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055A -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055A
KR20060009055A KR1020040056231A KR20040056231A KR20060009055A KR 20060009055 A KR20060009055 A KR 20060009055A KR 1020040056231 A KR1020040056231 A KR 1020040056231A KR 20040056231 A KR20040056231 A KR 20040056231A KR 20060009055 A KR20060009055 A KR 20060009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zone
stage
drying
asphalt concrete
waste asph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345B1 (ko
Inventor
김효성
Original Assignee
태성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개발(주) filed Critical 태성개발(주)
Priority to KR102004005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34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3/00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 C10C3/007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winning and separation of asphalt from mixtures with aggregates, fillers and other products, e.g. winning from natural asphalt and regeneration of waste asph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6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during mixing; 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during mixing, e.g. by introducing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with internal subdivision of the drum, e.g. for subdividing or recycling the material to be dri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원은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을 가열 건조하여 접착력이 복원 되도록 재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을 가열 건조하여 접착력이 복원 되도록 재생시키는 다단계 회전드라이어 건조로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쇄물이 건조로의 투입구 측으로 투입되어 배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버너의 화염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고온의 열기로 연속 가열건조 될 수 있도록 회전드라이어의 내부를 투입구 측에서부터 배출구 사이를 연속된 5단계 건조영역으로 구분 형성하되, 투입구 측을 기준하여 각 단계별 건조영역의 가열건조 온도는, 제1단계 건조영역 150±50℃, 제2단계 건조영역 270±50℃, 제3단계 건조영역 370±50℃, 제4단계 건조영역 470±50℃, 제5단계 건조영역 670±50℃ 각각을 유지토록 하여 투입구 측으로 투입되어 배출구 측으로 이동되는 분쇄물이 단계별로 점점 높아지는 고온으로 연속 가열, 건조하여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팔트 재생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폐아스팔트, 재생장치, 5단계 연속 회전드라이어

Description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방법과 그 장치{Reproduction method of waste asphalt concrete and it's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회전드라이어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 드라이어 단면도.
도 3 내지 도 7은 회전드라이어 내부에 형성되는 각 단계별 건조영역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드라이어 2 : 기대
4 : 투입구 5 : 배출구
6 : 연돌 7 : 버너
11 : 투입구측 12 : 배출구측
21 : 모터 22 : 구동기어
31 : 링기어 32 : 지지링
본 발명은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재포장공사 및 아스팔트 포장도로에서의 각종 공사로 인하여 수거되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재생시켜서 도로 포장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속 재생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와 골재(자갈, 쇄석 등)를 혼합 가열하여 얻은 것을 아스팔트 콘크리트라 하며,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를 통상 아스팔트 포장도로라고 부르고 있다.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는 빈번한 차량통행 등으로 반복되는 무거운 하중을 받게 되므로서 포장도로에 균열이나 부분파손 또는 요철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균열, 부분파손, 요철 등으로 변형된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그 보수를 요하는 부분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일부를 파쇄하여 제거한 후 그 자리에 새로운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깔아주고 다져주는 방법으로 보수공사를 하게 된다.
그리고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하수도관, 가스관, 전력 및 통신케이블 등의 지중시설물 보수공사를 할 때에도 그 해당구역의 포장도로 표면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파쇄 제거한 다음 지중시설물의 보수공사를 시공한 후에 다시 새로운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하게 된다.
