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606A -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0606A
KR20060010606A KR1020040059371A KR20040059371A KR20060010606A KR 20060010606 A KR20060010606 A KR 20060010606A KR 1020040059371 A KR1020040059371 A KR 1020040059371A KR 20040059371 A KR20040059371 A KR 20040059371A KR 20060010606 A KR20060010606 A KR 20060010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nterface
status
network
messag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685B1 (ko
Inventor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6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상동작 여부를 체크하고, 이상이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정상적으로 회복될 때까지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블록킹 시킴으로써 이상이 발생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통화를 위한 채널이 할당되지 않도록 하고, 이미 호가 연결된 채널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호를 해제함으로써,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교환시스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

Description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NETWORK INTERFACE STATUS IN SWITCH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제어부의 상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미디에 게이트웨이의 상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부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상태검출동작과 상응하는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환시스템 110 : 주제어부
120, 130 : 미디어 게이트웨이
200 : IP 네트워크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교환시스템에 포함되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에 필요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상여부를 검사하고, 이상이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은 정보화 사회라고 불릴 만큼 누가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는지에 의한 경쟁이 치열하다. 따라서, 정보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network)를 사용하기 쉽고 간소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오늘날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네트워크의 구조는 음성 통신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네트워크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음성통신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예로는 공중교환 전화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를 들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네트워크의 대표적인 예로는 패킷 교환네트워크(Packet Switched Network)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음성통신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네트워크는 종래에는 양분되어 각각의 구성으로 구현되고 있었으며, 서비스 자체에 있어 상이한 절차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는 공동 주택이나 대형 빌딩 등에서 사용되는 사설교환기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한 사무실과 같이 동일한 곳에 사용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음성통신 서비스와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분리되어 양쪽 서비스를 지원 받기 위해서는 각각 의 장비를 구비하여야 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근자에는 음성통신 서비스와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환시스템이 구현되고 있다.
이렇게 구현된 교환시스템에 연결된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데이터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음성신호를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즉,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환시스템 내에 게이트웨이(gateway)가 필요하게 된다.
가입자 단말로부터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교환시스템은 호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가입자 단말의 상대 단말과 주고받는 호 셋업(call setup)을 수행하고, 정상적으로 호 셋업이 이루어진 후 통화를 위한 게이트웨이에 채널을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할당하거나 분산하여 할당함으로써, 가입자 단말과 상대 단말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호 셋업이 이루어진 후 게이트웨이와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네트워크 이상여부에 대한 검사 없이 게이트웨이에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게이트웨이와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네트워크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교환시스템의 이상을 인해 게이트웨이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정상적인 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게이트웨이의 동작상태 및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하고, 이상이 발생한 게이트웨이를 상태가 회복될 때까지 해당 게이트웨이를 블록킹(blocking)시킴으로써, 해당 게이트웨이로 채널이 할당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미 연결된 채널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호(call)를 해제하는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검출장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상태파악 메시지를 발생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설정된 횟수 전송하는 신호 발생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상태파악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확인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호 연결을 위한 채널 할당을 블록킹(blocking)하는 상태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교환시스템 내의 내부통신버스 또는 IP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파악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의 IP 주소정보, 상기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인터페이스의 포트번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확인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블록킹 상태가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재 구동시키기 위한 재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
상기 상태 처리부는 상기 상태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상태확인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미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태파악 메시지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의 전송회수가 기준 전송회수를 넘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된 호를 해제한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검출방법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상태파악 메시지를 발생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설정된 횟수 전송하는 단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상태파악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확인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호 연결을 위한 채널 할당을 블록킹(block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블록킹 상태가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재 구동시키기 위한 재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상태확인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검사는, 상기 상태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미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태파악 메시지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의 전송회수가 기준 전송회수를 넘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된 호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비록 다른 도면에 속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시스템(100)은, 주제어부(110),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교환시스템(100)에 포함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예로서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를 들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주제어부(110)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의 동작상태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파악 메시지를 발생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태파악 메시지는 교환시스템(100) 내의 내부통신버스 또는 IP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태파악 메시지는 교환시스템(100) 내의 내부통신버스를 통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로 전송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태파악 메시지는 주제어부(110)의 IP 주소정보, 상태파악 메시지에 응답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 각각에서 발생된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UDP(User Datagram Protocol) 포트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주제어부(110)는 상태파악 메시지를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로 기준 회수 전송한 후,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로부터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블록상태로 설정한다. 여기에서, 상태확인 메시지는 교환시스템(100) 내의 내부통신버스 또는 IP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태확인 메시지는 IP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수신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태확인 메시지는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며,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IP 주소정보를 포함한다.
