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488A -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 Google Patents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488A
KR20060017488A KR1020057017265A KR20057017265A KR20060017488A KR 20060017488 A KR20060017488 A KR 20060017488A KR 1020057017265 A KR1020057017265 A KR 1020057017265A KR 20057017265 A KR20057017265 A KR 20057017265A KR 20060017488 A KR20060017488 A KR 20060017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gnant woman
abdomen
waist
lower body
wais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조우 카사이
사치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8Abdominal supports
    • A41C1/10Maternity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4Knickers for ladies,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1Maternity clothing; 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persons caring for inf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의 일례로서의 스커트(1)는, 전대부(10)와, 후대부(20)와, 한 쌍의 측대부(30)와, 수포(40)를 구비한다. 전대부(10)는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이 팽출한 복부의 하복부를 그 형상에 따라 아래로부터 들어올린다. 후대부(20)는 임신부의 배면에서 허리 부분에 닿는 허리 패드부(21)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대부(30)는 전대부(10)와, 후대부(20)를 접속한다.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Description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CLOTHING FOR LOWER HALF OF BODY OF PREGNANT WOMAN}
본 발명은, 배가 큰 임신부가 착용하는데 적합한 하반신용 의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용어로서의 「하반신용 의복」은, 스커트, 바지, 쇼츠[여성용 짧은 바지], 거들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종래보다, 배가 큰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으로서, 자궁이나 태아를 정상 위치로 유지함과 함께, 돌출한 복부의 아래로 늘어짐(下垂)을 방지하며 또한 보호하기 위해, 복부를 하방으로부터 들어올리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실개평7-6216호 공보(특허 문헌 1)는, 임신부용 거들과 복대(腹帶)를 조합시켜서 자유롭게 한 임신부의 하반신용 속옷을 개시하고 있다. 거들은, 거들 본체 포의 전부측에 양 겨드랑이부 부근에서 치골 위치 부근까지 약 U형상의 컷트 부를 형성하고, 해당 컷트부에 복부대를 봉착(縫着)하고 있다.
또한, 특개평9-3702호 공보는, 쇼츠 본체의 신축성을 다르게 한 것으로, 임신부의 체형, 팽출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임신부용 쇼츠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임신부용 쇼츠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신축성을 갖는 양방향 신 축성 편성부(20)와, 종방향의 신축을 억제하고 횡방향의 신축을 크게 하도록 편성(編成)한 횡방향 신축성 편성부를 구비하고, 복부 중앙부를 양방향 신축성 편성부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에서는, 모두 팽출한 임신부의 복부를 부드럽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덮음에 의해, 복부에의 압박을 피하고 있다.
모친의 뱃속에 있는 태아는, 양수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양수의 온도는 모친의 체온보다 1 내지 1.5℃정도 높고, 모친의 몸의 표면 온도가 오르면 양수의 온도도 올라간다. 태아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서는 양수의 온도를 적절한 범위로 유지하는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의 경우, 임신부의 복부를 부드럽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덮고 있기 때문에, 양수의 온도가 과잉으로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양수가 너무 따뜻하면, 태아의 건전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큰 배를 안고 있는 임신부는, 태아의 중량에 견디며 또한 태아를 적정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허리를 후방으로 젖힌 상태로 걷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임신부의 요추(腰椎) 부분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고, 임신부의 피로를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수를 너무 따뜻하게 하지 않도록 하면서 임신부의 요추에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임신부의 요추에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은,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이 팽출한 복부의 하복부를 그 형상에 따라 아래로부터 들어올리는 전대부(前帶部)와, 임신부의 배면에서 허리 부분에 닿는 허리 패드부를 포함하는 후대부(後帶部)와, 전대부와 후대부를 접속하는 한 쌍의 측대부(側帶部)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하반신용 의복에 의하면, 전대부가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를 노출시키는 위치에서 하복부를 그 형상에 따라 아래로부터 들어올리고 있기 때문에, 복부가 무더워지기 어렵고 양수가 과도하게 따뜻해지는 일이 없다. 또한, 팽출한 복부를 압박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신체가 편안하다. 또한, 허리 패드부가, 후방으로 젖혀져서 걷는 임신부의 요추 부분을 서포트하여 요추에 관한 부하를 경감한다.
바람직하게는, 허리 패드부는 적어도 흉추(胸椎)의 하단부로부터 요추의 상단부까지의 영역에 배후로부터 대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측대부는 임신부의 장골(腸骨)의 상부를 통과한다.
