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698A -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698A
KR20060009698A KR1020040058369A KR20040058369A KR20060009698A KR 20060009698 A KR20060009698 A KR 20060009698A KR 1020040058369 A KR1020040058369 A KR 1020040058369A KR 20040058369 A KR20040058369 A KR 20040058369A KR 20060009698 A KR20060009698 A KR 2006000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needle
bead
hole
pu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740B1 (ko
Inventor
홍대희
이규백
전훈재
조문기
이창양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to KR1020040058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74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4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7T-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중심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바늘 관통구가 형성되는 봉합바늘과; 봉합바늘을 이송할 수 있도록 중심축을 따라 체결관 관통구가 형성되어 봉합바늘의 후단에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며 외주면 일부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바늘 체결관을 포함하는 바늘 이송수단과; 바늘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봉합사와 결합되는 봉합비드와; 바늘의 내부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봉합비드를 이송할 수 있도록, 체결관 관통구를 관통하여 바늘 관통구 내부에 위치한 봉합비드를 밀어낼 수 있는 형상 및 구조의 밀대핀이 전단부에 구비되고 중심축을 따라 봉합사의 관통이 가능한 크기의 밀대 관통구가 형성되는 비드 밀대와, 바늘 체결관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개구부를 관통하여 밀대 돌기에 걸림이 가능한 형상의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밀대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봉합사를 매듭짓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 필요 없게 되고, 고도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정확한 깊이로 장기를 봉합할 수 있으며, 봉합 시술시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는 장기 봉합장치를 제공한다.
봉합, 내시경, 비드, 바늘, 밀대

Description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 Bead for stitching and apparatus for stitching internal organ using the same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에서 비드 이송수단의 결합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합비드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합비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합비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합바늘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부품들이 결합되었을 때의 내부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밀대 손잡이를 밀었을 때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상태에서 밀대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였을 때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의 전체 결합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부품이 결합되었을 때의 내부 하우징을 외부 하우징 에 삽입시킨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상태에서 내부 하우징을 회전시켜 외부 하우징에 체결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서 바늘 체결관을 내부 하우징 내부로 인입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i는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를 이용하여 봉합 시술을 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봉합사 20 : 조직
100 : 봉합바늘 110 : 바늘 관통구
120 : 비드 돌기 130 : 슬롯
200 : 바늘 이송수단 210 : 바늘 체결관
212 : 돌기 개구부 214 : 체결관 돌기
216 : 제 2 결합구 218 : 체결관 관통구
220 : 내부 하우징 222 : 1단 수나사
224 : 2단 수나사 226 : 날개 슬릿
230 : 외부 하우징 232 : 1단 암나사
234 : 가이드 홈 240 : 하우징 스토퍼
242 : 가이드 돌기 244 : 2단 암나사
250 : 덮개 300 : 봉합비드
310 : 비드공 320 : 비드 개구부
400 : 비드 이송수단 410 : 비드 밀대
412 : 밀대핀 414 : 밀대 돌기
416 : 밀대 관통구 420 : 밀대 손잡이
422 : 걸림 돌기 424 : 손잡이판
430 : 안착편 440 : 밀대 스프링
450 : 결합편 452 : 제 1 결합구
460 : 결합핀 470 : 밀대 스토퍼
472 : 스토퍼 날개
본 발명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신체 내부를 수술하는 내시경 수술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신체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봉합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수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이란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剖檢)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病變)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로는 기관지경(氣管支鏡) · 식도경(食道鏡) · 위경(胃鏡) · 십이지장경(十二指腸鏡) · 직장경(直腸鏡) · 방광경(膀胱鏡) · 복강경(腹腔鏡) 등이 있고, 그 밖에 특수한 것으로는 흉강경(胸腔鏡) · 종격경(縱隔鏡) · 심장경(心臟鏡) 등이 있다.
또한, 내시경에는 직달경(直達鏡)이라 하여 1개의 통(筒)으로 되어 있어서 장기를 직접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형, 렌즈시스템을 이용한 형, 카메라를 직접 장기에 삽입하는 형(胃 카메라)과 유리섬유를 사용한 파이버스코프 등이 있다. 최근 위암의 조기발견 진단에 위카메라 · 위파이버스코프 등이 크게 활용되고 있다. 위카메라는 위 안으로 소형 카메라를 삽입하여 직접 위의 점막을 촬영 및 기록하여 미세한 위의 병변을 발견·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위파이버스코프는 해상력(解像力)이 좋고, 점막상태를 관찰하면서 병변부 조직을 절단하여 검사할 수 있는 장치도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기, 특히 위(胃)에 관한 내시경의 고도발달로 인해 보통 내시경이라고 하면 위카메라 · 위파이버스코프를 가리킨다.