주제어부(110)는 임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블록상태로 설정한 후, 이러한 블록상태가 일정시간이 지나면 해당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재 구동시킨다. 여기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재 구동시키기 위한 재 구동신호는 교환시스템(100) 내의 내부통신버스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재 구동시키기 위한 재 구동신호의 전송은 교환시스템(100) 내의 내부통신버스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는 주제어부(110)로부터 전송된 상태파악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태확인 메시지를 IP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주제어부(110)로 전송한다.
또한,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는 주제어부(110)로부터 재 구동 요청에 따라 재 구동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제어부에 대한 상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어부(110)는, 내부 인터페이스(112), 중앙 제어부(114), 이더넷 인터페이스(116), 저장부(118)를 포함한다.
저장부(118)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로부터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이더넷 인터페이스(116)의 포트번호정보, 즉 UDP 포트번호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저장부(118)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의 블록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상태파악 메시지의 기준 전송회수에 대한 정보,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를 재 구동시키기 위한 기준시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저장부(118)는 중앙 제어부(114)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로 제공되는 상태파악 메시지의 전송주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중앙 제어부(1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의 정상 동작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상태파악 메시지를 발생하고, 발생된 상태파악 메시지를 내부 인터페이스(112)를 통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태파악 메시지는 주제어부(110)의 IP 주소정보, 상태파악 메시지에 응답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 각각에서 발생된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UDP(User Datagram Protocol) 포트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중앙 제어부(1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로부터 발생된 상태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이더넷 인터페이스(116)의 포트, 즉 UDP 포트로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하고, UDP 포트로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설정된 상태파악 메시지의 기준 전송회수를 초과하였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에서, 미디어 게이트(120, 130)로부터 발생된 상태확인 메시지의 수신여부는 상태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각각의 IP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14)는 설정된 상태확인 메시지의 기준 전송회수를 초과한 상태에서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블록상태로 설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해당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채널이 할당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미 채널이 할당되어 호가 연결된 경우에는 호를 해제한다.
중앙 제어부(114)는 임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블록상태로 설정된 후 기준시간이 지나면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재 구동 시기키위한 재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재 구동 신호를 내부 인터페이스(112)를 통하여 블록상태로 설정된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내부 인터페이스(112)는 주제어부(110)와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더넷 인터페이스(116)는 주제어부(110)와 IP 네트워크(200)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상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내부 인터페이스(122), 제어부(124), 이더넷 인터페이스(126)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제어부(124)는 상태 처리부(124a), 구동부(124b)를 포함하고 있다.
상태 처리부(124a)는 주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된 상태파악 메시지에 응답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구성요소에 대한 동작이상여부를 검사한다.
상태 처리부(124a)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구성요소의 동작에 이상이 없는 경우, 자신이 속한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IP 주소정보를 포함한 상태확인 메시지를 발생하고, 발생된 상태확인 메시지를 이더넷 인터페이스(126)를 통하여 주제어부(110)에 제공한다.
구동부(124b)는 주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된 재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이 속한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재 구동한다.
내부 인터페이스(122)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와 주제어부(110)간의 내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더넷 인터페이스(126)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와 IP 네트워크(200)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제어부의 상태검출동작과 상응하는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부(1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의 정상동작여부를 체크하기 위해서, 저장부(118)에 저장된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로부터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이더넷 인터페이스(116)의 포트번호정보, 즉 UDP 포트번호정보와 주제어부(100)의 IP 주소정보를 포함한 상태파악 메시지를 발생하고, 발생된 상태파악 메시지를 내부 인터페이스(112)를 통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에 제공한다(S200).
이후, 중앙 제어부(1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로부터 상태파악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태확인 메시지가 이더넷 인터페이스(116)의 포트, 즉 UDP 포트를 통하여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S202).
중앙 제어부(114)는 UDP 포트를 통하여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가 블록상태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검사하고(S206), 블록상태로 설정된 경우 블록상태를 해제한다(S210).
