서 유전자-조절 펩티드들로 처리된 실험동물에서 발견되었음을 제시한 바 있다. 또한, NFκB가 질병의 일차적인 효과자임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은 경구 혹은 다른 점막 투여를 통해, hCG에 의해 유도된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의 사용이 인간과 동물의 다양한 질병의 치료에 중요한 가능성을 제공하고, 그로 인해 유전자-조절 펩티드가 점막으로,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됨에 의해 모체의 임신이 안전하게 유지되는 것과 같이 모체의 면역체계가 균형을 잡도록 도와주는 해당 물질들의 전신적인 약학적 잠재력을 타진한 것이다.
NFκB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예로는 앞서 논의된 염증 상태들 중에서도 선두에서 발견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로 경구적으로 치료될 수 있는 상태들은 당뇨병 타입 Ⅰ 또는 Ⅱ, 류마티스병, 쇼그렌 증후군, 다발경화증과 같은 아급성 혹은 만성 염증질환, 이식대숙주병과 같은 이식-관련 면역반응들, 수혈후 저혈소판증, 아급성 및 만성 이식 거부반응, 자간전증,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창자병, 신경 혹은 정신질환의 염증성분, 죽상동맥경화증, 천식, 알러지 및 만성 자가-면역질환을 포함한다. 특히, 전신성 자가-면역질환의 경구 치료는, 자가-면역질환의 경우에서와 같이, 만성, 면역-매개 염증을 갖고 있는 환자의 치료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이렇게 치료가능한 자가면역 질환의 비-제한적인 열거는 다음을 포함한다: 하시모토 갑상선염, 일차적인 점액수종 갑상선중독증, 악성빈혈, 자가면역 위축성 위염, 에디슨병, 조기폐경, 인슐린-의존성 당뇨병, 근육강직증후군, 구드패스츄어 증후군, 중증근육무력증, 남성불임증, 심상성천포창, 유사천포창, 교감눈염증, 수정체포도막염, 다발경화증,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특발성 백혈구감소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활성 만성간염, 잠복성 간경화증, 궤양대장염, 쇼그렌 증후군, 류마티스 관절염, 피부근육염, 다발성근염, 피부경화증, 혼합 결합조직병, 원판상 홍반성 루푸스, 및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본 발명은 또한 신경질환 혹은 정신분열증, 조울증 및 다른 양극성 장애, 산후정신병 및 자폐증과 같은 소위 신경면역질환의 염증 성분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신경계질환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신경계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NFκB 하향-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NFκB/Rel 단백질과 같은 유전자 전사인자의 전위 및/또는 활성을 하향 조절하는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환자에게 경구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신경계질환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경구 치료에 의해 신경계질환을 조절하는데 바람직한 펩티드들은 LQG, QVV, PALP (SEQ ID NO: 34), AQG, LA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또는 LAGV (SEQ ID NO: 10)이다. 상기 펩티드들은 또한 신경계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에 유용한데, 특히 상기 펩티드 혹은 유사체는, LPS로 자극된 RAW264.7 세포들 또는 LPS로 비자극된 RAW264.7 세포들에서 NFκB 하향-조절 활성을 갖는 펩티드들 및 그의 유사체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발경화증의 경구 치료, 및 특히,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다발경화증에서 보여지는 재발성/이장성 질병(relapsing/remitting disease)으로 확인된 재발 혹은 악화로서 전형적으로 알려진 급성질환의 재발 급증(recurrent upsurges)에 수반되는 것과 같은, 상기 질환의 진행기에서 보여지는 염증손상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경구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다발경화증으로 나타나는 재발성/이장성 질환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에게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경구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다발경화증으로 나타나는 재발성/이장성 질환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조절 펩티드는 유전자 전사인자의 전위 및/또는 활성을 하향-조절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자 전사인자가 그의 전위 및/또는 활성이 억제되는 NFκB/Rel 단백질을 포함한다. 상기 환자가 악화의 임상적 징후를 나타낼 때, 바람직하게는 LQG, QVV, PALP (SEQ ID NO: 34), AQG, LA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LAGV (SEQ ID NO: 1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를 경구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발경화증에서 보여지는 재발성/이장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해 이러한 NFκB 하향-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당뇨병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경구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당뇨병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당뇨병의 경구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해 NFκB 하향-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경구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당뇨병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특히 상기 유전자-조절 펩티드는 NFKB/Rel 단백질과 같은 유전자 전사인자의 전위 및/또는 활성을 하향-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구 치료에 의해 당뇨병을 조절하기 위한 바람직한 펩티드들은 LQG, QVV, PALP (SEQ ID NO: 34), AQG, LA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또는 LAGV (SEQ ID NO: 10)이다. 상기 펩티드들은 또한 경구 투여에 의해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에 유용한데, 특히 상기 펩티드 혹은 유사체는, LPS로 자극된 RAW264.7 세포들 또는 LPS로 비자극된 RAW264.7 세포들에서 NFκB 하향-조절 활성을 갖는 펩티드들 및 그의 유사체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조절 펩티드로 경구 혹은 점막 치료를 포함하는, 골다공증과 같은 폐경 상태 혹은 폐경후 상태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파골세포 분화의 전신조절 및 억제를 가능케하고 TNF-알파에 의해 유도된 골모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억제하고, 그로 인해 골격구조의 분해를 제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더 이상 hCG의 천연 제공원을 갖지 않아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hCG로부터 유래되는 신호분자들의 조절효과가 결여된 폐경후 여성들에게 상기 치료는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폐경후 여성에게서 종종, 그렇지만 독점적이지는 않게, 나타나는) 골다공증과 같은 골질환의 점막 또는 경구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NO 및 TNF-알파 조절인자들은 염증반응 및 치주염에 있어서의 골손실을 억제한다. 더욱이, TNF-알파 활성과 강직척추염에서 임상소견의 중증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사용에 의한 척추염의 치료를 제공한다. 경구 치료에 의해 폐경, 폐경후 혹은 골다공증 상태의 조절을 위한 바람직한 펩티드들은 QVV, PALP (SEQ ID NO: 34), AQG, LA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또는 LAGV (SEQ ID NO: 10)이다.
본 발명은 또한 뇌졸중 또는 심근경색증과 같은 허혈성 사례(ischemic event)의 경구 혹은 점막 치료에 관한 것이다.
허혈성 사례는 조직에 혈액 공급이 차단되는 사례를 말한다. 이러한 차단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혈관들의 안쪽 내피 조직은 점점 "끈적끈적"해지고 순환하는 백혈구들을 끌어당기기 시작한다. 이렇게 내피에 부착된 상기 백혈구들은 결국 영향을 받는 조직내로 이동하여 심각한 조직 파괴를 야기한다. 급성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은 모두 염증에 의해 직접적으로는 유발되지는 않는다고 하더라도, 기초병리학의 많은 부분 및 급성 허혈성 사례 후에 야기되는 손상은, 영향을 받는 조직으로의 혈류 회복인 재관류(reperfusion)시 급성염증반응에 의해 야기된다. 허혈성 조직으로의 혈류의 초기 복구는 산소 공급 및 영양소 전달의 감소와 관련한 세포 손상의 진행을 멈추게 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사실은 최소화된 허혈 시간이 허혈 손상의 정도를 줄이기 위한, 유일하게 중요한 조정이라는 전통적인 관점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그러나, 현재는 허혈 조직의 재관류가 역설적으로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는 일련의 복잡한 반응들을 개시시킨다고 인식되고 있다. 몇몇 기작들이 허혈-재관류 손상의 발병기전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되었지만, 대부분의 관심은 활성산소 및 질소 대사산물들의 역할과 염증성 백혈구에 집중되어 있다. 국소적 조직손상에 더하여, 만약 허혈후 조직 (예를 들면, 창자)에서의 염증반응의 강도가 극심하다면, 멀리 떨어진 기관 역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허혈-재관류 손상의 원격효과(remote effect)는 폐 및 (심장- 혹은 뇌-) 혈관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고,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및 다발성 기관 기능장애 증후군 (multiple organ dysfuntion syndrome, MODS)의 발병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집중치료실 (중환자실, ICUs)에서의 사망률의 30-40%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경구로 또는 점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이러한 허혈성 사례를 조절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특히 상기 펩티드는 유전자 전사인자의 전위 및/또는 활성을 하향-조절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자 전사인자가 NFκB/Rel 단백질을 포함하고, 상기 NFκB/Rel 단백질의 전위 및/또는 활성이 억제된다. 점막 혹은 경구 투여를 위하여, 상기 펩티드는, 특히 상기 환자가 상기 허혈성 사례 후에 야기된 재관류 손상을 경험하게 될 위기에 놓여 있을 때, LPS로 자극된 RAW264.7 세포들에서 NFκB 하향-조절 활성을 갖는 펩티드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경구 혹은 점막 투여에 의해 신속한 임상적 치료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펩티드는 LPS 비자극 RAW264.7 세포들에서 NFκB 하향-조절 활성을 갖는 펩티드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그 후에, 예컨대 만약 혈전용해제(thrombolytic agent)가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을 포함한다면, 상기 환자에게 혈전용해제와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환자에게서 허혈성 사례 후에 야기되는 재관류 손상의 경구 혹은 점막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유전자-조절 펩티드, 바람직하게는 NFκB 하향-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유전자- 조절 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재관류 손상의 경구 치료에 가장 바람직한 펩티드는 AQGV (SEQ ID NO: 2)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예컨대 외상 혹은 대수술 후에 나타나는 면역억제효과의 경구 혹은 점막 치료에 관한 것이다. 미국에서는, 외상후 패혈증(sepsis)이 외상 이후의 모든 말기 사망의 60%에 해당한다. 패혈증에 대한 외상 환자들의 감수성(susceptibility)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상, 화상 및 출혈 후에 종종 발견되는 세포면역의 광범위한 억제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보인다. 외상 혹은 다른 생명을 위협하는 사례들 이후에 수반되는 신경계와 면역계 사이의 관계는 거의 이해되지 않았고 계속 연구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들은 조직 파괴 부위로부터 구심성 뉴런(afferent neuron)을 따라 척수를 통해 매개되고, 외상에 수반되는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축(pituitary-adrenal axis)으로부터 생산되는 호르몬 및 카테콜아민의 거대한 급상승의 복합적인 성질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면역계의 일반화된 억압 (generalized depression)이 종종 존재한다. 본 발명은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경구 혹은 점막 투여를 통해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면역억제 상태의 경구 혹은 점막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치료는 상기 환자가 외상 혹은 대수술을 받아 면역억제 상태에 놓인 것으로 보일 때 특히 유용하다. 상기 펩티드 혹은 유사체는 NFκB/Rel 단백질이나 AP-1 단백질과 같은 유전자 전사인자의 전위 및/또는 활성을 상향-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상기 펩티드가 LPS 비자극 RAW264.7 세포들에서 NFκB 상향-조절 활성을 갖는 펩티드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러한 치료는 또한 상기 환자가 유해한 항-염증반응 증상을 경험하게 될 위험에 놓여 있을 때, 특히 상기 펩티드가 LPS 비자극 RAW264.7 세포들에서 NFκB 상향-조절 활성을 갖는 펩티드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때, 유용하다. 나아가, 상기 요법은 파종성 혈관내 응고(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에 대해 유도되는 제제, 예컨대 상기 제제가 활성화 단백질 C 활성을 포함하는 것일 때, 이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에게서 면역억제 상태 혹은 유해한 항-염증반응 증상의 경구 혹은 점막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해 유전자-조절 펩티드, 특히 NFκB 상향-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수의)의학 분야 및 의인성 질환, 즉 의학적 치료로 인한 경험 장애들 혹은 합병증으로 고통받는 (인간 혹은 동물인) 환자의 경구 혹은 점막 치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내과의사들 혹은 외과의사들의 처치의 결과인 의인성 사례(iatrogenic event)들은 현대 의학에서 흔한 일이고, 종종 피할 수 없다. 다양한 유해조건들이, 예컨대 치료법을 잘못 선택하거나 수행하고, 수술 동안에 수술기구들을 잘못 놓아두거나 이를 제거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등의 오진 혹은 태만에 기인하여 야기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료학적 혹은 수술적 처치(intervention)들은, 심지어 이들이 잘 선택되고 적절하게 수행되었을 때조차도, 그들의 유익한 효과를 벗어나서, 환자에게 유해하고 종종 염증을 유발하는 조건들을 야기할 수 있다. 나아가, 감염질환에서 시도되고 시험되는 치료법들, 예컨대 항생제 혹은 항바이러스제를 이용한 치료법 역시 용해, 혹은 이들이 대항하여 사용되도록 고안된 표적 미생물의 파괴, 및 추가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야기하는 미생물 막 절편(microbe membrane fragment)들 및/또는 독소들의 분비와 관련된, 의인성 부작용(iatrogenic side-effect)을 갖는다.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약학 조성물 또는 의학적 혹은 수술적 과정에 의해, 인간 혹은 동물 환자의 치료로 인한 장애 혹은 질병으로 본 명세서에 정의된, 대부분의 의인성 사례들은 상기 환자의 세포 또는 조직의 손상, 파괴 또는 용해를 일으키고, 결과적으로는 부가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경구로 혹은 점막으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의인성 사례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특히 상기 펩티드는 NFκB/Rel 단백질과 같은 유전자 전사인자의 전위 및/또는 활성을 조절하고 NFκB/Rel 단백질에 의해 매개되는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의 억제를 야기한다. 상기 의인성 사례가 상기 환자의 세포 또는 조직, 또는 상기 환자에 감염된 병원체의 파괴 또는 용해를 포함하는 경우에, 예컨대 상기 용해가 약학 조성물, 예컨대 항원, 백신, 항체, 항응고제, 항생제, 항독소, 항균제, 구충제, 항원충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세포용해제, 세포증식 억제제, 혈전용해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 조성물을 이용한 환자의 치료에 기인하는 경우에, 경구적으로 혹은 점막으로 환자를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이러한 치료는 또한 상기 용해가 상기 환자의, 용혈 파아지(lytic phage) 같은 바이러스를 이용한 치료에 기인하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에게서 의인성 사례 후에 야기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반응의, 경구 혹은 점막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해 NFκB 하향-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신호분자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점막으로 혹은 경구로 치료될 수 있는 질환 또는 장애의 다른 예로는 (초)급성이식 거부반응과 같은 급성 염증질환, 화상 손상 후 등의 패혈증/SIRS, 및 급성 자가면역질환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패혈증/SIRS와 같은 급성 전신질환의 경구 혹은 점막 치료를 제공한다. 패혈증/SIRS는 다양한 유해손상에 대한 급성 전신성 염증반응이다 (특히 세균성 감염과 같은 감염 기원의 손상들, 그러나 비-감염성 손상들 역시 잘 알려져 있고 종종 발견된다). 패혈증/SIRS에서 나타나는 상기 전신성 염증반응은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산화질소, 및 신체의 다른 면역 매개 화학물질들과 같은 다양한 면역매개체(immunological mediator)들에 의해 활성화되는 면역과정에 의해 야기된다. 이들 면역매개체들은 일반적으로 패혈증/SIRS와 함께 나타나는 생명을 위협하는 전신질환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경구 혹은 점막으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패혈증/SIRS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펩티드는 NFκB/Rel 단백질과 같은 유전자 전사인자의 전위 및/또는 활성을 조절하고, NFκB/Rel 단백질에 의해 매개되는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 상기 패혈증/SIRS가 환자의 세포 또는 조직, 혹은 상기 환자에 감염된 병원체의, 진행중인 파괴 혹은 용해에서 발견될 때, 환자를 경구적으로 혹은 점막으로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의 전신염증반응 증상 또는 패혈증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유전자-조절 펩티드, 특히 NFκB 하향-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유전자-조절 펩티드, 구체적으로 NFκB 조절 펩티드, 예컨대 펩티드 LQG, AQ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LQGA (SEQ ID NO: 3), VLPALP (SEQ ID NO: 4), ALPALP (SEQ ID NO: 5), VAPALP (SEQ ID NO: 6), ALPALPQ (SEQ ID NO: 7), VLPAAPQ (SEQ ID NO: 8), VLPALAQ (SEQ ID NO: 9), LAGV (SEQ ID NO: 10), VLAALP (SEQ ID NO: 11), VLAALP (SEQ ID NO: 11), VLPALA (SEQ ID NO: 12), VLPALPQ (SEQ ID NO: 13), VLAALPQ (SEQ ID NO: 14), VLPALPA (SEQ ID NO: 15), GVLPALP (SEQ ID NO: 16), LQGVLPALPQVVC (SEQ ID NO: 17), LPGCPRGVNPVVS (SEQ ID NO: 18), LPGC (SEQ ID NO: 19), MTRV (SEQ ID NO: 20), MTR, VVC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펩티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명시된다. 전형적으로, 많은 유전자들은 세포 내로 유입되는 신호분자에 의해서가 아니라 세포 표면의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는 분자들에 의해 조절된다. 세포 표면 수용체들과 이들의 리간드들간의 상호작용은 소위 이차 전달자들 (디아실글라이세롤, Ca2+, 사이클릭 뉴클레오티드)의 세포 내 수준에 있어서의 변화를 포함하는 세포 내 사례들의 일련적 반응에 의해 수반될 수 있다. 상기 이차 전달자들은 차례로 사이클릭 AMP, 사이클릭 GMP, 칼슘-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또는 디아실글라이세롤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백질 키나아제 C의 작용을 통해 단백질 인산화에 변화를 야기한다. 세포-표면 수용체들에 결합한 리간드들에 대한 이러한 전형적인 반응들의 대부분은 세포질성 (cytoplasmatic)이고 핵 내에서의 즉각적인 유전자 활성에 관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수용체-리간드 상호작용은 특이적이고 제한적인 유전자 세트의 즉각적인 핵 전사 활성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떻게 이러한 활성화가 달성되는가를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있어서의 진행 과정은 지연되고 있다. 일부 경우에서, 세표-표면 신호들에 반응하는 전사 단백질들의 특징이 규명되었다.
