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022A - 의자식 마사지기 - Google Patents

의자식 마사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022A
KR20060012022A KR1020057023030A KR20057023030A KR20060012022A KR 20060012022 A KR20060012022 A KR 20060012022A KR 1020057023030 A KR1020057023030 A KR 1020057023030A KR 20057023030 A KR20057023030 A KR 20057023030A KR 20060012022 A KR20060012022 A KR 2006001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seat surface
chair
legres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686B1 (ko
Inventor
유키 요다
고지 데라다
신지 츠츠이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1) 시트면(2) 앞쪽에 상하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면(2)에 앉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다리받침(5)과, 다리받침(5)의 앞끝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면(2)에 앉은 사용자의 발목에서 발끝까지의 사이 및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받침(6)을 설치하고, 다리받침(5)과 발받침(6)에 마사지 수단(7,8)을 설치하였다. 또한, 다리받침(5)을 시트면(2)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하고, 발받침(6)을 다리받침(5)의 각도,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대략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하였다.
의자, 마사지기

Description

의자식 마사지기{CHAIR-TYPE MASSAGE MACHINE}
본 발명은 의자식 마사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면 앞쪽에 위치하여 종아리를 지지하는 다리받침에 마사지 수단을 설치한 의자식 마사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시트면,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의 시트면 앞쪽에, 마사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하로 회전운동 가능한 다리받침을 가지는 의자식 마사지기는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시트면,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의 시트면 앞쪽에, 마사지 수단을 구비한 다리받침 및 마사지 수단을 구비한 발받침을 가지고, 다리받침은 상하로 회전운동하면서 발받침은 항상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마사지기도 널리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2002-238963호 공보).
또한, 종아리용 마사지 수단과 발바닥용 마사지 수단을 구비하고, 종아리용 마사지 수단에 대한 발바닥용 마사지 수단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2001-95867호 공보).
일반적으로 마사지기는 시료대상자의 체형, 피로 부위 등에 따라 마사지할 위치를 조절하는데, 일본특허공개2002-238963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마 사지기에서는, 사용자마다 다른 하지 길이의 차이에 맞추어 마사지 수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어, 종아리가 짧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발바닥용 마사지 수단까지 발이 닿지 않아, 충분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2001-95867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사지기에서는, 종아리용 마사지 수단에 대하여 발바닥용 마사지 수단을 떨어뜨려 배치한 경우, 시료 위치가 분할되기 때문에 스무스한 혈류를 기대할 수 없어, 충분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더욱이, 상기 종래예에서 공통된 문제로서, 시트면에 대한 다리받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시트면에 대하여 대퇴부의 길이가 긴 사용자의 경우에는 다리받침을 수평 가깝게까지 회전운동시켰을 때 무릎마디의 주변에 압박, 밀림, 타격을 받음으로써,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거나 힘줄이 상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이와 같은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의 체형에 상관없이 종아리에서 발목을 거쳐 발끝까지 그리고 발바닥에 양호한 마사지 효과를 줄 수 있는 의자식 마사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자식 마사지기는, 의자 시트면의 앞쪽에 상하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면에 앉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다리받침과, 다리받침의 앞끝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면에 앉는 사용자의 발목에서 발끝까지의 사이 그리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받침을 구비하고, 다리받침 및 발받침에 마사지 수단을 구비한 의자식 마사지기에 있어서, 다리받침은 시트면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고, 발받침은 다리받침의 각도,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대략 수평하게 유지되며, 다리받침과 발받침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마사지 수단을 가지는 다리받침 및 발받침을 구비하고, 발받침은 다리받침의 각도, 위치에 상관없이 대략 수평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다리받침이 대략 수직일 때는 종아리 및 발바닥을 시료할 수 있고, 다리받침이 대략 수평일 때는 다리받침과 발받침이 대략 일직선 모양으로 늘어서기 때문에, 종아리에서부터 발목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시료할 수 있다. 