한편, 중앙 제어부(114)는 UDP 포트를 통하여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로의 상태파악 메시지 전송회수가 기준 전송회수를 초과하였는지를 검사한다(S204).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로의 상태파악 메시지 전송회수가 기준 전송회수를 초과한 경우, 중앙 제어부(1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20, 130)를 블록상태로 설정한다(S208). 한편, 이미 채널이 할당되어 호가 연결된 경우에는 호를 해제한다.
중앙 제어부(114)는 이렇게 설정된 블록상태가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체크하고(S212), 설정된 블록상태가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해당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재 구동시키기 위한 재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내부 인터페이스(112)를 통하여 해당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S214). 이렇게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재 구동시킨 후,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상태파악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태파악 메시지에 응답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IP 네트워크의 문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체크하기 위해서 중앙 제어부(114)는 주기적으로 계속 상태파악 메시지를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 출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상동작 여부를 체크하고, 이상이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정상적으로 회복이 될 때까지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블록킹 시킴으로써, 이상이 발생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통화를 위한 채널이 할당되지 않도록 하고, 이미 호가 연결된 채널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호를 해제함으로써,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안정적인 VoI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검출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상태파악 메시지를 발생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설정된 횟수 전송하는 신호 발생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상태파악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확인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호 연결을 위한 채널 할당을 블록킹(blocking)하는 상태 처리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교환시스템 내의 내부통신버스 또는 IP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파악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의 IP 주소정보, 상기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인터페이스의 포트번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블록킹 상태가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재 구동시키기 위한 재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처리부는,
    상기 상태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상태확인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미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태파악 메시지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의 전송회수가 기준 전송회수를 넘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된 호를 해제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8.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검출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상태파악 메시지를 발생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설정된 횟수 전송하는 단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상태파악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확인 메시지가 상기 네트 워크를 통하여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호 연결을 위한 채널 할당을 블록킹(block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교환시스템 내의 내부통신버스 또는 IP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파악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의 IP 주소정보, 상기 상태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인터페이스의 포트번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블록킹 상태가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재 구동시키기 위한 재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상태확인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검사는, 상기 상태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미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태파악 메시지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의 전송회수가 기준 전송회수를 넘은 경우, 상 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된 호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방법.
KR1020040059371A 2004-07-28 2004-07-28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624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371A KR100624685B1 (ko) 2004-07-28 2004-07-28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371A KR100624685B1 (ko) 2004-07-28 2004-07-28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606A true KR20060010606A (ko) 2006-02-02
KR100624685B1 KR100624685B1 (ko) 2006-09-19

Family

ID=3712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371A KR100624685B1 (ko) 2004-07-28 2004-07-28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6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685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66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link failure recovery
CA2529187A1 (en) Network telephone system and main apparatus and telephone terminals used in the network telephone system
JP5240201B2 (ja) Ip電話自動試験システム及び方法
US7545798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call portion
JP2007266774A (ja) 連携方法、中継装置及び通信管理装置
US7764666B2 (en) VoIP gatew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in/call-out in VoIP gateway apparatus
JP2006166244A (ja) 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及びこの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の主装置
JP4681480B2 (ja) トラフィック制御装置、トラフィック制御システムおよび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
JP4599424B2 (ja) 電話システムとその交換装置および発信制御方法
JP4387937B2 (ja) 電話システムおよび交換システム
KR100624685B1 (ko) 교환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검출장치 및 그 방법
EP1906605A1 (en) IP telephone system and telephone exchange
JP4960436B2 (ja) パケット誤配信対処方法及びサーバ装置
JP2007174047A (ja) 呼制御方法および呼制御システム
TWI607647B (zh) 在通訊網路中之通訊方法
JP4270020B2 (ja) 構内交換システム、ゲートウエイ装置、構内交換方法、および構内交換プログラム
US7603457B2 (en) Arrangement for state monitoring for components in a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JP4973151B2 (ja) Ip電話装置
JP2007066117A (ja) 情報通知方法及びサーバ
JP3874638B2 (ja) VoIPシステムにおける特定相手非動作通知方法およびVoIPシステム用通信交換管理装置
JP4088175B2 (ja) 交換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電話交換装置
JP2005094715A (ja) 音声ゲートウェイ装置
KR100705595B1 (ko) 네트워크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JP4576796B2 (ja) VoIP通信装置における呼制御方法
KR100599976B1 (ko) VoIP 단말의 장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VoIP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