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530A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10530A KR20060010530A KR1020040059261A KR20040059261A KR20060010530A KR 20060010530 A KR20060010530 A KR 20060010530A KR 1020040059261 A KR1020040059261 A KR 1020040059261A KR 20040059261 A KR20040059261 A KR 20040059261A KR 20060010530 A KR20060010530 A KR 200600105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ed
- planetary gear
- clutch
- gear set
- operating el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16H3/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 F16H3/663—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with conveying rotary motion between axially spaced orbital gears, e.g. RAVIGNEAUX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16H3/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 F16H3/6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with compound planetary gear units, e.g. two intermeshing orbital gea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ix forward spee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07—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two sets of orbital gea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avigneaux set
- F16H2200/202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avigneaux set using a Ravigneaux set with 4 conn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avigneaux set
- F16H2200/2025—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avigneaux set using a Ravigneaux set with 5 conn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4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with five engag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97—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omprising an orbital gear set member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housing, e.g. a sun wheel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하나의 유성기어와,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어를 별개로 자전하도록 연결하여 유성 캐리어만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5개의 작동요소를 갖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를 구현하고, 하나의 단순 유성기어셋트로부터 직결 및 가변 연결되는 2개의 입력경로와, 입력축과 가변 연결되는 하나의 입력경로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형성함으로써, 공전(IS)하는 유성기어의 회전수를 최소화하여 동력전달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을 제공한다.
자동 변속기. 클러치. 유성기어셋트, 가변복합 유성기어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되는 파워 트레인의 작동 요소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전진 1속 내지 3속 변속선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전진 4속 내지 6속 및 후진 변속선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전진 1속 내지 3속 변속선도, 및 전진 4속 내지 6속과 후진 변속선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전진 1속 내지 3속 변속선도, 및 전진 4속 내지 6속과 후진 변속선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전진 1속 내지 3속 변속선도, 및 전진 4속 내지 6속과 후진 변속선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전진 1속 내지 3속 변속선도, 및 전진 4속 내지 6속과 후진 변속선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전 진 1속 내지 3속 변속선도, 및 전진 4속 내지 6속과 후진 변속선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전진 1속 내지 3속 변속선도, 및 전진 4속 내지 6속과 후진 변속선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전진 1속 내지 3속 변속선도, 및 전진 4속 내지 6속과 후진 변속선도이다.
도 26은 종래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도 27은 도 26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작동 요소표, 및
도 28은 종래 파워 트레인의 전진 1속 내지 6속 및 후진 변속선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변속기에 적용되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 변속기의 다단 변속기어 메카니즘은, 복수의 유성기어셋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유성기어셋트가 조합된 파워 트레인은 엔진 토크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토크 컨버터로부터 회전 동력이 입력되면 이를 다단으로 변속하여 출력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은 많은 변속단을 보유할수록 동력 성능 및 연료 소비율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동일 수의 변속단을 구현하더라도 유성기어셋트의 조합 방법에 따라 내구성 및 동력 전달 효율, 그리고 크기 및 중량 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고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컴팩트화 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유성기어셋트를 이용하는 파워 트레인을 개발함에 있어서는 어떤 새로운 유성기어셋트를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나와 있는 싱글 피니온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온 유성기어셋트 혹은 싱글 및 더블 피니온 유성기어셋트를 조합한 라비뉴 타입의 유성기어셋트를 어떻게 조합하고, 이에 수반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 그리고 원웨이 클러치를 어느 위치에 몇 개를 배치하여 가능한 동력 손실이 없이 원하는 변속단과 이에 따르는 변속비를 구현하여 변속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표를 두고 다양한 연구되고 있다.
특히, 수동 변속기의 경우에는 변속단이 지나치게 많으면 운전자가 자주 변속을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자동 변속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운전 상태에 따라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이 자동으로 파워 트레인의 작동을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하게 되는 바, 보다 많은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하여 4속 및 5속 파워 트레인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과 아울러, 최근에는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이 제공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도 26에서와 같이, 전방에 1개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와 후방에 1개의 라비뉴 타입의 라비뉴 유성기어셋트(LPG)를 조합하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제1선기어(S1)는 변속기 케이스(1)에 고정되고, 라비뉴 유성기어셋트(LPG)의 제2(3)링기어(R2(R3))는 출력기어(OUT)가 장착되어 출력요소로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제1링기어(R1)는 입력축(3)과 직접 연결되며, 라비뉴 유성기어셋트(LPG)의 제2,3 유성기어(P2,P3)를 연결하는 제3유성 캐리어(PC3)는 제2클러치(C2)를 개재시켜 상기 입력축(3)과 가변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제1유성기어(P1)를 연결하는 제1유성 캐리어(PC1)는 라비뉴 유성기어셋트(LPG)의 제3선기어(S3)와의 사이에 제1클러치(C1)를 개재시켜 상호 가변적으로 연결되고, 이는 다시 제2선기어(S2)와의 사이에 제3클러치(C3)를 개재시켜 상호 가변적으로 연결된다.
또, 상기 제2선기어(S2)는 제1브레이크(B1)를 개재시켜 변속기 케이스(1)와 연결되고, 상기 라비뉴 유성기어셋트(LPG)의 제2,3 유성기어(P2,P3)를 연결하는 제3유성 캐리어(PC3)는 변속기 케이스(1)에 병열 배치되는 제2브레이크(B2)와 원웨이 클러치(OWC)를 개재시켜 상기 변속기 케이스(1)에 연결된다.