더욱이, 다리받침은 시트면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하지 길이에 따라 최적의 시료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받침의 마사지 수단에 발바닥이 닿지 않는 하지가 짧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다리받침과 시트면의 거리를 근접시킴으로써 발바닥을 발받침에 닿게 하여 시료할 수 있으며, 대퇴부가 시트면에 대하여 긴 사용자의 경우에는, 다리받침과 시트면의 거리를 떨어뜨림으로써 다리받침을 수평에 가깝게까지 회전운동시켰을 때 무릎마디 부근에 압박, 밀림, 타격을 받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거나 힘줄이 상하는 일이 없어져 높은 안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 및 발받침의 시트면에 대한 거리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할 수도 있어, 이 경우 사용자의 체형, 피로 부위에 맞추어 마사지 수단의 위치를 보다 적절히 맞출 수 있어, 높은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면의 아랫쪽 및 발받침에 각각 길이가 같은 한 쌍의 링크가 다리받침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한 쌍의 링크 사이에 연결부가 배치되어 각각의 한 쌍의 링크가 회전가능하며 평행해지도록 연결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다리받침의 각도, 위치에 상관없이 발받침을 대략 수평하게 지지하기 위한 기구가 단순한 링크 기구로 구성되기 때문에, 저가로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시트면에 대한 각도와,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과의 거리를 연동하여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리받침이 회전운동하여 수평에 가까워짐에 따라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과의 거리가 커지도록 연동하며, 의자의 구조상 다리받침의 시트면에 대한 회전축의 위치가 무릎마디의 회전축에 대하여 아랫쪽이기 때문에, 다리받침이 회전운동하여 수평에 가까워짐에 따라 종아리에 대한 다리받침의 위치가 윗쪽으로 어긋나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리받침이 어느 각도에 있어도 같은 시료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시트면에 대한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시트면에 대하여 근접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가능하게 하고, 또한 시트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힘을 가하지 않고 쉽게 체형, 피로 부위에 맞추어 마사지 수단의 위치를 맞출 수 있어, 보다 높은 편안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의 거리를 가깝게 이동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가지기 때문에,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의 거리를 조절할 때 다리받침이나 발받침의 중량에 따른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이나 발받침의 이동이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적은 출력으로 가능하여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인력에 의한 이동의 경우에도 작은 힘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높은 편안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이 시트면에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성하면 가격이 싸다.
또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마련하면,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고정이 해제되는 동시에, 탄성체와 같은 가압수단의 압력에 의해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안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품의 부가가치로서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의 거리를 가깝게하는 방향으로 가해졌던 힘에서 다리받침의 중량과 발받침의 중량을 뺀 값을 10kgf 이하로 설정하면, 예를 들어, 어린이나 노인 등 힘이 약한 사용자라도 쉽게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안내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안내기구를,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신체지지면과 거의 평행한 평면 안에 2열 이상 평행하게 설치하며,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신체지지면에 평행한 면이 개방된 대략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레일과,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신체지지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 직경은 상기 레일의 ㄷ자형 단면의 내측폭과 거의 같으며,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2개 이상 배치된 원반형의 롤러와, 롤러의 회전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의 거리를 조절하는 힘에 의해 안내기구에 대한 모멘트가 발생한 경우, 롤러가 레일의 측면에 접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마찰이 작아지고, 걸림없이 부드럽게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에 수직으로 걸리는 신체를 지지하는 힘은 롤러의 평면에서 받기 때문에, 큰 부하에도 견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식 마사지기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자식 마사지기에 설치된 다리받침 및 발받침의 작동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자식 마사지기에 설치된 다리받침 및 발받침의 작동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다리받침 및 베이스 프레임을 시트면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다리받침의 안내기구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리받침 및 베이스 프레임의 작동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식 마사지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자(1)는 시트면(2), 등받이(3), 팔걸이(4), 다리받침(5), 발받침(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리받침(5)은 시트면(2)에 앉는 사람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것이고, 발받침(6)은 시트면(2)에 앉는 사람의 발목에서 발끝까지의 사이 그리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것이며, 다리받침(5) 및 발받침(6)은 각각 마사지 수단(7,8)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발받침(6)은 다리받침(5)에 설치된 회전축(24)에 의해 의자(1)의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다리받침(5)과 발받침(6)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다리받침(5)과 발받침(6)이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시트면(2)의 아랫쪽에는 같은 길이의 제 1 평행 링크(9a,9b)의 일단이 회전축(10a,10b)에 의해 의자(1)의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평행 링크(9a,9b)의 타단은 회전축(11a,11b)에 의해 연결부로서의 연결판(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회전축(10a)과 회전축(10b) 사이의 거리와 회전축(11a)과 회전축(11b) 사이의 거리가 같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평행 링크(9a)와 제 1 평행 링크(9b)는 항상 평행하며, 회전축(10a)과 회전축(10b)을 잇는 직선과 회전축(11a)과 회전축(11b)을 잇는 직선도 또한 항상 평행하다.