팽출한 복부에의 파고들어감을 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전대부는 임신부의 하복부에 면형상으로 접하여 아래로부터 들어올리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은 전대부와 한 쌍의 측대부와 후대부로 형성된 루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부를 또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은, 하반신용 의복 본체와, 복대를 구비한다. 하반신용 의복 본체는,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를 덮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부 덮개부와, 임신부의 배면에서 허리 부분에 닿는 허리 패드부를 포함한다. 복대는 복부 덮개부상에 겹쳐지고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의 하단부를 그 형상에 따라 아래로부터 들어올리도록 늘어나며, 또한, 그 양단이 임신부의 배면에서 허리 패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은,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를 덮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부 덮개부와, 임신부의 배면에서 허리 부분에 닿는 허리 패드부를 포함한다.
하반신용 의복 본체 또는 하반신용 의복이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부 덮개부와, 허리 패드부를 포함하는 경우, 허리 패드부는 바람직하게는 그 상단 부분의 폭 치수가 가장 크고, 그 중앙 부분의 폭 치수가 가장 작다. 이 이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스커트를 착용하고 있는 임신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스커트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임신부용 바지를 정면측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3의 임신부용 바지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
도 5는 바지 본체를 정면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바지 본체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
도 7은 복대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임신부용 스커트를 착용하고 있는 임신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스커트를 단면으로 도시함과 함께, 임신부의 배 속에 있는 태아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커트(1)는 전대부(10)와, 후대부(20)와, 한 쌍의 측대부(30)와, 상기한 각 대부로부터 하방으로 아래로 드리워진 수포(垂布)(40)를 구비한다.
전대부(10)는,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이 팽출한 복부의 하복부를 아래로부터 들어올리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대부(10)는 복부에의 파고들어감을 피하기 위해, 하복부에 대해 넓은 폭으로 면형상으로 접한다.
후대부(20)는, 임신부의 배면에서 허리 부분에 닿는 허리 패드부(21)를 포함한다. 허리를 후방으로 젖혀서 걷는 임신부의 경우, 요추에 대해 큰 부하가 걸린다. 허리 패드부(21)는, 후방으로 젖혀서 걷는 임신부의 요추 부분을 서포트하여 요추에 가하여지는 부하를 경감한다.
임신부의 추간판(椎間板) 헤르니아의 증상 예를 보면, 제 4 및 제 5 요추가 밖으로 돌출하여 있는 일이 많다. 이것은, 제 4 및 제 5 요추의 부분에 큰 부하가 걸려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래서, 바람직하게는 허리 패드부(21)는, 적어도 흉추의 하단부로부터 요추의 상단부까지를 덮을 수 있도록, 그 크기 및 위치가 선택된다.
허리 패드부(21)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갖는 쿠션재면 좋고, 두꺼운 천(포지(布地) 등이라도 좋다.
한 쌍의 측대부(30)는, 전대부(10)와 후대부(20)를 접속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임신부의 장골 상부를 통과하도록 된다. 전대부(10)와 한 쌍의 측대부(30)와 후대부(20)로, 임신부의 하복부로부터 배면의 허리 부분까지를 둘러싸는 루프 형상을 형성한다. 임신부의 하복부에 면형상으로 접하는 전대부(10)는, 배의 둥그스럼함에 따라 하복부의 전방 및 전방 양 측부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상술한 루프 형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측대부(30)는, 길이 조절 부(31)를 갖는다.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길이 조절부의 양태로서는, 예를 들면, 면 파스너, 끈, 클립, 훅, 고정 버튼 등, 다양한 것이 고려된다.