이러한 파워 트레인은 도 27에서와 같이, 전진 제1속에서는 제1클러치(C1)와 원웨이 클러치(OWC)가 작동하고, 제2속에서는 제1클러치(C1)와 제1브레이크(B1)가 작동하며, 제3속에서는 제1클러치(C1)와 제3클러치(C3)가 작동하고, 제4속에서는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작동하며, 제5속에서는 제2,3클러치(C2)(C3)가 작동하고, 제6속에서는 제2클러치(C2)와 제1브레이크(B1)가 작동하며, 후진 변속단 에서는 제3클러치(C3)와 제2브레이크(B2)가 작동하면서 전진 6속과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파워 트레인에 있어서는, 도 28에서와 같이, 3개의 유성기어가 동력을 받으며 회전하는 단이 제2속단 1개이고, 2개의 유성기어가 동력을 받으며 회전하는 단이 제1속단, 제4속단, 제5속단으로 3개이며, 1개의 유성기어만이 동력을 받으며 회전하는 단이 제3속단 및 제6속단으로 2개이다.
이는 다시 말해서, 전 유성기어가 상호 직결되는 단을 배제함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자동변속기의 동력전달효율의 측면에서 보면, 기어의 구름효율의 영향으로 인한 동력손실이 그만큼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른 기어효율의 측면에서 다소 불리하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제5속단과 제6속단의 경우, 제3선기어(S3)가 불필요하게 공전(IS)하는 회전수가 커서 그 내구력에도 불리하게 작용하게 되는 단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하나의 유성기어와,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어를 별개로 자전하도록 연결하여 유성 캐리어만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5개의 작동요소를 갖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를 구현하고, 하나의 단순 유성기어셋트로부터 직결 및 가변 연결되는 2개의 입력경로와, 입력축과 가변 연결되는 하나의 입력경로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형성함으로써, 공전(IS)하는 유성기어의 회전수를 최소화 하여 동력전달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하나의 유성기어와,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어를 상호 별개로 자전하도록 연결하여 유성 캐리어만을 공유하도록 하며, 입력축에 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는 입력요소와, 출력이 이루어지는 출력요소를 포함하여 5개의 작동요소를 구현하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2개의 작동요소에 대하여 하나의 작동요소가 상시 직결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요소가 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며, 입력축과 직결되는 입력요소를 포함하여 3개의 작동요소를 구현하는 단순 유성기어셋트를 통하여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로 제1작동요소로 하고, 그 링기어를 제2작동요소로 하고,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제3작동요소로 하고, 그 선기어를 제5작동요소로 하며, 상호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를 제4작동요소로 하며,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그 유성 캐리어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그 선기어를 제8작동요소로 하되,
상기 제1작동요소는 제7작동요소와 상호 직결하며, 제2작동요소와 제3작동요 소는 제1클러치를 통하여 상호 가변 연결하고, 제4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와 제6작동요소에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 및 제2클러치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하고, 제5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와 제7작동요소에 제1브레이크와 제3클러치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하고, 제8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하며, 상기 제3작동요소를 출력요소로 하고, 제6작동요소를 입력요소로 하여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선기어(S1), 제1유성기어(P1) 및 제1링기어(R1)로 된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가 구비된다.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그 후방에서 제2선기어(S2), 제2유성기어(P2) 및 제2링기어(R2)로 된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이에 이웃하여 제3선기어(S3), 2조의 제3유성기어(P3) 및 제3링기어(R3)로 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가 상호 제2유성기어(P2)와 제3유성기어(P3) 중 하나를 별개로 자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는 제1선기어(S1)와, 제1링기어(R1)와, 이들 제1선기어(S1)와 제1링기어(R1) 사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P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1유성 캐리어(PC1)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제3선기어(S3), 제3링기어(R3)와, 제3선기어(S3)와 제3링기어(R3) 사이에 치합되는 2조의 제3유성기어(P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3유성 캐리어(PC3)를 포함한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은 변속기 전측에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입력축(3)에 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는 입력요소와, 출력이 이루어지는 출력요소를 포함하여 5개의 작동요소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2개의 작동요소에 대하여 하나의 작동요소가 상시 직결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요소가 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며, 입력축(3)과 직결되는 입력요소를 포함하여 3개의 작동요소를 구현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제3선기어(S3)를 제1작동요소로 하고, 제3링기어(R3)를 제2작동요소로 하고,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제2링기어(R2)를 제3작동요소로 하고, 제2선기어(S2)를 제5작동요소로 하며, 상호 공유하는 제3유성 캐리어(PC3)를 제4작동요소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링기어(R1)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제1유성 캐리어(PC1)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제1선기어(S1)를 제8작동요소로 한다.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작동요소인 제3선기어(S3)는 제7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와 상호 직결되며, 제2작동요소인 제3링기어(R3)와 제3작동요소인 제2링기어(R2)는 제1클러치(C1)를 통하여 상호 가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클러치(C1)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3개의 작동요소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는 변속기 케이스(1)에 제2브레이크(B2)와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고, 제6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는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된다.
또한, 제5작동요소인 제2선기어(S2)는 변속기 케이스(1)와 제7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에 제1브레이크(B1)와 제3클러치(C3)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되고, 제8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는 변속기 케이스(1)에 고정되어 상시 고정요소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제3작동요소인 제2링기어(R2)는 출력요소로, 제6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는 입력축(3)과 직결되어 상시 입력요소로 조합된다.
이와 같이, 조합되는 8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3가지의 입력경로를 통하여 전달되는데, 먼저, 제1입력경로는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와 함께, 상기 제7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를 통하여 제1작동요소인 제3선기어(S3)에 감속 비로 입력된다.
즉, 제1입력경로는 제1속단, 제2속단, 제3속단 및 제4속단에서, 상기 제2작동요소인 제3링기어(R3)와 제3작동요소인 제2링기어(R2)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C1)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입력경로는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와 함께,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에 동속비로 입력된다.