연결판(12)에는 같은 길이의 제 2 평행 링크(13a,13b)의 일단이 회전축(14a,14b)에 의해 의자(1)의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평행 링크(13a,13b)의 타단은 회전축(15a,15b)에 의해 발받침(6)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 축(14a)과 회전축(14b) 사이의 거리와 회전축(15a)과 회전축(15b) 사이의 거리가 같아지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평행 링크(13a)와 제 2 평행 링크(13b)는 항상 평행하며, 회전축(14a)과 회전축(14b)을 잇는 직선과 회전축(15a)과 회전축(15b)을 잇는 직선도 또한 항상 평행하다. 회전축(11a,11b)과 회전축(14a,14b)은 연결판(1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11a)과 회전축(11b)을 잇는 직선과 회전축(14a)과 회전축(14b)을 잇는 직선의 각도는 당연히 일정하고, 따라서 회전축(10a)과 회전축(10b)을 잇는 직선과 회전축(15a)과 회전축(15b)을 잇는 직선의 각도도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발받침(6)의 시트면(2)에 대한 각도는 항상 일정해지며, 발받침(6)은 항상 수평으로 유지된다.
다리받침(5)의 베이스가 되는 베이스 프레임(16)은 회전축(17)에 의해 시트면(2)의 앞부분에 의자(1)의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리받침(5)은 안내기구(1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베이스 프레임(16)의 위에 설치되어 있다. 다리받침(5)의 베이스 프레임(16)은 회전축(19)에 의해 신축기구(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신축기구(20)의 타단은 회전축(21)에 의해 시트면(2) 아랫쪽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신축기구(20)는 나사축 등을 회전구동함으로써 신축시키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축기구(20)는 중계 코드(22)에 의해 조작기(23)에 접속되어 있어, 조작기(23)를 조작함으로써 신축기구(20)의 신축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신축기구(20)를 늘리면 다리받침(5)의 베이스 프레임(16)은 의자(1)의 앞쪽으로 수평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신축기구(20)를 줄이면 다리받침(5)의 베이스 프레임(16)이 수직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발받침(6)의 시트면에 대한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도 2의 예와 같은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주로 설명한다. 시트면(2)의 아랫쪽에는 제 1 도르래(25)가 고정되어 있고, 링크(28)가 제 1 도르래(25)의 중심에 회전축(2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28)의 타단은 회전축(30)에 의해 제 2 도르래(26)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도르래(26)는 벨트가 2개 걸리도록 홈이 2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도르래(25)와 제 2 도르래(26)에는 벨트(31)가 걸려 있어, 제 1 도르래(25)와 제 2 도르래(26)의 전달비는 1:1로 되어 있다. 더욱이, 제 2 도르래(26)의 중심에는 회전축(30)에 의해 링크(3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링크(32)의 타단은 회전축(33)에 의해 제 3 도르래(27)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3 도르래(27)는 발받침(6)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도르래(26)는 벨트가 2개 걸리도록 홈이 2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도르래(26)와 제 3 도르래(27)에는 벨트(34)가 걸려 있어, 제 2 도르래(26)와 제 3 도르래(27)의 전달비는 1:1로 되어 있다.