세포-표면 상호작용에 따르는, 기존에 밝혀진 비활성 전사인자의 활성화의 명백한 예들 중 하나가 B 림프구에서 κ 클래스의 면역글로불린 경쇄들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최초에 검출되었던, 핵인자 (NF)κB이다. κ 유전자 내 NFκB를 위한 결합부위는 잘 정의되어 있어 (예를 들면, P.A. Baeuerle 및 D. Baltimore, 1988, Science 242: 540 참조), 활성인자의 존재여부에 대한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자는 억제제와 복합체를 이루어 림프구의 세포질 내에 존재한다. 생체 외에서 단리된 복합체를 온건한 변성조건(mild denaturing condition)으로 처리하여 상기 복합체를 분리시켜, 유리 NFκB가 그의 DNA 부위에 결합하게 만든다. 현재 세포 내에서 NFκB의 분비는 세포 내 인산화키나아제를 촉진시키는 화학 분자 물질들 (예를 들면, 포볼에스테르(phobol ester))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세균성 지질다당질 (LPS) 및 세포외 폴리펩티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자극으로 세포를 처리한 후에도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많은 가능한 자극들에 의해 유발되는 인산화 사례는 활성상태로의 NFκB 전환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활성인자는 그 후에 활성 NFκB를 위한 결합부위를 갖는 유전자들만의 전사를 촉진하기 위하여 세포 핵 내로 이동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갖가지 짧은 펩티드들이 NFκB 활성에 조절활성을 발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염증반응이 매개체들의 연속적인 분비와, 염증부위에서 활성화되어 매개체들을 추가적으로 분비하는 (Nat. Med. 7:1294;2001), 순환하는 백혈구들의 보충을 포함함을 고려할 때, 본 발명자들은 NFκB 조절 펩티드를 의학 분야에서, 예컨대 의학적 용도의 약학 조성물들 및 방법들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을 사용하는 것을 제공한다. NFκB가 질병의 일차적인 효과자인 것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인식됨을 고려할 때 (A.S. Baldwin, J. Clin . Invest., 2001, 107:3-6), 만성 및 급성질병 상태 모두에서 사용되는 NFκB의 안전한 억제제들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많은 노력들이 수행되고 있다.
예컨대, 관류액으로 이식조직을 관류(perfusing)시키기는 방법과 동시에 혹은 개별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개의 유전자-조절 펩티드,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바와 같은 NFκB 하향-조절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구 혹은 점막 용도를 위한 약학 조성물로 상기 이식조직의 수용자를 치료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치료는, 이식조직 및/또는 수용자에게서 NFκB의 활성화에 기인한 허혈성 혹은 이식 후 손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식조직들의 오랜 생존과 사용을 가능케 한다. 현재 상기 용도는 또한 만성 이식 거부반응에 대한 위험성을 경감시켜 이식 생존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신호분자로 언급된,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가 경구 혹은 점막으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이식받은 수용자에게서 이식의 급성 및, 특히 만성 거부반응을 피하고 이식 생존률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개 아미노산 길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티드가 3 내지 9개 아미노산 길이이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상기 펩티드가 4 내지 6개 아미노산 길이인 것이다. 상기 신호분자가 NFκB/Rel 단백질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능적 유사체는, 예컨대 NFκB 분석에서 NFκB, 혹은 AP-1 분석에서 AP-1과 같은 관련 전사인자의 핵 전위을 측정함으로써, 혹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는, 신호분자의 효과 또는 활성과 관련이 있다. 절편들은 한쪽 혹은 양쪽 말단 모두에서 약간 (즉, 1 또는 2개 아미노산) 작거나 커질 수 있지만, 여전히 기능적 활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는, 신호분자 혹은 유전자-조절 펩티드로 사용된 펩티드가 화학적으로 변형된 펩티드이다. 펩티드 변형은 잔기의 화네실화 (farnesylation)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Tyr, Ser 또는 Thr 잔기에서의) 인산화, N-말단 아세틸화, C-말단 아미드화, C-말단 하이드라지드, C-말단 메틸에스테르, 지방산 부착, 설폰화 (티로신), N-말단 댄실화(dansylation), N-말단 숙시닐화, 트리팔미토일 S-글라이세릴 시스테인 (PAM3 Cys-OH)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펩티드의 계통 화학적 변형(systematic chemical modification)이 펩티드 최적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합성 펩티드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공정들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들은 고체상 펩티드 합성 (SPPS) 및 용액상 유기합성 (SPOS) 기술을 포함한다. SPPS는 펩티드들 및 소 단백질(small protein)들을 합성하는데 신속하고 용이한 접근법이다. C-말단 아미노산은 전형적으로 링커 분자(linker molecule)를 이용하여 산 레이바일 결합(acid labile bond)을 통해 가교된 폴리스티렌 수지에 부착된다. 상기 수지는 합성에 사용되는 용매 내에서 불용성이기 때문에, 과량의 시약들 및 부산물들을 세척하여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만든다.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 변형체 또는 유도체는 그 자체로서 투여될 수 있고 또는, 무기산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산, 과염소산, 질산, 티오시안산, 황산, 및 인산)과의 반응; 혹은 유기산 (예를 들면, 개미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라이콜산, 락트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말레산, 및 퓨마르산)과의 반응; 혹은 무기염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륨)와의 반응; 혹은 유기염기 (예를 들면, 모노-, 디-, 트리알킬 및 아릴아민 및 치환된 에탄올아민)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또는 염기-부가 염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펩티드 및 유도된 독립체들 중 어느 것이든지 당, 지질, 다른 폴리펩티드들, 핵산 및 PNA에 결합될 수 있고; 복합체로서 본래의 자리에서 작용하거나 표적하는 조직 혹은 기관에 도착한 후에 국소적으로 방출된다.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및 발달신호들에 대한 반응에서, 전사인자들의 NFκB/Rel 패밀리는 활성화되어 κB-특이적인 결합부위들을 포함하는 표적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하여, 그들 중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이종(hetero)- 및 동종(homo)이량체들을 형성한다. NFκB 전사인자들은 Rel 상동성 도메인(homology domain)에 의해 특정되는 관련 단백질들의 패밀리의 이종- 또는 동종이량체이다. 이들은 활성 도메인들 (p65-RELA, RELB, 및 c-REL)을 포함하는 것과 활성 도메인들 (p50, p52)이 결여된 것의 두 하위 패밀리를 형성한다. 원형(prototypical) NFκB는 p65 (RELA) 및 p50 (NFκB 1)의 이종이량체이다. 활성화된 NFκB 이량체들 중에서, p50-p65 이종이량체들은 전사 억제시 표적 유전자들 및 p50-p50 동종이량체들의 전사를 증가시키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65-p65 동종이량체들은 표적 유전자들에 대한 전사활성 및 억제활성 모두에 대해서 알려져 있다. 서로 다른 NFB 이량체들에 대해 다양한 친화력을 갖는 κB DNA 결합부위들이 몇몇 진핵세포 유전자들의 프로모터들에서 발견되었고, 활성화된 NFκB 동종- 및 이종이량체들간의 균형이 궁극적으로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의 특성(nature) 및 수준을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NFκB-조절 펩티드"는 전사인자들의 NFκB/Rel 패밀리의 구성원들의 활성화를 조절할 수 있는 펩티드 또는 이의 기능적 유사체 또는 변형체 또는 유도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조성물에 특히 유용한 이러한 펩티드들의 예들은 VLPALPQVVC (SEQ ID NO: 21), LQGVLPALPQ (SEQ ID NO: 22),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GVLPALPQ (SEQ ID NO: 23), VLPALP (SEQ ID NO: 4), VLPALPQ (SEQ ID NO: 13), GVLPALP (SEQ ID NO: 16), VVC, MTRV (SEQ ID NO: 20), 및 MTR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NFκB 활성화의 조절은 표적 유전자들의 증가된 전사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이는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억제를 야기할 수 있다. NFκB 활성화는 다양한 수준에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포질과 핵 사이에서 비활성 NFκB 이량체들의 동적인 왕복(dynamic shuttling)은, IκB 단백질 및 이의 말단에 의해, 인산화 및 프로테오좀 분해에 의해, NFκB 인자들의 직접적인 인산화, 아세틸화에 의해 조절되고, 활성화된 NFκB 이량체들 중에서 NFκB 소단위(subunit)들의 동적인 인식은 모두 NFκB 활성화 및, 최종적으로는, NFκB에 의해 매개된 전사과정에서 중요한 조절 단계들로서 규명되었다. 따라서, NFκB-조절 펩티드는 전사인자들의 NFκB/Rel 패밀리의 조절 하에 있는 유전자들의 전사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은 전사의 상향-조절 또는 하향-조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 조성물"은 활성 조절 펩티드 혹은 유사체를 단독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상기 조절 펩티드 혹은 유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모두를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펩티드의 허용가능한 희석제들은 생리학적 염 용액들 또는 인산염 완충 염 용액들이다. 상기 유전자 전사인자가 NFκB/Rel 단백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면, 예컨대 뇌사 공여자로부터 유래된, 이식조직의 허혈성-재관류 손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혹은 이식조직의 냉장 보관 및 수송 동안에 허혈성 재관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NFκB/Rel 단백질의 전위 및/또는 활성이 억제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제시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이식조직 보존액 혹은 관류액일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펩티드 LQG, AQ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LQGA (SEQ ID NO: 3), VLPALP (SEQ ID NO: 4), ALPALP (SEQ ID NO: 5), VAPALP (SEQ ID NO: 6), ALPALPQ (SEQ ID NO: 7), VLPAAPQ (SEQ ID NO: 8), VLPALAQ (SEQ ID NO: 9), LAGV (SEQ ID NO: 10), VLAALP (SEQ ID NO: 11), VLAALP (SEQ ID NO: 11), VLPALA (SEQ ID NO: 12), VLPALPQ (SEQ ID NO: 13), VLAALPQ (SEQ ID NO: 14), VLPALPA (SEQ ID NO: 15), GVLPALP (SEQ ID NO: 16), LQGVLPALPQVVC (SEQ ID NO: 17), LPGCPRGVNPVVS (SEQ ID NO: 18), LPGC (SEQ ID NO: 19), MTRV (SEQ ID NO: 20), MTR, VVC, 또는 그의 기능적 유사체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유용하지만, 다른 유전자-조절 펩티드들 역시 선택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환경 하에서는 상기 약학 조성물이 고장성(hypertonic)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류액에 헤파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첨가하거나 혹은 이식조직의 널리 유포된 파종성혈관내 응고 (DIC)가 예상되는 조건 하에서 (예컨대, 사체 공여자들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은 관류액에 (재조합) 활성화된 단백질 C를 첨가하는 것 역시 유용하다. 활성화된 단백질 C가 허혈을 유발하는 응고를 용해시키는 부위에서, 관류액 내 NFκB 조절 펩티드는 재관류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대부분의 환경에서, 상기 보존액 또는 관류액을 이용한 상기 치료는, 이식조직을 공여자로부터 적출한 후에 상기 신호분자와 함께 상기 이식조직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이식조직의 HLA-타입이 수여자의 HLA-타입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이식 거부반응의 위험성을 좀더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에 언급된 전형적으로 알려진 약학 조성물들을 상기 수여자에게 추가로 처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유전자 전사인자의 전위 및/또는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신호분자로서 포함하는 이식조직 보존액 혹은 이식조직 관류액을 제공한다. 하나의 특정한 실시태양에서, 이러한 유액은 또한, 특히 상기 유전자 전사인자가 NFκB/Rel 단백질 또는 AP-1 단백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재조합) 활성화 단백질 C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액에 첨가되는 상기 펩티드들, 예컨대 LQG, AQ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LQGA (SEQ ID NO: 3), VLPALP (SEQ ID NO: 4), ALPALP (SEQ ID NO: 5), VAPALP (SEQ ID NO: 6), ALPALPQ (SEQ ID NO: 7), VLPAAPQ (SEQ ID NO: 8), VLPALAQ (SEQ ID NO: 9), LAGV (SEQ ID NO: 10), VLAALP (SEQ ID NO: 11), VLPALA (SEQ ID NO: 12), VLPALPQ (SEQ ID NO: 13), VLAALPQ (SEQ ID NO: 14), VLPALPA (SEQ ID NO: 15), GVLPALP (SEQ ID NO: 16), VVCNYRDVRFESIRLPGCPRGVNPVVSYAVALSCQCAL (SEQ ID NO: 24), RPRCRPINATLAVEKEGCPVCITVNTTICAGYCPT (SEQ ID NO: 25), SKAPPPSLPSPSRLPGPS (SEQ ID NO: 26), LQGVLPALPQVVC (SEQ ID NO: 17), SIRLPGCPRGVNPVVS (SEQ ID NO: 27), LPGCPRGVNPVVS (SEQ ID NO: 18), LPGC (SEQ ID NO: 19), MTRV (SEQ ID NO: 20), MTR, 및 VVC 및 다른 펩티드들은, 예컨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고체-상 합성법에 의해 제조된다.
다양한 병리생태학적 및 발생학적 신호들에 대한 반응에서, κB-특이적인 결합부위들을 함유하는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하여, 전사인자들의 NFκB/Rel 패밀리는 활성화되고 그들 중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이종- 및 동종이량체를 형성한다. NFκB 전사인자들은 Rel 상동성 도메인에 의해 특정되는 관련 단백질들의 패밀리의 이종- 혹은 동종이량체들이다. 이들은 활성화 도메인들을 함유하는 것 (p65-RELA, RELB, 및 c-REL)과 활성화 도메인이 결여된 것 (p50, p52)의 두 가지 하위 패밀리를 형성한다. 원형 NFκB는 p65 (RELA) 및 p50 (NFκB 1)의 이종이량체이다. 활성화된 NFκB 이량체들 중에서, p50-p65 이종이량체들은 전사억제에서 표적 유전자들 및 p50-p50 동종이량체들의 전사를 증강시키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65-p65 동종이량체들은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화 및 억제 활성 모두에 대해서 알려져 있다. 서로 다른 NFB 이량체들에 대해 다양한 친화력을 갖는 κB DNA 결합부위들이 몇몇 진핵세포 유전자들의 프로모터에서 발견되었고, 활성화된 NFκB 동종- 및 이종이량체들간의 균형이 궁극적으로는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의 특성 및 수준을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용어 "NFκB-조절 펩티드"는 전사인자들의 NFκB/Rel 패밀리의 구성원들의 활성화를 조절할 수 있는 펩티드, 그의 변형체 또는 유도체를 의미한다. NFκB의 활성화는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전자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는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억제를 위해 유전자를 조절할 수 있다. NFκB 활성화는 복합적인 수준에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κB 단백질에 의한 세포질과 핵 사이에서의 비활성 NFκB 이량체들의 동적인 왕복 및 인산화 및 프로테오좀 분해에 의한 그 종결, NFκB 인자들의 직접적인 인산화, 아세틸화 및 활성화된 NFκB 이량체들 중에서 NFκB 소단위들의 동적 재편성은 모두 NFκB 활성화 및, 최종적으로는, NFκB에 의해 매개된 전사과정에서 중요한 조절 단계들로서 규명되었다. 따라서, NFκB-조절 펩티드는 전사인자들의 NFκB/Rel 패밀리의 조절 하에 있는 유전자들의 전사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은 전사의 상향-조절(upregulation) 또는 하향-조절(downregulation)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도체 또는 유사체는 약학 조성물의 생산에 사용된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용한 NFκB 하향-조절 펩티드들의 예로는 VLPALPQVVC (SEQ ID NO: 21), LQGVLPALPQ (SEQ ID NO: 22), LQG, LQGV (SEQ ID NO: 1), GVLPALPQ (SEQ ID NO: 23), VLPALP (SEQ ID NO: 4), VVC, MTR 및 원형 LQGVLPALPQVVC (SEQ ID NO: 17)가 있다. 더 많은 유전자-조절 펩티드들 및 그의 기능적 유사체들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NFκB 전위 분석과 같은 (생물학적) 분석에서 발견될 수 있다. 가장 두드러진 NFκB 하향-조절 펩티드들은 VLPALPQVVC (SEQ ID NO: 21), LQGVLPALPQ (SEQ ID NO: 22), LQG, LQGV (SEQ ID NO: 1), 및 VLPALP (SEQ ID NO: 4)이다. 이들은 또한 세포에 의한 NO의 생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각각이 NFκB를 하향-조절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세포에 의한 NO 및/또는 TNF-알파의 생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올리고펩티드들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역시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올리고펩티드들은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및 VLPALP (SEQ ID NO: 4)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유용한 NFκB 상향-조절 펩티드들은 VLPALPQ (SEQ ID NO: 13), GVLPALP (SEQ ID NO: 16) 및 MTRV (SEQ ID NO: 20)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훨씬 더 많은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이 적절한 (생물학적) 분석에 의해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전자-조절 펩티드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펩티드는 3 내지 15개 아미노산 길이이고, 세포 내에서 사이토카인과 같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펩티드는 세포의 원형질막을 가로지를 수 있는 신호분자, 다시 말하면, 막-투과성 펩티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티드는 3 내지 9개 아미노산 길이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티드가 4 내지 6개 아미노산 길이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능적 유도체 또는 유사체는, 예컨대 NFκB 분석에서 NFκB, 또는 AP-1 분석에서 AP-1과 같은 관련 전사인자의 핵 전위(nuclear translocation)를 측정함으로써, 혹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다른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신호분자의 효과 또는 활성과 관련이 있다. 절편들은 한쪽 혹은 양쪽 말단 모두에서 약간 (즉, 1 또는 2개 아미노산) 작거나 클 수 있는 반면, 여전히 기능적 활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생물학적 분석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하여 펩티드 혹은 그의 변형체의 능력 또는 소인에 대한 정보를 수득하기 위한 분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5-머(mer), 또는 12-머, 또는 9-머, 또는 8-머, 또는 7-머, 또는 6-머, 또는 5-머, 또는 4-머 또는 3-머 펩티드들을 이용한 스캔은 상호작용 부위를 형성하는 아미노산들의 선형 신장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능력 또는 소인을 갖는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의 규명을 가능케 한다.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은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대한 그들의 능력 또는 소인을 조절하기 위하여 변형될 수 있고, 이는 리포터 분석과 같은 생체외 생물학적 분석으로 용이하게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위치에서 특정 아미노산은 유사한 혹은 전혀 다른 성질의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될 수 있다. 각 아미노산의 Ala 잔기로의 체계적인 치환을 포함하는, 알라닌 (Ala)-치환 스캐닝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신호분자에 대해 조사하는 경우에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아미노산 조성을 변형하는데 적절한 접근법이다. 물론, 이러한 치환 스캐닝 또는 맵핑(mapping)은 Ala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들, 예를 들면 D-아미노산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자연발생적 폴리펩티드로부터 유래한 펩티드는 세포 내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확인된다. 이어서, 상기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다양한 합성 Ala-돌연변이들이 생산된다. 이러한 Ala-돌연변이들은 유전자-조절 폴리펩티드와 비교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증가된 혹은 향상된 능력에 대해서 스크리닝된다.
