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514A -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514A
KR20200132514A KR1020190058178A KR20190058178A KR20200132514A KR 20200132514 A KR20200132514 A KR 20200132514A KR 1020190058178 A KR1020190058178 A KR 1020190058178A KR 20190058178 A KR20190058178 A KR 20190058178A KR 20200132514 A KR20200132514 A KR 2020013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car
suture
guide member
support me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000B1 (ko
Inventor
한문석
Original Assignee
한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문석 filed Critical 한문석
Priority to KR102019005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000B1/ko
Priority to CN202080019863.7A priority patent/CN113784677A/zh
Priority to PCT/KR2020/006393 priority patent/WO2020235872A2/ko
Priority to US16/968,598 priority patent/US20210137516A1/en
Publication of KR2020013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후 수술 부위에 봉합사를 공급하되 봉합사의 끝단 부위가 인체조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봉합사의 매듭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조직의 봉합을 수행하는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의 바디(11)와 하부의 투관침(12)을 포함하는 트로카(10)와; 상기 투관침(12)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재(20)와; 봉합사(35)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0)의 선단부를 통해 투관침(12)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봉합사 지지부재(30)와; 상기 가이드부재(20)의 경사진 선단부를 막아주며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가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커버(40)와; 상기 가이드부재(2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를 밀어주는 푸셔(50)와; 살을 뚫고 지날 수 있도록 상기 투관침(12)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0)의 끝단부와 일정 정도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0)가 통과하는 관통공(65)이 형성된 펀치(60)와; 상기 트로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Closure Device built in Trocar}
본 발명은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강경 수술 후 수술 부위에 봉합사를 공급하되 봉합사의 끝단 부위가 인체조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봉합사의 매듭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조직의 봉합을 수행하는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내부 장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 개복 수술을 통해 장기를 치료하고 있다. 하지만, 개복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커서 출혈량이 많을 뿐 아니라 수술 후 큰 흉터가 남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내부 장기의 치료를 위하여 개복 수술을 하는 대신 작은 구멍을 천공하거나 인체 내의 구멍을 이용하는 수술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즉, 개복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최소침습 수술(MIS: Minimal Invasive Surgery) 및 무흉터 수술(NOTES: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등의 새로운 수술 기법이 개발되어 시술되고 있다.
최소 침습수술은 수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 도구들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에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고, 무흉터 수술은 항문이나 식도와 같이 환자의 신체에 존재하는 구멍을 통해 수술 도구를 인입시켜 환자의 체내에 있는 시술 부위로 이송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침습 수술 및 무흉터 수술은 시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가 작고, 시술 시 출혈량이 개복 수술에 비해 현저히 적을 뿐 아니라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외부로 노출되는 흉터가 작은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최소침습 수술(투관침을 이용한 복강경수술)의 경우 신체 절개 부위(투관침이 관통한 부위)가 개복 절개 수술에 비해 현저히 작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절개 부위(투관침이 관통한 부위)를 봉합하기 어려우며 시간이 많이 걸린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복강경 수술에 따른 봉합 방법은 좁은 공간에서 절개 부위를 직접 꿰매는 방식이어서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고, 고난도의 작업에 해당하여 봉합 시간이 증가함은 물론 시술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강경 수술시 수술기구 및 도구의 통로를 유지해 주는 기능 외에 체내의 수술 부위에 대한 봉합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며, 봉합 부위로 봉합사를 전달한 후 봉합사의 끝단을 체외로 빼내는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어 체내의 수술 부위에 대한 봉합 작업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의 바디와 하부의 투관침을 포함하는 트로카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바늘부재를 구비하여 일측 바늘부재의 봉합사를 타측 바늘부재로 전달하는 봉합사 전달부와; 상기 투관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봉합사 안내홈이 구비된 펀치가 연결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트로카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 보조구를 출원하여, 특허 제1942060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내부에 중심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바늘 관통구가 형성되는 봉합바늘과; 봉합바늘을 이송할 수 있도록 중심축을 따라 체결관 관통구가 형성되어 봉합바늘의 후단에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며 외주면 일부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바늘 체결관을 포함하는 바늘 이송수단과; 바늘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봉합사와 