제 1 도르래(25)와 제 2 도르래(26)의 전달비가 1:1이고, 제 2 도르래(26)와 제 3 도르래(27)의 전달비가 1:1이기 때문에, 제 1 도르래(25)와 제 3 도르래(27)의 전달비가 1:1이 되어, 상대적인 각도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도르래(25)는 시트면(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되어 있으며, 제 3 도르래(27)는 발받침(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발받침(6)의 시트면(2) 에 대한 각도는 항상 일정해진다.
한편, 도시한 예에서는 제 1 도르래(25)와 제 2 도르래(26)의 전달비가 1:1, 제 2 도르래(26)와 제 3 도르래(27)의 전달비가 1:1이었지만, 제 1 도르래(25)와 제 2 도르래(26)의 전달비를 1:x, 제 2 도르래(26)와 제 3 도르래(27)의 전달비를 x:1로 하여도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벨트와 도르래를 사용하는 대신, 체인과 톱니바퀴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어서, 다리받침(5)의 베이스 프레임(16)에 대하여 고정, 해제하는 구조를 4 및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4는 다리받침(5) 및 베이스 프레임(16)을 시트면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5는 다리받침(5) 및 베이스 프레임(16)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한편, 도 5에서는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안내기구(18)를 생략하였다.
다리받침(5)은 평행하게 배치된 2열의 안내기구(18)에 의해 안내기구(18)의 길이방향을 따라 시트면(2)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떨어지는 방향만으로 이동가능하게 베이스 프레임(16) 위에 설치되어 있다. 다리받침(5)의 아랫면에는 다리받침(5)의 이동방향으로 복수의 구멍(35a)이 일직선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판(35)과, 스프링 지지기둥(36)이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6)의 윗면에는 스프링 지지기둥(37)과 지지대(38)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대(38)에는 축받이(39)가 고정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운동축(40)이 축받이(39)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딩 운동축(40)은 고정판(35)에 대하여 수직하게 출입하며, 돌출시에는 슬라이딩 운동축(40)이 고 정판(35)의 구멍(35a)에 끼워맞추어진다. 지지대(38)와 슬라이딩 운동축(40) 사이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42)에 의해, 슬라이딩 운동축(40)은 항상 돌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슬라이딩 운동축(40)의 고정판(35)과 끼워맞추어지지 않는 단부에는 와이어(41)가 접속되어 있어, 와이어(41)를 당기면 슬라이딩 운동축(40)과 고정판(35)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기둥(36)과 스프링 지지기둥(37)에는 인장 스프링(43)이 걸려 있어, 항상 다리받침(5)과 시트면(2)의 거리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와이어(41)의 타단은 시트면(2) 혹은 팔걸이(4) 등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쉽게 손이 닿는 위치에 설치된 조작기에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41)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다리받침(5)은 베이스 프레임(16)에 고정되게 되어, 다리받침(5)과 시트면(2)의 거리는 변하지 않는다. 와이어(41)를 당기면 고정이 해제되어, 인장 스프링(43)에 의한 힘보다도 다리받침(5)에 대한 반대방향의 외부압력이 큰 경우, 다리받침(5)은 시트면(2)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인장 스프링(43)에 의한 힘보다도 다리받침(5)에 대한 반대방향의 외부압력이 작은 경우에는, 다리받침(5)은 시트면(2)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안내기구(18)의 일례의 구조에 대하여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안내기구(18)는 레일(44), 원반형의 롤러(45a,45b) 및 회전축(46a,4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레일(44)은 고정부(47)에 의해 다리받침(5)의 아랫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레일(44)은 단면이 입술모양의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47)와 반대측 면의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다. 레일(44)의 내부에는 2개의 롤러(45a,45b)가 길이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롤러(45a,45b)는 회전축(46a,46b)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롤러(45a,45b)의 직경은 레일(44)의 내부 폭과 거의 같다. 이 때, 다리받침(5)과 시트면(2)의 거리를 조절하는 힘에 의해 안내기구(18)에 대한 모멘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롤러(45a)가 레일(44) 안의 한 쪽 내측면에 접하고, 롤러(45b)가 레일(44) 안의 다른 쪽 내측면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레일(44) 안을 이동한다.
