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422A -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422A
KR20060017422A KR1020040066087A KR20040066087A KR20060017422A KR 20060017422 A KR20060017422 A KR 20060017422A KR 1020040066087 A KR1020040066087 A KR 1020040066087A KR 20040066087 A KR20040066087 A KR 20040066087A KR 20060017422 A KR20060017422 A KR 2006001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de
data cable
setting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0982B1 (ko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6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9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1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user interface aspects for indicating selection options for a communicat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 및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등에 이용됨.
무선통신단말기, 에이티(AT) 명령어,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 서비스 모드 설정, 데이터 서비스 모드 설정

Description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setting service mode according to data cable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중 연산/제어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 중 데이터 서비스 모드 설정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무선송수신장치 12 : 연산/제어장치
13 : 코덱(CODEC) 14 : 저장장치
15 : 음성출력장치(스피커) 16 : 표시장치(LCD)
17 : 입력장치(키패드) 18 : 음성입력장치(마이크)
19 :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 21 : 입력부
22 : 연결상태 확인부 23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24 : 서비스 모드 설정부
본 발명은,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단말기란 이동통신단말기,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 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무선통신단말기의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음성 통화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통신에서도 무선통신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무선 통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무선 데이터 서비스(Wireless Data Service)는 전통적인 파일 전송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을 통한 정보 검색 등과 같은 기존 공중망(PSTN, PSDN)에서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무선 구간에서 실현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특히, 무선 데이터 서비스는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는 지역이나 이동 중에 통신을 하여야 할 때, 무선통신단말기를 노트북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모바일 오피스(Mobile Office)를 구현하고, 각종 응용 서비스 분야에서 신속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정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Wireless Data Service)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통신단말기와 PC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하여 인터페이스를 형성한 후, AT 명령어(commend)를 사용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Packet data service) 또는 회선 데이터 서비스(Circuit data service)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 때, 컴퓨터와 무선통신단말기 간의 신호처리를 위하여 에이티(AT)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에이티(AT) 명령어는 PC에서 무선통신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로서 PC에서만 명령이 이루어지는 단방향 기능이다.
참고적으로 에이티(AT) 명령어란 미국 헤이즈 마이크로컴퓨터(Hayes Microcomputer products)사의 스마트 모뎀(Smart modem) 및 그 호환 모뎀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명령어로서, 현재에는 표준으로 되어 있는 거의 모든 모뎀이 대응하고 있다. 에이티(AT) 명령어의 본래의 명칭은 헤이즈 명령어(Hayes command)인데 통상 "AT"로 명령어가 시작되기 때문에 에이티(AT) 명령어라고 불린다. 여기에서 에이티(AT)는 주의 또는 주목이라는 의미인 "attention"의 약자이다. 에이티(AT) 명령어의 예를 들면, 모뎀을 초기화하기 위한 명령어인 "ATZ", 회선 접속 시에 통신 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인 "ATX1" 등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무선통신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인 에이티(AT) 명령어가 단방향 명령어이기 때문에 무선통신단말기와 연결된 PC에서만 패킷 또는 회선 데이터 서비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어 연결시마다 데이터 서비스의 모드를 새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PC에 연결되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서비스 모드 즉, 음성 호(Voice Call) 모드,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통신단말기가 PC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데이터 서비스 모드 또는 팩스 서비스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음성 호(Voice Call)의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 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함은 물론, 그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 이용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 및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확인 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모드를 선택받는 서비스 모드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서비스 모드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는 서비스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을 입력받은 후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값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 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11),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며,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외부의 컴퓨터(PC)와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연산/제어장치(12), 상기 연산/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출력장치(스피커)(15)로 출력하고, 음성입력장치(마이크)(18)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연산/제어장치(12)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코덱(CODEC)(13),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파일 시스템(이미지, 캐릭터, 아이콘), 및 서비스 모드 설정 값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14), 상기 코덱(CODEC)(13)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장치(스피커)(15), 상기 연산/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른 화면(서비스 모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포함)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장치(LCD)(16), 버튼을 통해 전화번호, 메뉴선택정보,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 키패드)(17),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코덱(CODEC)(13)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입력장치(마이크)(18),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외부의 컴퓨터(PC)와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과 상기 연산/제어장치(12)를 연결시키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 이외에, 그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비휘발성 메모리(저장장치(14))에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 이용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중 연산/제어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산/제어장치(12)는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 및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1), 상기 입력부(2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외부의 컴퓨터(PC)와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결상태 확인부(22), 상기 연결상태 확인부(22)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3), 및 상기 입력부(21)를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모드 설정부(24)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3)는 연결상태 확인부(22)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가 "참(T)"이면 도 4의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호(Voice Call) 모드,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가 "거짓(F)"이면 도 4의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를 제외한 음성 호(Voice Call)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입력부(21)를 통하여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을 입력받은 후 저장장치(14)에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값 저장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연산/제어장치(12)가 입력장치(17)를 통하여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301)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302, 303).
상기 확인 결과(302, 303),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가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의 컴퓨터(PC)와 연결되어 있으면 도 4의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호(Voice Call) 모드,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304),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도 4의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를 제외한 음성 호(Voice Call)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05).
그리고, 입력장치(17)를 통하여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한다(306).
이 때,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비휘발성 메모리(저장장치(14))에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연산/제어장치(12)가 입력장치(17)를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출력시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선택받는다. 그리고, 상기 선택받은 데이터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비휘발성 메모리(저장장치(14))에 저장시켜 이후의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서비스 제공 방식으로는 접속 형태에 따라 회선교환방식과 패킷교환방식이 있다. 먼저, 회선교환방식은 통신 개시 시점부터 완료 시점까지 대역폭을 독점하는 방식으로서 시간에 따라 요금을 부과한다. 그에 비해, 패킷교환방식은 하나의 무선 채널에 다수 이용자의 데이터를 일정한 길이의 전송단위인 패킷 단위로 축적, 블록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데이터의 양에 따라 요금을 부과한다. 특히, 패킷교환방식은 전송 속도에 따라 노멀 패킷(Normal Packet), MDR(Medium Data Rate), HSDP(High Speed Packet Data) 등의 설정 값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된 컴퓨터(PC)의 제어(에이티 명령어)에 의해서만 서비스 모드(특히, 데이터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이 가능하여,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마다 이를 설정해 주어야 하였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이 가능하며, 그 설정 값을 비휘발성 메모리(저장장치(14))에 저장하였다가 이후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마다 사용자가 일일이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을 설정해주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무선통신단말기가 PC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데이터 서비스 모드 또는 팩스 서비스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음성 호(Voice Call)의 불통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 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이후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이용시마다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사용자가 일일이 설정해주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 및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 및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 력부;
    상기 입력부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연결상태 확인부;
    상기 연결상태 확인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모드 설정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을 입력받아 저장 수단에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값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연결상태 확인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가 "연결"이면 음성 호(Voice Call) 모드,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비연결"이면 음성 호(Voice Call)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5.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확인 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모드를 선택받는 서비스 모드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서비스 모드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는 서비스 모드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 드 설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을 입력받은 후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값 저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모드 선택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이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있으면 음성 호(Voice Call) 모드,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모드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이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음성 호(Voice Call)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모드를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 드 설정 방법.
KR1020040066087A 2004-08-20 2004-08-20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00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087A KR100600982B1 (ko) 2004-08-20 2004-08-20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087A KR100600982B1 (ko) 2004-08-20 2004-08-20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22A true KR20060017422A (ko) 2006-02-23
KR100600982B1 KR100600982B1 (ko) 2006-07-13