나아가,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변형체 또는 유사체는 D- 및/또는 L-입체이성질체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기원의 올리고펩티드의 뒤-역위 (retro-inverso)인 유전자-조절 펩티드가 생산된다. 올리고펩티드 뒤-역위 개념 (D-아미노산을 이용한 천연 L-아미노산-함유 모서열(parent sequence)의 역순서 조립)은 합성 펩티드들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펩티드 결합의 역-전위 변형은 생물학적 활성 펩티드의 수많은 패밀리에 적용되고 있는 신규한 생활성 분자들의 고안을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펩티드유사 (peptidomimetic) 접근법으로 발달되고 있다. 펩티드의 서열, 아미노산 조성 및 길이는 정확한 조립과 정제가 가능한지 여부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은 또한 최종 산물의 용해도를 결정한다. 조펩티드의 순도는 전형적으로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15개 잔기 보다 적은 서열에 대한 펩티드의 수율은 보통 만족스러운 정도이고, 이러한 펩티드들은 전형적으로 별다른 어려움없이 제조될 수 있다. 펩티드의 전체적인 아미노산 조성이 중요한 설계 변수이다. 펩티드의 용해도는 조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Leu, Val, Ile, Met, Phe 및 Trp와 같은 소수성 잔기들의 함량이 높은 펩티드들은 수용액에서 제한적인 용해도를 갖거나 혹은 완전하게 불용성일 것이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는, 펩티드를 실험에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상기 펩티드를 정제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우수한 용해도를 얻기 위해서는, 소수성 아미노산의 함량을 50% 이하로 유지하고, 다섯 개 아미노산마다 적어도 한 개의 전하를 띤 잔기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현명하다. 생리학적 pH에서, Asp, Glu, Lys, 및 Arg 모두는 전하를 띤 곁사슬(side chain)들을 갖는다. Ala를 Gly로 치환하거나, N- 또는 C-말단에 한 세트의 극성 잔기들을 첨가하는 것과 같은, 단일 보존적 치환 역시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ys, Met, 또는 Trp 잔기들은 산화 및/또는 부반응들 (side reactions)에 민감하기 때문에, 다중 Cys, Met, 또는 Trp 잔기들을 함유하는 펩티드들 역시 고순도로 얻는 것이 어느 정도는 어려울 수 있다. 만약 가능하다면, 상기 잔기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서열을 선택해야만 한다. 선택적으로, 보존적 치환들이 몇몇 잔기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르류신은 Met을 위한 치환체로 사용될 수 있고, Ser은 종종 Cys을 위한 덜 반응적인 치환체로 사용된다. 만약 단백질 서열들로부터 다수의 연속적인 혹은 중첩되는 펩티드들이 만들어지는 것이라면, 각 펩티드의 개시지점(starting point)에서 이루어진 변화는 친수성 및 소수성 잔기들간의 보다 나은 균형을 창조해낼 것이다. 개별적인 펩티드들 내에 함유된 다수의 Cys, Met, 및 Trp 잔기들의 수의 변화는 유사한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조절 펩티드가 화학적으로 변형된 펩티드이다. 펩티드 변형은 Cys 잔기의 화네실화(farnesylation)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Tyr, Ser 또는 Thr 잔기에서의) 인산화, N-말단 아세틸화, C-말단 아미드화, C-말단 하이드라지드(hydrazide), C-말단 메틸에스테르, 지방산 부착, 설폰화 (티로신), N-말단 댄실화, N-말단 숙시닐화(succinylation), 트리팔미토일 S-글라이세릴 시스테인 (PAM3 Cys-OH)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계통 화학적 변형을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최적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합성 펩티드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들은 고체상 펩티드 합성 (SPPS) 및 용액상 유기합성 (SPOS) 기술을 포함한다. SPPS는 펩티드 및 소 단백질들을 합성하는데 신속하고 용이한 접근법이다. C-말단 아미노산은 전형적으로 링커 분자를 이용하여 산 불안정 결합을 통해 가교된 폴리스티렌 수지에 부착된다. 상기 수지는 합성에 사용되는 용매 내에서 불용성이기 때문에 과량의 시약들 및 부산물들을 세척하는 것을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만든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펩티드들, 예컨대 LQG, AQ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LQGA (SEQ ID NO: 3), VLPALP (SEQ ID NO: 4), ALPALP (SEQ ID NO: 5), VAPALP (SEQ ID NO: 6), ALPALPQ (SEQ ID NO: 7), VLPALPQ (SEQ ID NO: 8), VLPALAQ (SEQ ID NO: 9), LAGV (SEQ ID NO: 10), VLAALP (SEQ ID NO: 11), VLPALA (SEQ ID NO: 12), VLPALPQ (SEQ ID NO: 13), VLAALPQ (SEQ ID NO: 14), VLPALPA (SEQ ID NO: 15), GVLPALP (SEQ ID NO: 16), VVCNYRDVRFESIRLPGCPRGVNPVVSYAVALSCQCAL (SEQ ID NO: 24), RPRCRPINATLAVEKEGCPVCITVNTTICAGYCPT (SEQ ID NO: 25), SKAPPPSLPSPSRLPGPS (SEQ ID NO: 26), LQGVLPALPQVVC (SEQ ID NO: 17), SIRLPGCPRGVNPVVS (SEQ ID NO: 27), LPGCPRGVNPVVS (SEQ ID NO: 18), LPGC (SEQ ID NO: 19), MTRV (SEQ ID NO: 20), MTR, 및 VVC가 고체 지지체로 2-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수지를 이용한 플루오레닐메톡시카보닐 (Fmoc)/t-부틸-기초 방법론을 이용한 고체상 합성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글루타민의 곁-사슬은 트리틸 작용rl에 의해 보호되었다. 상기 펩티드들은 수공으로 합성되었다. 각각의 커플링은 하기 단계들로 구성되었다: (ⅰ)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내 피페리딘에 의한 알파-아미노 Fmoc 보호기의 제거, (ⅱ) DMF/N-메틸포름아미드 (NMP) 내에서 Fmoc 아미노산 (3 당량)과 디아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DIC: diisopropylcarbodiimide)/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의 커플링, 및 (ⅲ) DMF/NMP 내에서 아세트산 무수물/디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EA)을 이용한 잔존하는 아미노 작용기들의 캡핑(capping). 상기 합성이 종결되면, 상기 펩티드 수지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H2O/트리아이소프로필실란 (TIS)의 95:2.5:2.5혼합물을 이용하여 처리되었다. 30분 경과 후, TIS를 탈색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켰고, 펩티드를 디에틸에테르로 침전시켰다. 조펩티드들을 물 (50-100 ㎎/㎖)에 용해시켰고,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RP-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HPLC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컬럼: Vydac TP21810C18 (10×250 ㎜); 용출 시스템: 물 v/v 내 0.1 % TFA (A) 및 아세토나이트릴 (ACN) v/v 내 0.1 % TFA (B)의 구배 시스템; 유속 6 ㎖/분; 흡광도는 190-370 ㎚에서 검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구배 시스템들이 사용되었다. 예컨대, 펩티드 LQG 및 LQGV (SEQ ID NO: 1)를 위해서는: 10분간 100% A에 이어 50분간 선형 구배 0-10% B가 사용되었다. 예컨대, 펩티드 VLPALP (SEQ ID NO: 4) 및 VLPALPQ (SEQ ID NO: 13)를 위해서는: 5 분간 5% B에 이어 선형 구배 1% B/분을 사용하였다. 모은 분획들(collected fractions)을 40℃, 감압 하에서 회전 필름 증발기에 의해 약 5 ㎖로 농축하였다. 잔존하는 TFA는 컬럼을 아세트산염 형태의 음이온 교환수지 (Merck Ⅱ)로 2회 용출하여 아세트산염으로 교환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였고 28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켰다. 이후의 사용을 위해 펩티드들을 PBS에 용해시켜 준비하였다.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으로부터 입수한 RAW 264.7 대식세포들을 10% FBS 및 항생제들 (100 U/㎖의 페니실린, 및 100 ㎍/㎖의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하는 DMEM을 이용하여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들 (1×106/㎖)을 2 ㎖ 부피로 펩티드 (10 ㎍/㎖)와 함께 배양하였다. 배양 8시간 경과 후, 세포들을 세척하였고, 핵 추출을 위해 준비하였다.
핵 추출 및 EMSA를 슈레이버 등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Schrieber et al. 1989, Nucleic Acids, 참고문헌 17). 간략하게 설명하면, 펩티드로 자극된 혹은 자극되지 않은 대식세포로부터 핵 추출물은 세포 용해(cell lysis)에 이어 핵 용해(nuclear lysis)에 의해 제조되었다. 세포들을 400 ㎕ 완충용액 (10 mM HEPES (pH 7.9), 10 mM KCl, 0.1 mM KCl, 0.1 mM EDTA, 0.1 mM EGTA, 1 mM DTT, 0.5 mM PMSF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들)에 현탁하고, 15초간 강하게 볼텍싱(vortexed)하고, 15분간 4℃에 방치한 후 15,000 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하였다. 펠렛화된 핵을 얼음 상에서 30분간 완충용액 (20 mM HEPES (pH 7.9), 10% 글라이세롤, 400 mM NaCl, 1 mM EDTA, 1 mM EGTA, 1 mM DTT, 0.5 mM PMSF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들)에 현탁하고, 그 후에 용해물들을 15,000 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용해된 핵단백질들을 함유하는 상청액을 전기영동 이동도 옮김 분석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s, EMSA)에 이용하기 전까지 -70℃에 보관하였다.
전기영동 이동도 옮김 분석은 대조군 (RAW 264.7)과 펩티드가 처리된 RAW 264.7 세포로부터 제조된 핵 추출물을 NFκB 결합 서열을 나타내도록 합성된 32P-표지된 이중-가닥 탐침 (5'-AGCTCAGAGGGGGACTTTCCGAGAG-3' (SEQ ID NO: 28))과 함께 배양하여 수행되었다. 요약하면, 상기 탐침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T4 폴리뉴클레오티드 키나아제 (Promega, Madison, WI)를 이용하여 말단-표지하였다. 어닐링된 탐침을 다음과 같이 핵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다: EMSA에서, 결합반응 혼합물 (20 ㎕)은 0.25 ㎍의 폴리(dI-dC) (Amersham Pharmacia Biotech) 및 5 mM EDTA, 20% 피콜, 5 mM DTT, 300 mM KCl 및 50 mM HEPE로 구성된 결합 완충용액 내 20,000 rpm의 32P-표지된 DNA 탐침을 함유한다. 상기 결합반응은 세포 추출물 (10 ㎍)의 첨가에 의해 개시되었고, 실온에서 30분간 지속되었다. DNA-단백질 복합체를 6%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서 전기영동에 의해 유리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부터 분리시켰다. 상기 겔을 건조시키고 x-선 필름에 감광시켰다.
전사인자 NFκB는 다양한 유전자들의 전사조절에 참여한다. 핵단백질 추출물을 LPS 및 펩티드가 처리된 RAW264.7 세포들 혹은 LPS가 처리된 RAW264.7 세포들로부터 제조하였다. 펩티드가 NFκB의 핵 내로의 전위을 조절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들에 EMSA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본 발명자들은 NFκB에 대해 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양이 감소하였으므로, 실제로 펩티드들이 NFκB의 전위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NFκB의 전위 조절활성을 나타낸 펩티드들은 다음과 같다: VLPALPQVVC (SEQ ID NO: 21), LQGVLPALPQ (SEQ ID NO: 22), LQG, LQGV (SEQ ID NO: 1), GVLPALPQ (SEQ ID NO: 23), VLPALP (SEQ ID NO: 4), VLPALPQ (SEQ ID NO: 13), GVLPALP (SEQ ID NO: 16), VVC, MTRV (SEQ ID NO: 20), MTR.
RAW 264.7 마우스 대식세포들을 10% 또는 2% FBS,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및 글루타민을 함유하는 DMEM에 접종하여 37℃, 5% C02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12-웰 플레이트 (3×106 세포/㎖)에 총 부피 1 ㎖로 2시간 동안 접종하고 LPS (E. coli 026: B6; Difco Laboratories, Detroit, MI, USA) 및/또는 유전자-조절 펩티드 (1 ㎍/㎖)로 자극시켰다. 30분간 배양한 후, 플레이트들을 원심분리하였고, 세포들을 핵 추출을 위해 회수하였다. 핵 추출 및 EMSA는 슈레이버 등의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세포들을 튜브에 모은 후 5분간 4℃에서 2000 rpm (rounds per minute)으로 원심분리하였다 (Universal 30 RF, Hettich Zentrifiiges). 펠렛을 얼음-냉각된 트리스 완충 식염수 (TBS pH 7.4)로 세척하였고, 400 ㎕의 저장성(hypotonic) 완충용액 A (10 mM HEPES pH 7.9, 10 mM KCl, 0.1 mM EDTA, 0.1 mM EGTA, 1 mM DTT, 0.5 mM PMSF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 (CompleteTM Mini, Roche))에 현탁한 후 15분간 얼음에 놓아두었다. 25 ㎕의 10% NP-40을 첨가하고, 상기 시료를 원심분리하였다 (2 분간, 4000 rpm, 4℃). 상청액 (세포질 분획)을 모은 후 -70℃에 보관하였다. 핵을 함유하는 상기 펠렛을 50 ㎕ 완충용액 A로 세척하였고, 50 ㎕ 완충용액 C (20 mM HEPES pH 7.9, 400 mM NaCl, 1 mM EDTA, 1 mM EGTA, 1 mM DTT, 0.5 mM PMSF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 및 10% 글라이세롤)에 재현탁하였다. 상기 시료들을 적어도 60분간 4℃에서 진탕하면서 방치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료들을 원심분리하였고 상청액 (핵 분획)을 -70℃에 보관하였다.
추출물 내 최종 단백질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브래드포드 시약(bradford reagent)(Sigma)을 사용하였다. 전기영동 이동성 옮김 분석을 위하여, NFκB 결합서열을 나타내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5'-AGC TCA GAG GGG GAC TTT CCG AGA G-3' (SEQ ID NO: 28))를 합성하였다. 100 pmol의 센스 및 안티센스 올리고들을 어닐링한 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T4 폴리뉴클레오티드 키나아제를 이용하여 γ-32P-dATP (Promega, Madison, WI)로 표지하였다. 핵 추출물 (5-7.5 ㎍)을 0.5 ㎍ 폴리dI-dC (Amersham Pharmacia Biotech) 및 결합완충 BSB (25 mM MgCl2, 5 mM CaC12, 5 mM DTT 및 20% 피콜)를 함유하는 결합반응 혼합물 (20 ㎕) 내에서 30분간 실온에서 75000 cpm 탐침과 함께 배양하였다. DNA-단백질 복합체를 4-6%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상에서 전기영동 (150 V, 2-4시간)에 의해 유리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부터 분리시켰다. 상기 겔을 건조한 후 x-선 필름에 감광시켰다. 전사인자 NFκB는 다양한 유전자들의 전사조절에 참여한다. 핵단백질 추출물들을 LPS (1 ㎎/㎖), 펩티드 (1 ㎎/㎖) 또는 LPS와 펩티드가 처리된 RAW264.7 세포들 및 처리되지 않은 RAW264.7 세포들의 조합으로부터 준비하였다. 펩티드들이 NFκB의 핵 내로의 전위를 조절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들 추출물들을 EMSA를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펩티드들은 LPS에 의해 유도된 NFκB의 수준뿐만 아니라 기저수준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FκB의 전위를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낸 펩티드들은 다음과 같다: VLPALPQVVC (SEQ ID NO: 21), LQGVLPALPQ (SEQ ID NO: 22), LQG, LQGV (SEQ ID NO: 1), GVLPALPQ (SEQ ID NO: 23), VLPALP (SEQ ID NO: 4), VVC, MTR 및 원형 LQGVLPALPQVVC (SEQ ID NO: 17). 본 실험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FκB의 전위를 촉진하는 펩티드들은 다음과 같다: VLPALPQ (SEQ ID NO: 13), GVLPALP (SEQ ID NO: 16) 및 MTRV (SEQ ID NO: 20). 핵 내에서 NFκB의 기저수준은 VLPALPQVVC (SEQ ID NO: 21), LQGVLPALPQ (SEQ ID NO: 22), LQG 및 LQGV (SEQ ID NO: 1)에 의해 감소된 반면, GVLPALPQ (SEQ ID NO: 23), VLPALPQ (SEQ ID NO: 13), GVLPALP (SEQ ID NO: 16), VVC, MTRV (SEQ ID NO: 20), MTR 및 LQGVLPALPQVVC (SEQ ID NO: 21)에 의해서는 핵 내에서 NFκB의 기저수준이 증가되었다. 다른 실험들에서, QVVC 역시 NFκB의 핵 내로의 전위를 조절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결과 제시되지 않음).
NFκB 분석에 의한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의 또 다른 확인 방법
세포들: 세포들은 적당한 배양배지에서 37℃, 5% C02 조건으로 배양될 것이다. 세포들을 12-웰 플레이트 (보통 1×106 세포/㎖)에 총 1 ㎖ 부피로 2시간 동안 접종한 후 LPS와 같은 부가적인 자극의 존재 혹은 부재시에 조절 펩티드로 자극을 받게 될 것이다. 배양하고 30분 경과 후, 플레이트들을 원심분리하고 세포질 혹은 핵 추출을 위해 세포들을 회수할 것이다.
핵 추출: 핵 추출 및 EMSA는 슈레이버 등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Schriber et al., 1989, Nucleic Acids, 참고문헌 17). 세포들을 튜브에 모은 후 5분간 2000 rpm (rounds per minute), 4℃에서 원심분리 (Universal 30 RF, Hettich Zentrifuges)하였다. 펠렛을 얼음-냉각된 트리스 완충 식염수 (TBS, pH 7.4)로 세척하고, 400 ㎕의 저장성 완충용액 A (10 mM HEPES pH 7.9, 10 mM KCl, 0.1 mM EDTA, 0.1 mM EGTA, 1 mM DTT, 0.5 mM PMSF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 (Complete Mini, Roche))에 재현탁하고, 15분간 얼음에 방치하였다. 25 ㎕의 10% NP-40을 첨가하고 시료를 원심분리 (2분간, 4000 rpm, 4℃)하였다. 상청액 (세포질 분획)을 모은 후 분석을 위해 -70℃에 보관하였다. 핵을 함유하는 펠렛을 50 ㎕ 완충용액 A로 세척하고 50 ㎕ 완충용액 C (20 mM HEPES pH 7.9, 400 mM NaCl, 1 mM EDTA, 1 mM EGTA, 1 mM DTT, 0.5 mM PMSF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 및 10% 글라이세롤)에 재현탁하였다. 시료들을 적어도 60분간 4℃에서 진탕하면서 방치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료들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 (핵 분획)은 분석을 위하여 -70℃에 보관하였다.
추출물 내 최종 단백질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브래드포드 시약 (Sigma)이 사용될 수 있다.
