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385A -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 Google Patents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385A
KR20160038385A KR1020140131401A KR20140131401A KR20160038385A KR 20160038385 A KR20160038385 A KR 20160038385A KR 1020140131401 A KR1020140131401 A KR 1020140131401A KR 20140131401 A KR20140131401 A KR 20140131401A KR 20160038385 A KR20160038385 A KR 2016003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holder
needle
ca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732B1 (ko
Inventor
노영남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3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7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 A61B2017/3482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inside
    • A61B2017/3484Anchoring means, e.g. spreading-out umbrella-like structure
    • A61B2017/3488Fixation to inner organ or inner body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시 복강 내의 봉합 부위로 봉합사를 쉽고 안전하게 공급하는 봉합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강경 수술 시 복벽을 관통한 투관침(trocar)을 통해 봉합 부위에 봉합사를 쉽고 신속하게 공급하고, 이에 필요한 투관침(Trocar)의 크기를 줄이며, 수술 중에는 봉합사의 매듭을 만드는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복강경용 수술 봉합기구에 관한 것으로, 투관침의 통공을 통하여 출입하며 봉합용 바늘을 수술 부위의 봉합위치로 유도하는 홀더와 캡, 그리고 미리 매듭을 만든 봉합사, 봉합사를 홀더 밖으로 사출시키는 밀대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의 내부 홀에 봉합용 바늘과 연결된 봉합사를 미리 매듭을 만들어 저장해 놓고, 투관침으로 홀더를 삽입 시 캡을 홀더의 앞부분에 연결하여 봉합사에 연결된 바늘이 일시적으로 펴지도록 하며, 홀더를 복강 내로 삽입 후 밀대에 의해 홀더에서 봉합부위로 봉합사가 사출되는 복강경용 수술 봉합기구로서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후 체내의 수술 부위에 봉합사를 공급하고 봉합 후 봉합사의 매듭을 만드는 작업을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suture instrument for laparoscopic surgery}
본 발명은 복강경내의 봉합 부위로 봉합사를 안전하게 공급하는 봉합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술시 복벽을 관통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5mm)의 투관침 (trocar)을 통해 봉합부위에 봉합사를 쉽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하고, 봉합을 용이하게 하는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복각경 수술중 내부장기를 봉합하기 위해서 바늘과 연결된 봉합사를 10mm 크기의 투관침(troca)를 통해 봉합부위로 삽입시켜 바늘로 봉합하고 복강 내에서 일일이 매듭을 만드는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봉합사의 매듭작업은 복강내에서 손이 아닌 기구를 사용해서 해야 하므로 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매듭짖기가 불편하고 고도의 기술을 요하며,시간이 많이 소모돠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후 봉합부위로 봉합사와 바늘을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공급함 을 목적으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부위의 봉합시 미리 매듭하여 둔 고리에 의해 봉합사의 역음 동작대신 봉합사를 고리에 통과시켜 당김으로 봉합사가 엮여지도록 함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은 5mm 직경으로 된 의 통상의 투관침(troca)를 통하여 출입하며 봉합용 바늘을 수술부위의 봉합위치로 유도하는 홀더; 상기 홀더에는 홀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봉합용 바늘과 봉합사를 수술봉합부위로 공급하는 밀대와, 상기 홀더의 선단으로는 복강 진입시 결합되어 봉합용 바늘의 호곡면이 일시적 완만하게 변형되게 수용하는 캡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된다.
상기 홀더와 캡을 투명한 소재로 형성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그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밀대를 홀더 내경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일체로 형성하며 홀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갖추는 구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캡 내부의 캡홀을 출구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봉합부위로 이동되는 바늘의 촉이 캡홀의 면에 걸리지 않게 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그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봉합용 바늘이 장착되는 캡의 외경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홀더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그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봉합용 바늘에 연결된 봉합사에는 봉합부위를 통과한 바늘의 관통 후 당김시 결속되는 고리를 형성하는 구성에 의히여 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중 체내의 수술부위에 봉합사 및 봉합용 바늘을 공급하는 작업을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봉합사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술 전에 홀더와 캡속에 봉합사와 바늘을저장해 두었다가 밀개로 미는 동작을 통해 쉽고 빠르게 봉합사를 복강경 내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와, 봉합사에 매듭을 짓고, 고리를 미리 형성한 상태로 삽입하므로 수술 중 봉합단계에서 매듭지을 필요가 없어 수술시간을 줄어드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홀더에 수용하는 봉합용 바늘의 호곡면 상태가 평상시의 상태로 유지하다가 수술후 수술부위로 공급하기 위해서 홀더와 결합시키는 캡의 캡홀에 의하여 바늘의 호곡면이 눌려져 바늘의 호곡면 높이를 일시적으로 낮아지게 하므로 봉합사 삽입을 위해 필요한 투관침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복벽의 절개 폭을 줄일 수 있어 수술후 흉터가 최소한으로 줄어들게 하는 미용적 효과를 갖는다.