전대부(10), 후대부(20) 및 한 쌍의 측대부(30)는 수포(40)의 외면에 부착되어도 좋고, 내면에 부착되어도 좋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의 일례로서 스커트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스커트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바지에도 적용 가능하고, 쇼츠, 거들과 같은 하반신용 속옷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대부와 후대부와 한 쌍의 측대부로 이루어지는 허리 밴드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인 임 신부용 바지(50)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임신부용 바지(50)를 정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임신부용 바지(50)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이 임신부용 바지(50)는, 특히 임신부의 요추에의 부하를 경감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임신부용 바지(50)는, 하반신용 의복 본체인 바지 본체(60)와, 복대(70)를 구비한다. 도 5 및 도 6은 바지 본체(60)를 단체(單體)로 도시하고, 도 7은 복대(70)를 단체로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지 본체(60)는 임신부의 복부를 덮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부 덮개부(61)와, 임신부의 배면에서 허리 부분에 닿는 허리 패드부(62)를 구비한다. 복부 덮개부(61)는, 예를 들면 신축성을 갖게 한 니트지이고, 바람직하게는 양호한 통기성을 갖는다. 이 복부 덮개부(61)는 임신부의 복부 및 동측부(胴側部)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지 본체(60)의 허리 패드부(62)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예를 들면 두꺼운 천으로 만들어져 있고, 임신부의 적어도 흉추의 하단부로부터 요추의 상단부까지의 영역에 배후로부터 닿을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허리 패드부(62)의 폭방향 치수에 주목하면, 그 상단부(62a)의 폭 치수가 가장 크고, 그 중앙부(62b)의 폭 치수가 가장 작다. 또한, 허리 패드부(62)의 하단부(62c)의 폭 치수는, 상단부(62a)보다도 작지만 중앙부(62b)보다도 크다.
도 6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허리 패드부(62)의 양측부에는, 상하로 나열한 복수의 고정 버튼(63)이 부착되어 있다. 이 고정 버튼(63)은 복대(70)의 부착에 이용되는 것이다. 임신부의 배가 작은 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지 단체로 사 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복대(70)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예를 들면 두꺼운 천으로 만들어 지는 것이고, 폭방향에서의 중앙부(70a)의 폭 치수(상하의 높이 치수)가 가장 작고, 양측단부(70b)의 폭 치수(상하의 높이 치수)가 가장 크다. 복대(70b)의 양측단부(70b)의 상하의 높이 치수는, 허리 패드부(62)의 상하 높이 치수와 거의 같다. 복대(70)의 양측단부(70b)에는, 상하로 나열한 2열의 버튼 구멍(71, 72)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 구멍(72)은 버튼 구멍(71)의 내측에 위치한다.
복대(70)는, 임신부의 배가 커져왔을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사용 상태에서는, 복대(70)는 바지 본체(60)의 복부 덮개부(61)상에 겹쳐지고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의 하단부를 그 형상에 따라 아래로부터 들어올리도록 늘어나고, 또한, 그 양측단부(70b)가 임신부의 배면에서 허리 패드부(6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복대(7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버튼 구멍(71, 72)과 허리 패드부(62)의 양측부에 부착된 고정 버튼(63)을 계합시킨다. 복부의 크기에 따라, 어느 하나의 버튼 구멍을 선택한다.
임신부의 하복부에 면형상으로 접하는 복대(70)는, 배의 둥그스럼함에 따라서 하복부의 전방 및 전방 양측부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허리 패드부(62)의 상단부(62a)의 폭 치수가 크기 때문에, 복대(70)에 의한 들어올리는 작용을 안정시킬 수 있다.
허리 패드부(62)의 중앙부(62b)의 폭 치수를 작게 한 것은, 임신부의 배가 커져왔을 때에 신축성 소재인 복부 덮개부(61)를 넓히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 한, 허리 패드부(62)의 하단부(62c)의 폭 치수를 크게 한 것은, 허리 패드부(62)를 임신부의 흉추의 하단부로부터 요추의 상단부까지의 영역에 안정되게 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다.
본 발명은,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으로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이 팽출한 복부의 하복부를 그 형상에 따라 아래로부터 들어올리는 전대부와,
    임신부의 배면에서 허리 부분에 닿는 허리 패드부를 포함하는 후대부와,
    상기 전대부와 상기 후대부를 접속하는 한 쌍의 측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패드부는, 적어도 흉추의 하단부로부터 요추의 상단부까지의 영역에 배후로부터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대부는, 장골의 상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대부는, 임신부의 하복부의 형상에 따른 면으로 아래로부터 들어올려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대부와 상기 한 쌍의 측대부와 상기 후대부로 형성되는 루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6. 하반신용 의복 본체와, 복대를 구비하고,
    상기 하반신용 의복 본체는,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를 덮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부 덮개부와, 임신부의 배면에서 허리 부분에 닿는 허리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대는, 상기 복부 덮개부상에 겹쳐지고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의 하단부를 그 형상에 따라 아래로부터 들어 올리도록 늘어나고, 또한, 그 양단이 임신부의 배면에서 상기 허리 패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7. 임신부의 팽출한 복부를 덮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부 덮개부와, 임신부의 배면에서 허리 부분에 닿는 허리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패드부는, 그 상단 부분의 폭 치수가 가장 크고, 그 중앙 부분의 폭 치수가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KR1020057017265A 2003-06-26 2004-06-17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KR200600174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82571 2003-06-26
JPJP-P-2003-00182571 2003-06-26
JP2004123023A JP2005036375A (ja) 2003-06-26 2004-04-19 妊婦の下半身用衣服
JPJP-P-2004-00123023 2004-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88A true KR20060017488A (ko) 2006-02-23

Family

ID=3355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265A KR20060017488A (ko) 2003-06-26 2004-06-17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607009A4 (ko)
JP (1) JP2005036375A (ko)
KR (1) KR20060017488A (ko)
TW (1) TW200500018A (ko)
WO (1) WO2005000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5907B1 (fr) * 2004-02-06 2006-10-13 Bernard Jost Dispositif destine a maintenir un revetement au niveau de la taille d'un individu.