EMSA: 전기영동 이동성 옮김 분석을 위하여, NFκB 결합서열을 나타내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예컨대 5'-AGC TCA GAG GGG GAC TTT CCG AGA G-3' (SEQ ID NO: 28)을 합성하였다. 100 pmol의 센스 및 안티센스 올리고들을 어닐링한 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T4 폴리뉴클레오티드 키나아제를 이용하여 γ-32P-dATP (Promega, Madison, WI)로 표지한다. 조절 펩티드로 처리된 세포 혹은 처리되지 않은 세포들로부터 얻은 세포질 혹은 핵 추출물 (5-7.5 ㎍)을 0.5 ㎍ 폴리dI-dC (Amersham Pharmacia Biotech) 및 결합완충 BSB (25 mM MgCl2, 5 mM CaC12, 5 mM DTT 및 20% 피콜)을 함유하는 결합반응 혼합물 (20 ㎕) 내에서 30분간 실온에서 75000 cpm 탐침과 함께 배양한다. 자극원이 처리되지 않은 세포들 또는 자극원이 처리된 세포들로부터 얻은 세포질 및 핵 추출물들 역시 결합반응 혼합물 및 결합 완충용액 내에서 탐침과 함께 배양될 수 있다. DNA-단백질 복합체들을 4-6%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상에서 전기영동 (150 V, 2-4 시간)에 의해 유리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겔을 건조시키고 x-선 필름에 감광시킨다. 펩티드들은 바이오틴화(biotinylate)되어 세포와 함께 배양될 수 있다. 그 후, 세포들을 인산염-완충 식염수로 세척하고, 특정 자극원 (LPS, PHA, TPA, 항-CD3, VEGF, TSST-1, VIP 또는 공지된 약물들 등)의 부재 혹은 존재하에서 수확한다. 배양 후, 세포들을 용해시키고, 200 ㎍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 용해물 (전 용해물, 세포질 분획 혹은 핵 분획)을 50 ㎕의 뉴트르-아비딘-플러스 비드(neutr-avidin-plus beads)와 함께 일정한 진동으로 4℃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비드들을 6000 rpm에서 1분간의 원심분리에 의해 용해 완충용액으로 5번 세척한다. 단백질들은 단백질-펩티드 결합을 가수분해하기 위하여 상기 비드들을 실온에서 1분간 0.05 N NaOH에서 배양시켜 용출한 후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과 이어지는 아가로스-접합 항-NFκB 소단위 항체를 이용한 면역침전 또는 연구된 표적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침전(immunoprecipitate)에 의해 분석한다. 단백질-펩티드 결합을 가수분해한 후, 시료들을 HPLC 및 질량-분석기로 분석할 수 있다. 바이오틴화된 조절 펩티드와의 정제된 NFκB 소단위들 혹은 세포 용해물의 상호작용은 바이오센서 기술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펩티드들은 FITC로 표지되어 서로 다른 자극원의 부재 혹은 존재하에서 세포들과 함께 배양될 수 있다. 배양 후, 세포들은 형광 현미경, 공초점 현미경, 유세포 분석기 (세포막 염색 및/또는 세포내 염색)로 분석될 수 있고, 혹은 세포 용해물들로 제조되어 HPLC 및 질량-분석기 상에서 분석될 수 있다. NFκB 이입(transfected) (리포터 유전자 분석) 세포들 및 유전자 배열 기술이 펩티드들의 조절 효과를 측정(determine)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HPLC 및 질량-분석기 분석: 정제된 NFκB 소단위 또는 세포질/핵 추출물을 8 N 구아니딘 클로라이드(guanidinium chloride) 및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희석 (2:1)된 (조절) 펩티드의 존재 혹은 부재하에 배양한 후, 용매 A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평형화된 역상 HPLC 컬럼 (Vydac C18)에 주입하고 0 내지 100% 구배의 용출액 B (용매 A내 90% 아세토나이트릴)로 용출하였다. NFκB 소단위를 함유하는 분획들을 모아서 농축하였다. 그리고 나서 분획들을 적당한 부피로 용해시키고 질량 분석기로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특히 신경장애 혹은 정신분열증, 조울증 및 다른 양극성 장애들과 같은 소위 신경면역장애, 산후정신병, 자폐증, 만성피로증후군 (CFS), 섬유근육통증후군, 알츠하이머병, 정동장애 및 특정 형태의 스트레스 등의 치료, 바람직하게는 경구 치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증상들 및/또는 질병들 각각의 발병기전의 발병의 기작 및 병인학에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사실상 이들에게는 신경계 장애의 발병기전 내에서 공유되는 공통적인 염증성 및 면역조절 경로들이 존재한다.
정신병을 앓는 환자들에게서 면역 이상의 증거는 발병기전 내에 면역계의 관여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신경면역장애들은 정신병리학 또는 신경병리학의 발달에 있어서 공통적인 병원성 인자들로 인식되어 왔다. 신경화학적 및 면역학적 발견들은 다양한 경로의 발병기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자들은 신경계 장애에 있어서 염증질환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예를 들면, 만성피로증후군은 불균형한 수치로 여성에게 발병하고 주로 월경전기 및 이후의 육체적 활동시에 더욱 악화되는 상태이다. 피로, 근육통 및 미열을 포함하는 징후 및 증상들은 인터루킨-1과 같은 사이토카인이 주입된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것들과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신경면역계 장애가 발병하는 동안에, TNF-알파 패밀리 및 다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은 뇌척수액 (CSF)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데, 이는 뇌에서의 염증 부위가 CNS 내 다양한 부위들에서 유도된 파괴성 및 퇴행성 반응들을 야기함을 증명하는 것이다. 주된 정동장애들은 초기 청년기 이후부터 장애의 원인들을 야기하고, 심혈관질환, 치매, 폐암 및 당뇨병을 능가하는, 질병 부하의 원인들을 야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동장애의 병리생리학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들 및 면역세포들이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최근에는 양극성 장애 환자들에서 T 세포들 및 단핵구들이 양극성 장애가 있는 환자에 있어서 훨씬 높은, 전-염증성 수준에서 작용한다는 사실 또한 밝혀졌다. 성인의 중추신경계 (CNS)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파괴성 및 퇴행성 장애들의 성공적인 치료법은 조직손상의 비율과 정도를 경감시키고 파괴된 조직을 회복 혹은 대체할 수 있는 능력을 모두 필요로 할 것이다. 신경영상학 연구들은 기능적 조직화가 조직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성인 인간의 뇌에서 자발적으로 야기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보상기작의 정도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중재의 활성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단일 신경전달물질, 신경호르몬 혹은 영양인자의 교체는 만약 손상이 제한적이거나 억제효과를 미치거나 전-염증성 조절인자들을 통해 CNS 내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면, 충분할 것이다. 해마는 뉴런 및 수초 세포(myelinating cell)들을 가상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유사분열적 활성 신경전구세포들의 제공원이다. 이러한 세포들의 조절 및 다른 세포들의 건강 및 활성은 지금까지의 만성 CNS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식견 및 희망을 제공한다. 이는 예컨대 뇌의 면역제어 및 성장 지지와 내분비 및 면역활성에 대한 기억부터 인식에 이르는 그의 다양한 기능들을 조절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성인 인간의 치아이랑에 존재하는 세포들과 같은 부위이다. 모든 복합적인 성향으로 볼 때, 신경계장애는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은 환경적 요인들과 민감성 유전자들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이다. 이와 함께, 이들 요인들은 면역계의 침투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특히 축삭 및 신경교(glia)의 급성염증손상, 기능의 회복 및 구조적 복구, 후-염증성 신경교증(gliosis), 및 신경퇴행과 같은 사례들의 캐스케이드를 유발한다. 이러한 과정들의 연속적인 관여는 통상적으로 심리적 장애라고 부르는 삽화들로서, 지속적인 결핍 상태를 남기는 삽화들로 대체된 회복을 갖는 삽화들에 의해 특정되는 임상경과의 기초가 된다. 보다 자세한 예로서, 명백한 유전적 병인을 갖는 것으로 보이는 여러 형태의 자폐증 (이들은 주로 태어나기 이전부터 나타난다)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나 이들의 가장 공통적인 형태는 정상적인 출생 후 야기되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조절장애(dysregulation)과 관련되어 있다. 최근의 역학조사에 따르면,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autistic spectrum disorder)들은 공통적인 아동기 정신병리학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생명-지속 상태들은 강한 유전적 결정인자가 다수의 자폐증 민감성 부위들이 규명되어 온 유전의 다유전적 방식과 일치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자폐증 환자에서 면역이상에 대한 평행증거는 발병기전에 면역계의 관여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서론은 최근의 질병 발생과 유발요인들에 대해 최근에 생겨난 관심들뿐만 아니라, 자폐증의 분자유전학에 있어서의 발달을 개괄한다. 신경화학적 및 면역학적 발견들이 특정 신경계장애에 대한 신경면역 가설의 범위 내에서 분석되었다. 예를 들어, 임신 및 산후 기간은 면역계의 중요한 조절자들이고, 임신 중의 면역억제는 산후기에서 면역 활성화로 이어진다. 다른 예로서, 자폐증은 특정 음식 알러지, 또는 선천성 혹은 후천성 면역의 조절에 있어서 변화를 야기하고 신경내분비 기능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백신의 초기 사용에 의해서조차 영향을 받는다. 또한, 신경계장애는 종종 환자의 친척들 내에서 자가면역 장애들과 관련되어 있다.
코미 등 (Comi AM et al., J Child Neurol 1999 Jun; 14(6):388-94)은 자폐증에서 다양한 출생전 및 출생후 사례들뿐만 아니라 자가면역 장애들의 발생빈도를 평가하였고, 61명의 자폐증 환자들의 가족과 46명의 건강한 대조군을 대상으로 질문서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가면역장애들의 평균수는 자폐증을 갖는 가족들에서 훨씬 높았다; 자가면역질환을 갖고 있는 2 이상의 구성원들이 46%에 달했다. 자가면역장애들을 갖는 가족 구성원들의 수가 1에서 3까지 증가함에 따라, 자폐증 위험 역시 증가하여 각각 1.9에서 5.5까지 증가된 교차비를 나타내었다. 자폐증 아동의 엄마들 및 1촌 친척들에서는, 대조군 (2% 및 4%)에 비하여 훨씬 많은 자가면역장애들 (16% 및 21%)이 나타났고, 이들은 각각 8.8 및 6.0의 교차비를 가졌다. 상기 두 군에서 가장 공통된 자가면역장애들은 타입 1 당뇨병(type 1 diabetes), 성인 류마티스 관절염, 갑상선기능저하증, 및 전신 홍반성 루푸스이다. 26%의 대조군에 비하여, 자폐증 그룹의 46%가 류마티스 질환을 앓는 친척들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 차이가 현저하지 않더라도, 출생전 모체 요로, 상기도, 및 질 감염; 질식; 미숙, 및 발작이 자폐증 그룹에서 훨씬 일반적이었다. 39%의 대조군과 단 11%의 자폐증 그룹에서만 알러지가 보고되었다. 자가면역장애들의 증가된 수는 자폐증에서 면역기능장애가 자폐증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하여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과 상호작용을 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에델손 및 칸토르에 따르면 (Edelson SB 및 Cantor DS, Toxicol Ind Health 1998 Jul-Aug; 14(4):553-63), 지난 40년간 의학 기술의 발전은 자폐증에 대한 근원적인 신경학적 기초에 대한 증거들을 제공해 왔다. 신경계장애 스펙트럼 행동에서 발견된 신경기능이상의 변화에 대한 병인론은 오늘날까지도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증가하는 증거가 중추신경계 쪽으로 유도된 염증반응을 초래하는 독성 발생원 즉, 외인성 발생원들에 대한 만성적 노출이 이들 집단들에서 발견된 생리학적 및 행동학적 데이터를 정의하는 가장 훌륭한 모델이라는 제안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입수가능했던 혈액 분석에서 18명의 자폐증 어린이들에 대한 조사는 이들 어린이들 중 16명이 성인의 최대 내성을 초과하는 독성 화학물질 농도를 나타내었음이 확인되었다. 독성 화학물질 농도가 발견되지 않았던 두 경우에서는, 비정상적인 D-글루카르산이 발견되었고, 이는 간 해독 과정에 비정상적 외인성 물질이 영향을 미쳤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외인성 독성물질과 면역계 기능장애 및 지속적인 및/또는 진행중인 내인성 독성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제안된 기작이 자폐 스펙트럼에서 발견된 행동발달과 관련된 것으로 제시되었다. 죠노우치 등 (Jyonouchi H et al., Neuroimmunol 2001 Nov 1;120(1-2):170-9)은 발달 퇴행 및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들 (ASD, N=71)을 갖는 어린이들, 발달상으로는 정상인 그의 형제들 (N=23), 및 대조군 (N=17)에서 선천성 및 후천성 면역반응을 결정하였고, 발달퇴행 및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들을 갖는 어린이들에게서 선천성 및 후천성 면역반응과 관련하여 전-염증성 및 조절성 사이토카인의 생산 사이에 명백한 유연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선천성 면역의 자극원인 지질다당질 (LPS) 처리에 의해, 71명의 ASD 환자들 중 59명 (83.1%)으로부터 얻은 말초혈액 단핵세포들 (PBMCs)은 대조군 PBMCs에 의해 생산된 TNF-알파, IL-1베타, 및/또는 IL-6의 대조군 조절 평균 (CM) 값들보다 높은 >2 SD를 생산하였다. ASD PBMCs는 자극없이도 전-염증성/역-조절성 사이토카인들을 대조군보다 높은 수준으로 생산하였다. 식물적혈구응집소 (phytohemagglutinin, PHA), 파상풍, IL-12p70, 및 IL-18과 같은 자극원을 처리하는 경우에, ASD 환자들의 47.9% 내지 60%로부터 얻은 PBMCs는 자극원에 의존하는 TNF-알파의 CM 값들보다 높은 >2 SD를 생산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수의 ASD 어린이들에게서 NFκB에 의해 매개된 사이토카인 발현의 결과로서, TNF-알파 생산에서 가장 명백한 과잉 선천성 면역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나아가, 메사헬 등 (Messahel S, et al., Neurosci Lett 1998 Jan 23;241(1):17-20)에 따르면, 프테린, 네오프테린 및 바이오프테린이 요를 포함한 체액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난다. 증가된 네오프테린 농도는 세포성 면역계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고 감소된 바이오프테린 농도는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일부 자폐증 어린이들이 자가면역장애로 고통 받을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추가로 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저자들은 미취학 자폐증 어린이, 이들의 형제들, 및 이들과 연령을 맞춘 대조군 어린이 그룹에서 요 프테린에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요 네오프테린 및 바이오프테린 모두 중간 값을 나타낸 대조군과 형제들 그룹에 비하여 자폐증 어린이 그룹에서는 증가하였다.
또 다른 예로서, 만성피로증후군 (CFS)은 심각한 무능력 피로 및 자가-보고된 집중력 및 단기기억에서의 장애들, 수면장애, 및 근골격통을 주로 특색으로 하는 증상들의 조합에 의해 특정되는 임상적으로 정의된 상태이다. 지금까지, 만성피로증후군의 진단은 만성피로질병의 다른 의학적 및 정신과적 원인들을 배제한 후에만 가능하였다. 이 상태를 위한 어떠한 질병 특유의 징후들 또는 명백한 진단 시험들도 아직까지 입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어떠한 확정적인 치료방법도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의 장기적 연구들은 만성피로증후군에 걸린 사람들 일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되었지만 대부분은 몇 년동안 기능적으로 손상된 상태로 남아있게 됨을 제시하였다. CFS는 기존에 알려진 임상적 상태들에 기인하지 않고,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이전에는 건강했던 사람의 행동 수준을 50%를 초과하여 감소시키고, 독감-유사 증상들 (예를 들면, 인두염, 선병증, 미열, 근육통, 관절통, 두통) 및 신경심리학적 징후 (예를 들면, 집중력 저하, 운동과민증(exercise intolerance), 및 수면장애)을 수반하는 쇠약 피로에 의해 특정된다. CFS는 종종 급성 발병한다. 본 명세서에는 면역기능, 활성, 및 사이토카인 조절장애의 몇몇 신중한 연구들과 함께, CSF의 매개체들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상당한 발전을 제시한다. 질병 중증도에 대한 NK 세포 기능의 수준과 상호연관된 하나의 그룹을 갖는, 독립된 그룹들의 증가된 수가 T 및 B 세포 림프구 모두 및 NK 세포 기능의 비정상을 보고하고 있다. 만성면역활성증후군으로 명명된 질병이 T 세포 및 세포독성 T 세포들에서 측정된 T 세포 활성화의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마커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연구자들은 CSF를 갖는 개체들이 활성화된 CD8+ T 세포들의 현저히 증가된 비율, 감소된 자연살상세포 (NK) 세포독성 및 림프세포증식 활성(lymphoproliferactive), 종양괴사인자(TNF)-알파 및 베타의 증가된 혈청 농도, 및 말초혈액 단구세포들 (PBMC) 내에 검출가능한 TNF-베타, 인터루킨(IL)-1베타 및 IL-6 mRNA를 갖는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하나의 그룹으로서, CFS 환자들은 또한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수준의 용해성 TNF 수용체 타입Ⅰ (sTNF-RⅠ), sIL-6R 및 베타2-소글로불린 (beta2-m)을 갖지만, IL-1 수용체 길항제 (IL-1Ra)는 그렇지 못하다. 용해성 면역매개체의 발현 수준뿐만 아니라 림프구 표현형(lymphoid phenotype) 분포 및 기능이 포함된 상호적 및 집단적 분포 연구들은 하기 중에서 하나를 갖는 CFS 환자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주된 중복되지 않는 카테고리들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1. IL-1 알파, IL-4, sIL-2R, 및 IL- 1Ra의 혈청 내 농도에 있어서의 변화와 관련된 조절장애된 TNF-알파/베타 발현, IL-1베타, IL-6, 및 TNF-베타 mRNA, 및 T 세포 활성화의 PBMC-관련 발현; 또는 2. sTNF-R1, sIL-6R, 및 베타2-소글로불린의 상호관계되고 조절장애된 발현 및 현저하게 감소된 림프세포증식성 및 NK 세포 세포독성 활성. 나아가, 알로스테시스(allostasis)--변화를 통해 안정성을 달성하는 능력--는 생존에 결정적인 능력으로, 많은 심리장애들은 이러한 안정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징후를 나타낸다. 알로스테시스를 통해, 자율신경계,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계 (HPA) 축삭, 및 심장혈관계, 대사계, 및 면역계가 내부 및 외부 스트레스에 대항하여 신체를 보호한다. 스트레스에 대한 이러한 적응의 가치는 알로스테시스계(allostatic system) 만성 과잉활동 혹은 미달활동의 결과인 소모 (wear and tear)로서 알로스테시스가 부하(load)될 수 있다.