또한, 최근에는 봉합이 가능한 수술기구를 내시경에 부착하여 환자의 장기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환자의 신체를 절개하지 아니하고서도 장기 내부를 시술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수술기구가 고안되어왔다.
미국특허번호 5,431,666에 이와 같은 봉합 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즉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바늘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들은 도구의 원방 종단에서 봉합사의 상응하는 종단을 집어 올리게 된다.
바늘 포획 기구는 페룰이라고 하는 두개의 바늘 수용부를 제공하며, 상기 바늘 수용부들 사이에 한올의 봉합재를 갖는다. 상기 바늘 수용부들은 도구내에서 바늘들로 약간의 갭을 두고 떨어져 있다. 사용시에는, 봉합될 조직이 바늘들과 페룰이라고 하는 바늘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1 바늘이 조직을 관통하고, 상기 봉합사의 한쪽 끝을 잡은 다음 그것을 조직을 뚫고 나오도록 잡아당긴다. 상기 도구는 그런 다음 조직의 다른 위치로 옮겨지고, 제2 바늘은 조직을 관통하여 봉합사의 다른 쪽 끝을 집어서 끌어당긴다. 다음으로 조직을 봉합하기 위해 상기 봉합재를 단단히 묶거나 조여 적당한 곳에 매듭을 짓는다. 이러한 도구를 이용할 때 외과의는 일반적으로 수술 부위를 육안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봉합도구는 봉합이 요구되는 부위를 한 땀씩 꿰맨 후 매듭장치를 이용하여 매듭을 지어야 하므로, 수술이 매우 번거로워질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한 번 사용된 도구들은 다시 사용할 수 없으므로 높은 비용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봉합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봉합 시술을 함에 있어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므로 시술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수술 시간의 장기화로 인하여 환자의 고통이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 시 자동으로 봉합사를 매듭짓도록 구성되는 봉합비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봉합비드를 사용하여 봉합사를 매듭짓 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 필요 없도록 구성되어, 고도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정확한 깊이로 장기를 봉합할 수 있으며, 봉합 시술시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기 봉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봉합비드는, 봉합바늘의 바늘 관통구 내부로 관통이 가능하며 봉합사와의 결합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봉합비드는, 봉합사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봉합비드공이 형성되며, 외경이 바늘 관통구의 지름보다 작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합비드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 외주면 일부에는, 비드 내부로 관통되는 봉합사가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각을 갖는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의 개방각은, 봉합비드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80° 미만의 개방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합장치는, 길이방향으로 바늘 관통구가 형성되는 봉합바늘과; 봉합바늘을 이송하는 바늘 이송수단과; 바늘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봉합사와 결합되는 봉합비드와; 봉합바늘의 내부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봉합비드를 이송하는 비드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늘 이송수단은, 중심축을 따라 체결관 관통구가 형성되어 봉합바늘과 결합되는 바늘 체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비드 이송수단은, 체결관 관통구를 관통하 여 바늘 관통구 내부에 위치한 봉합비드를 밀어낼 수 있는 형상 및 구조의 밀대핀이 전단부에 구비되고, 중심축을 따라 봉합사의 관통이 가능한 크기의 밀대 관통구가 형성되는 비드 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늘 체결관은, 외주면 일부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비드 밀대는, 바늘 체결관 내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되었을 때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에 봉합비드의 길이만큼 비드 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밀대 돌기가 형성되고; 비드 이송수단은, 바늘 체결관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개구부를 관통하여 밀대 돌기에 걸림이 가능한 형상의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밀대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밀대 손잡이는 밀대 돌기 간의 간격만큼 비드 밀대의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비드 밀대에 결합된다. 