도 1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봉합사에 대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홀더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캡 결합전 홀더에 보관되는 봉합용 바늘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홀더에 캡 결합시 봉합용 바늘의 구부러짐 상태가 일시적으로 변형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봉합부위로 봉합사 및 보합용 바늘의 공급 순서도.
도 6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봉합용 바늘과 봉합사로 봉합하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일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봉합사에 대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홀더에 대한 분리 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복강경 수술봉합기구는 통상적으로 복강경 수술에 사용하는 직경 5mm크기의 투관침(100)의 통공(110)을 통하여 출입하며 봉합용 바늘을 수술부위의 봉합위치로 유도하는 홀더(200)와, 매듭용 고리(303)를 구비한 봉합사(300) 및 봉합용 바늘(3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200)는 복강경 내로 삽입되기에 충분한 길이와 수술시 최소한의 절개폭을 감안한 외경(약 4mm)으로 형성하며, 그 내부에 홀(201)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홀더(200)의 홀(201)은 밀대(210)를 삽입하여 봉합사를 복강내로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이룬다.
상기 홀더(200) 일측에는 봉합용 바늘(310)과 함께 봉합사(300)를 봉합부위로 공급하는 밀대(210)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봉합사(300)가 포함된 바늘(310)을 수용하는 캡홀(231)을 구비한 캡(230)을 연결한다.
상기 밀대(210)는 상기 캡(230)의 캡홀(231)과, 홀더(200)의 홀(210)을 따라서 이동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된 슬라이더(212)와, 상기 슬라이더(212)의 길이방향 의 자유로운 단에 홀더(20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홀더직경보다 큰 직경(약6mm)으로 손잡이(215)를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캡 결합전 홀더에 수용되는 봉합용 바늘의 상태도인데,
상기 캡(230)은 홀더(200)의 외경(약4mm)과 동일한 외경으로형성하며, 홀더 (200)와의 연결하기 위하여 홀더(200)와 맞닿는 위치에 나사부(235)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홀더(200)의 홀(201)위치에도 나사부를 형성한다.
상기 캡(230)의 캡홀(231)은 봉합용 바늘(31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봉합용 바늘(310)이 캡홀(231)에서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봉합용바늘(3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면서 상기 홀더(200)의 홀(20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한다.
상기 홀더(200)의 홀(2010)에 수용되는 봉합용 바늘(310)의 구부러진 일단은 홀(201)에 걸려있는 상태가 되고, 구부러진 타단은 홀더(200)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홀더에 캡 결합시 봉합용 바늘의 구부러짐 상태가 일시적으로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캡(230)의 캡홀(231)은 봉합용 바늘(310)을 수용하여 봉합부위로 봉합용 바늘(310)의 공급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봉합용 바늘(310)이 수용되는 과정에서 캡홀(231) 속에서 봉합용 바늘(310)의 양단과 만곡부가 캡홀(231)의 면에 눌려지는 상태로 되어 캡홀(231)에서 탄력적 삽입 상태로 수용된다.
상기 캡홀(231)을 형성함에 있어 바람직하기로는 봉합용 바늘(310)이 슬라이더(212)에 의해 봉합부위로 공급될 때 바늘(310)의 뾰족한 촉이 캡홀(231)의 면에 걸리지 않는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의 구성처럼 캡홀(231)의 개방측 직경(d)을 홀더(200)의 홀 내부 직경(D)보다 크게 형성하여 나팔관 형상과 같이 캡홀(231)을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200)와 캡(230)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함이 홀(210)에 위치하는 봉합사(300)와 바늘(310) 및 슬라이더(212)의 장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복강경수술 봉합기구는 도 1처럼 봉합사(300)에 고리(303)를 미리 매듭지어 놓는다.
상기 고리(303)가 미리 매듭 지어진 봉합사(300) 및 봉합용 바늘(310)을 홀(201)속으로 삽입함에 있어 봉합사(300)는 홀더(200)의 홀(201)속으로 삽입되고, 봉합용 바늘(310)의 구부러진 일단이 도 3처럼 홀더(200)홀(201)에 걸린 상태로 되고, 바늘(310)의 타단은 홀더(200)외부로 노출되도록 홀(201)속에 끼워진 상태로 둔다.