즉, 상기 제2입력경로는 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에서,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6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C2)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제3입력경로는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와 함께, 상기 제7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를 통하여 제5작동요소인 제2선기어(S2)에 감속비로 입력된다.
즉, 상기 제3입력경로는 제3속단, 제5속단 및 후진단에서, 상기 제5작동요소인 제2선기어(S2)와 제7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3클러치(C3)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8개의 작동요소로 3가지의 입력경로를 갖는 파워 트레인은 도 2에서 도시한 작동 요소표에서와 같이, 제1속단에서 제1클러치(C1)와 원웨이 클러치(OWC)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B1)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B1)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C3)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C3)가 해제되면 서 제2클러치(C2)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C1)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C3)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C3)가 해제되면서 제1브레이크(B1)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3클러치(C3) 및 제2브레이크(B2)가 작동하여 전진6속 및 후진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을, 도 3과 도 4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각 작용요소는 상기 도 3과 도 4의 본 발명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전진 1속 내지 6속 및 후진 변속선도에서와 같이, 각 노드별로 각 작동요소가 배치되는데, 제1노드(N1)는 제1작동요소인 제3선기어(S3), 제2노드(N2)와 제3노드(N3)는 제2,제3작동요소인 제3링기어(R3) 및 제2링기어(R2)가, 제4노드(N4)는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5노드(N5)는 제5작동요소인 제2선기어(S2)가 설정된다.
그리고, 제6노드(N6)는 제6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가, 제7노드(N7)는 제7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가, 제8노드(N8)는 제8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가 설정된다.
이에, 제1클러치(C1)와 원웨이 클러치(OWC)가 작동하는 상태로,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제1링기어(R1)인 제6노드(N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면, 제1링기어(R1)인 제6노드(N6)를 통해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1노드(N1)인 제3선기어(S3)로 감속의 입력이 전달되는 상태에서, 제4노드(N4)와 제8노드(N8)가 고정요소로 작동하면서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와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하여 도 3의 제1속 도면에서와 같은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3노드(N3)를 통해 D1 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1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클러치(C1)가 작동한다는 것은 상기 제3링기어(R3)와 제2링기어(R2)가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노드(N2)와 제3노드(N3)가 하나로 작용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진 2속에서는 상기 제1속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B1)가 작동된다.
그러면,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제1링기어(R1)인 제6노드(N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3선기어(S3)로 감속된 입력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5노드(N5)와 제8노드(N8)가 고정요소로 작동하면서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와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하여 도 3의 제2속 도면에서와 같은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3노드(N3)를 통해 D2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2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3속에서는 상기 제2속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B1)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3클러치(C3)가 작동된다.
그러면,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제1링기어(R1)인 제6노드(N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제1유성 캐리어(PC1)인 제7노드(N7)를 통해 가변 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2선기어(S2)로 감속된 입력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에서는 제5노드(N5)가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에서는 제8노드(N8)가 고정요소로 작동하여 도 3의 3속 도면에서와 같은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3노드(N3)를 통해 D3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3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4속에서는 상기 제3속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C3)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2클러치(C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제1링기어(R1)인 제6노드(N6)와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3유성 캐리어(PC3)인 제4노드(N4)가 직결 된 상태로 동속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1링기어(R1)인 제6노드(N6)와 함께,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3선기어(S3)에는 감속된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와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하여 도 4의 제4속 도면에서와 같은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3노드(N3)를 통해 D4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4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진 5속에서는 상기 제4속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C1)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3클러치(C3)가 작동된다.
그러면,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제1유성 캐리어(PC1)인 제7노드(N7)와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2선기어(S2)인 제5노드(N5)가 사실 상 직결 된 상태를 유지하여 입력이 이루어지고, 제1링기어(R1)인 제6노드(N6)를 통해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3유성 캐리어(PC3)로 동속의 입력이 전달되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2선기어(S2)인 제5노드(N5)와 제3선기어(S3)인 제1노드(N1)는 사실상 고정요소로 작동하여 2개의 속도선을 나타내게 된다.
즉, 상기 제2,3노드(N2,N3)상의 제3링기어(R3)와 제2링기어(R2)는 각각 별개로 자전하게 됨으로, 제1클러치(C1)가 작동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별개로 회전하여 2개의 속도선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와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하여 도 4의 제5속 도면에서와 같은 2개의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3노드(N3)의 제2링기어(R2)를 통해 D5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5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6속에서는 상기 제5속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C3)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1브레이크(B1)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제1링기어(R1)인 제6노드(N6)와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3유성 캐리어(PC3)인 제4노드(N4)가 사실상 직결 된 상태를 유지하여 동속의 입력이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3선기어(S3)인 제1노드(N1)와 제2선기어(S2)인 제5노드(N5) 및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제1선기어(S1)인 제8노드(N8)가 고정요소로 작동하면서, 도 4의 제6속 도면에서와 같은 2개의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3노드(N3)인 제2링기어(R2)를 통해 D6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6속의 변속이 이루어지 게 된다.