이때, 밀대 손잡이는 바늘 체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손잡이판을 구비하며, 걸림 돌기는 손잡이판의 끝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드 이송수단은, 바늘 체결관의 후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밀대 손잡이의 후측 끝단이 바늘 체결관의 후측 끝단보다 뒤로 이송되지 아니하도록 밀대 손잡이에 간섭되는 결합편과, 비드 밀대의 후방으로 밀대 손잡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밀대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합바늘은, 바늘 관통구에 삽입되는 봉합비드가 자중에 의하여 바늘 관통구 외측으로 인출되지 아니하도록, 바늘 관통구 앞쪽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봉합바늘은, 봉합비드의 외측면에 압착 가능한 형상의 비드 돌기가 바늘 관통구 앞쪽 내측면에 형성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고, 앞쪽 끝단 이 잘록하게 형성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봉합바늘의 앞쪽 끝단이 잘록하게 형성되는 경우, 봉합바늘의 형상 변형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봉합바늘의 앞쪽 외주면 일부에는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드 이송수단은, 바늘 체결관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늘 체결관의 후단으로부터 진입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스토퍼 날개가 구비되는 밀대 스토퍼를 추가로 구비하고; 바늘 체결관은, 밀대 스토퍼의 진입 거리를 제한하도록 밀대 스토퍼와 간섭되는 체결관 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바늘 이송수단은, 바늘 체결관 및 밀대 스토퍼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며 외주면 일측에 스토퍼 날개가 돌출될 수 있는 너비의 날개 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측 끝단 외주면에 1단 수나사가 형성되고 1단 수나사의 후단에는 1단 수나사보다 산 높이가 낮은 2단 수나사가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며 전측 끝단 내주면에 1단 수나사와 체결되도록 1단 암나사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외부하우징과, 바늘 체결관 및 밀대 스토퍼가 삽입된 내부 하우징의 후단으로 인입되도록 결합되며 2단 수나사와 체결 가능한 2단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가이드홈에 삽입가능한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링 형상의 하우징 스토퍼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늘 이송수단은, 내부 하우징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내부 하우징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하우징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에서 비드 이송수단의 결합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는, 내부에 중심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바늘 관통구(110)가 형성되는 봉합바늘(100)과; 봉합바늘(100)을 이송할 수 있도록 중심축을 따라 체결관 관통구(218)가 형성되어 봉합바늘(100)의 후단에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며 외주면 일부에 하나 이상의 돌기 개구부(212)가 형성되는 바늘 체결관(210)을 포함하는 바늘 이송수단(200)과; 바늘 관통구(110)를 통과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봉합사(10)와 결합되는 봉합비드(300)와; 바늘의 내부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봉합비드(300)를 이송할 수 있도록, 체결관 관통구(218)를 관통하여 바늘 관통구(110) 내부에 위치한 봉합비드(300)를 밀어낼 수 있는 형상 및 구조의 밀대핀(412)이 전단부에 구비되고 중심축을 따라 봉합사(10)의 관통이 가능한 크기의 밀대 관통구(416)가 형성되는 비드 밀대(410)와, 바늘 체결관(210)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돌기 개구부(212)를 관통하여 밀대 돌기(414)에 걸림이 가능한 형상의 걸림 돌기(422)를 구비하는 밀대 손잡이(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드 밀대(410)는, 바늘 체결관(210) 내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되었을 때 돌기 개구부(21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에 봉합비드(300)의 길이만큼 비드 밀대(4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밀대 돌기(414)가 형성된다. 이때, 밀대 돌기(414)는, 밀대핀(412)이 구비되는 편의 측면은 비스듬히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반대편의 측면은 비드 밀대(41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밀대 손잡이(420)는, 밀대 돌기(414) 간의 간격만큼 비드 밀대(410)의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비드 밀대(410)에 결합되고, 바늘 체결관(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손잡이판(424)을 구비하며, 걸림 돌기(422)는 손잡이판(424)의 끝단에 형성된다.
또한, 비드 이송수단(400)은, 비드 밀대(410)가 바늘 체결관(21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 이후 바늘 체결관(210) 중단에 결합되는 안착편(430)과, 양측 끝단이 안착편(430)과 밀대 손잡이(420)에 각각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비드 밀대(410)의 후방으로 밀대 손잡이(4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밀대스프링(440)과, 바늘 체결관(210)의 후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밀대 손잡이(420)의 후측 끝단이 바늘 체결관(210)의 후측 끝단보다 뒤로 이송되지 아니하도록 밀대 손잡이(420)에 간섭되는 결합편(450)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결합편(450)에는 제 1 결합구(452)가 형성되고 제 1 결합구(452)와 대응되는 부위의 바늘 체결관(210)에는 제 2 결합구(216)가 형성되므로, 결합편(450)은 제 1 결합구(452) 및 제 2 결합구(216)에 삽입되는 결합핀(460)에 의하여 바늘 체결관(210)의 후단에 결합된다.