기존에는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파쇄하여 걷어낸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재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대부분 폐기 처분 함으로서 자원의 낭비가 발생됨은 물론 폐기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매립지 또는 강이나 바다 등의 특정지역에 매립 처리하므로 토양, 수질 등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 와서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재생시킬 수 있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는 포장도로에서 파쇄되어 수거된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분쇄한 다음 그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분쇄물(이하 '분쇄물'이라 약칭함)을 버너가 장착된 건조로에 투입하여 가열하여 재생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종래 기술에서는 분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 측에 버너를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률이 매우 저조하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데, 이는 투입구 측으로 투입되는 분쇄물이 버너의 화염에 직접 노출되어 가열되는 과정에서 분쇄물 표면의 아스팔트가 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아스팔트가 타버릴 경우에는 분쇄물의 접착력이 상실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을 버너의 화염에 접촉되지 않게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 분쇄물을 낮은 온도에서부터 점차로 높아지는 온도 분위기로 단계적으로 가열토록 하므로서 분쇄물 표면의 아스팔트와 그 내부의 골재까지 충분히 가열되게 하여 접착력이 우수한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을 가열, 건조하여 접착력이 복원 되도록 재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쇄물이 회전드라이어의 투입구 측으로 투입되어 배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버너의 화염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고온의 열기로 연속적으로 가열, 건조 될 수 있도록 회전드라이어의 내부를 연속된 5단계 건조영역으로 구분 형성하되,투입구측을 기준하여 각 단계별 건조영역의 가열건조 온도는, 제1단계 건조영역 150±50℃, 제2단계 건조영역 270±50℃, 제3단계 건조영역 370±50℃, 제4단계 건조영역 470±50℃, 제5단계 건조영역 670±50℃ 의 각각의 건조영역을 유지하도록 하여 투입구측으로 투입되어 배출구측으로 이동되는 분쇄물을 단계별로 점점 높아지는 고온으로 연속 가열, 건조하여 분쇄물을 태우지 않으면서 본래의 물성을 회복시키며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라이어는 투입구측으로 투입되는 분쇄물이 각 단계별 건조영역의 고온으로 가열, 건조되면서 배출구 측으로 이송 배출되는데 소요되는 전체시간은 310~490초로서, 제1단계 건조영역 40±10초가 소요되며, 제2단계 내지 제5단계 건조영역들은 각기 90±20초가 소요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회전드라이어는 투입구측으로 투입된 분쇄물이 배출구측으로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입구 측이 배출구 측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2~5°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회전드라이어의 각 단계별 건조영역에는 분쇄물을 이송 및 교반하기 위한 다수 의 날개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단계 건조영역에 형성된 이송날개들은 투입구측을 통해 저부측으로 투입되는 분쇄물을 상향으로 이송시키지 않고 그 저부 측에서 제2단계 건조영역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회전드라이어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을 향해 누워있는 상태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제2단계 건조영역에 형성된 교반 날개 각각은 제1단계 건조영역에서 제2단계 건조영역의 저부 측으로 이송되는 분쇄물을 회전드라이어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이송시켜서 제2단계 건조영역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중심영역을 향해 낙하시킬 수 있도록 각 교반 날개들이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 상태에서 그 끝 단 부분이 회전드라이어의 회전방향을 향해 14±3°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제3단계 건조영역에 형성된 교반 날개들은 제2단계 건조영역을 거친 분쇄물 을 저부 측 에서 회전드라이어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이송시켜서 제3단계 건조영역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중심영역을 인접하게 벗어난 위치를 향해 낙하 시킬 수 있도록 각 교반 날개들이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 상태에서 그 끝단 부분이 회전드라이어의 회전방향을 향해 21±3°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제4단계 건조영역에 형성된 교반 날개 각각은 제3단계 건조영역을 거친 분쇄물을 저부 측에서 회전드라이어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이송시켜서 제4단계 건조영역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중심영역을 멀리 벗어난 위치를 향해 낙하 시킬 수 있도록 각 교반 날개들이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 상태에서 그 끝단 부분이 회전 드라이어의 회전방향을 향해 32±3°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단계 건조영역에 형성된 교반 날개들은 제4단계 건조영역을 거친 분쇄물을 상향으로는 이송시키지 않고 저부 측 에서만 교반 시킬 수 있 도록 단면이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한 