결합되는 봉합비드와; 바늘의 내부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봉합비드를 이송할 수 있도록, 체결관 관통구를 관통하여 바늘 관통구 내부에 위치한 봉합비드를 밀어낼 수 있는 형상 및 구조의 밀대핀이 전단부에 구비되고 중심축을 따라 봉합사의 관통이 가능한 크기의 밀대 관통구가 형성되는 비드 밀대와, 바늘 체결관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개구부를 관통하여 밀대 돌기에 걸림이 가능한 형상의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밀대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봉합사를 매듭짓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 필요 없게 되고, 고도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정확한 깊이로 장기를 봉합할 수 있으며, 봉합 시술시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는, 장기 봉합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한 쌍의 봉합침 및 한 쌍의 봉합침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가 수용되는 봉합침 조립체와,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봉합침을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needle push part)와, 니들 푸시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니들 푸시부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력의 제공위치를 조절시키는 푸시 조절부를 포함하며, 봉합침을 순차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시술의 난이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술용 봉합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투관침의 통공을 통하여 출입하며 봉합용 바늘을 수술 부위의 봉합위치로 유도하는 홀더와 캡, 그리고 미리 매듭을 만든 봉합사, 봉합사를 홀더 밖으로 사출시키는 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의 내부 홀에 봉합용 바늘과 연결된 봉합사를 미리 매듭을 만들어 저장해 놓고, 투관침으로 홀더를 삽입 시 캡을 홀더의 앞부분에 연결하여 봉합사에 연결된 바늘이 일시적으로 펴지도록 하며, 홀더를 복강 내로 삽입 후 밀대에 의해 홀더에서 봉합부위로 봉합사가 사출되도록 함으로써, 복강경 수술 후 체내의 수술 부위에 봉합사를 공급하고 봉합 후 봉합사의 매듭을 만드는 작업을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하는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10-2006-0009698 A KR 10-2011-0091054 A KR 10-2016-0038385 A KR 10-1942060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강경 수술 후 수술 부위에 봉합사를 공급하되 봉합사의 끝단 부위가 인체조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봉합사의 매듭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조직의 봉합을 수행하는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의 바디와 하부의 투관침을 포함하는 트로카와; 상기 투관침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봉합사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선단부를 통해 투관침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봉합사 지지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진 선단부를 막아주며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가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를 밀어주는 푸셔와; 살을 뚫고 지날 수 있도록 상기 투관침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끝단부와 일정 정도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펀치와; 상기 트로카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날카로운 끝단부에 봉합사 지지부재가 빠져나가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가이드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측 끝단 부분이 고정됨과 아울러 하측 부분이 중간 부분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도어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는 가이드부재의 하측 끝 부분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측 끝단 부분이 고정됨과 아울러 중간 부분의 내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를 중심으로 하측 부분이 회전되어 통로를 개폐하되 가이드부재의 하측 끝 부분을 덮어주는 하측 끝 부분 외측에 일정 크기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에 따르면,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는 생체흡수성 소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봉합사가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는 트로카의 투관침에 선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삽입하고 이 가이드부재를 통해 봉합사 및 봉합사 지지부재를 인체조직의 하부로 밀어넣은 후 봉합사 지지부재가 인체조직에 밀착되어 봉합사를 지지하도록 하므로 복강경 수술에 따른 천공 부위나 수술 부위의 봉합 작업을 외부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에 따르면, 가이드부재의 날카로운 끝단부에 구멍이 형성되거나 도어가 구비됨에 따라 푸셔로 봉합사 지지부재를 밀어넣을 때 봉합사 지지부재가 구멍 또는 도어를 통해 가이드부재 및 투관침의 외부로 빠져나가 인체조직에 밀착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에 따르면, 커버의 중간 부분 내측 또는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하측 끝단부 외측에 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힌지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커버의 하측 부분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커버가 가이드부재에 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에 따르면, 봉합사 지지부재가 생체흡수성 소재로 형성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녹아 없어짐에 따라 별도의 제거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봉합사가 봉합사 지지부재의 중간 부분에 연결됨에 따라 봉합사 지지부재가 인체조직에 나란하게 밀착되어 봉합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를 이용하여 봉합사를 수술 부위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의 가이드부재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재 및 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를 이용하여 봉합사를 수술 부위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의 가이드부재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재 및 