또한, 비드 이송수단(400)은 바늘 체결관(210)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늘 체결관(210)의 후단으로부터 진입 가 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스토퍼 날개(472)가 구비되는 밀대 스토퍼(470)를 추가로 구비하고, 바늘 체결관(210)은 밀대 스토퍼(470)의 진입 거리를 제한하도록 밀대 스토퍼(470)와 간섭되는 체결관 돌기(214)가 외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밀대 스토퍼(470)는 체결관 돌기(214)와 걸림 돌기(422) 사이에서만 왕복 운동이 가능해진다. 밀대 스토퍼(470)의 기능은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합비드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합비드의 횡단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합비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합비드(300)는, 봉합바늘(100)의 바늘 관통구(110) 내부로 관통이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봉합사(10)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중심축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비드공(310)이 형성되고, 일측 또는 양측 끝단 외주면 일부에 비드 내부로 관통되는 봉합사(10)가 외주면을 관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비드 개구부(320)가 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봉합비드(300)가 길이 방향으로 바늘 관통구(110)에 삽입될 때 이웃하는 또 다른 봉합비드(300)의 일측 끝단이 비드 개구부(320)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비드 개구부(320)의 개방각은 봉합비드(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80° 미만의 개방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봉합비드(300)의 각 부 기능은 이하 첨부된 사용예를 참조하 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합바늘의 형상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합바늘(100)은, 바늘 관통구(110)에 삽입되는 봉합비드(300)가 자중에 의하여 바늘 관통구(110) 외측으로 인출되지 아니하도록, 바늘 관통구(110) 앞쪽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봉합바늘(1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비드(300)의 외측면에 압착 가능한 형상의 비드 돌기(120)가 바늘 관통구(110) 앞쪽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합바늘(1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끝단이 잘록하게 형성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이때, 봉합바늘(100)의 앞쪽 끝단이 잘록하게 형성되는 경우, 봉합바늘(100)의 형상 변형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봉합바늘(100)의 앞쪽 외주면 일부에는 슬롯(1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부품들이 결합되었을 때의 내부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밀대 손잡이를 밀었을 때의 형상을 도시하며,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상태에서 밀대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였을 때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이송수단(400)이 바늘 체결관(210)에 결합되면 걸림 돌기(422)의 끝단이 돌기 개구부(212)를 관통하여 밀대 돌기(414) 간의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밀대 손잡이(420)를 밀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돌기(422)가 밀대 돌기(414)를 밀게 되어 비드 밀대(410)가 앞쪽으로 이송된다.
비드 밀대(410)가 앞으로 이송됨에 따라 바늘 관통구(110) 내부에 위치되는 봉합비드(300)는 밀대핀(412)에 의하여 앞쪽으로 밀려나가게 되는데, 이때 밀대 손잡이(420)는 안착편(430)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하나의 밀대 돌기(414)를 밀어낼 수 있는 거리만큼만 이송된다.
밀대 돌기(414)는 이웃하는 또 다른 밀대 돌기(414)와의 중심축 간 거리가 봉합비드(30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밀대 손잡이(420)가 1회 이송됨에 따라 하나의 봉합비드(300)가 봉합바늘(100) 외부로 인출된다.
밀대 손잡이(420)의 이송이 완료된 후 밀대 손잡이(42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밀대 손잡이(420)는 밀대스프링(440)의 탄성에 의하여 후측 끝단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걸림 돌기(422)는 밀대 돌기(414)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므로, 비드 밀대(410)가 걸림 돌기(422)에 의하여 후측으로 끌려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의 전체 결합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늘 이송수단(200)은, 바늘 체결관(210) 및 밀대 스포터가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220)과, 내부 하우징(220)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외부 하우징(230)과, 바늘 이송수단(200)의 이송거리를 한정하기 위한 하우징 스토퍼(240)와, 내부 하우징(220)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내부 하우징(2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하우징 스프링과, 외부 하우징(230) 후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덮개(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 하우징(220)은 바늘 체결관(210) 및 밀대 스토퍼(470)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며 외주면 일측에 스토퍼 날개(472)가 돌출될 수 있는 너비의 날개 슬릿(22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측 끝단 외주면에 1단 수나사(222)가 형성되고 1단 수나사(222)의 후단에는 1단 수나사(222)보다 산 높이가 낮은 2단 수나사(224)가 형성된다. 따라서, 비드 이송수단(400)은 밀대 스토퍼(470)의 스토퍼 날개(472)만이 내부 하우징(220) 외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내부 하우징(220) 안으로 삽입된다.
외부 하우징(230)은 내부 하우징(220)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며 전측 끝단 내주면에 1단 수나사(222)와 체결되도록 1단 암나사(232)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2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하우징(230) 내부로 인입되는 내부 하우징(220)은, 1단 수나사(222)가 1단 암나사(232)에 접촉될 때 까지 직선으로 인입되고, 1단 수나사(222)가 1단 암나사(232)에 접촉된 이후에는 회전을 통하여 1단 수나사(222)와 1단 암나사(232)가 체결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인입된다.