야기주사(challenge)에 대한 신체 반응의 핵심은 복잡한 적응경로를 개시시키고, 위험이 사라지면 이러한 반응을 차단하는, 두 배로, 작동된 알로스테시스 반응이다. 가장 공통적인 알로스테시스 반응은 교감신경계 및 HPA 축삭을 포함한다. 이들 시스템들을 위하여, 활성화는 신경 및 부신수질로부터 카테콜아민을 분비시키고 뇌하수체로부터 코로티코트로핀의 분비를 유도한다. 이어서, 코르티코트로핀은 부신피질로부터 코르티졸의 분비를 매개한다. 비활성화는 상기 시스템들을 코르티졸 및 카테콜아민 분비의 기저-수준으로 회복시키는데, 이는 위험이 사라지면 정상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만약 비활성화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에 과다 노출되게 된다. 수주일, 수개월 혹은 수년 이상, 스트레스 호르몬의 증가된 분비에의 노출은 소위 알로스테시스 부하 및 그의 면역병리생리학적 결과를 가져온다. 일생동안 알로스테시스 부하는 소모되거나 혹은 소진되기 위하여 알로스테시스 시스템들을 야기할 수 있다. 노년층에서의 연약함은 일반적으로 소모된 알로스테시스 시스템의 결과로 알려지고 있다. HPA 축삭의 조절 및 인식에 있어서 취약한 연결은 해마 지역(hippocampal region)이다. 뇌의 이 지역에서의 소모는 HPA 축삭의 조절장애 및 인식장애를 유발한다. 실제로, 전체가 아닌, 일부 노년층은 이들 모두가 염증성 해마 손상의 기원이 될 수 있는, 발작적, 단언적, 및 공간적 기억장애 및 HPA 축삭의 과다활동을 갖는다. 최근의 데이터는 유사한 사례들이 원인불명의 정동장애를 갖는 보다 젊은 연령의 인간에게서 야기됨을 보여준다. 알로스테시스 부하의 한 유형으로서, 일부 알로스테시스 시스템에 의한 부적절한 반응들은 다른 시스템에서 보충적인 증가를 유발한다. 한 시스템이 스트레스성 자극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에, 활동이 저하된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역-조절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시스템들의 활성은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만약 코르티졸 분비가 스트레스에 대해 증가하지 않는다면, (코르티졸에 의해 역조절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분비가 증가한다. 증가된 염증반응의 부정적 결과는, 예컨대, 영향을 받는 환자들이, 종종 유전적으로 결정된 HPA 축삭의 반응성 저하에 의해 더욱 악화되는, 자가면역 및 염증장애에 매우 민감해지는 것이다.
또한, 분만 후 수개월은 일부 여성들이 심각한 정동장애에 걸리기 쉬운 시기이다. 상기 질병은 통상적인 심리치료 방법들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산후우울증 또는 산욕기정신병의 경우에, 이들은 종종 주요 우울증 또는 양극성 장애의 과거 병력을 갖는 여성에게서 야기된다. 산후정신병이 진단적으로 독립적인 질병인지 여부 혹은 이것이, 근원적인 양극성 (또는 조울증) 장애의 소견인, 급속하게 진화하는 정신병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상당히 논쟁이 일고 있다. 현재까지, 기존의 심리학 연구들은 후자의 관점을 지지하고 있다.
본 발명은 발생빈도를 줄이고, 신경면역질환의 심리학적 소견들의 지속적인 효과를 제한하고자 하는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신경장애를 앓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환자들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질병 진행으로부터 야기된 장애를 방지하고 CNS 조직 복구를 촉진하기 위하여, 특히 질병이 진행되는 동안에, 부가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분비로부터 야기된 신경장애 혹은 정동장애의 염증성분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 예컨대 영장류에서 발생한 신경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특히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 및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신호분자,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신호분자들의 혼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예컨대 영장류에서, 부가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와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경질환의 병인론에 있어서 세포-매개성 면역이 관여하는 것을 대항하고 NFκB-유도성 사이토카인 발현의 핵심적 역할을 표적함으로써 신경장애의 염증성분을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NS-기초와 유사한) NFκB 발현의 결과로서, 독성 염증매개체들이 분비되어 혈액-뇌 장벽의 분해를 지속하고 축삭 및 신경교의 손상을 야기한다. 산화질소는 정상적인 혹은 저수초성 축삭들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일시적으로 전도를 차단하고, 이미 손상된 경로들로부터 야기되는 결손을 가역적으로 증가시킨다. 급성염증이 용해됨에 따라, 경로들은 산화질소에 의해 유도된 생리학적 전도 차단으로부터 해방된다. 증상들은 또한 세포성 및 전신성 수준에서 재조직된 생존한 기능적 경로로서 향상된다. 동시에, 이들 기작들은 상기 질병에 있어서 조기 완화를 설명한다. 그러나, 조직 취약성은 쉽게 노출된다. 고 축삭 발화 빈도에 의해 더욱 악화되는 경우에, 산화질소는 축삭에 구조적 (및 그로 인해 비가역적인) 변화들을 야기한다. 급성 염증과정의 일부로서 반응성 성상세포(astrocyte)들 및 미세신경교(microglia)들에 의해 분비된 사이토카인들 및 성장-촉진 인자들은 내생적 재수초형성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 성상세포 반응성이 병소를 봉쇄하고 신경교증이 추가적인 재수초형성에 대한 물리적 장벽을 야기하여 누적된 결핍을 수용할 만한 능력을 감소시키고 지속적인 결핍의 단계로의 전이를 나타낸다. 영구적인 장애가 염증으로부터의 불충분한 회복에 의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 환자에게 짧은,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신호분자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한다고 생각되는 환자에게서 신경장애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신호분자는 악화되는 사례를 조절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호분자는 바람직하게는 짧은 펩티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개 아미노산 길이의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 또는 유도체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펩티드는 약 3 내지 15개 아미노산 길이의 올리고펩티드,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개 아미노산 길이의 올리고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 또는 유도체이다. 경구 치료를 위해서는, 3 내지 6개 아미노산 길이가 바람직하고, 3 내지 5개 아미노산 길이가 더욱 바람직하고, 3 또는 4개 아미노산 길이가 가장 바람직하다. 경구 치료를 위해 가장 바람직한 펩티드는 펩티드 LQG, QVV, PALP (SEQ ID NO: 34), AQG, LA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또는 LAGV (SEQ ID NO: 10)로부터 선택된다. 물론, 이러한 신호분자는 훨씬 더 길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분자가 최종 목적지에 진입할 때, 예컨대 (효소적으로) 절단될 수 있는, 추가의 아미노산들 또는 다른 곁가지 그룹들로 (그의 N- 및/또는 C-말단이) 연장될 수 있지만, 15개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9개 아미노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6개 아미노산 미만의 작은 크기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는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는 경구 투여 후에 장관 점막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되고 용이하게 혈액-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이러한 소 펩티드는 매우 안정하고 4시간 보다 큰 약학적 반감기를 갖는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또한 산후우울증 또는 산욕기정신병과 같은 정동장애의 치료, 바람직하게는 경구 치료 방법 및 특히, 유전자-조절 펩티드들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및 VLPALP (SEQ ID NO: 4) 및 이들의 기능적 유사체들의 항-염증활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복시키거나 모방함으로써 산후우울증 또는 산욕기정신병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분자의 용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분자가 전사인자의 전위 및/또는 활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유전자 전사인자가 NFκB/Rel 단백질 또는 AP-1 단백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많은 신경장애들이 NFκB 및 AP-1의 활성화에 기인한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증가된 발현을 포함하고,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NFκB/Rel 단백질 또는 AP-1 단백질의 전위 및/또는 활성이 억제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뇌를 파괴하고 사이토카인들 및 케모카인들의 조절장애된 분비에 의해 야기되는 자가면역 또는 전-염증성 파괴에 상당히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진 신경 또는 플레이그 형성(nerve or plague formation) 미엘린라이닝(myelin lining)과 같은 뇌 조직의 파괴가 본 발명에 따른 경구 치료에 의해 억제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펩티드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합성 펩티드들 LQG, AQ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LQGA (SEQ ID NO: 3), VLPALP (SEQ ID NO: 4), ALPALP (SEQ ID NO: 5), VAPALP (SEQ ID NO: 6), ALPALPQ (SEQ ID NO: 7), VLPAAPQ (SEQ ID NO: 8), VLPALAQ (SEQ ID NO: 9), LAGV (SEQ ID NO: 10), VLAALP (SEQ ID NO: 11), VLPALA (SEQ ID NO: 12), VLPALPQ (SEQ ID NO: 13), VLAALPQ (SEQ ID NO: 14), VLPALPA (SEQ ID NO: 15), GVLPALP (SEQ ID NO: 16), LQGVLPALPQVVC (SEQ ID NO: 17), LPGCPRGVNPVVS (SEQ ID NO: 18), LPGC (SEQ ID NO: 19), MTRV (SEQ ID NO: 20), MTR, VVC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추가적인 발현은 주로 NFκB 및 AP-1의 활성화에 기인한 것이다.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은 내피세포, 혈관주위세포 및 부착성 또는 이행성 백혈구에 의해 발현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수많은 전-염증성 및 전-혈액응고 효과를 유도한다. 동시에, 이러한 효과들은 염증, 혈전증 및 출혈에 걸리기 쉽다. 임상적 및 의학적 관심과 유용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살아있는 대상, 바람직하게는 영장류에서 조직 및 기관 내 NFκB-의존성 유전자 발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IL-10에 의해 매개되는 항-염증반응을 필수적으로 상향-조절하고, TNF-알파, 산화질소 (NO), IL-5, IL-6 및 IL-1베타에 의해 매개되는 전-염증반응을 필수적으로 하향-조절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영장류에서 신경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NFκB 조절 펩티드 또는 그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하고, 특히 영장류에서 신경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치료는 NFκB 하향-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용한 NFκB 하향-조절 펩티드들의 예로는 VLPALPQVVC (SEQ ID NO: 21), LQGVLPALPQ (SEQ ID NO: 22), LQG, LQGV (SEQ ID NO: 1), GVLPALPQ (SEQ ID NO: 23), VLPALP (SEQ ID NO: 4), VVC, MTR 및 원형 LQGVLPALPQVVC이다. 훨씬 더 많은 하향-조절 펩티드들 및 그의 기능성 유사체들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방법들을 이용하여 발견될 수 있다. NFκB 하향-조절 펩티드들 중에서 가장 효과가 뛰어난 것은 VLPALPQVVC (SEQ ID NO: 21), LQGVLPALPQ (SEQ ID NO: 22), LQG, LQGV (SEQ ID NO: 1), 및 VLPALP (SEQ ID NO: 4)이다. 이들은 또한 세포에 의한 NO의 생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각각이 NFκB를 하향-조절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세포에 의한 NO 및/또는 TNF-알파의 생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올리고펩티드들 또는 그의 기능적 유사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용이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 신경장애에서 보여지는 회귀성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올리고펩티드들이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및 VLPALP (SEQ ID NO:4)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 또는 유도체가 신경장애의 경구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다. NFκB 조절 펩티드가,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00 ㎎/ℓ의 펩티드 (혹은 유사체) 농도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료와 동시에 제공될 수 있지만, 상기 펩티드는 또한 그 자체로, 예를 들면 일시주사(bolus injection) 혹은 경구제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급성 사례에서는, 1 내지 5 ㎎/㎏ 체중의 용량이, 환자가 안정화될 때까지, 예컨대 일시주사로는 매 8시간마다 혹은 한번 주입시마다, 제공하는 것이 추천되지만, 이후의 유지용량은 경구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심각한 유해반응이 예상되거나 진단된 경우에는, 치료중인 환자의 혈장 내 TNF-알파, IL-6 또는 IL-10 농도와 같은 사이토카인 프로필을 관찰하고 이러한 농도들이 정상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치료를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심각한 급성 양극성 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에게 AQGV (SEQ ID NO: 2), LQGV (SEQ ID NO: 1) 또는 VLPALP (SEQ ID NO: 4)와 같은 NFκB 하향-조절 펩티드를 2 ㎎/㎏의 용량으로 일시주사에 의해 제공하고, AQGV (SEQ ID NO: 2), LQGV (SEQ ID NO: 1) 또는 VLPALP (SEQ ID NO: 4)와 같은 NFκB 하향-조절 펩티드 또는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매 8시간마다 1 ㎎/㎏ 체중의 용량으로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것을 제공한다. 투여량은, 예컨대 환자의 혈장 내 혹은 CSF 내에서 사이토카인 프로필의 관찰 결과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질병 진행은 사이토카인들 및 케모카인들에 의해 극적으로 매개된다. 예를 들어, TNF-알파 패밀리는 CSF 내에서 매우 상승한다. 이러한 사이토카인들 및 케모카인들의 하향조절 또는 T 세포 조절은 T 세포 및 수상세포들이 CNS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여 뇌 및 척수의 병상을 생산하는 전-염증반응을 하향 조절할 수 있다. 세포들의 CNS로의 이동 및 그 후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 및 케모카인들의 분비의 이러한 모델은 이하에 나타나고, NFκB 조절, T 조절세포들의 발달, 및 C-jun 혹은 C-erg와 같은 조기 혹은 전-유전자들의 발현의 중재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병리학자들에게, 신경장애는 종종 급성 국소 염증성 탈수초형성 및 제한적인 재수초형성과 함께 축삭 손실과 같은 소견을 나타내는, 중추신경계의 장애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염증의 일차적인 특징은 논쟁의 여지가 없고 면역계를 조절하는 치료에 핵심적이다. 그러나, 질병의 염증성분에 대해 유도된 전략들의 치료학적 효능을 제한하는 몇몇 문제점들이 있다. 통상적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를 이용한 면역억제는 염증상황을 특이적으로 정지시킬 수 없다. 또한, 자폐증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미국과 유럽의 연구에서 유행하고 있는, 신경장애의 염증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NFκB 하향 조절 펩티드의 사용에 부분적으로 반응한다
본 명세서에는, 각각이 NFκB를 하향-조절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세포에 의한 NO 및/또는 TNF-알파의 생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올리고펩티드들 또는 그의 기능적 유사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용이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적어도 두 개의 올리고펩티드들은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및 VLPALP (SEQ ID NO: 4)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유용한 NFκB 상향-조절 펩티드들은 VLPALPQ (SEQ ID NO: 13), GVLPALP (SEQ ID NO: 16) 및 MTRV (SEQ ID NO: 20)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훨씬 더 많은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이 적절한 (생물학적) 분석에 의해 발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유전자-조절 펩티드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펩티드는 3 내지 15개 아미노산 길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티드가 3 내지 9개 아미노산 길이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티드가 4 내지 6개 아미노산 길이이고, 세포 내에서 사이토카인과 같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펩티드는 세포의 원형질막을 가로지를 수 있는 신호분자이고, 다시 말하면, 막-투과성인 펩티드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발경화증의 치료, 특히 경구치료에 관한 것이고, 예컨대 급성질환의 재발 급증과 함께 나타나고, 재발 혹은 악화로서 전형적으로 알려지고, 본 명세서에서는 다발경화증 (MS)에서 보여지는 재발성/이장성 질병으로 확인되는, 상기 질병의 진행기에서 나타나는 염증성 손상의 치료, 바람직하게는 경구 치료에 관한 것이다.
다발경화증 (MS)은 400명중에 한 명꼴로 평생위험도를 가지며 청소년에게서 잠재적으로 신경장애의 가장 공통적인 원인인, 중추신경계의 원형 염증성 자가면역장애이다. MS가 연구되는 실험동물에 실험적 자가면역/알러지성 뇌척수염 (encephalomyelitis, EAE)을 유발시킬 수 있다. EAE 및 MS 모두에서의 악화는 사이토카인들 및 케모카인들에 의해 극적으로 매개된다. 악화되는 동안에, TNF-알파 패밀리 및 다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이 CSF 내에서 매우 상승하였다. 모든 복합적인 특성을 종합하면, 상기 장애는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은 환경적 요인들과 이에 민감한 유전자들간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동시에, 이들 요인들은 면역계의 침투, 축삭 및 아교세포의 급성 염증손상, 기능의 회복 및 구조적 복구, 후-염증성 신경아교증, 및 신경퇴행을 포함하는 사례들의 일련의 단계적반응을 촉발한다. 이들 과정들의 연속적인 관여는 회복을 동반하는 삽화, 지속적인 결핍을 유발하는 삽화, 및 이차 진행에 의해 특정되는 임상적 경과의 기초가 된다. 이러한 카테고리 각각의 제한된 성공에도 불구하고, 다발경화증에 의해 접촉된 사람들은 누구나 임상 관리에 대한 발병기전의 향상된 이해의 적용으로부터 보다 나은 결과를 기대한다. 현재, 다발경화증은 전 세계적으로 약 2-5백만 명의 환자들이 앓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병리학자들에게, 다발경화증은 중추신경계의 장애로, 급성 국소 염증성 탈수초형성 및 제한된 재수초형성과 함께 축삭 손실의 소견을 보이고, 상기 질병이 그의 이름을 얻게되는, 만성 다초점 경화성 플라크(chronic multifocal sclerotic plaque)내에서 절정에 달한다. MS 내 탈수초형성은 T-세포 유도성 염증반응에 의해 발병한다. 따라서, 염증의 일차적 특성은 명백하고 면역계를 조절하는 치료의 핵심으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질병의 염증성분에 대항하여 독점적으로 유도된 전략들의 치료학적 효능을 제한하는 몇몇 문제점들이 있다. 통상적으로, 면역억제는 인터페론 β 또는 공-중합체 I를 이용한 염증 상황을 정지시킬 수 없는데, 이러한 치료들은 염증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고, 감소시킨다. 나아가, 염증의 유발 (바이러스-유도성 대 자가면역)이나 병에 걸린 환자들의 CNS내 특정 표적항원이 전부 밝혀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염증반응 내에서 보다 특이적으로 개재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환자에게, 다발경화증은 특정 회귀성 주제들과 예측불가능한 과정이 아닌 명 백하게 수많은 다양한 증상들을 수반한다. 신경학자들에게, 다발경화증은 뇌척수 내에서 서로 다른 부위에 서로 다른 시간에 침범한, 적어도 두 개의 탈수초형성 병소들에 대한 임상적 및 파라임상적(paraclinical) 증거에 근거하여 진단되는 청소년기의 장애이다. 임상학자들에게, 다발경화증은 기초적이고 임상적인 신경과학 학문분야들의 범위를 통합하여 얻어진 지식들이 이미 치료를 위한 합리적인 전략들을 가능케 한 중추신경계의 원형 (prototypic) 염증성 자가면역질환이다. 이들 모든 그룹들에게, 다발경화증은 이를 완치시킬 수 있을 것 같은 치료법들이 아직까지 정의되지 않고 남아있는 난치병이다.