각 단계별 건조영역에 형성된 이송날개 및 교반 날개들은 분쇄물을 버너의 화염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면서 이송 및 교반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드라이어의 제2~제4단계 건조영역 각각에 형성된 각 교반 날개들은 전,후방으로 양분된 상태에서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회전드라이어의 설치상태도로서, 회전드라이어(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기대(2)에 회전가능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드라이어(1)는 기대(2)에 장착된 모터(21)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회전드라이어(1)의 외주에는 링기어(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링기어(31)의 일측(도면상 하측)에는 모터(21)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기어(22)가 치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드라이어(1)의 외주 양측에 장착된 지지링(32)들은 기대(2)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지지롤러(2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드라이어(1)는 모터(21)의 구동에 의하여 기대(2)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드라이어(1)는 분쇄물(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분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측(11)이 배출구측(12)보다 조금 높은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데, 그 경사각도는 대략 2~5°의 각도를 이루고 상향으로 경사를 이루는데 이와 같이 회전드드라이어(1) 자체를 2~5°의 경사각도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는 분쇄 물이 투입구측(11)으로 투입되어 배출구측(12)으로 이송 배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310~490초 정도 걸리도록 하여 분쇄물의 가열건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회전드라이어의 경사각도가 2°미만으로 수평에 가까운 상태가 되면 투입구측(11)으로 투입된 분쇄물이 배출구측(12)으로 이송되지 않거나 또는 이송속도가 너무 느려 이송 소요시간이 490초를 초과하게 되어 분쇄물이 과열되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반면에, 회전드라이어(1)의 경사각도가 6°이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분쇄물의 이송속도가 너무 빨라져 분쇄물이 충분히 가열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회전드라이어(1)의 투입구측(11)으로 투입된 분쇄물이 버너의 화염 열기에 충분히 노출되어 분쇄물이 회전드라이어의 내부에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아스팔트 콘크리트에서 요구되는 접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드라이어(1)를 투입구측(11)이 대략 2~5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드라이어(1)의 투입구측(11) 및 배출구측(12) 각각에는 회전드럼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투입구(4) 및 배출구(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4)의 상부에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연돌(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5)에는 버너(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투입구(4)에는 분쇄물이 투입 될 때에는 분쇄물의 하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분쇄물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폐쇄 작동되어 배기가스가 투입구로 누설되지 않고 연도(6)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개폐 판(4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배출구(5)에 장착된 버너(7)의 화염 분사부는 배출구측(34)에 인접한 곳까지 삽입 설치되어 화염을 배출구측(12)의 중심부분에서 투입구측(11)을 향해 분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회전드라이어(1)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재생시킬 수 있는 1일 생산량을 400~500ton으로 기준하여 계산할 때 대략 8~10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생산량의 증감에 따라 회전드라이어(1)의 전체 길이는 증감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라이어(1)의 내부는 가열온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연속된 5단계 건조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도 2는 본발명의 드라이어를 구성하는 회전드럼 단면도이다.
상기한 연속된 5단계 건조영역은 투입구 측(11)에서부터 배출구 측(12)을 향해 차례대로 형성되는 제1단계 내지 제5단계 건조영역(3a~3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투입구측(11)은 버너(7)에서 분사되는 화염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투입구측(11)에 형성된 제1단계 건조영역(3a)의 온도는 가장 낮고 배출구측(12)으로 갈수록 온도가 점차로 높아져 버너(7)의 화염이 직접 분사되고 있는 제5단계 건조영역(3e)의 온도가 가장 높은 조건으로 분쇄물을 가열 건조하게 되는데, 이들 각 단계별 건조영역에서 분쇄물을 가열, 건조하는 온도조건과 분쇄물을 이송 및 교반
하는 데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단계 건조영역(3a)은 버너(7)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투입구 측(11)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온도는 투입구 측(11)으로 투입되는 분쇄물을 태우지 않고 1차적으로 예열할 수 있는 150±50℃의 고온상태이다.