또한, 하우징 스토퍼(240)는, 바늘 체결관(210) 및 밀대 스토퍼(470)가 삽입된 내부 하우징(220)의 후단으로 인입되도록 결합되며 2단 수나사(224)와 체결 가 능한 2단 암나사(244)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부 하우징(230)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가이드홈(234)에 삽입 가능한 가이드돌기(242)가 구비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늘 이송수단(200)의 이송거리를 한정하는 하우징 스토퍼(240)의 동작은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부품이 결합되었을 때의 내부 하우징(220)을 외부 하우징(230)에 삽입시킨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상태에서 내부 하우징(220)을 회전시켜 외부 하우징(230)에 체결시킨 형상을 도시하며,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서 바늘 체결관을 내부 하우징 내부로 인입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20)이 외부 하우징(23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늘 체결관(210)을 밀게 되면, 바늘 체결관(210)은 체결관 돌기(214)가 내부 하우징(220)의 전단 내측면에 닿을 때까지 인입된다.
내부 하우징(220)을 회전시켜 1단 수나사(222)를 1단 암나사(232)에 체결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20)은 외부 하우징(230) 안쪽으로 더 삽입되는데, 하우징 스토퍼(240)는 가이드돌기(242)가 가이드홈(234)에 간섭되어 회전되지 아니하므로 결합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때, 바늘 체결관(210)은 밀대 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체결관 돌기(214)가 밀대 스토퍼(470)에 밀착되고, 밀대 스토퍼(470)는 하우징 스토퍼(24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늘 체결관(210)을 밀게 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체결관(210)은 체결관 돌기(214)가 내부 하우징(220)의 전단 내측면에 닿을 때 까지 진입된다.
따라서 바늘 체결관(210)의 이송거리 즉, 봉합바늘(100)의 삽입 깊이는 내부 하우징(220)의 회전에 따라 내부 하우징(220)이 이송되는 거리만큼 증가된다.
도 7a 내지 도 7i는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를 이용하여 봉합 시술을 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사용자가 바늘 체결관(210)을 밀어 넣음으로써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 시술이 요구되는 절단부(22)가 형성된 조직(20)에 봉합바늘(100)을 관통시키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 손잡이(420)를 밀어 넣어 하나의 봉합비드(300)를 삽입시킨다. 이때, 조직(20)의 두께에 따라 봉합바늘(100)의 삽입거리를 조절한 후 봉합바늘(100)을 삽입시킨다.
도 7c에 도시된 상태에서 바늘 체결관(210)에 인가되는 외력을 해제하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비드(300)가 조직(20)의 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봉합바늘(100)만이 조직(20)의 상측으로 빠지게 된다.
이때, 봉합비드(300)가 세로 방향으로 인입되더라도 봉합바늘(100)을 빼는 과정에서 봉합사(10)가 비드공(310)을 통하여 외주면으로 인출되므로, 봉합비드(300)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회전되어 조직(20)의 저면에 밀 착된다.
사용자는 도 7f 내지 도 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 조직(20) 저면에 봉합비드(300)를 위치시킴으로써 절단부(22)를 봉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봉합바늘(100) 삽입 및 비드 삽입만으로써 절단부(22)를 봉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장기 봉합을 시술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봉합을 할 수 있으므로 봉합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봉합비드(300)를 사용하면, 봉합사(10)를 이용한 봉합 시 자동으로 봉합사(10)를 매듭지을 수 있으므로 봉합시술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를 사용하면, 상기 언급된 봉합비드(30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봉합사(10)를 매듭짓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 필요 없게 되고, 고도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정확한 깊이로 장기를 봉합할 수 있으며, 봉합 시술시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1)

  1. 봉합바늘(100)의 바늘 관통구(110) 내부로 관통이 가능하며 봉합사(10)와의 결합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비드(3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비드(300)는,
    봉합사(10)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비드공(310)이 형성되며, 외경이 바늘 관통구(110)의 지름보다 작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비드(3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비드(300)는,
    일측 또는 양측 끝단 외주면 일부에, 상기 비드 내부로 관통되는 봉합사(10)가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각을 갖는 비드 개구부(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비드(3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개구부(320)는,
    상기 봉합비드(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80° 미만의 개방각을 갖도록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비드(300).
