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642B1 -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642B1
KR100338642B1 KR1020010004253A KR20010004253A KR100338642B1 KR 100338642 B1 KR100338642 B1 KR 100338642B1 KR 1020010004253 A KR1020010004253 A KR 1020010004253A KR 20010004253 A KR20010004253 A KR 20010004253A KR 100338642 B1 KR100338642 B1 KR 100338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power
hands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004A (ko
Inventor
이동진
황병훈
박철규
주용승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10004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6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핸즈프리 킷에 연결된 무선단말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단말기가 통화상태에서 핸즈프리 킷을 연결할 때 발생하는 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무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를 인에이블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단과, 상기 무선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전원키에 연결되어 파워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단과, 입력단이 핸즈프리 킷과 연결하기 위한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이 상기 신호출력단과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 사이 및 상기 전원키와 상기 신호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출력단의 구동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신호입력단으로 입력되는 파워 온/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출력단으로 상기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단말기의 전원 제어에 이용된다.

Description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SET WHICH IS CONNECTED WITH HANDSFREE-SET}
본 발명은 핸즈프리 킷과 무선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전원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즈프리 킷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핸즈프리 킷은 차량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상기 단말기가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핸즈프리 킷에 연결할 경우,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전원키에 연결되어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단으로 핸즈프리 킷에서 발생된 신호가 단말기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입력되면 오동작(통화로 차단)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즈프리 킷을 통해 단말기의 신호입력단으로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통화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무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를 인에이블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단과, 상기 무선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전원키에 연결되어 파워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단과, 입력단이 핸즈프리 킷과 연결하기 위한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이 상기 신호출력단과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 사이 및 상기 전원키와 상기 신호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출력단의 구동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신호입력단으로 입력되는 파워 온/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출력단으로 상기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에서 핸즈프리 킷에 연결될 시 오동작 방지를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에서 핸즈프리 킷에 연결될 시 오동작 방지를 위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핸즈프리 킷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 제어를 위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핸즈프리 킷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 제어를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핸즈프리 킷은 컬코드(CURL CORD 또는 CONNECTOR)를 통해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컬코드로 상기 단말기에 연결되는 단자는 RX-AUDIO, TX-AUDIO, DC-GROUND, CF(CURRENT FEEDBACK), HP-POWER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HP-POWER 라인을 이용한 제어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에서 핸즈프리 킷에 연결될 시 오동작 방지를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무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발생하는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와,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를 인에이블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단(140)과, 상기 무선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스위치(120)에 연결되어 파워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단(130)과, 입력단이 핸즈프리 킷과 연결하기 위한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이 상기 신호출력단(140)과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 사이 및 상기 스위치(120)와 상기 신호입력단(13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출력단(140)의 구동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는 스위칭부(150)와, 상기 신호입력단(130)으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출력단(140)으로 상기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로 구성된다.
통상 단말기는 다수의 기능을 구현하고 키패드의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듀얼기능을 가지는 이중키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는 키입력부에 구비된 전원키를 통화로 차단키와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다. 스위치(120)는 상기 키입력부의 END/POWER 키로 길게 누를 경우 전원을 온/오프하며 통화중에 상기 키를 누를 경우 통화로를 차단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120)를 통해 발생된 신호는 단말기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구비된 신호입력단(130)으로 입력되어 신호의 상태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통화중에는 통화로를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을 온/오프하는 신호이면 신호출력단(140)을 통해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는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에 입력되어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가 동작하게 한다.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로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단말기가 통화상태에서 핸즈프리 킷에 연결되면 핸즈프리 킷의 HP-POWER 라인이 신호출력단(140)과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 사이 및 스위치(120)와 신호입력단(130) 사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HP-POWER 라인의 신호가 신호입력단(130)으로 유입되어 통화로 차단신호로 오인하고 통화로를 차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위칭부(150)를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오동작을 예방하고 있다. 스위칭부(150)는 신호출력단(14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인에이블(ENABLE)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되며 디스에이블 시에 스위칭부는 핸즈프리 킷(20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단말기로 스위칭되지 않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에서 핸즈프리 킷에 연결될 시 오동작 방지를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도1의 블록 구성을 구체적인 회로로 나타낸 것으로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는 NPN형 트랜지스터(Q1)를 사용한 회로이다.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스위칭부(15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칭부(150)는 일단이 핸즈프리 킷(200)과 연결하기 위한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제 1 저항(R11)과, 일단이 상기 제 1 저항(R11)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호출력단과 연결된 제 2 저항(R12)과, 에미터가 상기 제 2 저항(R12)의 일단에 연결되고 컬렉터가 신호출력단(140)과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 사이에 연결된 피엔피형 트랜지스터(Q2)와, 일단이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호출력단(140)에 연결된 제 3 저항(R13)으로 구성된다.
스위칭부(150)의 동작은 신호출력단(140)이 하이이면(구동신호가 출력되면)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어 HP-POWER 라인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차단하여 준다. 즉 단말기가 통화상태에서는 언제나 단말기의 전원이 켜있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가 하이인 점을 이용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핸즈프리 킷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 제어를 위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무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와,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를 인에이블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단(140)과, 무선 단말기의 전원키(스위치 120)에 연결되어 파워온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단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와, 상기 전원키(스위치 120)와 신호입력단(130) 사이에 컨넥터(컬코드)로 연결되며 상기 파워온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파워온신호 발생부(220)와, 상기 신호출력단(140)과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 사이에 컨넥터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출력단(14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검출부(230)와, 상기 파워온신호 발생부(220)를 통해 상기 파워온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신호검출부(230)를 통해 상기 신호출력단(140)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구동신호의 검출 유무에 따라 상기 파워온신호 발생부(220)를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구비하는 핸즈프리 킷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핸즈프리 킷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 제어를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400 단계에서 핸즈프리 킷의 제어부(210)는 단말기가 핸즈프리 킷과 연결되었는지 검사한다. 단말기가 핸즈프리 킷과 연결되었으면 41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단말기의 연결 상태 확인은 하기와 같이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핸즈프리 킷은 DC-GROUND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두 개 가지고 있는데 상기 단자는 단말기가 연결될 시에 단말기에 의해 쇼트 되어 핸즈프리 킷의 제어부(210)는 단말기가 연결되었음을 감지한다. 410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파워온신호 발생부(220)를 통해 파워온신호를 일정시간(약 300ms) 동안 발생한다. 상기 파워온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제어신호 발생부(100)을 구동하기 위하여 스위치(120)를 통해 발생되는 신호와 동일하다. 420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파워온신호의 출력을 중단한다. 430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신호출력단(140)에서 구동신호가 출력되는지를 신호검출부(230)를 통해 검사한다. 즉, 410 단계에서 출력된 파워온신호는 신호입력단(130)으로 입력되고 단말기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전원을 온하라는 명령으로 판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스위치(120)가 일정시간 눌려지면 전원을 온하는 것과 같이, 신호입력단으로 일정시간 동안 파워온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전원을 온하라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러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신호출력단(140)으로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게 되면 신호출력단(140)으로 하이 신호(구동신호)가 출력되게 되고, 단말기의 전원이 온된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구동신호를 신호검출부(230)에서 검출함으로써 단말기가 온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단말기가 온되었으면 440 단계에서 더 이상 파워온신호 발생부(220)가 구동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430 단계에서 단말기가 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410 단계로 돌아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도3 및 도4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어부(210) 및 파워온신호 발생부(220)와 신호검출부(230)는 하나의 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검출부는 상기 칩의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PORT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가 핸즈프리 킷에 연결될 시에 구동신호를 이용하여 핸즈프리 킷으로부터 단말기에 입력되는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통화 상태에서 단말기를 핸즈프리 킷에 연결할 때에 통화로가 차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2)