그리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3클러치(C3)와 제2브레이크(B2)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제1유성 캐리어(PC1)인 제7노드(N7)와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2선기어(S2)인 제5노드(N5)가 사실상 직결 된 상태를 유지하여 감속된 입력이 이루어지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제3유성 캐리어(PC3)인 제4노드(N4)는 고정요소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와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하여 도 4의 후진속 도면에서와 같은 2개의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3노드(N3)의 제2링기어(R2)를 통해 R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첨부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구비되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와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그 후방에서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가 상호 제2유성기어(P2)와 제3유성기어(P3) 중 하나를 별개로 자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조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는 제1선기어(S1)와 제1링기어(R1) 사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P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1유성 캐리어(PC1)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제2,3선기어(S2,S3)와 제2,3링기어(R2,R3) 사이에 치합되는 제2유성기어(P2)와 2조의 제3유성기어(P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2,3유성 캐리어(PC2,PC3)를 포함한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변속기 전측에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5개의 작동요소를 가지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3개의 작동요소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3개의 작동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2작동요소인 제3링기어(R3)와 제3작동요소인 제2링기어(R2)를 상호 가변 연결하는 상기 제1클러치(C1)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에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변속기 케이스(1)에 제2브레이크(B2)와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던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는 단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제6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와 가변 연결되고, 상기 제2브레이크(B2)와 원웨이 클러치(OWC)는 제4작동요소를 공유하는 제2유성 캐리어(PC2)에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8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첨부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구비되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와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그 후방에서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가 상호 제2유성기어(P2)와 제3유성기어(P3) 중 하나를 별개로 자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조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는 제1선기어(S1)와 제1링기어(R1) 사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P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1유성 캐리어(PC1)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제3선기어(S3)와 제3링기어(R3) 사이에 치합되는 2조의 제3유성기어(P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3유성 캐리어(PC3)를 포함한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변속기 전측에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5개의 작동요소를 가지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3개의 작동요소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3개의 작동요소를 갖는다.
단,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3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선기어(S1)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제1유성 캐리어(PC1)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제1링기어(R1)를 제8작동요소로 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가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되는 것과 제8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가 변속기 케이스(1)에 고정되어 상시 고정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르며, 이 때,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가 입력축(3)과 직결되어 상시 입력요소로 조합된다.
그리고 제2작동요소인 제3링기어(R3)와 제3작동요소인 제2링기어(R2)를 상호 가변 연결하는 상기 제1클러치(C1)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 동요소와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3개의 작동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8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나, 제1,2,3입력경로에서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를 통하여 기본적인 입력축(3)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2입력경로는 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의 경우,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C2)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
한편, 상기 작동요소의 작동 요소표는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단지 제6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링기어(R1)에서, 제1선기어(S1)로 치환되어 제1선기어(S1)가 입력요소가 되며, 제8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선기어(S1)에서, 제1링기어(R1)로 치환되어 제1링기어(R1)가 고정요소가 되는 것에 차이가 있으나. 그 변속과정에 있어 작동요소의 운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를 첨부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구비되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와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그 후방에서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가 상호 제2유성기어(P2)와 제3유성기어(P3) 중 하나를 별개로 자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조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는 제1선기어(S1)와 제1링기어(R1) 사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P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1유성 캐리어(PC1)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제2,3선기어(S2,S3)와 제2,3링기어(R2,R3) 사이에 치합되는 제2유성기어(P2)와 2조의 제3유성기어(P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2,3유성 캐리어(PC2,PC3)를 포함한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변속기 전측에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5개의 작동요소를 가지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3개의 작동요소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3개의 작동요소를 갖는다.
단,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3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선기 어(S1)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제1유성 캐리어(PC1)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제1링기어(R1)를 제8작동요소로 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이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되는 것과 제8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가 변속기 케이스(1)에 고정되어 상시 고정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르며, 이 때,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가 입력축(3)과 직결되어 상시 입력요소로 조합된다.
그리고 제2작동요소인 제3링기어(R3)와 제3작동요소인 제2링기어(R2)를 상호 가변 연결하는 상기 제1클러치(C1)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에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변속기 케이스(1)에 제2브레이크(B2)와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던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는 단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와 가변 연결되고, 상기 제2브레이크(B2)와 원웨이 클러치(OWC)는 제4작동요소를 공유하는 제2유성 캐리어(PC2)에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8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나,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이, 제1,2,3입력경로에서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를 통하여 기본적인 입력축(3)의 입력 이 이루어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2입력경로는 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의 경우,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C2)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
한편, 상기 작동요소의 작동 요소표는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단지 제6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링기어(R1)에서, 제1선기어(S1)로 치환되어 제1선기어(S1)가 입력요소가 되며, 제8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선기어(S1)에서, 제1링기어(R1)로 치환되어 제1링기어(R1)가 고정요소가 되는 것에 차이가 있으나. 그 변속과정에 있어 작동요소의 운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를 첨부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구비되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와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그 후방에서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가 상호 제2유성기어(P2)와 제3유성기어(P3) 중 하나를 별개로 자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조합 되는 구성에서,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한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는 제1선기어(S1)와 제1링기어(R1) 사이에 치합되는 2조의 제1유성기어(P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1유성 캐리어(PC1)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제3선기어(S3)와 제3링기어(R3) 사이에 치합되는 2조의 제3유성기어(P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3유성 캐리어(PC3)를 포함한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변속기 전측에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한 것 외에, 변속기 후측에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5개의 작동요소를 가지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3개의 작동요소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3개의 작동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는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제1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3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유성 캐리어(PC1)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제1링기어(R1)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제1선기어(S1)를 제8작동요소로 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는 대부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가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되는 것과, 제7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가 제1작동요소인 제3선기어(S3)와 직결되며, 동시에 제5작동요소인 제2선기어(S2)와 제3클러치(C3)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르며, 이 때,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가 입력축(3)과 직결되어 상시 입력요소로 조합된다.