상기 제1단계 건조영역(3a)의 내주 면에는 다수의 이송날개(35)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각 이송날개(35)들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회전드라이어(1)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누운 상태로 경사진 채 도 2의 도시와 같이 투입구측(11)에서 제2단계 건조영역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단계 건조영역(3a)에 형성된 각 이송날개(35)들은 투입구(4)를 통해 투입되는 분쇄물을 상향으로는 이송시키지 않고 제2단계 건조영역(3b)의 저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작용을 담당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제1단계 건조영역(3a)의 중심영역(P1)과 그 상부측은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게 되어 회전드라이어(1) 내부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제1단계 건조영역(3a)의 내 상부를 통해 연돌(6)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제2단계 건조영역(3b)은 제1단계 건조영역(3a)에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온도는 270±50℃의 고온상태인데, 버너(7)가 제5단계 건조영역(3e)의 중심영역(P5)에서 제1단계 건조영역(3a)의 중심영역(P1)을 향해 수평상으로 화염을 분사하고 있으므로 각 단계별 건조영역들의 각 중심영역이 온도가 가장 높은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제2단계 건조영역(3b)의 중심영역(P2)이 270±50℃의 온도 범위내 에서 가장 높지만 그러한 온도범위에서는 분쇄물의 아스팔트를 연소 시키지 않고 분쇄물을 효율적으로 가열 건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단계 건조영역(3b)에서는 온도가 가장 높은 중심영역(P2)의 온도로 분쇄물을 가열 건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단계 건조영역(3b)의 내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교반날개(36)들이 제1단계 건조영역(3a)에서 1차적으로 예열된 후 제2단계 건조영역(3b)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을 회전드라이어(1)가 회전함에 따라 상향으로 이송시킨 후 중심영역(P2)을 향해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한 각 교반날개(36)들은 회전드라이어(1)의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 상태에서 끝단부분이 회전드라이어의 회전방향을 향해 14±3°절곡되어 있으며(도 4 참조), 또한 상기한 각 교반날개(36)들은 회전드라이어(1)의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양분된 채 서로 엇갈린 상태(도 2 참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전,후방으로 양분된 교반날개(36)들은 서로 엇갈린 위상차에 의하여 분쇄물을 중심영역(P2)을 향해 교대로 낙하시키게 되므로서 분쇄물이 중심영역의 온도에 고르게 노출되게 할 수 있어 분쇄물의 가열건조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한 각 교반날개(36)들은 분쇄물을 교반하면서 제3단계 건조영역(3c)을 향해 이송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제3단계 건조영역(3c)은 제2단계 건조영역(3b)에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그 내부온도는 370±50℃의 고온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제3단계 건조영역(3c) 역시 중심영역(P3)의 온도가 가장 높은 상태인데, 제2단계 건조영역(3b)에서 2차적으로 예열된 분쇄물이 상기한 중심영역(P3)의 고온에 노출될 경우에는 분쇄물이 과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3단계 건조영역(3c)의 내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37)들은 분쇄물을 중심영역(P3)으로 낙하시키지 않고 중심영역(P3)을 벗어난 인접한 위치로 낙하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 기한 각 교반날개(37)들은 회전드라이어(1)의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 상태에서 끝단 부분이 회전드라이어의 회전방향을 향해 21±3°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으며(도 5 참조), 또한 상기한 각 교반날개(37)들은 회전드라이어(1)의 길이 방향을 향해 형성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양분된 