또한,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의 의자식 마사지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도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주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다리받침(5)과 발받침(6)이 함께 이동하여 시트면(2)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다리받침(5)도 발받침(6)도 독립하여 시트면(2)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발받침(6)도 다리받침(5)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프레임(16)을 가지고 있다. 제 2 평행 링크(13a,13b)의 타단이 회전축(15a,15b)에서 발받침(6)측의 베이스 프레임(16)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리받침(5)에 설치한 회전축(24)이 발받침(6)측의 베이스 프레임(16)에 연결되어 있다. 발받침(6)측의 베이스 프레이(16)에는 다리받침(5)측과 마찬가지로 안내기구(18)에서 발받침(6)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안내기구(18)나 발받침(6)의 고정, 해제의 기구, 발받침(6)의 이동을 가압하는 인장 스프링(43)을 설치하는 구조 등은 발받침(6)측과 같은 구조이며,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 다. 본 실시예에서도 다리받침(5)의 각도나 위치에 관계없이, 발받침(6)을 항상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다리받침(5)과는 달리 발받침(6)의 시트면(2)에 대한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의자식 마사지기가 구성되어, 도 2,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모든 의자식 마사지기가 마사지 수단(7,8)을 가지는 다리받침(5) 및 발받침(6)을 구비하며, 발받침(6)은 다리받침(5)의 각도, 위치에 상관없이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리받침(5)이 대략 수직일 때는 종아리 및 발바닥을 시료할 수 있고, 다리받침(5)이 대략 수평일 때는 다리받침(5)과 발받침(6)이 대략 일직선 모양으로 늘어서기 때문에, 종아리에서부터 발목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시료할 수 있다. 또한 안내기구(18)로 다리받침(5)을 이동시킴으로써 다리받침(5)은 시트면(2)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하지 길이에 따라 최적의 시료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의자식 마사지기에서는 다리받침(5) 및 발받침(6)의 시트면(2)에 대한 거리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 피로 부위에 맞추어 마사지 수단의 위치를 보다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어, 높은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7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제 1 평행 링크(9a,9b), 제 2 평행 링크(13a,13b), 연결판(12) 등으로 이루어지는 링크기구에 의해, 다리받침(5)의 각도, 위치에 상관없이 발받침(6)을 대략 수평하게 유지하는 것은 단순한 링크 기구로 구성되기 때문에, 저가이면서 쉽게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5)의 각 도, 위치에 상관없이 발받침(6)을 대략 수평으로 지지하는 기구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도르래(25,26,27), 벨트(31,34), 링크(28,32) 등으로 구성되는 것에서는 다리받침(5)의 각도, 위치에 상관없이 벨트(31,34)의 팽팽한 측, 느슨한 측의 거리가 일정하여, 사이에 손가락 등을 끼지 않아 보다 높은 안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리받침(5) 또는 다리받침(5) 및 발받침(6)이 베이스 프레임(16)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사용시 다리받침(5)의 각도에 따라 다리받침(5)이나 발받침(6)의 위치가 변하도록 연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다리받침(5)이 회전운동하여 수평에 가까워짐에 따라 다리받침(5) 혹은 발받침(6)과 시트면(2)의 거리가 커지도록 연동하기 때문에, 게다가 의자(1)의 구조상 다리받침(5)의 시트면(2)에 대한 회전축의 위치가 무릎마디의 회전축에 대하여 아랫쪽이기 때문에, 다리받침(5)이 회전운동하여 수평에 가까워짐에 따라 종아리에 대한 다리받침(5)의 위치가 윗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리받침(5)의 어느 각도에서도 같은 시료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은 시트면(2)에 대한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시트면(2)에 대하여 근접 이간하는 방향으로 안내기구(18)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어, 와이어(41)를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딩 운동축(40)을 고정판(35)의 임의의 구멍(35a)에 끼워맞추어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힘을 주지 않고 쉽게 체형, 피로 부위에 맞추어 마사지 수단(7,8)의 위치를 맞출 수 있으며, 보다 높은 편안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 리받침(5) 또는 발받침(6)과 시트면(2)의 거리를 가깝게 이동시키도록 인장 스프링(43)으로 힘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과 시트면(2)의 거리를 조절할 때 다리받침(5)이나 발받침(6)의 중량에 따른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을 이동하도록 한 경우, 적은 출력이면 충분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인력에 의한 이동의 경우에도 작은 힘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과 