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369A -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369A
KR20030060369A KR1020020001038A KR20020001038A KR20030060369A KR 20030060369 A KR20030060369 A KR 20030060369A KR 1020020001038 A KR1020020001038 A KR 1020020001038A KR 20020001038 A KR20020001038 A KR 20020001038A KR 20030060369 A KR20030060369 A KR 20030060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ortable computer
network device
switching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0369A/ko
Publication of KR2003006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36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에의 도크 스테이션(또는 포트 리플리케이터)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방법은, 휴대용 컴퓨터와 이에 장착가능한 외부장치의 네트워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상기 외부장치의 장착여부를 계속해서 감지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감지결과,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디스에이블(Disable)시키고, 상기 외부장치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인에이블(Enable)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노트북 컴퓨터에의 포트 리플리케이터(또는 도크 스테이션)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시스템 사용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사용환경을 일일이 설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매우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switching network device}
본 발명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트북 컴퓨터에의 도크 스테이션(또는 포트 리플리케이터)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시스템)와 이에 장착될 수 있는 포트 리플리케이터(Port Replicator) 또는 도크 스테이션(Dock Station)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이와 같이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을 노트북 컴퓨터에 장착시 노트북 컴퓨터와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을 물리적인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시키게 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종래에는 노트북 컴퓨터 내에 디바이스가 있고,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에는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만이 있었고, 상기 포트는 상기의 물리적인 신호라인을 통해 노트북 컴퓨터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도1에서 보여지듯,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신호선의 길이가 너무 길게 되어 네트워크로부터 들어오는 신호가 너무 약해지고 노이즈가 타는 단점이 있었기 때문에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에 별도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노트북 컴퓨터에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설치된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을 장착시킨 경우에는 사용자가 노트북 컴퓨터의 OS에서 제공되는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환경을 설정하여야 하는데, 즉 시스템의 단독 사용시에는 상기 OS에서 제공되는 설정 메뉴를 통해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디스에이블(Disable)시켜야 하고, 만약 장착된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 및 시스템의 사용시에는 상기 OS에서 제공되는 설정 메뉴를 통해 시스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디스에이블시켜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노트북 컴퓨터에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을 장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사용환경을 설정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이와 같은 사용환경의 설정은 컴퓨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사용미숙으로 인해 시스템 오류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노트북 컴퓨터에의 도크 스테이션(또는 포트 리플리케이터)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사용환경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와 이에 장착될 수 있는 포트 리플리케이터(Port Replicator) 또는 도크 스테이션(Dock Station)을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가 구현된 노트북 컴퓨터와 이에 장착되는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지부20 : 마이컴
30 : 스위칭부40, 41 : 네트워크 디바이스
50, 51 : 네트워크 포트100 : 노트북 컴퓨터
200 :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는,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어, 네트워크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연결접속시키는 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이 가능한 외부장치에 내장되어, 네트워크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연결접속시키는 외부장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양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 연결시키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방법은, 휴대용 컴퓨터와 이에 장착가능한 외부장치의 네트워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상기 외부장치의 장착여부를 계속해서 감지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감지결과,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디스에이블(Disable)시키고, 상기 외부장치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인에이블(Enable)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가 구현된 노트북 컴퓨터와 이에 장착되는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노트북 컴퓨터에 구비된 포트(Port, 도면 미도시)를 통한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0); 상기 감지부(10)의 감지결과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마이컴(20);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에 따라 신호연결이 전환되는 스위칭부(30); 및 네트워크 포트(50)를 통해 네트워크 동작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노트북 컴퓨터(100)와,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에 장착되어, 네트워크 포트(51)를 통해 네트워크 동작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2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3의 자동 전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감지부(10)는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에의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의 장착여부를 계속해서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이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에 구비된 포트(도면 미도시)를 통해 연결되므로, 상기 감지부(10)는 상기 포트의 출력값을 계속해서 확인함으로써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의 장착여부를 간단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에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스테이션(20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즉, 시스템 단독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칭부(30)가 a단자에 신호연결되어 있어, 즉 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40)가 인에이블(Enable)되어, 사용환경이 시스템 환경으로 설정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부(10)는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의 장착여부를 계속해서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를 출력하게 되는데, 만약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이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되면 '로우(Low)'신호를,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하이(High)'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20)은 상기 감지부(10)의 출력신호로 부터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의 장착여부를 판단하고(S10)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30)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만약 상기 출력신호로 부터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이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이컴(20)은 상기 스위칭부(30)의 현재의 스위칭상태, 즉 a단자에 신호연결된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시킴으로써 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인에이블(Enable)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S11).
만약, 상기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이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이컴(20)은 네트워크가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4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30)를 제어하여 b단자에 신호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에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1)를 인에이블시키게 된다(S30)(이에 따라 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40)는 디스에이블됨).