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바디(11)와 하부의 투관침(12)을 포함하는 트로카(10)와; 상기 투관침(12)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재(20)와; 봉합사(35)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0)의 선단부를 통해 투관침(12)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봉합사 지지부재(30)와; 상기 가이드부재(20)의 경사진 선단부를 막아주며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가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커버(40)와; 상기 가이드부재(2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를 밀어주는 푸셔(50)와; 살을 뚫고 지날 수 있도록 상기 투관침(12)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0)의 끝단부와 일정 정도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0)가 통과하는 관통공(65)이 형성된 펀치(60)와; 상기 트로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봉합사(35)는 생체흡수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는 역시 생체흡수성 소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봉합사(35)가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는 봉합사의 끝단을 겹킨 후 용융시키거나 생체흡수성 소재로 본딩하여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합사(35)와 봉합사 지지부재(30)를 생체흡수성 소재로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가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인체조직 내에서 이물질로 작용되지 않고 그대로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의 중간 부분에 봉합사(35)를 연결하는 이유는 인체조직 내에 삽입된 봉합사 지지부재(30)를 삽입한 후 봉합사(35)를 잡아당길 때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가 도 2와 같이 인체조직(100)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펀치(60)를 이용하여 인체조직(100)에 구멍을 천공한 후, 상기 트로카(10)의 바디(11)와 투관침(12)으로 수술기구(도시 생략)를 삽입하여 복강경 수술을 수행한 후, 상기 투관침(12)으로부터 수술기구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펀치(60)를 들어올려 구멍이 뚫린 인체조직의 하부를 밀어올림으로써 도 2와 같이 인체조직이 구멍의 안쪽으로 밀려들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20)를 밀어넣어 날카로운 가이드부재(20)의 끝단부를 이용하여 인체조직을 뚫은 후 상기 펀치(60)의 관통공(65)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가이드부재(20)를 통해 봉합사(35) 및 봉합사 지지부재(30)를 인체조직(100)의 안쪽으로 삽입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20)의 내측 끝단에 위치한 봉합사 지지부재(30)를 푸셔(50)로 밀어줌으로써 봉합사 지지부재(30)가 인체조직(100)의 하부까지 밀어넣는 것이다. 이후, 상기 펀치(60)를 하강시켜 상기 가이드부재(20)가 투관침(12)과 펀치(6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푸셔(50)와 함께 가이드부재(20)를 상승 이동시키고 봉합사(35)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가 인체조직(100)에 밀착되어 봉합사(35)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푸셔(50)로 봉합사 지지부재(30)를 밀어넣을 때 봉합사 지지부재(30)가 가이드부재(20)의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커버(40)는 가이드부재(20)의 선단부에 설치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카로운 끝단부에 봉합사 지지부재(30)가 빠져나가는 구멍(41)이 형성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부재(20)의 직경이 대략 1~2㎜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상기 가이드부재(20)의 끝단 부분에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가 빠져나갈 수 있는 구멍(41)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커버(40)의 일부를 도어(43)로 활용함으로써 상기 푸셔(50)로 봉합사 지지부재(30)를 밀어넣을 때 봉합사 지지부재(30)가 가이드부재(20)로부터 쉽게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40)의 상측 끝단 부분은 고정하고, 하측 부분을 도어(43)로 활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커버(40)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에 힌지(42)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43)가 힌지(4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통로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도어(43)가 가이드부재(20)의 하측 끝 부분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어(43)가 가이드부재(20)에 끼지 않고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부재(20)에 의해 크기가 결정되는 상기 커버(40)를 고려할 때 상기 커버(40)에 힌지(42)를 설치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상기 힌지(42)를 설치하지 않고도 도어가 회전되어 통로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5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의 상측 끝단 부분은 가이드부재(20)에 고정하고, 중간 부분의 내측 또는 양측에 오목부(4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버(40)의 하측 부분이 오목부(44)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통로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0)의 하측 끝 부분을 덮어주는 상기 커버(40)의 하측 끝 부분에 일정 크기의 돌기(45)를 형성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통로가 쉽게 개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커버(40)의 끝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재(20)에 끼지 않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트로카
11...바디
12...투관침
20...가이드부재
30...봉합사 지지부재
35...봉합사
40...커버
41...구멍
42...힌지
43...도어
44...오목부
45...돌기
50...푸셔
60...펀치
70...헤드부

Claims (5)

  1. 상부의 바디(11)와 하부의 투관침(12)을 포함하는 트로카(10)와;
    상기 투관침(12)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재(20)와;
    봉합사(35)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0)의 선단부를 통해 투관침(12)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봉합사 지지부재(30)와;