시트면(2)의 거리를 조절할 때, 상기와 같이 인장 스프링(43)으로 힘을 가하여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이 가볍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인장 스프링(43)으로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경우,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의 고정을 해제했을 때, 인장 스프링(43)의 반발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이동해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인장 스프링(43)의 급격한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장치와 같은 제어수단을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안전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품의 부가가치로서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의 이동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이 와이어(41)를 통하여 시트면(2)이나 팔걸이(4)에 설치된 조작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앉은 자세 그대로, 다리로 발받침(6)을 눌러내림으로써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과 시트면의 거리를 조절하고, 손으로 고정·해제을 조작할 수 있어 높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과 시트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해졌던 힘으로부터 다리받침(5)의 중량과 발받침(6)의 중량을 뺀 값이 10kgf 이하가 되도록 인장 스프링(43)의 힘을 설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어린이나 노인 등 힘이 약한 사용자라도 쉽게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의 위치조절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레일(44)과 한 쌍의 롤러(45a,45b)와 한 쌍의 회전축(46a,46b)으로 이루어지는 안내기구(18)를 설치하고 있으면,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과 시트면(2)의 거리를 조절하는 힘에 의해 안내기구(18)에 대한 모멘트가 발생한 경우, 롤러(45a,45b)가 레일(44)의 측면에 접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마찰이 적어지고, 걸림없이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다리받침(5) 또는 발받침(6)에 수직으로 걸리는 신체를 지지하는 힘은 롤러(45a,45b)의 평면에서 받기 때문에, 큰 부하도 결딜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용 중에 포함됨.

Claims (9)

  1. 의자 시트면의 앞쪽에 상하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면에 앉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다리받침과, 다리받침의 앞끝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면에 앉는 사용자의 발목에서 발끝까지의 사이 그리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받침을 구비하고, 다리받침 및 발받침에 마사지 수단을 구비한 의자식 마사지기에 있어서, 다리받침은 시트면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고, 발받침은 다리받침의 각도,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대략 수평하게 유지되며, 다리받침과 발받침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식 마사지기.
  2. 의자 시트면의 앞쪽에 상하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면에 앉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다리받침과, 다리받침의 앞끝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면에 앉는 사용자의 발목에서 발끝까지의 사이 그리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받침을 구비하고, 다리받침 및 발받침에 마사지 수단을 구비한 의자식 마사지기에 있어서, 발받침은 다리받침의 각도,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수평하게 유지되며, 다리받침 및 발받침은 시트면에 대하여 거리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식 마사지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시트면의 아랫쪽 및 발받침에 각각 길이가 같은 한 쌍의 링크가, 다리받침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한 쌍의 링크 사이에 연결부가 배치되어 각각의 한 쌍의 링크가 회전가능하면서 평행해지도록 연결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식 마사지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시트면에 대한 각도와,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의 거리가 연동하여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식 마사지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시트면에 대한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시트면에 대하여 근접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가능하며, 또한 시트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식 마사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을 시트면에 근접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이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식 마사지기.