다발경화증에서 면역공격의 중요한 표적인 희소돌기아교세포는 중추신경계 내 약 40개에 이르는 이웃하는 신경 축삭의 수초형성돌기 (myelin sheath)를 합성하고 유지한다. 조밀한 수초는 축삭의 도약전도를 위해 요구되는 절연성 분절화된 돌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축삭 주위를 나선형으로 감싸고 있는 응축된 막으로 구성된다: 전압개폐 나트륨 통로들은, 활동전위가 이로부터 전파되어 다음 결절에서 또 다른 활동전위를 촉발하기 위하여 유수신경섬유 분절을 비활성으로 하향 전파시키는, 수초 분절들 사이의 랑비에르 무수결절에 밀집되어 있다. 도약전도를 위한 탈수초형성의 결과들이 다발경화증의 많은 임상적 및 실험적 특징들을 설명할 수도 있다. 부분적으로 탈수초성 축삭들은 감소된 속도에서 임펄스를 전도하는데-이는 유발전위(evoked potential)의 전도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지연을 설명해준다. 탈수초성 축삭들은 동시에 방전될 수 있고, 증가된 기계적 민감성을 나타내는데-이는 눈운동에서 빛의 섬광 (안내섬광) 및 목 굴곡에서 척추와 사지를 흘러내리는 전기 적 감각을 설명해준다 (레르미트(Lhermitte) 증상 및 징후). 전도를 위한 그의 안전계수가 손상된, 부분적으로 탈수초성 축삭들은 온도의 상승에 의해 유도되는 막 용량 내 감소 및 전도 상실을 지탱할 수 없는데-이는 운동 또는 뜨거운 목욕 후의 증상들 및 징후들의 특징적인 양상들을 유도한다 (우토프(Uhthoff) 현상). 에팝틱전달(Ephaptic transmission, 혼선전달)은 이웃하는 탈수초성 축삭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고, 그 결과로 발작증상들(삼차신경통, 운동실조, 및 구음장애, 또는 1 또는 2분간 지속되고 종종 접촉 또는 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사지의 고통스러운 강직성 체위)을 나타낸다. 다발경화증을 갖는 개체들은 물리적 및 인지적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에 특히 피로를 느끼고, 회복하는데 오래 걸린다: 비록 불완전하게 이해되었고, 대개는 다인성이라고 하더라도, 다발경화증에서 피로는, 격리된 경우에서조차도 매우 무능력해질 수 있다.
다발경화증은 남성에 비하여 여성에게서 두 배 이상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원인불명의 편향성은 많은 다른 잠정적 자가면역질환에서 보여지는 바와 유사하다. 상기 질병은 매년 1000,000명당 약 7명 꼴의 발병율, 100,000명당 120명 꼴의 유병율, 및 400명당 1명 꼴의 평생위험도를 갖는다. 환자들의 80%는 재발성/이장성 질병을 나타내고, 전형적으로, 상기 질병은 완쾌되는 재발, 지속적인 결손을 가져오는 재발 및 이차적인 진행을 경험한다. 환자의 약 25%에서, 다발경화증은 일상생활의 활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대로, 약 15% 정도의 환자는 단시간 내에 극심하게 무력화될 수 있다. 삽화들은 무작위적인 간격으로 발생하지만, 1년에 약 1명 꼴의 초기 평균값은 그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환자의 20%에서, 상기 질병은 발병 이후로 계속 진행되는데, 따라서 이를-척수 및, 덜 빈번하게는, 시각신경, 대뇌, 또는 소뇌에 영향을 미치는-일차적 진행이라고 부른다. 질병은 보통 30대 혹은 40대에 발병하지만, 다발경화증을 갖는 환자의 2%는 10세 이전에 나타나고, 5%는 16세 이전에 나타난다. 어린이에게서,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 (ADEM)으로부터의 구별은 주로 수반되는 자연경과를 관찰함에 의해서만 확인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비연관성 원인으로 사망하는 대부분의 환자들의 수명은 발병으로부터 적어도 25년이다.
건강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조절성 T 세포들에 의한 견제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자가반응성 수초 T 세포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자가면역질환에서 면역조절의 파괴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가설은 특정 HLA/MHC 클래스 Ⅱ 분자들 (유전적 위험의 한 성분)의 고랑 (groove)에서 나타나는, 펩티드 (환경적 요인)가 면역학적으로 자기-항원과 구분되지 못하고, 그로 인해 감염에 대한 적절한 반응이 희소돌기아교세포 수초 단위의 특정 성분에 대한 부적절한 염증을 유발하게 됨을 제안하는 분자모방(molecular mimicry)이다. 이러한 전신효과는 모든 기관-특이적인 자가면역질환에서 공통적으로, 전체 표적기관에 대한 지속적인 자가면역 공격이 아니라, 이보다는, 일시적이고 공간적으로 분리된 면역 병소들을 유발한다.
조절 상실은 자가반응성 T 세포들의 증식, 활성화, 및 순환계로의 진입을 유도한다; 이들은 부착분자들을 발현하고 내피에서 상호변화를 유도하여 혈액-뇌 장벽을 가로질러 중추신경계 내로 접근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여기에서, 활성화된 T 세포들은 항원 및 활성 미세아교세포(CNS 대식세포)와 다시 접촉하게 된다; 이어 서, 이들은 클래스 Ⅱ 분자들을 발현하고 T 세포들에 대한 항원을 다시 표현하고, 일부 중성구와 함께 활성화된 T 세포들 및 미세아교세포 내에 침윤성 병소를 풍부하게 제공하는, 전-염증성 루프를 확립한다.
독성 염증매개체들이 분비되어 혈액-뇌 장벽의 파괴를 지속시키고 축삭들 및 아교세포의 손상을 야기한다. 산화질소는 정상적 혹은 저수초성 축삭들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일시적으로 전도를 차단하고 이미 손상된 경로들로부터 야기된 손실들을 가역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급성염증이 용해됨에 따라, 경로들은 산화질소-유도성 생리학적 전도 차단으로부터 해방된다. 증상들 또한 생존하는 기능적 경로들이 세포성 및 전신성 수준에서 재조직됨에 따라 개선된다. 동시에, 이들 기작들은 상기 질병에 있어서의 조기재발을 설명한다. 그러나, 조직 취약성이 쉽게 노출된다. 고 축삭 발화 빈도에 의해 더욱 악화되는 경우에, 산화질소는 축삭에 구조적 (및 그로 인해 비가역적인) 변화들을 야기한다. 급성면역 플라크들의 축삭성 횡절단은 신경분광마커인 N-아세틸 아스파르트산염 (NAA)의 감소를 통해 조직학적이고 방사선학적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횡절단된 축삭들은 이후의 18개월 동안 왈러 변성 (Wallerian degeneration)을 거치지만, 이러한 작용이 병소를 확장시키거나 임상적 결손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급성염증반응의 일부로서 별아교세포 및 미세아교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사이토카인들 및 성장-촉진 인자들은 내생적 재수초형성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 별아교세포 반응성이 병소를 봉입하고 신경교증이 더 이상의 재수초형성에 대한 물리적 장벽을 야기하여 누적되는 손실을 수용하기 위한 능력을 감소 시키고 지속적 손실 단계로의 전이를 나타낸다.
일부 영구적인 장애는 질병 삽화들로부터의 불완전한 회복에 의해 야기되므로, 재발 빈도는 다발경화증의 재발-이장기 동안에 장애의 축적과 반드시 연관시켜야만 한다. 타입-1 인터페론들은, 재발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감염의 소인을 고려하여, 이들의 항-바이러스 작용을 이용하여 다발경화증에 최초로 사용되었다. 사실상, 이들의 작용기작은 면역학적이고 복잡하다: 본 발명자들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기능적 길항작용 및 클래스 Ⅱ MHC 항원 제시의 하향조절에 대한 증거를 선호한다; 그러나, 다른 작용기작들-혈관-뇌 장벽 (BBB)에 대한 영향을 포함하여-이 동등하게 충분히 논의될 수 있다.
또한, 인테페론 베타-1b가 아닌, 두 개의 인터페론 베타-1a 제제들의 시도에서만, 재발률에 있어서의 이러한 변화가 장애의 축적에 있어서의 감소에 의해 수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감소는 이차적인 진행에 대한 효과라기보다는, 재발과 관련된 손실의 축적에 있어서의 감소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세 개의 다른 제제들이 재발성/이장성 다발경화증에서 재발률, 및 장애의 축적을 감소시킨다; 각각은 베타-인터페론들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며 수용가능한 유해효과 프로필을 갖는다. 합성 폴리펩티드들의 혼합물인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 (Glatiramer acetate, Copaxone, Teva)가, 아마도 수초 기초 단백질(MBP)의 T-세포 수용체에 대한 결합을 억제하거나 수초-자가반응성 T 세포들의 표현형을 변형시킴으로써, 실험적 자가면역/알러지성 뇌척수염을 억제하는 것이 우연히 발견되어 주목을 받았다. 상기 약물은 25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매년 재발 율이 치료군에서 25% 정도 감소된 결과를 기초로 미국 및 유럽에서 재발성-이장성 다발경화증의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은 퓨린(purine) 합성을 억제하여 림프구 증식을 억제하고, 임상결과가 덜 엄격한 방법에서 얻어지고 좀더 공평하게 보고되었다고 하더라도, 대개는 베타 인테페론들과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마이토잔트론 (Mitoxantrone)은 DNA 토포아이소모라제(topoisomerase) Ⅱ의 억제를 통해 분열 및 비분열 세포에서 DNA 복구 및 합성을 억제한다; 이는 잠재적으로는 베타 인터페론 보다 훨씬 더 독성을 나타내지만, 진행기에 고 재발 빈도를 나타내는 환자를 포함하여, 공격적 재발성 질병의 치료에 대해 미국에서 허가를 받았다.
재발을 억제하고 이러한 결과들을 제한하는 능력이 부분적이라는 사실의 관점에서, (이들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어떤 박식한 정신분석가도 베타-인터페론들이 다발경화증의 결정적인 치료방법이라고 합리적으로 단정할 수 없다. 약학산업은 신규한 면역요법 전략들에 대한 상당한 투자와 함께, 지금까지 상승효과에 대한 증거를 강요하지 않으면서, 기존의 약물들의 병용 (예컨대, 베타-인터페론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에 관한 연구들을 후원함으로써 대응해왔다. 인터페론 β-1b 및 β-1a 및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는 북미에서 재발성 MS를 앓는 환자들에게 광범위하게 처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약물들은 비용 (일년에 US $ 11,000), 불편함 (비경구 투여), 부작용의 잦은 발생 (특히, 인터페론 각각의 주사 후 많은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몇 시간 동안의 '감기-유사' 증상들) 및 질병경과에 상대적으로 온화한 전면 충격 (예를 들면, 35% 미만의 재발률 감소)을 포함하는 심각한 한계점을 갖는다. 나아가, 재발성-이장성 MS에서 치료 시작 후 1년 이상 인터페론 β의 치료학적 효과는 불명확하다. 내셔널 다발경화증 협회 (The National Multiple Sclerosis Society)는 임상적으로 심각한, 재발성 MS를 갖는 모든 환자들에게 이러한 요법들의 사용을 추천하는 진료 지침을 허가하였다. MS에 대해 지시된 다른 요법들은 MS 환자를 TNF-알파, IL-6 또는 IL-12와 같은 사이토카인에 대해 유도된 (단일클론) 항체로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항-TNF-α 요법과 같은 이러한 사이토카인-차단 제제들의 사용이 MS 환자들의 치료에서 중요한 치료학적 부가일 것이라는 사실에 거의 동의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단일 사이토카인 중화 요법들과 관련한 유해효과들이 확인되었다. 또한, 원인불명이지만, 단일 사이토카인 차단 단백질들은 항-dsDNA 항체들의 형성을 야기할 수 있고, 반복적인 치료 후 누적된 ANA 발생빈도는 50%까지 높아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TNF-알파 항체 요법은 루푸스-유사 증상들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탈수초성 질환 및 무형성 빈혈(aplastic anaemia)이 소수의 이와 같이 치료된 환자들에게서 보고된 바 있다. 키메라요법 항체들의 반복적인 투여의 주된 문제점은 면역원성(immunogenicity)이고, 환자를 치료하는 항체의 60% 정도가 주입 반응들과 관련되고 치료효과를 감소시키는 인간 항키메라 항체들 (HACAs)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발생빈도를 줄이고, 재발 또는 악화의 지속적인 효과를 제한하고, 재발되는 동안에 부가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분비로 인한 증상들을 완화시키고, 재발 후 질병의 진행으로부터 야기되는 장애를 예방하고, 재발 후 조직 복구 를 촉진하기 위한 특별한 목표를 가지고, 다발경화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대상, 특히 인간의 치료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상, 특히 인간에게 야기된 재발성/이장성 다발경화증의 경우에 재발되는 동안 경구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환자, 예컨대 MS 또는 EAE로 고통받는 영장류에게 본 발명에 따른 신호분자,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신호분자들의 혼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부가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와 관련된 악화가 재발하는 동안 경구 치료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재발되는 동안 경구 치료를 위해 펩티드 LQG, QVV, PALP (SEQ ID NO: 34), AQG, LA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또는 LAGV (SEQ ID NO: 10)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펩티드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특히 눈 신경염(neuritis optica)과 같은 신경손상의 징후가 관찰되었지만 MS가 발병하지는 않은 인간의 치료를 위해, 그것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환자들에게서 다발경화증의 발병을 예방하는 방법, 환자, 특히 인간에게서 야기된 재발성/이장성 다발경화증의 치료를 위해, 다발경화증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분자의 용도, 및 특히 인간에게서, 부가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와 관련된 악화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신호분자 혹은 혼합물의 투여는 전신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또는 피하 투여에 의해 이루어지고, 악화기 동안에 부가적으로 분비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효과를 완충시킨다. 심각한 경우에는, 수막강내 (intrathecal) 투여가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치료는 점막 투여,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환자에게 짧은, 유전자 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신호분자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것을 필요로 할 것으로 생각되는 환자에게서 MS의 재발성/이장성 질병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신호분자는 원인불명 사례를 조절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호분자는 바람직하게는 짧은 펩티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30개 아미노산 길이의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 또는 유도체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펩티드는 약 3 내지 약 15개 아미노산 길이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6개 아미노산 길이의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 또는 유도체이다. 물론, 이러한 신호분자는 상기 분자가 최종 목적지에 침투할 때, 예컨대 (효소적으로) 잘려질 수 있는, 추가의 아미노산들 또는 다른 곁사슬 그룹들로, 예컨대 (N- 및/또는 C-말단을) 연장시킴으로써, 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분자가 유전자 전사인자의 전위 및/또는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이 본 발명에서 제공된다. 상기 유전자 전사인자가 NFκB/Rel 단백질 또는 AP-1 단백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은 많은 재발성/이장성 사례들은 NFκB 및 AP-1의 활성화에 기인한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증가된 발현을 유도하고,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NFκB/Rel 단백질 또는 AP-1 단백질의 전위 및/또는 활성이 억제된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 서, 상기 펩티드는 펩티드 LQG, AQ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LQGA (SEQ ID NO: 3), VLPALP (SEQ ID NO: 4), ALPALP (SEQ ID NO: 5), VAPALP (SEQ ID NO: 6), ALPALPQ (SEQ ID NO: 7), VLPAAPQ (SEQ ID NO: 8), VLPALAQ (SEQ ID NO: 9), LAGV (SEQ ID NO: 10), VLAALP (SEQ ID NO: 11), VLPALA (SEQ ID NO: 12), VLPALPQ (SEQ ID NO: 13), VLAALPQ (SEQ ID NO: 14), VLPALPA (SEQ ID NO: 15), GVLPALP (SEQ ID NO: 16), LQGVLPALPQVVC (SEQ ID NO: 17), LPGCPRGVNPVVS (SEQ ID NO: 18), LPGC (SEQ ID NO: 19), MTRV (SEQ ID NO: 20), MTR, VVC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경구 치료를 위해 가장 바람직한 펩티드는 펩티드들 LQG, QVV, PALP (SEQ ID NO: 34), AQG, LAG,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또는 LAGV (SEQ ID NO: 10)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부가적인 발현은 주로 NFκB 및 AP-1의 활성화에 기인한다.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은 (예컨대, 외상에 의해) 수많은 전-염증성 및 전-혈액응고 효과를 유도하는, 내피, 혈관주위세포들 및 부착성 혹은 이행성 백혈구들에 의해 발현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효과들은 염증, 혈전증 및 출혈에 걸리기 쉽게 만든다. 임상적 및 의학적 관심 및 가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IL-10에 의해 매개되는 항-염증반응들은 필수적으로 상향 조절하고, TNF-알파, 산화질소 (NO), IL-5, IL-6, IL-12 및 IL-l베타에 의해 매개되는 전-염증반응들은 필수적으로 하향-조절함으로써, 살아있는 대상, 바람직하게는 영장류의 조직 및 기관에서 NFκB-의존성 유전자 발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단일 사이토카인 요법과 비교하여,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NFκB 하향-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이용하는, 항-TNF-알파, 항-IL-5, 항-IL-6, 항-IL-12, 항-IL-23, 항-IL-12p40, 항-IL23p40 또는 항-IL1베타 항체들의 용도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주요 네트워크가 하향-조절되는 주된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영장류에서, MS에 수반되는 재발성/이장성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NFκB 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유도체들의 용도, 및 특히 영장류에서, MS에 수반되는 재발성/이장성 질병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치료는 환자에게 NFκB 하향-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성 유사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용한 NFκB 하향-조절 펩티드들의 예로는 VLPALPQVVC (SEQ ID NO: 21), LQGVLPALPQ (SEQ ID NO: 22), LQG, LQGV (SEQ ID NO: 1), GVLPALPQ (SEQ ID NO: 23), VLPALP (SEQ ID NO: 4), VVC, MTR 및 원형 LQGVLPALPQVVC (SEQ ID NO: 17)이 있다. 훨씬 더 많은 하향-조절 펩티드들 및 그의 기능적 유사체들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발견될 수 있다. NFκB 하향-조절 펩티드들 중 가장 효과가 뛰어난 것은 VLPALPQVVC (SEQ ID NO: 21), LQGVLPALPQ (SEQ ID NO: 22), LQG, LQGV (SEQ ID NO: 1), 및 VLPALP (SEQ ID NO: 4)이다. 