    상기 가이드부재(20)의 경사진 선단부를 막아주며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가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커버(40)와;
    상기 가이드부재(2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를 밀어주는 푸셔(50)와;
    살을 뚫고 지날 수 있도록 상기 투관침(12)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0)의 끝단부와 일정 정도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0)가 통과하는 관통공(65)이 형성된 펀치(60)와;
    상기 트로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는 날카로운 끝단부에 봉합사 지지부재(30)가 빠져나가는 구멍(41)이 형성되도록 가이드부재(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는 상측 끝단 부분이 고정됨과 아울러 하측 부분이 중간 부분에 설치된 힌지(4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도어(43)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43)는 가이드부재(20)의 하측 끝 부분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는 상측 끝단 부분이 고정됨과 아울러 중간 부분의 내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44)를 중심으로 하측 부분이 회전되어 통로를 개폐하되 가이드부재(20)의 하측 끝 부분을 덮어주는 하측 끝 부분 외측에 일정 크기의 돌기(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지지부재(30)는 생체흡수성 소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봉합사(35)가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1020190058178A 2019-05-17 2019-05-17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102197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178A KR102197000B1 (ko) 2019-05-17 2019-05-17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CN202080019863.7A CN113784677A (zh) 2019-05-17 2020-05-15 套管针一体式缝合装置
PCT/KR2020/006393 WO2020235872A2 (ko) 2019-05-17 2020-05-15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US16/968,598 US20210137516A1 (en) 2019-05-17 2020-05-15 Trocar-integrated sut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178A KR102197000B1 (ko) 2019-05-17 2019-05-17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514A true KR20200132514A (ko) 2020-11-25
KR102197000B1 KR102197000B1 (ko) 2020-12-30

Family

ID=73645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178A KR102197000B1 (ko) 2019-05-17 2019-05-17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310A (ko) 2021-07-07 2023-01-16 (주)헤페스토스 봉합 유도 기능을 가진 수술용 의료 도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698A (ko) 2004-07-26 2006-02-01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KR20110091054A (ko) 2010-02-05 2011-08-11 국립암센터 수술용 봉합장치
JP2012231849A (ja) * 2011-04-28 2012-11-29 Nihon Covidien Kk 穿刺装置
KR20160038385A (ko) 2014-09-30 2016-04-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KR20180058923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이앰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20180123273A (ko) * 2017-05-08 2018-11-16 유원석 봉합고정앵커 및 리프팅고정앵커 겸용 고정앵커후크 및 바늘을 구비한 봉합사
KR101942060B1 (ko) 2017-08-09 2019-01-24 한문석 복강경 수술 보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698A (ko) 2004-07-26 2006-02-01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KR20110091054A (ko) 2010-02-05 2011-08-11 국립암센터 수술용 봉합장치
JP2012231849A (ja) * 2011-04-28 2012-11-29 Nihon Covidien Kk 穿刺装置
KR20160038385A (ko) 2014-09-30 2016-04-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KR20180058923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이앰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20180123273A (ko) * 2017-05-08 2018-11-16 유원석 봉합고정앵커 및 리프팅고정앵커 겸용 고정앵커후크 및 바늘을 구비한 봉합사
KR101942060B1 (ko) 2017-08-09 2019-01-24 한문석 복강경 수술 보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310A (ko) 2021-07-07 2023-01-16 (주)헤페스토스 봉합 유도 기능을 가진 수술용 의료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000B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8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US6770084B1 (en) Suture capture device
US7771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ture in a passageway
US6217592B1 (en) Laproscopic instrument for suturing tissue
RU2478346C2 (ru) Сш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шивания
KR101580098B1 (ko) 외과수술 봉합장치 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도구들
JP2005013732A (ja) 縫合糸通し器具および組織に縫合糸を通す方法
CA2928615C (en) Suturing device and method
KR20180058923A (ko)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102197000B1 (ko)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EP1538992B1 (en) Suture capture device
WO2020235872A2 (ko)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AU20062402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gical repair
KR20140103435A (ko) 복강경 수술 봉합용 수술 도구
AU20062403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ture placement
KR20210121665A (ko)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200446809Y1 (ko) 쌍꺼풀 수술용 기구
KR20040075834A (ko) 복강경봉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