  7. 제 5 항에 있어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식 마사지기.
  8. 제 5 항에 있어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의 거리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가해졌던 힘으로부터 다리받침의 중량과 발받침의 중량을 뺀 값이 10kgf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식 마사지기.
  9. 제 5 항에 있어서,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과 시트면의 거리가 변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안내기구를 구비하고, 그 안내기구가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신체지지면과 거의 평행한 평면 안에 2열 이상 평행하게 설치되며, 또한 그 안내기구가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신체지지면에 평행한 면이 개방된 대략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레일과, 다리받침 또는 발받침의 신체지지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 직경은 상기 레일의 ㄷ자형 단면의 내측 폭과 거의 같으며,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2개 이상 배치된 원반형의 롤러와, 롤러의 회전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식 마사지기.
KR1020057023030A 2003-06-04 2004-05-26 의자식 마사지기 KR100720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0014 2003-06-04
JP2003160014A JP4239691B2 (ja) 2003-06-04 2003-06-04 椅子式マッサージ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022A true KR20060012022A (ko) 2006-02-06
KR100720686B1 KR100720686B1 (ko) 2007-05-23

Family

ID=3350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030A KR100720686B1 (ko) 2003-06-04 2004-05-26 의자식 마사지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41536A1 (ko)
JP (1) JP4239691B2 (ko)
KR (1) KR100720686B1 (ko)
CN (1) CN1802139B (ko)
HK (1) HK1092683A1 (ko)
WO (1) WO20041080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59B1 (ko) * 2014-09-04 2015-04-28 매직라이프코리아(주) 안마의자용 다리 안마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943A (ko) * 2003-08-29 2006-05-04 다이또 덴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하지용 마사지 장치
JP2006175083A (ja) * 2004-12-24 2006-07-06 Daisuke Otsuka 運動椅子
JP4760033B2 (ja) * 2005-01-31 2011-08-3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4009648B2 (ja) * 2005-06-17 2007-11-21 ファミリー株式会社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4201801B2 (ja) 2006-03-31 200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足用マッサージ機
JP4917358B2 (ja) * 2006-06-08 2012-04-18 株式会社フジ医療器 施療機
JP5078115B2 (ja) * 2006-10-06 2012-11-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4752741B2 (ja) * 2006-11-27 2011-08-1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4925447B2 (ja) * 2007-06-01 2012-04-25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5081041B2 (ja) * 2008-04-03 2012-11-21 株式会社フジ医療器 椅子式のマッサージ装置
JP5199806B2 (ja) * 2008-09-24 2013-05-15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足揉み装置を備えたマッサージ椅子
CN102579236B (zh) * 2012-02-24 2013-11-27 吴景华 翻动式腿部按摩器
CN103054704A (zh) * 2013-01-31 2013-04-24 宁波秉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腿脚按摩器
US10849819B2 (en) * 2013-12-11 2020-12-01 Luraco, Inc. System and method for body stretching by massage chair
CN104146849B (zh) * 2014-08-29 2016-03-23 赵蕊 一种危重患者健身椅
JP6503191B2 (ja) * 2015-01-21 2019-04-17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US10842708B2 (en) 2017-01-25 2020-11-24 Luraco, Inc. Massage apparatus for legs and feet and massage chair having the massage apparatus