  1.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무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제어신호 발생부를 인에이블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단과,
    상기 무선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전원키에 연결되어 파워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단과,
    입력단이 핸즈프리 킷과 연결하기 위한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이 상기 신호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출력단의 구동신호에 따라 디스에이블되어 상기 핸즈프리 킷의 신호가 상기 신호입력단으로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신호입력단으로 입력되는 파워 온/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출력단으로 상기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를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가 통화 상태에서 핸즈프리 킷에 연결 시 핸즈프리 킷의 신호가 신호입력단에 입력됨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키가, 통화로 차단키와 겸용됨을 특징으로 하는무선단말기가 통화 상태에서 핸즈프리 킷에 연결 시 핸즈프리 킷의 신호가 신호입력단에 입력됨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장치.
KR1020010004253A 2001-01-30 2001-01-30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KR100338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253A KR100338642B1 (ko) 2001-01-30 2001-01-30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253A KR100338642B1 (ko) 2001-01-30 2001-01-30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952A Division KR100318961B1 (ko) 1998-12-09 1998-12-09 핸즈프리킷과연결된무선단말기의제어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004A KR20010044004A (ko) 2001-05-25
KR100338642B1 true KR100338642B1 (ko) 2002-05-30

Family

ID=1970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253A KR100338642B1 (ko) 2001-01-30 2001-01-30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340B1 (ko) 2006-12-04 2008-07-15 크레신 주식회사 전화용 무선 헤드셋
KR100896948B1 (ko) * 2007-03-21 2009-05-12 (주)블루킷 블루투스 핸즈프리 세트
KR100879989B1 (ko) * 2007-11-23 2009-01-23 크레신 주식회사 무선 리시버
KR200483713Y1 (ko) 2016-02-18 2017-06-15 (주)더페이스샵 개방형 상품 진열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004A (ko) 200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8367A (ko) 적외선통신기능을가진이동데이터단말
KR100338642B1 (ko)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JP2000068922A (ja) 携帯端末装置
KR100318961B1 (ko) 핸즈프리킷과연결된무선단말기의제어장치및방법
KR0162838B1 (ko)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판넬 램프 제어 회로
US5819170A (en) Power supply unit with switch-on/off facility for powering radio equipment
JP3290044B2 (ja) 無線通信機
KR100419417B1 (ko) 임의의 키를 눌러서 전원을 켜는 장치
KR100632117B1 (ko) 종료키의 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단말기
JP2003316477A (ja) 電子機器
CN216751189U (zh) 钳位保护电路和车载电子设备
KR20036497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회로
KR10035232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개선을 위한 이어폰(Earphone) 회로.
KR100478402B1 (ko) 배터리 충전상태 표시회로
KR1003658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셋 감지장치
KR200364354Y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의 소모 전력을감소시키기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200100368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JP2002223281A (ja) 電源供給装置及び電源供給方法
KR10061779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TWI250765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galvanic function
JP3486237B2 (ja) 通信機器
KR100461635B1 (ko) 리셋회로
KR950007980B1 (ko) 무선전화기 핸드셑의 전원차단시 통화종료처리회로
JPH0416551Y2 (ko)
KR1006907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장형 진동 모터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