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354Y1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의 소모 전력을감소시키기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의 소모 전력을감소시키기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354Y1
KR200364354Y1 KR20-2004-0018701U KR20040018701U KR200364354Y1 KR 200364354 Y1 KR200364354 Y1 KR 200364354Y1 KR 20040018701 U KR20040018701 U KR 20040018701U KR 200364354 Y1 KR200364354 Y1 KR 200364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unit
portable electronic
user
power consump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환
김용남
Original Assignee
에이치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텔레콤(주) filed Critical 에이치텔레콤(주)
Priority to KR20-2004-0018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3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 통화 중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의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전화 통화 기능을 갖는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전화 통화 중에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전화 통화 중에 불필요하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OF LCD BACKLIGHT UNIT}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액정 디스플래이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전화 통화 중에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화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들은 배터리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배터리 사용 시간이 휴대용 전자 장치를 구매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현재의 휴대용 전자 장치는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과 컬러 화면을 이용하기 때문에 점차 긴 사용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대용량의 배터리가 요구된다.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적인 휴대용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불필요한 경우 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최대한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들은 백라이트 유닛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므로, 백라이트 유닛에서의 전력 손실은 전체 전력 사용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 경우, 일반적인 휴대폰, 개인 정보 단말기(PDA)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서 설정된 시간 동안 백라이트 유닛이 온(on)이 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화면이 출력된다.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백라이트 유닛이 오프(off)되어 전류 소모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휴대폰은 전화 통화 중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은 소프트웨어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약 10, 30 초 또는 1 분 정도)이 경과되어야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이 차단되어 자동으로 꺼지게 된다. 그러다 보니 휴대폰 통화시 프로그램된 시간만큼 백라이트 유닛이 동작되어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전화 통화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제어한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만 백라이트 유닛을 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그 시간 동안의 전력 소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화 통화 여부에 따라 전력 소모를 줄이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전화 통화 중인 휴대용 전자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제어하는 휴대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휴대폰 101 : 제어부
102 : 리시버 104 : LCD 패널
105 : 백라이트 유닛 106 : 키패드
107 : 배터리 108 : 트랜스미터
110 : 센서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전화 통화 가능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과; 전화 통화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리시버와; 상기 리시버 일측에 구비되어 전화 통화시, 상기 리시버에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전화 통화 중이 감지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인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신호가 상기 근접된 사용자에 반사되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전화 통화가 감지되면, 하드웨어 방식으로 즉시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폰(100)은 사용자의 통화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100)은 전형적인 전화 통화 가능한 구성 요소들 예컨대, 백라이트 유닛(도 2의 105)을 통해 다양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4)과, 전화 통화 중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리시버(102)와, 전화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상기 휴대폰(100)으로 입력하는 트랜스미터(108)와, 숫자, 기능키 등 다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패드(106)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07)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폰(100)은 전화가 수신될 때, 백라이트 유닛(105)이 온(ON)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4)은 자동으로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통화 버튼(106)을 누른 후, 통화를 하게 된다.
이 때, 종래 기술에 의하면, 통화 버튼을 누르는 시점에서 백라이트 유닛의온이 된 이 후의 시간을 카운트하며, 내부에 기설정 시간(예를 들어, 최소 약 10 여초)동안 백라이트 유닛이 동작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휴대폰(100)을 통화하려고 귀에 댈 때, 리시버(102) 근처의 센서부(110) 즉, 근접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백라이트 유닛(105)을 오프시킨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100)은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위해 리시버(102)에 근접되면,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통화 중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4)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중지시키도록 백라이트 유닛(105)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그 결과, 전화 통화 중에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차단시키기 까지의 시간을 더 감소시켜서 휴대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휴대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폰(100)은 전화 통화 여부에 대응하여 백라이트 유닛(105)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하여, 센서부(110)와, 제어부(101) 및 백라이트 유닛(105)을 구비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05)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4)의 발광을 위해 일정 휘도의 광을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4)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휴대폰(100)의 사용시, 백라이트 유닛(105)은 휴대폰(100)에서 전력 소모가 큰 부분이다.
상기 센서부(110)는 예를 들어, 적외선 광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이용하여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한다. 즉, 사용자가 전화 통화 중이면, 근접 상태를 인식하여 감지 신호(SENSE)를 상기 제어부(101)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감지 신호(SENSE)를 받아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105)의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OFF)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하이 로직 레벨의 감지 신호(SENSE)가 입력되면, 휴대폰(100)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4)을 사용하는 중임을 감지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105)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 신호(ON)를 출력하고,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로우 로직 레벨의 감지 신호(SENSE)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전화 통화 중임으로 감지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105)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어 신호(OFF)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110)는 예컨대, 광신호를 이용하는 센서들로 구비되며, 발광 다이오드(D1)와, 포토 트랜지스터(T1) 및 복수 개의 저항들(R1, R2)을 구비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D1)는 전원 전압(Vcc)(예를 들어, 약 2.8 V)을 통해 외부로 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T1)는 상기 광신호가 사용자(즉, 귀)의 근접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받아서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포토 트랜지스터(T1)는 콜렉터 단자가 로우 로직 레벨이 되어 사용자가 근접 상태임을 판별하기 위한 감지 신호(SENSE)를 제어부(101)로 출력한다.