  5. 길이방향으로 바늘 관통구(110)가 형성되는 봉합바늘(100)과;
    상기 봉합바늘(100)을 이송하는 바늘 이송수단(200)과;
    상기 바늘 관통구(110)를 통과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봉합사(10)와 결합되는 봉합비드(300)와;
    상기 봉합바늘(100)의 바늘 관통구(110)를 관통하도록 봉합비드(300)를 이송하는 비드 이송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이송수단(200)은,
    중심축을 따라 체결관 관통구(218)가 형성되어 상기 봉합바늘(100)과 결합되는 바늘 체결관(2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비드 이송수단(400)은,
    상기 체결관 관통구(218)를 관통하여 상기 바늘 관통구(110) 내부에 위치한 봉합비드(300)를 밀어낼 수 있는 형상 및 구조의 밀대핀(412)이 전단부에 구비되고, 중심축을 따라 봉합사(10)의 관통이 가능한 크기의 밀대 관통구(416)가 형성되는 비드 밀대(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체결관(210)은,
    외주면 일부에 하나 이상의 돌기 개구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비드 밀대(410)는,
    상기 바늘 체결관(210) 내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기 개구부(21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에 상기 봉합비드(300)의 길이만큼 상기 비드 밀대(4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밀대 돌기(414)가 형성되고;
    상기 비드 이송수단(400)은,
    바늘 체결관(210)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돌기 개구부(212)를 관통하여 밀대 돌기(414)에 걸림이 가능한 형상의 걸림 돌기(422)를 구비하는 밀대 손잡이(4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대 손잡이(420)는,
    상기 밀대 돌기(414) 간의 간격만큼 비드 밀대(410)의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비드 밀대(4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 손잡이(420)는,
    상기 바늘 체결관(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손잡이판(424)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돌기(422)는,
    상기 손잡이판(424)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이송수단은,
    상기 봉합비드(300)의 길이만큼 왕복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이송수단(400)은,
    상기 바늘 체결관(210)의 후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밀대 손잡이(420)의 후측 끝단이 상기 바늘 체결관(210)의 후측 끝단보다 뒤로 이송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밀대 손잡이(420)에 간섭되는 결합편(450)과, 상기 비드 밀대(410)의 후방으로 상기 밀대 손잡이(4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밀대스프링(44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바늘(100)은,
    상기 바늘 관통구(110)에 삽입되는 봉합비드(300)가 자중에 의하여 상기 바늘 관통구(110) 외부로 인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바늘 관통구(110) 앞쪽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바늘(100)은,
    상기 봉합비드(300)의 외측면에 압착 가능한 형상의 비드 돌기(120)가 상기 바늘 관통구(110) 앞쪽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바늘(100)은,
    앞쪽 끝단이 잘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바늘(100)은,
    앞쪽 외주면 일부에 슬롯(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5.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이송수단(200)은,
    상기 바늘 체결관(210) 및 상기 밀대 스토퍼(47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경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부 하우징(220)과;
    상기 내부 하우징(220)이 후방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내경이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230)과;
    상기 내부 하우징(220)이 상기 외부 하우징(23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바늘 체결관(210)의 이송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스토퍼(240);
    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체결관(210)은,
    상기 돌기 개구부(212)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앞쪽 끝단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지점의 외주면에 체결관 돌기(214)가 형성되고;
    상기 비드 이송수단(400)은,
    상기 바늘 체결관(21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바늘 체결관(210)의 후측 끝단에서부터 상기 체결관 돌기(214)까지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며, 외측면에 하나 이상의 스토퍼 날개(472)가 형성되는 밀대 스토퍼(470)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220)은,
    외주면 일측에 상기 스토퍼 날개(472)가 돌출될 수 있는 너비의 날개 슬릿(22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전측 끝단 외주면에 1단 수나사(222)가 형성되고, 상기 1단 수나사(222)의 후단에는 상기 1단 수나사(222)보다 산 높이가 낮은 2단 수나사(224)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230)은,
    전측 끝단 내주면에 상기 1단 수나사(222)와 체결되도록 1단 암나사(232)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234)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스토퍼(240)는,
    상기 바늘 체결관(210) 및 상기 밀대 스토퍼(470)가 삽입된 내부 하우징(220)의 후단으로 인입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2단 수나사(224)와 체결 가능한 2단 암나사(244)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230)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홈(234)에 삽입 가능한 가이드돌기(242)가 구비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이송수단(200)은,
    상기 내부 하우징(220)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2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하우징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8.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비드(300)는,
    봉합바늘(100)의 바늘 관통구(110) 내부로 관통이 가능하며 봉합사(10)와의 결합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비드(300)는,
    봉합사(10)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비드공(310)이 형성되며, 외경이 바늘 관통구(110)의 지름보다 작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비드(300)는,
    일측 또는 양측 끝단 외주면 일부에, 상기 비드 내부로 관통되는 봉합사(10)가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각을 갖는 비드 개구부(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개구부(320)의 개방각은,