이와 같은 상태로 복강경 수술시 봉합순서가 될 때까지 봉합사(300)와 봉합용 바늘(310)이 저장된 홀더(200)와 캡(230), 밀대(210)는 분리되어 대기상태를 유지 한다.
이때, 홀더(200)와 캡(230)은 투명한 소재의 특징에 의해 그 내부의 상태가 투시된다.
복강경 수술 진행 중 수술부위를 봉합할 때, 상기 캡(230)의 나사부(235)를 홀더(200) 나사부에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캡(230)을 홀더(200)에 나사식으로 결합시키면 캡홀(231)로 봉합용 바늘(31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도 4 와 같이 캡홀(231)의 면에 의해 봉합용 바늘 (310)의 양단과 구부러져 둥근 중앙부분이 눌려지면서 바늘의 양단이 벌어지는 상태가 되는데, 상기 봉합용 바늘(310)은 탄성복귀력이 좋은 소재로 형성된 것이어서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상대적으로 반발 탄성력이 형성되어 캡홀(231)에서 벗어나는 순간 봉합용 바늘(310)은 삽입전 형상으로 복귀가능한 상태로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캡(230)에 의해 봉합용 바늘(310)이 탄성 조립된 홀더(200)를 복벽(A)에 삽입된 투관침(100)의 내경(110)으로 삽입하여 캡(230)의 개방측이 복강경 수술위치로 근접하게 한다.
시술자가 홀더(200)의 일단에 결합된 캡(230)을 봉합부위(A)로 안내하고, 복벽(B)외부에 위치한 홀더(200)FH 밀대(210)를 삽입하고 홀더(200)를 잡은 상태에서 밀대(210)의 손잡이(215)를 홀더 (200) 측으로 이동시키면 밀대(210)의 슬라이더(212)가 홀(201)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더(212)의 선단은 봉합사(300)를 밀어내는 상태를 이루고, 계속해서 슬라이더(212)는 캡(230)의 캡홀(231)로 진입하여 봉합용 바늘(310)을 캡(230)의 캡홀(231)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
이처럼 캡홀 (231)에 수용되었던 봉합용 바늘(310)과 봉합사(300)가 캡(230)의 외부로 이동될 때, 봉합용 바늘(310) 뾰족한 촉부분이 캡홀(231)의 벽면에 걸려 촉이 구부러지거나 거스러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230)의 홀(231)은 출구측 직경(d)이 나사부(235)의 홀직경(D)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밀대(210)의 슬라이더(212)가 봉합용 바늘(310)에 접촉되어 밀면 봉합용 바늘(310)은 캡(230)의 출구 측의 직경이 크게 형성된 캡홀 (231)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는 상태가 된다. 캡(230)의 캡홀(231)은 경사진 상태이므로 출구측 직경이 넓어 봉합용 바늘 (310)의 뾰족한 촉 캡홀(231)면에 결리지 않은 상태로 홀도(200)에서 봉합위치에 공급된다.
상기 밀대(210)에 의해 봉합용 바늘(310)이 복벽(A)내부의 봉합부위(B)에 공급되면 봉합용 바늘(31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므로 소재의 특성인 복귀탄성력이 작용하여 봉합용 바늘(310)은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상기 봉합위치로 봉합사(300)가 공급되면 홀더(200)를 투관침(100)에서 빼내고, 도시하지 않은 결속기구를 복벽(A)내로 삽입하여 봉합용 바늘(310)을 잡고 봉합부위(B)를 설정하여 꿰맨다.