이들은 또한 세포에 의한 NO의 생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MS가 재발하는 동안에 재발성/이장성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단일 사이토카인 차단 단백질, 예컨대 항-TNF-알파, 항-IL-5, 항-IL-6, 항-IL-12, 항-IL-23, 항-IL-12p40, 항-IL-23p40 또는 항-IL-1베타 항체 또는 그의 기능적 유사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신호분자를 동시에, 혹은 적어 도 시기 적절하게,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항-TNF-알파, 항-IL-5, 항-IL-6, 항-IL-12, 항-IL-23, 항-IL-12p40, 항-IL-23p40 또는 항-IL-1베타 항체로 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고 생각되고 MS의 경험이 있다고 생각되는 MS 환자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분자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올리고펩티드들 또는 그의 기능적 유사체들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이 NFκB를 하향 조절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세포에 의한 NO 및/또는 TNF-알파의 생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의 사용이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올리고펩티드들은 MS에 수반되는 재발성/이장성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LQGV (SEQ ID NO: 1), AQGV (SEQ ID NO: 2), 및 VLPALP (SEQ ID NO: 4)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MS에 수반되는 재발성-이장성 질병의 경과에서 신체에 의해 수용된 다양한 신호들에 대한 반응으로서, 전사인자들의 NFκB/Rel 패밀리는 활성화되어 κB-특이적인 결합부위들을 함유하는 표적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해 이들 중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이종- 및 동종이량체를 형성한다. NFκB 전사인자들은 Rel 상동성 도메인에 의해 특정되는 관련 단백질들의 패밀리의 이종- 또는 동종이량체들이다. 이들은 활성 도메인들 (p65-RELA, RELB, 및 c-REL)을 포함하는 것과 활성 도메인들 (p50, p52)이 결여된 것의 두 하위 패밀리를 형성한다. 원형의 NFκB는 p65 (RELA) 및 p50 (NFκB1)의 이종이량체이다. 활성화된 NFκB 이량체들 중에서, p50-p65 이종이량체들은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를 증강시키는데 관여하는 반면, p50-p50 동종이량체들은 전사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65-p65 동종이량체들은 표적 유전자들에 대한 전사활성 및 억제활성 모두에 대해서 알려져 있다. 서로 다른 NFB 이량체들에 대해 다양한 친화력을 갖는 κB DNA 결합부위들이 다수의 진핵세포 유전자들의 프로모터들에서 발견되었고, 활성화된 NFκB 동종- 및 이종이량체들간의 균형이 궁극적으로는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의 특성 및 수준을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NFκB-조절 펩티드"는 전사인자들의 NFκB/Rel 패밀리의 구성원들의 활성화를 조절할 수 있는 펩티드 또는 이의 변형체 또는 유도체를 말한다. NFκB의 활성화는 표적 유전자들의 증가된 전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는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 억제를 유도할 수도 있다. 조절은 전사의 상향조절 및 하향조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도체 또는 유사체는 MS에 수반되는 재발성/이장성 질병의 치료를 위한 경구 용도용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해 사용된다. NFκB 조절 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00 ㎎/ℓ의 펩티드 (혹은 유사체) 농도로 다른 MS 치료와 동시에 제공될 수 있지만, 상기 펩티드는 또한 단독으로, 예를 들면 일시주사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초기에 1 내지 5 ㎎/㎏ 체중의 용량이, 환자가 안정화될 때까지, 예컨대 일시주사로는 매 8시간마다 혹은 한번 주입시마다, 제공하는 것이 추천되지만, 경구치료의 잠재력은 그 이후에 경구투여의 신속한 이행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심각한 유해반응이 예상되거나 진단된 경우에는, 치료중인 환자의 혈장 내 TNF-알파, IL-6 또는 IL-10 농도와 같은 사이토카인 프로필을 관찰하고 이러한 농도들이 정상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를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심각하고 급성인 악화(재발)를 겪고 있는 환자에 게 AQGV (SEQ ID NO: 2), LQGV (SEQ ID NO: 1) 또는 VLPALP (SEQ ID NO: 4)와 같은 NFκB 하향-조절 펩티드를 2 ㎎/㎏ 용량으로 일시주사에 의해 제공하고, AQGV (SEQ ID NO: 2), LQGV (SEQ ID NO: 1) 또는 VLPALP (SEQ ID NO: 4)와 같은 NFκB 하향 조절 펩티드 또는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매 8시간마다 1 ㎎/㎏ 체중의 용량으로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것을 제공한다. 경구 치료는 재발이 안정화될 때까지 0.01 내지 10 ㎎/㎏ 체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 체중의 투여량을 사용하여 개시된다. 투여량은, 예컨대 환자의 혈장 또는 CSF 내 사이토카인 프로필을 관찰한 결과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물론, 재발이 좀더 온화한 것으로 보일 때에는, 경구 치료가 먼저 선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험적 자가면역/알러지성 뇌척수염 (EAE) 및 MS 모두에서의 악화 및 질병 경과는 사이토카인들 및 케모카인들에 의해 극적으로 매개된다. MS가 악화되는 동안, TNF-알파 패밀리는 CSF 및 혈장 내에서 현저하게 증가된다. IL-12 활성 또한 종종 높다. 이러한 사이토카인들 및 케모카인들의 하향조절 또는 T 세포 조절은 T 세포 및 수지상세포들이 CNS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나아가 뇌 및 척수의 탈수초형성을 유도하는 전-염증반응을 하향 조절한다. 세포들의 CNS로의 이동 및 그 후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 및 케모카인들의 분비의 이러한 모델은 재발성/이장성 질병의 경과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고 NFκB 조절, T 조절세포들의 발달, 및 C-jun 혹은 C-erg와 같은 조기 혹은 전-유전자들의 발현의 중재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치료 프로토콜은 또한 다발경화증 및 그의 변형들의 악화와 유사하거나 이를 포함하는 다른 질병들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다른 변형들은 EAE 및 홍역, 즉 SSPE, 볼거리, 출혈성 바이러스 감염, 진행성 다발성 뇌병증 또는 파필로마바이러스 (JC 바이러스) 질환, 면역뇌병증을 유발하는 세균성 심내막염, 대뇌 뇌병증이 있는 말라이라, 주혈선충증 및 다른 기생충 뇌염, 라임병, EBV, CMV, 및 HHV6과 같은 모노-유사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허피스 1-8 질환, 리케차병(rickettsial disease), 즉 티푸스, 록키산 홍반열, 및 Q열, 클라마이디아 질병, 즉 트라코마, NSU, 폐렴클라마이디아, 마이코플라즈마 관절염 및 뇌염, HIV-1 및 2 뇌염 및 치매, 아르보바이러스 질환, 토가바이러스 질환 및 다른 렌티바이러스 또는 분야바이러스 또는 플라비바이러스 질환과 같은 다른 감염성 및/또는 면역 기반 수막뇌병증에서 부가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나타내는 것이다. 감염성 및/또는 염증 기반 수막뇌병증(meningo-ecephalomyelites)의 다른 형태들은 급성 세균성 감염, 스피로헤타 감염 (뉴로루스 (neurolues)), 라임 신경보렐리아증, 결핵, 바이러스성 감염 (엔테로바이러스, 볼거리, 허피스 심플렉스 타입 2, 토가바이러스 (아르보바이러스), HIV 타입 1 및 2, HTLV-1 감염), 진균성 감염 (크립토코쿠스 네오포르만스 (cryptococcus neoformans), 콕시디오이데스 임미티스 (coccidiodes immitis), 블라스토마이세스 데르마티티디스(Blastomyces dermatidis), 브라질파라콕시디오이데스(Paracoccidioides brasiliensis), 스포로트릭스 스첸키(sporothrix schenkii), 히스토플라스마 캡슐라툼(Histoplasma capsulatum), 슈달레스체리아 보이디(Psuedallescheria boydii) 및 색소성 진균(dermatiaceous fungi), 칸디다 (candida) 및 아스퍼르질러스(aspergillus) 종 및 접합균(zygomycete)과 같은 대부분의 기회감염), 원충감염 (뇌 말라리아, 톡소포자충증(toxoplasmosis), 파동편모충 종(trypanosoma species), 자유아메바 종(naegleria species) 및 연충(helminths)), 신경사르코이드증,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및 예방접종 이후의 신경 합병증들이다.
점막 및 경구 투여 실험예 1:
제료 및 방법: 암컷 NOD 마우스를 네덜란드, 발크버그의 럭키 농장에서 병원체-부재 시설 내에서 사육하고 유지하였다. 모든 마우스들에게 음식과 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21 내지 22주령의 당뇨병 암컷 NOD 마우스 (n=5)를 1 ㎖당 4 IU의 hCG (프레그닐 (pregnyl); 배치번호 235863) 또는 유전자-조절 펩티드 LQGV (SEQ ID NO: 1), GVLPALPQ (SEQ ID NO: 23) 및 VLPALP (SEQ ID NO: 4)의 혼합물 (각각 1 ㎍/㎖)을 포함하는 물을 4주 동안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마우스에게는 일반적인 물만을 공급하였다. 상기 4주의 처리기간 동안에 마우스들의 음용 행동, 배뇨, 및 털의 모양을 매일 관찰하였다.
결과: 4주간의 처리동안, 치료받지 않은 마우스들은 매일매일 이들의 식수병이 다시 채워져야만 했고 심각한 당뇨병 마우스의 일반적인 징후인 삼투성(percolated) 털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훨씬 많은 물을 섭취하였고 이는 심각한 당뇨병이 있는 마우스의 정상적인 징후이다. hCG 또는 유전자-조절 펩티드 혼합물 을 포함하는 물이 처리된 마우스들은 실험이 시작되고 4일 경과 후에는 정상적인 양의 물을 섭취하였고 그 이후부터 시험기간 동안에 이들의 털은 정상적이었다.
결론: 본 실험은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의 경구 치료에 기인할 뿐만 아니라 상업적 hCG 제제의 경구 치료에 기인하여 이미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마우스들이 대조군 그룹에 비하여 덜 중증의 당뇨병 증상들을 나타냄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hCG 제제 또는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의 경구 치료는 눈에 띄는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조 hCG 제제 및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은 입이나 소화관을 통해 흡수될 수 있다.
실험예 2:
재료 및 방법: 암컷 NOD 마우스를 네덜란드, 발크버그의 럭키 농장에서 병원체-부재 시설 내에서 사육하고 유지하였다. 모든 마우스들에게 음식과 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12 내지 14주령의 비-당뇨병 암컷 NOD 마우스 (n=14-16)를 서로 다른 4개의 배치 (batch)로 나누어 1 ㎖당 4 IU의 hCG (프레그닐; 배치넘버 235863, 248455, 293703 및 313692)를 포함하는 물 또는 보통 물만을 7주 동안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치료가 끝나면, 마우스들의 요(urine) 내 글루코스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여 당뇨병을 평가하였다. 마우스들은 요 내 두 번의 연속적인 글루코스 측정 이후에 당뇨병으로 간주되었다.
결과: 보통 물로 처리된 16마리의 마우스 중 5마리가 실험이 끝난 후 당뇨병 을 나타낸 반면, 배치 235863으로 처리된 16마리의 마우스 중 2마리, 배치 248455로 처리된 16마리의 마우스 중 3마리, 배치 293703으로 처리된 14마리의 마우스 중 1마리 및 배치 313692로 처리된 14마리의 마우스 중 2마리가 당뇨병이었다.
결론: 본 실험은 상업적 hCG 제제를 이용한 NOD 마우스의 경구 치료가 치료 기간 동안 당뇨병의 발병율을 감소시킴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험은 프레그닐의 치료효과는 서로 다른 배치들 중에서 변화함을 나타낸다.
실험예 3:
재료 및 방법: 암컷 NOD 마우스를 네덜란드, 발크버그의 럭키 농장에서 병원체-부재 시설 내에서 사육하고 유지하였다. 모든 마우스들에게 음식과 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11 내지 13주령의 비-당뇨병 암컷 NOD 마우스 (n=9)에게 유전자-조절 펩티드들 LQGV(SEQ ID NO: 1), GVLPALPQ (SEQ ID NO: 23) 및 VLPALP (SEQ ID NO: 4)(각각 1 ㎍/㎖)을 포함하는 물의 적량(滴量, drop)(50 ㎕) 또는 보통의 물 적량을 5주간 일주일에 세 번씩 제공하였다. 적량은 볼 주머니(buccal sac) 내 입으로 한 방울씩 떨어트렸다. 처치 후, 마우스들을 15주 동안 더 생존시켰다. 31-33주령에서, 마우스들의 요 내 글루코스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여 당뇨병을 평가하였다. 마우스들은 요 내 두 번의 연속적인 글루코스 측정 이후에 당뇨병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나서, 마우스들을 희생시키고 MP 12/20 고 양성 골수세포(high positive bone marrow cell)들의 비율을 FACS 분석에 의해 결정하였다.
결과: 보통의 물 적량으로 처리된 9마리 마우스 중에서 8마리가 31-33주령에서 당뇨병인 반면,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포함하는 물로 처리된 9마리 마우스 중에서 5마리가 31-33주령에서 당뇨병이었다.
결론: 본 실험은 유전자-조절 펩티드를 이용한 NOD 마우스의 점막 치료가 당뇨병의 발병율을 감소시킴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4
재료 및 방법: 암컷 NOD 마우스를 네덜란드, 발크버그의 럭키 농장에서 병원체-부재 시설 내에서 사육하고 유지하였다. 모든 마우스들에게 음식과 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13 내지 14주령의 비-당뇨병 암컷 NOD 마우스 (n=10)에게 유전자-조절 펩티드 LQG, LQGV(SEQ ID NO: 1), VLPALP (SEQ ID NO: 4), VVC 및 MTRV (SEQ ID NO: 20)가 각각 20 mcg씩 포함된 PBS 적량 (50 ㎕) 또는 PBS 적량만을 5주간 매일 투여하였다. 적량들은 볼 주머니 내 입으로 한 방울씩 떨어트렸다. 경구 처리 후, 마우스들을 20주 동안 더 생존시켰다. 매주 마우스들의 요 내 글루코스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여 당뇨병을 평가하였다. 마우스들은 요 내 두 번의 연속적인 글루코스 측정 이후에 당뇨병으로 간주되었다.
결과: 처치가 끝나고 9주 후에, PBS로 경구처리된 모든 10마리 마우스들은 당뇨병인 반면, 유전자-조절 펩티드들 (LQG, LQGV (SEQ ID NO: 1), VLPALP (SEQ ID NO: 4), VVC 및 MTRV (SEQ ID NO: 20))의 혼합물로 경구 처리된 10마리 마우스 중에서는 단지 4마리만이 당뇨병이었다. 그러나, 처치가 끝나고 20주 경과 후에는 10마리 마우스 중 8마리가 당뇨병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의 항-당뇨병 효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해지는 것으로 보였다.
결론: 본 실험은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을 이용한 NOD 마우스의 경구 치료가 당뇨병의 발생을 지연시킴을 나타내는 것이다.
당뇨병 발생빈도
주령(주) 그룹 A (펩티드들의 혼합물) 그룹 B (PBS 단독 처리)
13-14 0% 0%
14-15 20% 0%
15-16 20% 10%
16-17 40% 20%
17-18 40% 30%
18-19 40% 40%
19-20 40% 100%
20-21 40% 100%
21-22 40% 100%
22-23 40% 100%
23-24 40% 100%
24-25 40% 100%
25-26 40% 100%
26-27 40% 100%
27-28 80% 100%
28-29 80% 100%
29-30 80% 100%
30-31 80% 100%
31-32 80% 100%
32-33 80% 100%
33-34 80% 100%
34-35 80% 100%
35-36 80% 100%
36-37 80% 100%
37-38 80% 100%
타입 1 및 2 당뇨병은 모두 병을 앓는 환자들에게서 고혈당 수준 및, 시간이 지나면서, 예고된 현저한 이환률(morbidity) 및 조기 사망의 결과인 염증성 및 혈관 합병증들의 발병을 공통적으로 나타낸다. 다양한 연구들이 세포외- 및 세포내 환경 모두에서 세포적 특성들의 조절에 있어 글루코스 자체의 유해한 효과들의 직접적인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최근의 결과들 또한 당뇨 합병증의 발병기전에 있어서 단백질들 및/또는 지질들의 비효소-의존성 당산화(nonenzymatic glycoxidation)의 산물들-진행성 무효소당화 최종산물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AGES)-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수많은 역학조사들이 순환 인슐린의 증가된 수준이 독립적으로 심혈관 위험도에 기여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고지혈증 및 혈중 글루코스의 간헐적으로 증가된 수준과 같은 다른 요인들이 대사 증후군 또는 증후군 X와 같은 인슐린의 증가된 수준에 의해 특정되는 증상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허혈성 재관류 손상, 및 당뇨병의 발생기전에 있어서 NFκB의 활성화는 이러한 관점에서 특별한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면, 종양괴사인자-알파 (TNF-알파) 및 혈관세포 부착분자-1과 같은 NFκB의 표적 유전자들은 오랫동안 아테롬경화(atherogenesis) 발생의 초기 단계에 참여한다고 추측되어 왔다. 실제로, NFκB 성분들 중의 하나인 RelA/p65가 인간의 죽상종(atheromate)에서 맥관성 평활근세포들 (VSMCs) 및 단핵성 식세포들의 핵 내에서 확인되었다.
타입 1 및 타입 2 모두에서 고혈당증(hyperglycemia)의 결과들 중 하나가 진행성 무효소당화 최종산물의 형성이다. 단백질들의 비효소 의존성 당산화/산화에 의한 이러한 산물들의 이들의 핵심 신호전달 수용체 RAGE (AGE에 대한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활성산소 중간체들의 형성 및 p21ras 및 ERK1/2 키나아제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내피세포들, 단핵성식세포들, 및 VSMCs 내 NFκB의 활성화를 야기한다. 최근에, 단백질의 카복시(메틸 라이신) 부가물인, 특이적 AGE가 RAGE에 결합하여 생체내 및 생체외 모두에서 세포활성화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리간드-매개성 효과들에 RAGE를 명백하게 연결시키는 증거가 RAGE, 용해성 RAGE (sRAGE; 세포외 리간드-결합 도메인)에 대한 항체들을 차단하는 조건 하에서 NFκB의 AGE-매개성 활성화의 차단 또는 수용체의 세포질 도메인만이 결실된 컨스트럭트의 야생형 RAGE-함유 세포들 내로의 일시적 형질감염에 의해 입증되었다. 후자의 경우에, NFκB의 AGE-자극성 활성화가 현저하게 억제됨에 따라 뚜렷한-음성효과(negative effect)가 나타났다. 또한, 인슐린의 새로운 특성은 프레닐전이효소(prenyltransferase), 화네실전이효소(farnesyltransferase), 및 제라닐제라닐전이효소(geranylgeranyltransferase) Ⅰ 및 Ⅱ를 활성화시키는 능력이다. 이러한 분자들은 Ras, Rho, 및 Rab 단백질들을 번역 후 변형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활성화는 이들을 신호전달 경로들과 연결시킨다. 인슐린과 VSMCs의 배양은 (대부분 생리학적으로 적절한 용량에서) 제라닐제라닐화된 Rho-A의 이용가능성을 증가시켰는데, 그로 인해 인슐린의 증가된 농도를 NFκB의 활성화에 연결시키는 기존의 기작을 연상시킨다. VSMCs에서, 인슐린, 및 AGEs, 고혈당증 또는 안지오텐신 Ⅱ는 NFκB 활성화를 이러한 매개체들 중 어느 하나의 단독에 의한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공동으로 작용하였다. 인슐린은 이러한 전통적인 매개체들과의 접촉시 증가된 활성화를 위한 맥관구조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입 2 당뇨병에서 혈관 미 세환경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증상들은 통상적인 경로, NFκB의 활성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인자들 내에서 강화된다. 상기 실험들에서, 전-당뇨병 NOD 마우스의 유전자 조절 펩티드로의 경구 치료는 췌장 염증, 베타-세포 파괴 및 자가면역반응에 대한 치료의 억제효과를 나타내면서 당뇨병의 발병율을 감소시켰다. 나아가, 상기 치료가 (이미 당뇨병에 걸린 마우스에서) 당뇨병 말기에 시작된 경우에, 본 발명자들은 이들의 음용 행동, 요 감소 및 털 모양의 변화에 의해 관찰되는 연장된 고혈당증의 염증효과의 억제 및 염증의 임상증상들의 감소를 관찰하였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환자에게서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에 신장 기능상실/손상, 손상된 혈액 거대- 및 미세순환, 망막병증(retinopathy), 신경병증(neuropathy), 신장병증(nephropathy) 및 가속화된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과 같은 심각한 당뇨 합병증을 유발하는, 글루코스 내성 및/또는 연장된 고혈당증의 진행성 장애는 NFκB의 하향조절을 지시하는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을 이용한 점막 치료에 의해 대응되었다. NFκB는 당뇨병 및 인슐린 저항성, AGEs, 글루코스 또는 인슐린의 고농도에 연관된, 산화된 지단백질들로부터 유래한, 광범위한 유해분자들의 혈관-교란 특성을 예방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표적이다. NFκB는 다양성발현(pleiotropic) 전사인자이다. 타입 1 및 2 당뇨병 모두 (고인슐린혈증 및 고혈당증)와의 관계에 있어서, AGEs, 고혈당증, 및 안지오텐신 Ⅱ와 같은 다양한 환경적 자극원들은 신호전도 경로들이 NFκB 활성화를 초래하도록 유발한다. 이러한 신호기작들 중에서 Ras, Rho-A, cdc42, 및 Rac1에 대한 역할이 현저하게 포함된다. NFκB의 핵 전위는 숙주에 포함된 다양한 유전자들의 활성화 및 세포적 방어반응들의 활성화를 초래한 다. 특정한 환경에서, NFκB의 활성화는 용해 및 재생에 의해 명백해지는 "좋은" 염증을 초래할 수도 있고, 조직 파괴를 야기하는 "나쁜" 염증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러나, NFκB에 의해 유래된 나쁜 염증으로부터 좋은 염증의 구분은 이들 모두의 기작들이 서로 연계되고, 섬세하게 균형 잡힌, 많은 조건들 속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전자-조절 펩티드들은 예컨대, NFκB에 조절효과를 가지며, 중요한 치료학적 역할을 담당한다.