    상기 봉합비드(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80° 미만의 개방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KR1020040058369A 2004-07-26 2004-07-26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KR100551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369A KR100551740B1 (ko) 2004-07-26 2004-07-26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369A KR100551740B1 (ko) 2004-07-26 2004-07-26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698A true KR20060009698A (ko) 2006-02-01
KR100551740B1 KR100551740B1 (ko) 2006-02-13

Family

ID=3712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369A KR100551740B1 (ko) 2004-07-26 2004-07-26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740B1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268B1 (ko) * 2008-07-31 2012-05-29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봉합기
WO2013162143A1 (ko) * 2012-04-27 2013-10-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용 비드, 봉합용 바늘, 사이드 석션 캡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용 장기 봉합기구
EP2658477A4 (en) * 2010-12-27 2016-04-06 Neotrac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SIDE LOBE REINFORCEMENT
DE202015002244U1 (de) * 2015-03-17 2016-06-20 H & B Electronic Gmbh & Co. Kg Ankeranordnung und chirurgisches Instrument zum Setzen einer Ankeranordnung
KR20180058923A (ko)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이앰 복강경 수술 보조구
US10105132B2 (en) 2005-05-20 2018-10-23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other conditions
US10130353B2 (en) 2012-06-29 2018-11-20 Neotract, Inc. Flexible system for delivering an anchor
US10143461B2 (en) 2005-05-20 2018-12-04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tracting, lifting, compressing, supporting or repositioning tissues or anatomical structures
KR101942060B1 (ko) 2017-08-09 2019-01-24 한문석 복강경 수술 보조구
US10195014B2 (en) 2005-05-20 2019-02-05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other conditions
US10265061B2 (en) 2005-05-20 2019-04-23 Neotract, Inc. Latching anchor device
US10292801B2 (en) 2012-03-29 2019-05-21 Neotract, Inc. System for delivering anchors for treating incontinence
KR20190054867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엔도비전 회전형 수술용 체내 조직 제거장치
US10299780B2 (en) 2005-05-20 2019-05-28 Neotrac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or retracting tissue and anatomical structure
US10342527B2 (en) 2013-02-22 2019-07-09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Repeating-type organ-fastening tool
US10426509B2 (en) 2005-05-20 2019-10-01 Neotract, Inc. Median lobe de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492792B2 (en) 2005-05-20 2019-12-03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other conditions
KR102120596B1 (ko) 2019-11-14 2020-06-09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20200132514A (ko) 2019-05-17 2020-11-25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US10925587B2 (en) 2005-05-20 2021-02-23 Neotract, Inc. Anchor delivery system
KR20210031017A (ko) * 2019-09-10 2021-03-19 아주약품(주)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의 누름버튼 설치구조
KR20210031016A (ko) * 2019-09-10 2021-03-19 아주약품(주)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KR20210121665A (ko) 2020-03-31 2021-10-08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20210152852A (ko) * 2020-06-09 2021-12-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내강 접합 장치
US11672520B2 (en) 2017-12-23 2023-06-13 Teleflex Life Sciences Limited Expandable tissue eng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983B1 (ko) 2007-02-23 2008-06-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용 비드, 장기흡인용 진공캡 및 이를 이용한 장기봉합장치
KR101162529B1 (ko) 2009-04-24 2012-07-03 이희영 수술사 주입용 주사기
KR101684789B1 (ko) * 2015-06-16 2016-12-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용 연속 봉합기구를 위한 비드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7320A (en) 1994-02-10 1996-06-18 Pilling Weck Inc. Surgical clip applying instrument
US5431666A (en) 1994-02-24 1995-07-11 Lasersurge, Inc. Surgical suture instrument
US7150750B2 (en) 2002-01-10 2006-12-1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thod and device for endoscopic suturing

Cited B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2792B2 (en) 2005-05-20 2019-12-03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other conditions
US10105132B2 (en) 2005-05-20 2018-10-23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other conditions
US10925587B2 (en) 2005-05-20 2021-02-23 Neotract, Inc. Anchor delivery system
US10575844B2 (en) 2005-05-20 2020-03-03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other conditions
US11471148B2 (en) 2005-05-20 2022-10-18 Teleflex Life Sciences Limi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other conditions
US10426509B2 (en) 2005-05-20 2019-10-01 Neotract, Inc. Median lobe de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11504149B2 (en) 2005-05-20 2022-11-22 Teleflex Life Sciences Limited Median lobe de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299780B2 (en) 2005-05-20 2019-05-28 Neotrac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or retracting tissue and anatomical structure