그리고 제2작동요소인 제3링기어(R3)와 제3작동요소인 제2링기어(R2)를 상호 가변 연결하는 상기 제1클러치(C1)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와 단순 유성기어셋트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3개의 작동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8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나, 제1,2,3입력경로에서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를 통하여 기본적인 입력축(3)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기본적인 입력축(3)의 입력이 제6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제2입력경로가 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의 경우,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6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C2)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
한편, 상기 작동요소의 작동 요소표는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 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단지 제6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링기어(R1)에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적용에 따라 제1유성 캐리어(PC1)로 치환되어 제1유성 캐리어가(PC1)가 상시 입력요소가 되며, 제7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유성 캐리어(PC1)에서, 제1링기어(R1)로 치환되는 것에 차이가 있으나. 그 변속과정에 있어 작동요소의 운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를 첨부한 도 17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구비되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와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그 후방에서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가 상호 제2유성기어(P2)와 제3유성기어(P3) 중 하나를 별개로 자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조합되는 구성에서,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한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는 제1선기어(S1)와 제1링기어(R1) 사이에 치합되는 2조의 제1유성기어(P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1유성 캐리 어(PC1)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제2,3선기어(S2,S3)와 제2,3링기어(R2,R3) 사이에 치합되는 제2유성기어(P2)와 2조의 제3유성기어(P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2,3유성 캐리어(PC2,PC3)를 포함한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변속기 전측에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한 것 외에, 변속기 후측에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5개의 작동요소를 가지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3개의 작동요소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3개의 작동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는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제1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3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유성 캐리어(PC1)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제1링기어(R1)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제1선기어(S1)를 제8작동요소로 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는 대부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가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되는 것과, 제7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가 제1작동요소인 제3선기어(S3)와 직결되며, 동시에 제5작동요소인 제2선기어(S2)와 제3클러치(C3)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르며, 이 때,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가 입력축(3)과 직결되어 상시 입력요소로 조합된다.
그리고 제2작동요소인 제3링기어(R3)와 제3작동요소인 제2링기어(R2)를 상호 가변 연결하는 상기 제1클러치(C1)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제1실시예 및 제5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변속기 케이스(1)에 제2브레이크(B2)와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던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는 단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제6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와 가변 연결되고, 상기 제2브레이크(B2)와 원웨이 클러치(OWC)는 제4작동요소를 공유하는 제2유성 캐리어(PC2)에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8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나, 제5실시예와 같이, 제1,2,3입력경로에서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를 통하여 기본적인 입력축(3)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기본적인 입력축(3)의 입력이 제6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제2입력경로가 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의 경우,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6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C2)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
한편, 상기 작동요소의 작동 요소표는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 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도 18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단지 제6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링기어(R1)에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적용에 따라 제1유성 캐리어(PC1)로 치환되어 제1유성 캐리어가(PC1)가 상시 입력요소가 되며, 제7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유성 캐리어(PC1)에서, 제1링기어(R1)로 치환되는 것에 차이가 있으나. 그 변속과정에 있어 작동요소의 운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를 첨부한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구비되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와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그 후방에서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가 상호 제2유성기어(P2)와 제3유성기어(P3) 중 하나를 별개로 자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조합되는 구성에서,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한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는 제1선기어(S1)와 제1링기어(R1) 사이에 치합되는 2조의 제1유성기어(P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1유성 캐리 어(PC1)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제3선기어(S3)와 제3링기어(R3) 사이에 치합되는 2조의 제3유성기어(P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3유성 캐리어(PC3)를 포함한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변속기 전측에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한 것 외에, 변속기 후측에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5개의 작동요소를 가지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3개의 작동요소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3개의 작동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는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제1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3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선기어(PC1)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제1링기어(R1)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제1유성 캐리어(PC1)를 제8작동요소로 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는 대부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가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되는 것과, 제7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가 제1작동요소인 제3선기어(S3)와 직결되며, 동시에 제5작동요소인 제2선기어(S2)와 제3클러치(C3)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르 며, 이 때, 상기 제8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가 변속기 케이스(1)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요소로 작용하며,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가 입력축(3)과 직결되어 상시 입력요소로 조합되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제2작동요소인 제3링기어(R3)와 제3작동요소인 제2링기어(R2)를 상호 가변 연결하는 상기 제1클러치(C1)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와 단순 유성기어셋트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3개의 작동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8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나, 제1,2,3입력경로에서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를 통하여 기본적인 입력축(3)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기본적인 입력축(3)의 입력이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PC1)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제2입력경로가 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의 경우,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C2)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