EP1830669A1 (fr) * 2004-11-25 2007-09-12 Bernard Jost Dispositif destine a maintenir un equipement ou un vetement au niveau de la taille d'un individu
GB0615427D0 (en) * 2006-08-03 2006-09-13 Woodley Jonathan C Vehicle maternity safety trousers
JP4938099B2 (ja) * 2010-04-08 2012-05-23 株式会社犬印本舗 マタニティ用ボトムス
KR101491618B1 (ko) 2014-07-08 2015-02-09 김진숙 임산부용 팬티
WO2016010174A1 (ko) * 2014-07-16 2016-01-21 김진숙 임산부용 팬티
CN106723453A (zh) * 2017-01-04 2017-05-31 浙江泓溯袜业有限公司 可拆卸裤子
TWI799099B (zh) * 2022-01-22 2023-04-11 崑山科技大學 輔助仰臥起坐的運動褲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1849A (en) * 1969-10-13 1971-11-23 Surgical Appliance Ind Therapeutic garment for maternity use
JPS572405Y2 (ko) * 1975-05-19 1982-01-16
US5060639A (en) * 1990-01-31 1991-10-29 Helen A. Siudyla Back support
JPH0734884Y2 (ja) * 1992-11-06 1995-08-09 株式会社ワコール 産前用ガードル
JPH076216U (ja) * 1993-06-04 1995-01-27 株式会社ワコール 妊婦用下半身用下着
JP2539087Y2 (ja) * 1993-07-23 1997-06-18 株式会社ワコール 産前用ガードル
US6071175A (en) * 1998-11-16 2000-06-06 Cmo, Inc. Natal support
JP2002143205A (ja) * 2000-11-09 2002-05-21 Pip Fujimoto Co Ltd 温熱補助腹帯
JP3086624U (ja) * 2001-12-11 2002-06-28 株式会社エンジェリーベ マタニティウエ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36375A (ja) 2005-02-10
EP1607009A4 (en) 2006-04-12
TW200500018A (en) 2005-01-01
WO2005000053A1 (ja) 2005-01-06
EP1607009A1 (en)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6031B2 (ja) 生理用ショーツ
US10542782B2 (en) Men's briefs
US6245036B1 (en) Male genitalia support garment
US5547466A (en) Male genitalia support
CA3108615A1 (en) Male garment
JP6342163B2 (ja) 子守帯
US20220061405A1 (en) Men's underpants
US6846220B2 (en) Abdominal support
US20170013886A1 (en) Integrated supportive device in garments
KR20060017488A (ko) 임신부의 하반신용 의복
JP5021035B2 (ja) ブリーフ
JP4730900B2 (ja) 妊婦用ファンデーション
KR101625625B1 (ko) 임산부용 조끼타입 복대
JP6408764B2 (ja) 子守帯
JP6232811B2 (ja) ボトム衣類
KR100770252B1 (ko)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WO2007017917A1 (en) Elastic maternity clothing article and manufacture of it
CN212117090U (zh) 一种孕妇用的内裤
JP3008616U (ja) ヒップアップ用矯正スラックス
JP4392120B2 (ja) パンティガードルおよびその形成方法
CN219593791U (zh) 一种多功能待产分娩的裤裙
JP7204158B1 (ja) ウエスト補正機能付き衣類
CN212325397U (zh) 一种用于阴囊术后康复的功能性内裤
CN211794380U (zh) 一种一体式打底裤
CN219373833U (zh) 一种带有3d舱的男士内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