US11090036B2 (en) 2005-05-20 2021-08-17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other conditions
US10143461B2 (en) 2005-05-20 2018-12-04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tracting, lifting, compressing, supporting or repositioning tissues or anatomical structures
US10945719B2 (en) 2005-05-20 2021-03-16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tracting, lifting, compressing, supporting or repositioning tissues or anatomical structures
US10195014B2 (en) 2005-05-20 2019-02-05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other conditions
US10265061B2 (en) 2005-05-20 2019-04-23 Neotract, Inc. Latching anchor device
KR101149268B1 (ko) * 2008-07-31 2012-05-29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봉합기
EP2658477A4 (en) * 2010-12-27 2016-04-06 Neotrac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SIDE LOBE REINFORCEMENT
US10292801B2 (en) 2012-03-29 2019-05-21 Neotract, Inc. System for delivering anchors for treating incontinence
WO2013162143A1 (ko) * 2012-04-27 2013-10-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용 비드, 봉합용 바늘, 사이드 석션 캡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용 장기 봉합기구
US9782166B2 (en) 2012-04-27 2017-10-10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uturing bead, suturing needle, side suction cap and endoscopic organ suturing implement using same
KR101371927B1 (ko) * 2012-04-27 2014-03-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용 비드, 봉합용 바늘, 사이드 석션 캡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용 장기 봉합기구
US10130353B2 (en) 2012-06-29 2018-11-20 Neotract, Inc. Flexible system for delivering an anchor
US11331093B2 (en) 2012-06-29 2022-05-17 Teleflex Life Sciences Limited Flexible system for delivering an anchor
US10342527B2 (en) 2013-02-22 2019-07-09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Repeating-type organ-fastening tool
US11850140B2 (en) 2013-03-14 2023-12-26 Teleflex Life Sciences Limi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other conditions
US10912637B2 (en) 2013-03-14 2021-02-09 Neotra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other conditions
US10932768B2 (en) 2015-03-17 2021-03-02 H&B Electronic GmBH & Co. KG Anchor arrangement and surgical instrument for setting an anchor arrangement
DE202015002244U1 (de) * 2015-03-17 2016-06-20 H & B Electronic Gmbh & Co. Kg Ankeranordnung und chirurgisches Instrument zum Setzen einer Ankeranordnung
KR20180058923A (ko)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이앰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101942060B1 (ko) 2017-08-09 2019-01-24 한문석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20190054867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엔도비전 회전형 수술용 체내 조직 제거장치
US11672520B2 (en) 2017-12-23 2023-06-13 Teleflex Life Sciences Limited Expandable tissue enga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200132514A (ko) 2019-05-17 2020-11-25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WO2021049746A3 (ko) * 2019-09-10 2021-05-20 아주약품(주)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 도구
KR20210031016A (ko) * 2019-09-10 2021-03-19 아주약품(주)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KR20210031017A (ko) * 2019-09-10 2021-03-19 아주약품(주)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의 누름버튼 설치구조
KR102120596B1 (ko) 2019-11-14 2020-06-09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20210121665A (ko) 2020-03-31 2021-10-08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20210152852A (ko) * 2020-06-09 2021-12-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내강 접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1740B1 (ko) 200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740B1 (ko)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US8317814B2 (en) Medical device and process of installing medical device in patient
JP3880907B2 (ja) 内視鏡用縫合器
US5897487A (en) Front end hood for endoscope
US8784438B2 (en) Perforation suturing method
CN103813756B (zh) 内窥镜缝合系统
US9687238B2 (en) Implant placement device
US8142448B2 (en) Endoscopic instruments for suturing tissues in a body cavity
EP2010069B1 (en) Medical instrument to place a pursestring suture, open a hole and pass a guidewire
US20040034369A1 (en) System for endoscopic suturing
EP1027866A2 (en) Surgical suturing apparatus loading mechanism
CN101193598A (zh) 外科手术闭合器具和方法
US20130317291A1 (en) Treatment system and endoscope system
JPWO2005053517A1 (ja) 内視鏡システム
US10390818B2 (en) Ferrule for use with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US20160331222A1 (en) Camera system for monitoring inside of body and auxiliary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imaging apparatus for monitoring inside of body
JP2012024607A (ja) 縫合器
JP2008511351A (ja) 少なくとも2つの縫い糸を組織開口部の縁部領域を貫き通して導くための外科手術用の装置
US11534158B2 (en) Endoscopic suture cinch
JP4523293B2 (ja) 生体の経過観察用カプセル内視鏡、カプセル内視鏡導入装置及びカプセル内視鏡導入システム
JP2002200034A (ja) 内視鏡、処置具又は留置チューブの保持固定方法及び内視鏡装置
KR20170126604A (ko) 복강경 수술용 견인 장치
CN113645910A (zh) 吻合器械
JP4934086B2 (ja) 医療装置
KR20050033979A (ko) 장기 봉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