한편, 상기 작동요소의 작동 요소표는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도 21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단지 제6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링기어(R1) 에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적용에 따라 제1선기어(S1)로 치환되어 제1선기어(PC1)가 상시 입력요소가 되며, 제7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유성 캐리어(PC1)에서, 제1링기어(R1)로 치환되는 것 및 상기 고정요소인 제8작동요소로 제1유성 캐리어(PC1)가 적용되는 것에 차이가 있으나. 그 변속과정에 있어 작동요소의 운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실시예를 첨부한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구비되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와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그 후방에서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가 상호 제2유성기어(P2)와 제3유성기어(P3) 중 하나를 별개로 자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조합되는 구성에서,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한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는 제1선기어(S1)와 제1링기어(R1) 사이에 치합되는 2조의 제1유성기어(P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1유성 캐리어(PC1)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는 제2,3선기어(S2,S3)와 제2,3링기어(R2,R3) 사이에 치합되는 제2유성기어(P2)와 2조의 제3유성기어(P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제2,3유성 캐리어(PC2,PC3)를 포함한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변속기 전측에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한 것 외에, 변속기 후측에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5개의 작동요소를 가지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의 3개의 작동요소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3개의 작동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는 단순 유성기어셋트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제1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3개의 작동요소는 상기 제1선기어(PC1)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제1링기어(R1)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제1유성 캐리어(PC1)를 제8작동요소로 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8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는 대부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가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되는 것과, 제7작동요소인 제1링기어(R1)가 제1작동요소인 제3선기어(S3)와 직결되며, 동시에 제5작동요소인 제2선기어(S2)와 제3클러치(C3)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르며, 이 때, 상기 제8작동요소인 제1유성 캐리어(PC1)가 변속기 케이스(1)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요소로 작용하며,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가 입력축(3)과 직결되 어 상시 입력요소로 조합되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제2작동요소인 제3링기어(R3)와 제3작동요소인 제2링기어(R2)를 상호 가변 연결하는 상기 제1클러치(C1)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의 5개의 작동요소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변속기 케이스(1)에 제2브레이크(B2)와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던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는 단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와 가변 연결되고, 상기 제2브레이크(B2)와 원웨이 클러치(OWC)는 제4작동요소를 공유하는 제2유성 캐리어(PC2)에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8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V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나, 제7실시예와 같이, 제1,2,3입력경로에서 상기 제6작동요소인 제1선디어(S1)를 통하여 기본적인 입력축(3)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기본적인 입력축(3)의 입력이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제2입력경로가 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의 경우, 상기 제4작동요소인 제3유성 캐리어(PC3)와 제6작동요소인 제1선기어(S1)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C2)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
한편, 상기 작동요소의 작동 요소표는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도 24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단지 제6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링기어(R1)에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적용에 따라 제1선기어(S1)로 치환되어 제1선기어(S1)가 상시 입력요소가 되며, 제7작동요소가 제1실시예의 제1유성 캐리어(PC1)에서, 제1링기어(R1)로 치환되는 것 밑 고정요소인 제8작동요소가 제1선기어(S1)에서, 제1유성 캐리어(PC1)로 치환되는 것에 차이가 있으나. 그 변속과정에 있어 작동요소의 운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상기에서 각 유성기어셋트에 대한 속도선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구할 수 있는 공지 부분이므로 제1실시예를 제외한 제2실시예 내지 제8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파워 트레인에 대한 다양한 8가지의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하여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파워 트레인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하나의 유성기어와,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어를 별개로 자전하도록 연결하여 유성 캐리어만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5개의 작동요소를 갖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를 구현하고, 하나의 단순 유성기어셋트로부터 직결 및 가변 연결되는 2개의 입력경로와, 입력축과 가변 연결되는 하나의 입력경로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형성함으로써, 공전(IS)하는 유성기어의 회전수를 최소화하여 동력전달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전진 5,6속단과 후진단에서는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가 각각 그 유성캐리어만을 공유한 채 각각 별개로 구동되어 종래 고속단에서 공전하는 제3선기어의 공전회전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4)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에 있어서,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하나의 유성기어와,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어를 상호 별개로 자전하도록 연결하여 유성 캐리어만을 공유하도록 하며, 입력축에 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는 입력요소와, 출력이 이루어지는 출력요소를 포함하여 5개의 작동요소를 구현하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2개의 작동요소에 대하여 하나의 작동요소가 상시 직결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요소가 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며, 입력축과 직결되는 입력요소를 포함하여 3개의 작동요소를 구현하는 단순 유성기어셋트;를 통하여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제1작동요소로 하고, 그 링기어를 제2작동요소로 하고,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제3작동요소로 하고, 그 선기어를 제5작동요소로 하며, 상호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를 제4작동요소로 하며,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그 유성 캐리어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그 선기어를 제8작동요소로 하되,상기 제1작동요소는 제7작동요소와 상호 직결하며, 제2작동요소와 제3작동요소는 제1클러치를 통하여 상호 가변 연결하고, 제4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와 제6작동요소에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 및 제2클러치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하고, 제5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와 제7작동요소에 제1브레이크와 제3클러치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하고, 제8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하며, 상기 제3작동요소를 출력요소로 하고, 제6작동요소를 입력요소로 하여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에 입력축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는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7작동요소를 통하여 제1작동요소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1입력경로;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4작동요소에 동속비로 입력되는 제2입력경로;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7작동요소를 통하여 제5작동요소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3입력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 워 트레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경로는제1속단, 제2속단, 제3속단 및 제4속단에서, 상기 제2작동요소와 제3작동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경로는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에서, 상기 제4작동요소와 제6작동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입력경로는제3속단, 제5속단 및 후진단에서, 상기 제5작동요소와 제7작동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3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요소는 제1속단에서 제1클러치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3클러치 및 제2브레이크가 작동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제1작동요소로 하고, 그 링기어를 제2작동요소로 하고,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제3작동요소로 하고, 그 선기어를 제5작동요 소로 하며, 상호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를 제4작동요소로 하며,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그 유성 캐리어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그 링기어를 제8작동요소로 하되,상기 제1작동요소는 제7작동요소와 상호 직결하며, 제2작동요소와 제3작동요소는 제1클러치를 통하여 상호 가변 연결하고, 제4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와 제6작동요소에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 및 제2클러치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하고, 제5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와 제7작동요소에 제1브레이크와 제3클러치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하고, 제8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하며, 상기 제3작동요소를 출력요소로 하고, 제6작동요소를 입력요소로 하여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에 입력축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는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7작동요소를 통하여 제1작동요소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1입력경로;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4작동요소에 동속비로 입력되는 제2입력경로;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7작동요소를 통하여 제5작동요소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3입력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경로는제1속단, 제2속단, 제3속단 및 제4속단에서, 상기 제2작동요소와 제3작동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경로는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에서, 상기 제4작동요소와 제6작동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입력경로는제3속단, 제5속단 및 후진단에서, 상기 제5작동요소와 제7작동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3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요소는 제1속단에서 제1클러치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3클러치 및 제2브레이크가 작동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제1작 동요소로 하고, 그 링기어를 제2작동요소로 하고,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제3작동요소로 하고, 그 선기어를 제5작동요소로 하며, 상호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를 제4작동요소로 