채 서로 엇갈린 상태(도 2 참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전,후방으로 양분된 교반날개(37)들은 서로 엇갈린 위상차에 의하여 분쇄물을 중심영역(P3)을 인접하게 벗어난 위치를 향해 교대로 낙하시켜서 가열, 건조하게 되며, 또한 상기한 각 교반날개(37)들은 분쇄물을 교반시키면서 제4단계 건조영역(3d)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다음, 제4단계 건조영역(3d)은 제3단계 건조영역(3c)에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온도는 470±50℃의 고온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제4단계 건조영역(3d) 역시 중심영역(P4)의 온도가 가장 높은 상태인데, 제3단계 건조영역(3c)에서 3차적으로 가열, 건조된 분쇄물이 상기한 중심영역(P4)의 고온에 노출될 경우에는 연소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4단계 건조영역(3d)의 내주 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38)들은 분쇄물을 중심영역(P4)으로 낙하시키지 않고 그 중심영역(P4)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로 낙하 시키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한 각 교반 날개(38)들은 회전드라이어(1)의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 상태에서 끝단 부분이 회전드라이어의 회전방향을 향해 32±3°의 각도로 절곡 되어 있으며(도 6 참조), 또한 상기한 각 교반날개(38)들은 회전드라이어(3)의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양분된 채 서로 엇갈린 상태(도 2 참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 이 전,후방으로 양분된 교반날개(38)들은 서로 엇갈린 위상차에 의하여 분쇄물을 중심영역(P4)을 멀리 벗어난 위치를 향해 교대로 낙하시켜서 가열, 건조하게 되며, 또한 상기한 각 교반날개(38)들 역시 분쇄물을 교반하면서 제5단계 건조영역(3e)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제5단계 건조영역(3e)은 제4단계 건조영역(3d)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온도는 버너(7)의 화염이 직접 분사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가장 높은 670±50℃이며, 또한 중심영역(P5)에는 화염이 분사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5단계 건조영역(3e)에서는 분쇄물을 중심영역(P5)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 즉, 저부 측에서만 교반 및 이송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분쇄물이 화염에 접촉되지 않도록 가열, 건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5단계 건조영역(3e)의 내주 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교반날개(39)는 꼭지점이 회전드라이어(1)의 축 중심을 향하는 산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채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드라이어(1)의 회전방향을 기준할 때 교반날개(39)의 전방측은 완만한 경사각도(내면각이 대략 10~20°정도)를 가진 채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방 측은 전방 측보다는 가파른 경사각도(내면각이 대략 21~35°정도)를 가진 채 짧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와 같이 형성된 각 교반날개(39)들은 제4단계 건조영역(3d)을 거쳐 제5단계 건조영역(3e)의 저부 측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을 상향으로는 이동시키지 않고 중심영역(P5)의 저부 측에서만 연속해서 뒤집어지는 상태로 교반 시키면서 배출구 측(12)으로 이송시키게 된다.(도 7 참조)
한편, 상기와 같은 온도조건을 갖는 각 단계별 건조영역에서 교반 되면서 이송되는 분쇄물을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분쇄물이 각 단계별 건조영역에서 적당한 시간 동안 노출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시간으로서 상기 회전드라이어(1)의 각 단계별 건조영역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은 초단위를 기준하여 볼 때 대략 310~490초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단계별 건조영역을 통과하는 시간으로는, 제1단계 건조영역(3a)의 경우는 40±10초 정도이고, 제2단계 내지 제5단계 건조영역(3b,3c,3d,3e) 각각은 90±20초 정도이다.