이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41)가 인에이블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41)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S31), 이와 같은 네트워크 동작중에 상기 마이컴(20)은 상기 감지부(10)의 출력신호로 부터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이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에 계속해서 장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이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로 부터 탈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이컴(20)은 상기 스위칭부(30)의 스위칭상태를 전환시키게 되는데, 즉 b단자 대신 a단자에 신호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컴(20)은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의 네트워크 디바이스(41)를 디스에이블시키고 대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40)를 인에이블시켜(S41), 시스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40)를 리셋시킴으로써(S42), 다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40)의 네트워크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단, 상기 마이컴(20)은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의 결합을 감지하더라도, 상기 포트 리플리케이터 또는 도크 스테이션(200)의 네트워크 디바이스(41)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다시 말해 네트워크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는 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40)의 연결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위칭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있으나,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인에이블/디스에이블 로직을 추가하고, 상기 로직에 의해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on/off하도록 마이컴으로부터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은, 노트북 컴퓨터에의 포트 리플리케이터(또는 도크 스테이션)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시스템 사용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사용환경을 일일이 설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매우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어, 네트워크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연결접속시키는 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이 가능한 외부장치에 내장되어, 네트워크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연결접속시키는 외부장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양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 연결시키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포트 리플리케이터(Port Replicator) 또는 도크 스테이션(Dock St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3.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이 가능한 외부장치에 내장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양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수단; 및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상기 외부장치의 장착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칭수단의 스위칭 동작 제어 및 상기 외부장치에 내장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장착여부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디스에이블(Disable)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된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 부터 탈착되면 상기 스위칭수단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다시 리셋(Reset)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6. 휴대용 컴퓨터와 이에 장착가능한 외부장치의 네트워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상기 외부장치의 장착여부를 계속해서 감지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감지결과,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디스에이블(Disable)시키고, 상기 외부장치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인에이블(Enable)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동작을 수행하는 제 3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 부터 탈착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외부장치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디스에이블시키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감지결과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외부장치에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방법.
KR1020020001038A 2002-01-08 2002-01-08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 KR20030060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038A KR20030060369A (ko) 2002-01-08 2002-01-08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038A KR20030060369A (ko) 2002-01-08 2002-01-08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369A true KR20030060369A (ko) 2003-07-16

Family

ID=3221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038A KR20030060369A (ko) 2002-01-08 2002-01-08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036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982B1 (ko) * 2004-08-20 2006-07-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937131B1 (ko) * 2006-12-22 2010-01-15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집적 스위치
US8498291B2 (en) 2006-08-04 2013-07-30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switch
US9015370B2 (en) 2010-03-18 2015-04-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5616456A (zh) * 2022-12-21 2023-01-17 深圳市欣博跃电子有限公司 一种拓展坞生产用性能测试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982B1 (ko) * 2004-08-20 2006-07-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8498291B2 (en) 2006-08-04 2013-07-30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switch
KR100937131B1 (ko) * 2006-12-22 2010-01-15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집적 스위치
US8165133B2 (en) 2006-12-22 2012-04-24 Broadcom Corporation Physical layer device with integrated switch
US9015370B2 (en) 2010-03-18 2015-04-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5616456A (zh) * 2022-12-21 2023-01-17 深圳市欣博跃电子有限公司 一种拓展坞生产用性能测试装置
CN115616456B (zh) * 2022-12-21 2023-04-07 深圳市欣博跃电子有限公司 一种拓展坞生产用性能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69665A1 (en) Pc power monitoring
US20040103223A1 (en) USB accessory adaptor
US94244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password input mode
US7945711B2 (en) Ap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o USB device
US9459141B2 (en) Brightness control apparatus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KR100793306B1 (ko) 휴대용단말기에 있어서 리세트 회로 및 방법
US20190213159A1 (en) Universal serial bus type-c interface circuit and pin bypass method thereof
KR970012073A (ko) 주변장치교환회로 및 방법
KR20030060369A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
US7634071B2 (en) Auto switch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IP phone and default audio device
US20100039275A1 (en) Computer system,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light signal
KR100586981B1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38642B1 (ko)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CN101465963A (zh) 一种摄像头、计算机及网络呼叫实现方法
US20080034241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use in laptop computer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US10630881B2 (en) Lens detection method and lens detection system used for detecting type of externally connected lens
KR200401812Y1 (ko) 전원 제어회로, 상기 전원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외장형모뎀, 상기 외장형 모뎀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KR100238763B1 (ko) 노트북 피시의 확장용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자동 인식장치
CN107818067B (zh) 接口复用系统
KR100406355B1 (ko) 차량용 정보 단말기의 백업전압 공급 회로
KR100401977B1 (ko) 차량용 정보 단말기의 통신라인 자동 스위칭 장치
KR100979108B1 (ko)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66206A (ko) 모뎀과 랜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회로 및 방법
KR20030088270A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동 피봇 방법 및 장치
JP2001166859A (ja) インタフェース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