하며,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그 링기어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그 선기어를 제8작동요소로 하되,상기 제1작동요소는 제7작동요소와 상호 직결하며, 제2작동요소와 제3작동요소는 제1클러치를 통하여 상호 가변 연결하고, 제4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와 제6작동요소에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 및 제2클러치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하고, 제5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와 제7작동요소에 제1브레이크와 제3클러치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하고, 제8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하며, 상기 제3작동요소를 출력요소로 하고, 제6작동요소를 입력요소로 하여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에 입력축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는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7작동요소를 통하여 제1작동요소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1입력경로;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4작동요소에 동속비로 입력되는 제2입력경로;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7작동요소를 통하여 제5작동요소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3입력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경로는제1속단, 제2속단, 제3속단 및 제4속단에서, 상기 제2작동요소와 제3작동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경로는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에서, 상기 제4작동요소와 제6작동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3입력경로는제3속단, 제5속단 및 후진단에서, 상기 제5작동요소와 제7작동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3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요소는 제1속단에서 제1클러치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3클러치 및 제2브레이크가 작동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제1작동요소로 하고, 그 링기어를 제2작동요소로 하고,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제3작동요소로 하고, 그 선기어를 제5작동요소로 하며, 상호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를 제4작동요소로 하며,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제6작동요소로 하고, 그 링기어를 제7작동요소로 하고, 그 유성 캐리어를 제8작동요소로 하되,상기 제1작동요소는 제7작동요소와 상호 직결하며, 제2작동요소와 제3작동요소는 제1클러치를 통하여 상호 가변 연결하고, 제4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와 제6작동요소에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 및 제2클러치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하고, 제5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와 제7작동요소에 제1브레이크와 제3클러치를 통하여 각각 가변 연결하고, 제8작동요소는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하며, 상기 제3작동요소를 출력요소로 하고, 제6작동요소를 입력요소로 하여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에 입력축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는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7작동요소를 통하여 제1작동요소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1입력경로;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4작동요소에 동속비로 입력되는 제2입력경로;상기 제6작동요소와 함께, 상기 제7작동요소를 통하여 제5작동요소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3입력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경로는제1속단, 제2속단, 제3속단 및 제4속단에서, 상기 제2작동요소와 제3작동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경로는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에서, 상기 제4작동요소와 제6작동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3입력경로는제3속단, 제5속단 및 후진단에서, 상기 제5작동요소와 제7작동요소를 가변적 으로 연결하는 제3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요소는 제1속단에서 제1클러치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3클러치 및 제2브레이크가 작동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는제3선기어, 2조의 제3유성기어, 제3링기어로 구성되는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상기 제3선기어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선기어, 상기 제3링기어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링기어 및 상기 제3유성기어의 하나와 상호 별개로 자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유성기어로 구성되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포함하며,상기 제3유성기어와 제2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성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에 있어서,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2조의 유성기어 중 하나를 상호 별개로 자전하도록 연결하여 그 유성 캐리어만을 공유하도록 하고, 상기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는 변속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를 병렬로 연결하며, 동시에 입력축과 제2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어 입력요소로 작동하고, 각각의 링기어는 제1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도록 하며, 동시에 출력요소로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는 제1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여 5개의 작동요소를 갖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2개의 선기어에 대하여 하나의 유성 캐리어가 직결 및 제3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어 입력축의 입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3개의 작동요소를 갖는 단순 유성기어셋트;를 포함하여 상기 8개의 작동요소를 상호 조합하여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는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에 입력축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는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함께, 상기 그 유성 캐리어를 통하여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1입력경로;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함께,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에 동속비로 입력되는 제2입력경로;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함께,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통하여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3입력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경로는제1속단, 제2속단, 제3속단 및 제4속단에서,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2개의 링기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경로는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에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와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제3입력경로는제3속단, 제5속단 및 후진단에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3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요소는 제1속단에서 제1클러치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 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3클러치 및 제2브레이크가 작동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에 입력축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는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함께, 상기 그 유성 캐리어를 통하여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1입력경로;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함께,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에 동속비로 입력되는 제2입력경로;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함께,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통하여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3입력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경로는제1속단, 제2속단, 제3속단 및 제4속단에서,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2개의 링기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경로는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에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와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제3입력경로는제3속단, 제5속단 및 후진단에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3 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에 있어서,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2조의 유성기어 중 하나를 상호 별개로 자전하도록 연결하여 그 유성 캐리어만을 공유하도록 하고, 상기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는 변속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를 병렬로 연결하며, 동시에 입력축과 제2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어 입력요소로 작동하고, 각각의 링기어는 제1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도록 하며, 동시에 출력요소로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는 제1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여 5개의 작동요소를 갖는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2개의 선기어에 대하여 하나의 링기어가 직결 및 제3클러치를 통하여 가변 연결되어 입력축의 입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3개의 작동요소를 갖는 단순 유성기어셋트;를 포함하여 상기 8개의 작동요소를 상호 조합하여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는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 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에 입력축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는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함께, 상기 그 링기어를 통하여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1입력경로;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함께,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에 동속비로 입력되는 제2입력경로;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함께,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통하여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3입력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경로는제1속단, 제2속단, 제3속단 및 제4속단에서,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2개의 