상기 봉합용 바늘(310)로 수술부위를 통과한 뒤 미리 매듭지어진 고리(303)로 봉합용 바늘(310)을 통과시켜서 봉합사의 양측을 당기면 봉합사(300)는 고리 (303)의 매듭이 조여들어 수술자리가 맞닿아 봉합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가능하며, 이와 같은 변형 및 변경등에 의한 것은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투관침 110 : 내경 200 : 홀더
201 : 홀 210 : 밀대 212 : 슬라이더
230 : 캡 231 : 캡홀 300 : 봉합사
303 : 고리 310 : 바늘 A : 복벽
B : 봉합부위 D,d : 홀의 직경

Claims (6)

  1. 미리 매듭을 만든 봉합사를 내부에 저장하고 있으며, 5mm 크기의 투관침을 통하여 출입하며 봉합용 봉합사를 수술 부위의 봉합위치로 유도하는 홀더;
    상기 홀더 일단에는 구부러진 형상의 봉합용 바늘이 눌려지게 수용되는 캡홀을 구비한 캡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 내부에 저장된 봉합사를 수술봉합 부위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를 일체로 갖는 밀대를 더 구비하여서 된 복강경 수술 봉합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캡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복강경 수술 봉합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홀더의 홀 내부로 삽입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일체로 형성하며 홀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복강경 수술 봉합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봉합용 바늘을 눌려지게 수용하는 홀은 개방측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하여 봉합부위로 공급되는 바늘의 촉이 홀의 면에 걸리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하는 복강경 수술 봉합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용 바늘이 장착되는 캡의 외경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홀더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 봉합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에는 봉합부위를 꿰맨 바늘의 결속용 고리를 미리 매듭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복강경 수술 봉합기구.
KR1020140131401A 2014-09-30 2014-09-30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KR101611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401A KR101611732B1 (ko) 2014-09-30 2014-09-30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401A KR101611732B1 (ko) 2014-09-30 2014-09-30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85A true KR20160038385A (ko) 2016-04-07
KR101611732B1 KR101611732B1 (ko) 2016-04-11

Family

ID=5578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401A KR101611732B1 (ko) 2014-09-30 2014-09-30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7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923A (ko)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이앰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101942060B1 (ko) 2017-08-09 2019-01-24 한문석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20200008450A (ko) * 2018-07-16 2020-01-2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소아의 음낭수종 제거술에 사용되는 수술 도구
KR102120596B1 (ko) 2019-11-14 2020-06-09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20200132514A (ko) 2019-05-17 2020-11-25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20210121665A (ko) 2020-03-31 2021-10-08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CN114451951A (zh) * 2022-03-21 2022-05-10 青岛市中心血站 一种浅动脉采血止血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3290B2 (en) 2017-11-15 2022-01-04 Winter Innova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ouble loop stitching
US10792036B2 (en) 2017-11-15 2020-10-06 Winter Innov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ouble loop st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4597B1 (fr) * 2000-02-04 2002-04-26 Soprane Sa Aiguille hyper-elastique
KR101258888B1 (ko) * 2012-04-27 2013-04-29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정착 봉합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923A (ko)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이앰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101942060B1 (ko) 2017-08-09 2019-01-24 한문석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20200008450A (ko) * 2018-07-16 2020-01-2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소아의 음낭수종 제거술에 사용되는 수술 도구
KR20200132514A (ko) 2019-05-17 2020-11-25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102120596B1 (ko) 2019-11-14 2020-06-09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20210121665A (ko) 2020-03-31 2021-10-08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CN114451951A (zh) * 2022-03-21 2022-05-10 青岛市中心血站 一种浅动脉采血止血带
CN114451951B (zh) * 2022-03-21 2024-04-30 青岛思拓新源细胞医学有限公司 一种浅动脉采血止血带及其存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732B1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732B1 (ko)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KR101423341B1 (ko) 봉합 장치
JP4166632B2 (ja) 縫合器
US6511487B1 (en) Suturing instrument and method
US20070100376A1 (en) Suturing instrument
US5059201A (en) Suture threading, stitching and wrapping device for use in open and closed surgical procedures
US7967832B2 (en) Tying knots
US5480405A (en) Anchor applier instrument for use in suturing tissue
US5392978A (en) Surgical staple and endoscopic stapler
EP0955904B1 (en) Suturing system
US9301748B2 (en) Sutur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5371610B2 (ja) 縫合器
ATE326906T1 (de) Chirurgisches gerät zum nähen von gewebe
KR100551740B1 (ko)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US20050277957A1 (en) Devices and methods of locking and cutting a suture in a medical procedure
JP2006116356A (ja) 装填機構を備えた手術用縫合装置
KR101942060B1 (ko) 복강경 수술 보조구
US10448946B2 (en) Endoscopic suture cinch
JP2004160255A (ja) 縫合装置
US10660636B2 (en) Sutur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060259046A1 (en) Body tissue incision closing instrument
JP2006239455A (ja) 縫合具
JP2008511351A (ja) 少なくとも2つの縫い糸を組織開口部の縁部領域を貫き通して導くための外科手術用の装置
US9820736B1 (en) Laparoscopic suture loop maker
KR101781403B1 (ko) 지혈용 클립 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