US10724549B2 (en) 2017-05-11 2020-07-28 Luraco, Inc. Massage chair having a noise-reducing, enclosure device
US11179290B2 (en) 2017-05-11 2021-11-23 Luraco, Inc. Massage chair having a wireless charger, armrest sliding, hammering devices, and oxygen generation
JP7189811B2 (ja) * 2019-03-08 2022-12-14 株式会社フジ医療器 コントローラチェア
CN109730887A (zh) * 2019-03-08 2019-05-10 山东康泰实业有限公司 按摩椅及其脚部按摩机构
CN110656855A (zh) * 2019-08-21 2020-01-07 北京兰天方圆铝塑门窗有限公司 一种多功能窗户
CN111904740A (zh) * 2020-08-18 2020-11-10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多功能智能轮椅及智能轮椅组合床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3864A (en) * 1970-01-19 1972-01-11 Herscheal W Miller Adjustable seat support
US4548544A (en) * 1982-12-30 1985-10-22 Prince Corporation Robot apparatus particularly adapted for removing and handling die cast parts
JP2551492Y2 (ja) * 1992-06-12 1997-10-22 小糸工業株式会社 フットレスト付きレッグレスト
US5513937A (en) * 1994-12-05 1996-05-07 Automated Refuse Equipment, Inc. Lift mechanism for lifting refuse containers
CN2219634Y (zh) * 1995-01-26 1996-02-14 吴岩 同步自动伸缩多功能座椅
US5743020A (en) * 1996-09-27 1998-04-28 Sheldon; Paul C. Three-axis continuous probe
JP3952591B2 (ja) * 1998-04-23 2007-08-01 松下電工株式会社 オットマン付き椅子
JP2001095867A (ja) * 1999-09-30 2001-04-10 Toshiba Tec Corp 脚用マッサージ機
JP2001309833A (ja) * 2000-04-28 2001-11-06 Sanyo Electric Co Ltd フットレスト付き椅子
JP2002238963A (ja) * 2001-02-14 2002-08-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2002240598A (ja) * 2001-02-21 2002-08-28 Minebea Co Ltd 乗物用電動シートおよびその調整方法
TWI250871B (en) * 2003-12-22 2006-03-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assage cha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59B1 (ko) * 2014-09-04 2015-04-28 매직라이프코리아(주) 안마의자용 다리 안마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41536A1 (en) 2006-10-26
KR100720686B1 (ko) 2007-05-23
JP4239691B2 (ja) 2009-03-18
CN1802139A (zh) 2006-07-12
WO2004108054A1 (ja) 2004-12-16
CN1802139B (zh) 2010-06-16
HK1092683A1 (en) 2007-02-16
JP2004357945A (ja) 200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686B1 (ko) 의자식 마사지기
JP4943202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5279190B2 (ja) マッサージ椅子
KR20100085114A (ko) 타동 운동 기기
SG189446A1 (en) Chair-type mass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chair-type massage device
KR20190134425A (ko) 기능성을 향상시킨 안마의자
WO2021117420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113332673B (zh) 自预紧靠座装置及骨盆辅助步行训练机构
KR101675454B1 (ko) 무축 시료자를 가진 마사지 유닛 및 의자형 마사지 장치
CN113288709A (zh) 一种下肢按摩器
CN113017326A (zh) 按摩椅
KR20210072174A (ko) 운동용 의자
CN113367939B (zh) 骨盆辅助步行训练机构
JP5575732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4005709B2 (ja) マッサージ装置
KR200385453Y1 (ko) 개량된 구조를 가진 스트레칭 기구
JP4575711B2 (ja) 電動型トレーニングマシン
KR20120080706A (ko) 스트레칭 기구
CN110584892A (zh) 一种平躺轮椅
WO2021117284A1 (ja) 下肢用マッサージ機
JP2003205007A (ja) フットマッサージローラ付きチェア
KR200273071Y1 (ko) 다용도 침대
JP6650673B2 (ja) マッサージ機
TWI764549B (zh) 按摩機
CN219398124U (zh) 一种小腿放松按摩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