링기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경로는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에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와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제3입력경로는제3속단, 제5속단 및 후진단에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3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요소는 제1속단에서 제1클러치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3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3클러치 및 제2브레이크가 작동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와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3개의 작동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5개의 작동요소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에 입력축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경로는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함께, 상기 그 링기어를 통하여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1입력경로;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함께,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에 동속비로 입력되는 제2입력경로;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함께, 상기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통하여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감속비로 입력되는 제3입력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경로는제1속단, 제2속단, 제3속단 및 제4속단에서,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2개의 링기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경로는제4속단, 제5속단 및 제6속단에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공유하는 유성 캐리어와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제3입력경로는제3속단, 제5속단 및 후진단에서, 상기 가변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3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9261A KR100610789B1 (ko) | 2004-07-28 | 2004-07-28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DE102004062198A DE102004062198B9 (de) | 2004-07-28 | 2004-12-23 | Automatisch schaltbares Sechsganggetriebe |
JP2004378496A JP4638728B2 (ja) | 2004-07-28 | 2004-12-28 | 自動変速機の6速パワートレイン |
US11/028,147 US7252617B2 (en) | 2004-07-28 | 2004-12-30 | Six-speed powertrai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
CN200410103179A CN100580276C (zh) | 2004-07-28 | 2004-12-31 | 自动变速装置的六速动力总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9261A KR100610789B1 (ko) | 2004-07-28 | 2004-07-28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0530A true KR20060010530A (ko) | 2006-02-02 |
KR100610789B1 KR100610789B1 (ko) | 2006-08-09 |
Family
ID=3573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9261A KR100610789B1 (ko) | 2004-07-28 | 2004-07-28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252617B2 (ko) |
JP (1) | JP4638728B2 (ko) |
KR (1) | KR100610789B1 (ko) |
CN (1) | CN100580276C (ko) |
DE (1) | DE102004062198B9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554726C (zh) * | 2004-11-30 | 2009-10-28 | 爱信艾达株式会社 | 自动变速器 |
KR100634610B1 (ko) * | 2004-12-22 | 2006-10-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US7344470B2 (en) * | 2005-11-21 | 2008-03-18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 Multi-speed planetary transmission |
KR100793882B1 (ko) * | 2006-07-20 | 2008-01-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
KR100911386B1 (ko) * | 2006-10-26 | 2009-08-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
KR100828687B1 (ko) * | 2006-11-08 | 2008-05-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8속 파워트레인 |
JP4350770B2 (ja) * | 2007-05-31 | 2009-10-21 | ジヤトコ株式会社 | 自動変速機 |
KR100921803B1 (ko) | 2007-11-26 | 2009-10-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
DE602008005835D1 (de) * | 2008-02-01 | 2011-05-12 |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 Automatikgetriebe |
US8231502B2 (en) * | 2009-08-24 | 2012-07-31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Multi-speed transmission having three planetary gear sets |
CN101984271B (zh) * | 2010-11-18 | 2012-08-01 | 广州科立源机电科技有限公司 | 多级变速器 |
KR101438637B1 (ko) * | 2013-10-22 | 2014-09-05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기어트레인 |
DE102017207189A1 (de) * | 2017-04-28 | 2018-10-31 | Zf Friedrichshafen Ag | 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
KR102325374B1 (ko) * | 2020-03-11 | 2021-11-11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키트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33697A (en) * | 1977-06-24 | 1979-01-09 | Nasa | Solar array strip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same |
JPH02154844A (ja) * | 1988-12-06 | 1990-06-14 | Toyota Motor Corp | 自動変速機用歯車変速装置 |
JPH02168048A (ja) * | 1988-12-22 | 1990-06-28 | Toyota Motor Corp | 車両用遊星歯車式変速装置 |
FR2656055B1 (fr) * | 1989-12-18 | 1994-04-29 | Lepelletier Pierre | Transmission automatique multivitesses pour vehicule automobile. |
JP2778278B2 (ja) * | 1991-03-14 | 1998-07-23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遊星歯車変速機構 |
US5667454A (en) * | 1996-03-15 | 1997-09-16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Power transmission |
JP3909622B2 (ja) * | 1998-06-05 | 2007-04-25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車両用自動変速機 |
JP4096468B2 (ja) * | 1998-10-30 | 2008-06-04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車両用自動変速機 |
JP4360014B2 (ja) * | 2000-06-29 | 2009-11-11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変速装置 |
JP4438247B2 (ja) * | 2001-03-29 | 2010-03-24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車両用自動変速機 |
KR100401642B1 (ko) | 2001-09-26 | 2003-10-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US6709359B2 (en) * | 2001-11-05 | 2004-03-23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Family of multi-speed transmission mechanisms having three planetary gear sets and five torque-transmitting mechanisms |
JP2003278895A (ja) * | 2002-03-26 | 2003-10-02 | Jatco Ltd | 自動変速機の変速用ブレーキ装置 |
US6802795B2 (en) * | 2002-05-20 | 2004-10-12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Automatic transmission of motor vehicle |
JP3830433B2 (ja) * | 2002-07-16 | 2006-10-04 | ジヤトコ株式会社 | 自動変速機用歯車変速装置 |
KR100634610B1 (ko) * | 2004-12-22 | 2006-10-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2004
- 2004-07-28 KR KR1020040059261A patent/KR1006107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4-12-23 DE DE102004062198A patent/DE102004062198B9/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8 JP JP2004378496A patent/JP463872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30 US US11/028,147 patent/US7252617B2/en active Active
- 2004-12-31 CN CN200410103179A patent/CN10058027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252617B2 (en) | 2007-08-07 |
JP2006038210A (ja) | 2006-02-09 |
DE102004062198A1 (de) | 2006-03-23 |
DE102004062198B4 (de) | 2010-09-30 |
JP4638728B2 (ja) | 2011-02-23 |
US20060025275A1 (en) | 2006-02-02 |
CN100580276C (zh) | 2010-01-13 |
CN1727726A (zh) | 2006-02-01 |
KR100610789B1 (ko) | 2006-08-09 |
DE102004062198B9 (de) | 2011-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34780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903340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 |
KR100634616B1 (ko)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916774B1 (ko) |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 |
JP2006138476A (ja) | 自動変速機の6速パワートレイン | |
KR100610789B1 (ko)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10792B1 (ko)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23757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34610B1 (ko)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551317B1 (ko)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23776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534778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986055B1 (ko) |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 |
KR100623781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23758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23782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10793B1 (ko)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23778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23774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23777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23780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623779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100907070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 |
KR20060016655A (ko)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
KR20080018482A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