즉, 상기 발광 다이오드(D1)는 전화 통화시, 사용자의 근접을 인식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적외선 광센서(또는 초음파 센서 등)로부터 광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리시버(102)에 근접될 때, 발광 다이오드(D1)의 감지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반사되어 포토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단자로 출력되어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T1)가 도통된다. 이 때, 포토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 단자는 로우 전압 레벨의 감지 신호(SENSE)를 제어부(101)로 출력하여 근접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1)는 백라이트 유닛(105)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어 신호(OFF)를 출력한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제어부의 제어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상기 제어부(101)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으로써, 이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101)의 메모리(미도시됨)에 저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120에서 상기 제어부(101)는 근접을 감지하기 위하여 반사된 광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반사된 광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122에서 상기 제어부(101)는 백라이트 유닛(105)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 신호(OFF)를 발생한다. 그 결과, 전원 공급 장치(예컨대, 배터리)(도 1의 107)로부터 상기 백라이트 유닛(105)의 전원이 차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 장치(예를 들어, 휴대폰, PDA 등)는 전화 통화 중에 불필요하게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을 줄이고자 리시버 근처에 센스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통화하려고 리시버에 귀를 댈 때, 이를 감지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전화 통화 중에 불필요한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거하기 위하여, 리시버 일측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보다 더 빠른 시간에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보다 오랜 시간 동안에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적인 소프트웨어 제어와 함께 하드웨어 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휴대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전화 통화 가능한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과;
    전화 통화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리시버와;
    상기 리시버 일측에 구비되어 전화 통화시, 상기 리시버에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전화 통화 중이 감지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신호가 상기 근접된 사용자에 반사되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KR20-2004-0018701U 2004-07-01 2004-07-0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의 소모 전력을감소시키기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200364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01U KR200364354Y1 (ko) 2004-07-01 2004-07-0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의 소모 전력을감소시키기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01U KR200364354Y1 (ko) 2004-07-01 2004-07-0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의 소모 전력을감소시키기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354Y1 true KR200364354Y1 (ko) 2004-10-11

Family

ID=4943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701U KR200364354Y1 (ko) 2004-07-01 2004-07-0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의 소모 전력을감소시키기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3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477A (ko) * 2012-07-30 2014-0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바일기기의 표시장치 제어방법
KR101436107B1 (ko) * 2012-11-16 2014-09-02 씨에스 주식회사 컨텐츠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스크린 및 이를 제어하는 플렉서블 단말기로 형성된 다이어리 형태의 정보제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477A (ko) * 2012-07-30 2014-0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바일기기의 표시장치 제어방법
KR102006782B1 (ko) 2012-07-30 2019-08-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바일기기의 표시장치 제어방법
KR101436107B1 (ko) * 2012-11-16 2014-09-02 씨에스 주식회사 컨텐츠 디스플레이용 플렉서블 스크린 및 이를 제어하는 플렉서블 단말기로 형성된 다이어리 형태의 정보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6542B2 (en) Electronic device
EP1303113B1 (en) Portable terminal
US8457693B2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apparatus in PDA phone
US6631192B1 (en) Cellular phone with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lighting device
US20070099574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ccording to Detection of Environmental Light
US6915143B2 (en) Portable telephone
US20100090854A1 (en) Mobi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706629B2 (ja) 携帯端末機器
KR20020014954A (ko)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KR2005002211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장치 및 방법
JPH0774691A (ja) 折畳機構付携帯電話機
CN109088961B (zh) 传感器控制电路以及电子装置
US8868134B2 (en) Handheld device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for
WO2000078012A1 (en) A portable electric apparatus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power preservation method for such an apparatus
KR200364354Y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의 소모 전력을감소시키기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JP2972710B2 (ja) バックライトon/off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4325895B2 (ja) 携帯電話機
KR1004600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액정 표시부 제어 장치 및 그방법
US20020063692A1 (en) Keyboard device capable of being used as external keyboard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7397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6050505A (ja) 電子装置、省電力化方法及び省電力化プログラム
KR100516631B1 (ko) 화상 통신 단말기의 발광소자 구동 제어방법
KR10038627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 자동 제어 방법
KR100584364B1 (ko) 백라이트구동장치
JP2001186248A (ja) 携帯型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