Family

ID=3712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087A KR100600982B1 (ko) 2004-08-20 2004-08-20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49B1 (ko) * 2006-02-22 200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2569B2 (ja) * 1994-03-15 2004-12-1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通信形態自動選択装置
JP2001245026A (ja) 2000-02-29 2001-09-07 Sony Corp 携帯電話機
JP2003110667A (ja) 2001-09-26 2003-04-11 Sakka Hideo 携帯電話機及びその外部装置接続方法、通信端末システム及びその利用者特定方法
KR20030060369A (ko) * 2002-01-08 2003-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
KR20040065397A (ko) * 2003-01-14 2004-07-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차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49B1 (ko) * 2006-02-22 200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0982B1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및 재생방법
US77693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ading out data in a mobile terminal
US20070260691A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apacity triggered upload and download
US20070232233A1 (en) Wireless handset with bluetooth remote control and dialing functionality on voip software application, and corresponding web phone
WO2002056168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informations
KR200800434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771013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US20060229015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files during bluetooth communication in a wireless terminal
CN101022657B (zh) 移动通信设备及对通信路径的选择性使用进行控制的方法
US200801392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8271030B2 (en) Method of providing preview im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0982B1 (ko)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5669154B1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及びデータ転送方法
US200801595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100598062B1 (ko) 덮개 닫힘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JP2008263324A (ja) シークレットモード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およびシークレットモード切替制御方法
JP2002291052A (ja) 携帯電話
JP2002176484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4471851B2 (ja) 情報通信装置
US20080165700A1 (en) Telephone with internet phone module
KR2007003372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US20130223601A1 (en) Terminal, ser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calling
EP3125511B1 (en) Cordless telephone device, cordless telephone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JP2002176471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5669155B1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及びデータ転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