추가 참고문헌:
WO99/59617, WO01/72831, WO97/49721, WO01/10907, WO01/11048, EP 1 138 692, US 2002/0064501, 칸 등, Human Immunology 63:1-7,2002, 크리스만 등., Intens Care Med 24:1131-1138, 1998, 탁 등, J Clin Invest 107:7-11, 2001, EP 1 300 418, US 5,851,997, US 6,319,504 B1, 블랙웰 등, Am J Respir Cell Mol Biol 17:3-9,1997, WO01/10907, US 6,319,504, US 6,489,296, WO02/085117, WO98/35691, DE 3715662, 파틸 등, Acta Neurochirurgica 87:76-78,1987, 슬라터 등, Transplantation 23:104-104, 1977, 블랙웰 등, Am J Respir Cell Mol Biol 17:3-9, 1997, WO99/59617, 탄 등, Acta Physiol Sinica 55:58-64,2003, US 2002/0041871, DE 19953339, 죠노우치 하루미 등, J Neuroim 120:170-179, 2001, 칸 등, Human Immunology 62:1315-1323, 2001, 뢰히리그 등, Zentralblatt Bakt 289:89-99,1999, 토베이 등, J Interferon Cytokine Res 19:911-921, 1999, 카눈고 등, J Adv Zool 20:1-5, 1999, 칸 등, Human Immunology 63:1-7, 2002, 무크모레 및 블레세, J. Immunol 118: 881-886, 1977, 무크모레 등, J. Exp. Med. 160:1672-1685,1984, US 4,977,244.
SEQUENCE LISTING <110> Biotempt B.V. <120> ORAL ADMINISTRATION OF GENE-REGULATORY PEPTIDES <130> 3077-6318pc <150> EP 03076028.4 <151> 2003-04-08 <150> EP 03076029.2 <151> 2003-04-08 <150> EP 03076027.6 <151> 2003-04-08 <150> EP 03076026.8 <151> 2003-04-08 <150> EP 03076022.7 <151> 2003-04-08 <150> EP 03076021.9 <151> 2003-04-08 <150> EP 03076025.0 <151> 2003-04-08 <150> EP 03076024.3 <151> 2003-04-08 <150> EP 03076030.0 <151> 2003-04-08 <150> EP 03076023.5 <151> 2003-04-08 <150> CN 03131227.6 <151> 2003-04-30 <150> US 10/409,671 <151> 2003-04-30 <160> 34 <170> PatentIn Ver. 2.1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 Leu Gln Gly Val 1 <210> 2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 Ala Gln Gly Val 1 <210> 3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3 Leu Gln Gly Ala 1 <210> 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4 Val Leu Pro Ala Leu Pro 1 5 <210> 5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5 Ala Leu Pro Ala Leu Pro 1 5 <210> 6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6 Val Ala Pro Ala Leu Pro 1 5 <210> 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7 Ala Leu Pro Ala Leu Pro Gln 1 5 <210> 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8 Val Leu Pro Ala Ala Pro Gln 1 5 <210> 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9 Val Leu Pro Ala Leu Ala Gln 1 5 <210> 10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0 Leu Ala Gly Val 1 <210> 11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1 Val Leu Ala Ala Leu Pro 1 5 <210> 12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2 Val Leu Pro Ala Leu Ala 1 5 <210> 1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3 Val Leu Pro Ala Leu Pro Gln 1 5 <210> 1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4 Val Leu Ala Ala Leu Pro Gln 1 5 <210> 1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5 Val Leu Pro Ala Leu Pro Ala 1 5 <210> 1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6 Gly Val Leu Pro Ala Leu Pro 1 5 <210> 17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7 Leu Gln Gly Val Leu Pro Ala Leu Pro Gln Val Val Cys 1 5 10 <210> 18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8 Leu Pro Gly Cys Pro Arg Gly Val Asn Pro Val Val Ser 1 5 10 <210> 19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9 Leu Pro Gly Cys 1 <210> 20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0 Met Thr Arg Val 1 <210> 2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1 Val Leu Pro Ala Leu Pro Gln Val Val Cys 1 5 10 <210> 2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2 Leu Gln Gly Val Leu Pro Ala Leu Pro Gln 1 5 10 <210> 23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3 Gly Val Leu Pro Ala Leu Pro Gln 1 5 <210> 24 <211> 3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4 Val Val Cys Asn Tyr Arg Asp Val Arg Phe Glu Ser Ile Arg Leu Pro 1 5 10 15 Gly Cys Pro Arg Gly Val Asn Pro Val Val Ser Tyr Ala Val Ala Leu 20 25 30 Ser Cys Gln Cys Ala Leu 35 <210> 25 <211> 3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5 Arg Pro Arg Cys Arg Pro Ile Asn Ala Thr Leu Ala Val Glu Lys Glu 1 5 10 15 Gly Cys Pro Val Cys Ile Thr Val Asn Thr Thr Ile Cys Ala Gly Tyr 20 25 30 Cys Pro Thr 35 <210> 26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6 Ser Lys Ala Pro Pro Pro Ser Leu Pro Ser Pro Ser Arg Leu Pro Gly 1 5 10 15 Pro Ser <210> 27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7 Ser Ile Arg Leu Pro Gly Cys Pro Arg Gly Val Asn Pro Val Val Ser 1 5 10 15 <210> 28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robe <400> 28 agctcagagg gggactttcc gagag 25 <210> 29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9 Gln Val Val Cys 1 <210> 30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0 Met Thr Arg Val Leu Gln Gly Val Leu Pro Ala Leu Pro Gln Val Val 1 5 10 15 Cys <210> 31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1 Cys Ala Leu Cys Arg Arg Ser Thr Thr Asp Cys Gly Gly Pro Lys Asp 1 5 10 15 His Pro Leu Thr Cys 20 <210> 32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2 Cys Arg Arg Ser Thr Thr Asp Cys Gly Gly Pro Lys Asp His Pro Leu 1 5 10 15 Thr Cys <210> 33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3 Thr Cys Asp Asp Pro Arg Phe Gln Asp Ser Ser Ser Ser Lys Ala Pro 1 5 10 15 Pro Pro Ser Leu Pro Ser Pro Ser Arg Leu Pro Gly Pro Ser Asp Thr 20 25 30 Pro Ile Leu Pro Gln 35 <210> 34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4 Pro Ala Leu Pro 1

Claims (31)

  1.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와 함께 약학적 유효량의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점막 적용을 위한 형태의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점막 적용을 위한 상기 형태가 분무제, 액제 및 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경구 투여를 위한 형태인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를 위한 상기 형태가 캡슐제, 정제, 액제, 경구 현탁제, 에멜젼 및 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염증질환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질환이 당뇨병, 다발경화증 또는 만성 이식 거부반응과 같은 만성염증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질환이 감염 또는 초과민반응 쇼크 또는 급성 또는 초급성 이식 거부반응과 같은 급성염증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질환이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질환이 천식 또는 기생충병과 같은 알러지를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질환이 바이러스 또는 세균과 같은 감염원에 의해 유도된 과도하게 강한 면역반응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상기 치료가 전신 치료를 포함하는 것인, 점막 적용을 위한 형태의 약학 조성물.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조절 펩티드 또는 기능적 유사체가 유전자 전사인자의 전위 및/또는 활성을 조절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전사인자가 NFκB/Rel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NFκB/Rel 단백질의 전위 및/또는 활성이 억제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기능적 유사체가 염증매개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매개체가, TNF-알파, TGF-베타, 인터페론 감마, IL-1베타, IL-4, IL-5, IL6, IL-10, IL-12, IL-23 및 IL-4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이토카인 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7. 약학 조성물의 점막 적용을 통해 질병의 전신적 치료를 위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유전자-조절 펩티드의 용도.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당뇨병, 다발경화증 또는 만성 이식 거부반응과 같은 만성염증을 포함하는 것인 용도.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감염 또는 초과민반응 쇼크 또는 급성 또는 초급성 이식 거부반응과 같은 급성염증을 포함하는 것인 용도.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포함하는 것인 용도.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천식 또는 기생충병과 같은 알러지를 포함하는 것인 용도.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바이러스 또는 세균과 같은 감염원에 의해 유도된 과도하게 강한 면역반응을 포함하는 것인 용도.
  23.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와 함께 약학적 유효량의 유전자-조절 펩티드 혹은 그의 기능적 유사체를 포함하는, 점막 적용을 위한 형태의 약학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전신적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점막 적용을 위한 상기 형태가 분무제, 액제 및 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경구 투여를 위한 형태인 것인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를 위한 상기 형태가 캡슐제, 정제, 액제, 경구 현탁제, 에멜젼 및 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7.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당뇨병, 다발경화증 또는 만성 이식 거부반응과 같은 만성염증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8.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감염 또는 초과민반응 쇼크 또는 급성 또는 초급성 이식 거부반응과 같은 급성염증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9.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0.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천식 또는 기생충병과 같은 알러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1.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바이러스 또는 세균과 같은 감염원에 의해 유도된 과도하게 강한 면역반응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057019200A 2003-04-08 2004-04-08 Hcg 절편들을 포함하는 점막 및 경구 투여용 조성물 KR101184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76026.8 2003-04-08
EP03076025.0 2003-04-08
EP03076021.9 2003-04-08
EP03076028.4 2003-04-08
EP03076029 2003-04-08
EP03076025 2003-04-08
EP03076029.2 2003-04-08
EP03076027 2003-04-08
EP03076023.5 2003-04-08
EP03076022.7 2003-04-08
EP03076022A EP1466611A1 (en) 2003-04-08 2003-04-08 Use of HCG derived peptides in the treatment of iatrogenic diseases
EP03076024 2003-04-08
EP03076027.6 2003-04-08
EP03076023A EP1466612A1 (en) 2003-04-08 2003-04-08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sepsis with hCG derived peptides
US10/409,671 2003-04-08
EP03076026 2003-04-08
EP03076030.0 2003-04-08
EP03076028 2003-04-08
EP03076030A EP1466613A1 (en) 2003-04-08 2003-04-08 Compositions for mucosal and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hCG fragments
EP03076024.3 2003-04-08
EP03076021 2003-04-08
US10/409,671 US20030220261A1 (en) 2001-12-21 2003-04-08 Treatment of iatrogenic disease
CNB031312276A CN1310674C (zh) 2003-04-30 2003-04-30 治疗重症急性呼吸综合征的药物组合物
CN03131227.6 2003-04-30
PCT/EP2004/003747 WO2004093897A1 (en) 2003-04-08 2004-04-08 Compositions for mucosal and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hcg frag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93A true KR20060017493A (ko) 2006-02-23
KR101184833B1 KR101184833B1 (ko) 2012-09-20

Family

ID=3331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200A KR101184833B1 (ko) 2003-04-08 2004-04-08 Hcg 절편들을 포함하는 점막 및 경구 투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615655B1 (ko)
JP (1) JP4848267B2 (ko)
KR (1) KR101184833B1 (ko)
AT (1) ATE546151T1 (ko)
AU (1) AU2004231300A1 (ko)
CA (1) CA2520655A1 (ko)
NZ (1) NZ542791A (ko)
WO (2) WO2004093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3279E1 (en) 2000-03-29 2012-03-27 Biotemp B.V. Compositions capable of reducing elevated blood urea concentration
ES2368941T3 (es) 2003-01-06 2011-11-23 Angiochem Inc. Angiopep-1, compuestos relacionados y utilizaciones correspondientes.
US7517529B2 (en) 2003-04-08 2009-04-14 Biotempt B.V. Treatment of type I diabetes
BRPI0613005A8 (pt) * 2005-07-15 2017-12-26 Angiochem Inc uso de polipeptídeos de aprotinina como veículos em conjugados farmacêuticos.
EP2056800B1 (en) 2005-08-26 2015-12-0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Therapy procedure for drug delivery for trigeminal pain
WO2007097624A1 (en) * 2006-02-21 2007-08-30 Biotempt B.V.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influenza infections
US9365634B2 (en) 2007-05-29 2016-06-14 Angiochem Inc. Aprotinin-like polypeptides for delivering agents conjugated thereto to tissues
AU2009238187B2 (en) 2008-04-18 2014-03-06 Angiochem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paclitaxel, paclitaxel analogs or paclitaxel conjugates and relate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RU2011118056A (ru) 2008-10-15 2012-11-27 Ангиокем Инк. Конъюгаты агонистов glp-1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EP2346896A4 (en) 2008-10-15 2014-06-25 Angiochem Inc CONJUGATES OF ETOPOSIDE AND DOXORUBICIN FOR THE ADMINISTRATION OF MEDICAMENTS
CA2745524C (en) 2008-12-05 2020-06-09 Angiochem Inc. Conjugates of neurotensin or neurotensin analogs and uses thereof
MX2011006685A (es) 2008-12-17 2011-09-27 Angiochem Inc Inhibidores de metaloproteinas de matriz de membrana tipo-1 y sus usos.
CN102510759A (zh) 2009-04-20 2012-06-20 安吉奥开米公司 利用与血管肽-2类似物结合的抗癌剂治疗卵巢癌
NZ596780A (en) 2009-06-05 2013-04-26 13Therapeutics Inc Immunoregulatory peptides and methods of use
JP5932642B2 (ja) 2009-07-02 2016-06-08 アンジオケム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量体ペプチドコンジュゲートおよびその使用
US8580748B2 (en) 2011-04-06 2013-11-12 13Therapeutics, Inc. Peptides for the treatment of hearing
CA2972975A1 (en) 2015-01-07 2016-07-14 Trigemina, Inc. Magnesium-containing oxytocin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JP6823055B2 (ja) 2015-06-15 2021-01-27 アンジオケム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軟髄膜癌腫症の治療方法
US20230241155A1 (en) * 2020-04-06 2023-08-03 Biotempt B.V. Methods and means for modifying hemodynamics in infections
EP4301391A1 (en) 2021-03-02 2024-01-10 Biotempt B.V. Chemotactic autophagy-inhibiting peptide,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50425A1 (en) * 1990-09-03 1992-03-04 Yoshiaki Ud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its mucous use
US6319504B1 (en) * 1996-06-24 2001-11-20 University Of Maryland Biotechnology Institut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IV infection by administration of derivative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US5997871A (en) * 1996-06-24 1999-12-07 University Of Maryland Biotechnology Insitut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ncer by administration of derivative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US5968513A (en) * 1996-06-24 1999-10-19 University Of Maryland Biotechnology Institute Method of promoting hematopoiesis using derivative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EP1138692A1 (en) * 2000-03-29 2001-10-04 Erasmus Universiteit Rotterdam Fragment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s immunoregulator
US6844315B2 (en) * 1998-05-20 2005-01-18 Erasmus Universiteit Rotterdam Immunoregulator
EP1300418A1 (en) * 2001-10-04 2003-04-09 Erasmus Universiteit Rotterdam Gene regulation by oligopept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46569A2 (en) 2005-05-26
KR101184833B1 (ko) 2012-09-20
EP1615655B1 (en) 2012-02-22
EP1615655A1 (en) 2006-01-18
ATE546151T1 (de) 2012-03-15
AU2004231300A1 (en) 2004-11-04
CA2520655A1 (en) 2004-11-04
JP4848267B2 (ja) 2011-12-28
WO2004093897A1 (en) 2004-11-04
NZ542791A (en) 2008-04-30
WO2005046569A3 (en) 2005-12-22
JP2007525426A (ja)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7529B2 (en) Treatment of type I diabetes
KR101184833B1 (ko) Hcg 절편들을 포함하는 점막 및 경구 투여용 조성물
US20080076714A1 (en) Administration of gene-regulatory peptides
KR101554056B1 (ko)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및 조절 t세포의 형성을 위한 수단
US7560433B2 (en)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MS)
NO326298B1 (no) Anvendelse av R&#39;-Glu-Trp-R&#39;&#39; dipeptider i fremstilling av medikamenter
US20080242837A1 (en) Peptide compositions
JP6166858B2 (ja) 細胞内損傷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HU229045B1 (en) Methods for treatment of patients afflicted with multiple sclerosis using consensus interferon
MXPA00006369A (es) Gamma-glutamil y beta aspartyl que contiene compuestos imunomodulares y metodos con el mismo..
US20230226145A1 (en) Mutant Peptides And Methods Of Treating Subjects Using The Same
CN107582566B (zh) 通过多胺化合物调控自身免疫性疾病的方法和组合物
US20050075277A1 (en) Use of lactoferrin in prophylaxis against infection and/or inflammation in immunosuppressed subjects
CA299687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neurodamage
WO1995003067A1 (en) Pharmaceutical with immunomodulating activity
RU2721282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ассеянного склероза (варианты)
EP1466613A1 (en) Compositions for mucosal and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hCG fragments
CN111788217A (zh) 白介素-15活性的拮抗剂肽
KR102445492B1 (ko) 신규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자연살해세포 대량증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연살해세포 대량증식방법
KR101209344B1 (ko) 쯔쯔가무시 균의 감염 또는 증식 저해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쯔쯔가무시증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EP0981359B1 (en) Compositions for enhancing immunosuppressants&#39; pharmacological activities
MX2011010190A (es) Metalopeptidos inmunomoduladores (immp) y composiciones que los contienen.
TW201242980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JPH0429936A (ja) 悪性脳腫瘍治療用医薬組成物
JP2001512449A (ja) 細胞増殖を阻害するペプチド及びそ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