그러나 상기 회전드라이어(1)의 각 단계별 건조영역으로 이송되는 시간이 310초 이하일 경우에는 분쇄물이 각 단계별 건조영역의 내부온도에 너무 짧은 시간동안 노출되어 충분히 가열, 건조되지 않게 되어 접착력이 저하되는 상태가 되며, 이와 반대로 490초 이상일 경우에는 각 단계별 건조영역의 내부온도에 너무 긴 시간동안 노출되어 분쇄물이 과열되어 아스팔트가 흘러내려 회전드라이어(1)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드라이어(1)의 투입구측(11)으로 투입되는 분쇄물은 상기에서 설정한 시간 범위내에서 배출구측(12)으로 이송되어 배출구(5)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접착력이 우수한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아스팔트 포장도로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공사에 의해 파쇄 철거되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분쇄물을 회전드라이어의 투입구측으로 일정량씩 연속해서 투입하게 되면 분쇄물은 제1단계 건조영역에서부터 제5단계 건조 영역으로 이송되는 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고온 가열 건조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에서 요구되는 접착력을 갖는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므로서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재시공하는 공사현장에서와 같이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발생량이 많은 공사현장이나 상,하수도공사를 비롯하여 가스관이나 전력 및 통신케이블을 교체하거나 또는 신설하는 각종 공사현장에서 부분적으로 철거되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폐기물로 인한 환경공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5)

  1.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을 가열 건조하여 접착력이 복원 되도록 재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이 투입구 측으로 투입되어 배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버너의 화염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고온의 열기로 연속 가열건조될 수 있도록 회전드라이어의 내부를 투입구 측에서부터 배출구 사이를 연속된 5단계 건조영역으로 구분 형성하되, 투입구 측을 기준하여 각 단계별 건조영역의 가열건조 온도는 제1단계 건조영역이 150±50℃, 제2단계 건조영역 270±50℃, 제3단계 건조영역 370±50℃, 제4단계 건조영역 470±50℃, 제5단계 건조영역 670±50℃ 각각을 유지하며 분쇄물이 단계별로 점점 높아지는 온도로 연속 가열, 건조하여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팔트 재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라이어의 투입구 측으로 투입되는 분쇄물이 각 단계별 건조영역의 고온으로 가열 건조되면서 배출구 측으로 이송 배출되는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은 310 ~ 490초를 이루도록 하여, 제1단계 건조영역의 경우는 40±10초가 소요되며, 제2단계 내지 제5단계 건조영역들의 경우는 각기 90±10초가 소요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방법.
  3.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을 가열 건조하여 접착력이 복원 되도록 재생시키는 폐아스팔트 재생용 드라이어의 구조에 있어서,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재생하는 드라이어는 분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측보다 배출구측이 조금 낮은 상태로 경사진 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측으로 투입되는 분쇄물이 배출구측에 설치된 버너에서 분사되는 화염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배출구측을 향해 이동되면서 점차적으로 고온으로 가열 건조되도록 상기 투입구측에서부터 배출구측 사이를 연속된 5단계 건조영역으로 구분 형성하되, 각 단계별 건조영역에서는 이송날개 및 교반날개의 이송각도를 다르게 하고, 또한 각 건조영역별로 서로 다른 온도조건을 가지도록 운전되는 회전드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용 드라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배출구측보다 투입구측이 조금 높은 상태가 되게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하되 그경사각도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용 드라이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제2 내지 제4단계 건조영역 각각에 형성되는 교반날개 각각은 회전드럼의 축 중심을 향해 형성된 부착단과, 이 부착단의 끝단에서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교반날개들 각각의 자유단 절곡각도는 부착단을 기준하여 제2 교반날개의 경우는 14±3°, 제 3교반날개의 경우는 21±3°, 제4 교반날개의 경우는 32±3°를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용 드라이어.
KR1020040056231A 2004-07-20 2004-07-20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방법과 그 장치 KR100624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231A KR100624345B1 (ko) 2004-07-20 2004-07-20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231A KR100624345B1 (ko) 2004-07-20 2004-07-20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방법과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597U Division KR200364925Y1 (ko) 2004-07-20 2004-07-20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055A true KR20060009055A (ko) 2006-01-27
KR100624345B1 KR100624345B1 (ko) 2006-09-19

Family

ID=3711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231A KR100624345B1 (ko) 2004-07-20 2004-07-20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3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15B1 (ko) * 2006-05-10 2007-04-09 주식회사 티비엠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0832136B1 (ko) * 2007-10-09 2008-05-27 주식회사 정보기공 폐아스콘 재생처리장치 및 재생방법
KR100892434B1 (ko) * 2008-12-02 2009-04-10 주식회사 경동순환아스콘 주.종 회전드럼을 이용한 폐아스팔트콘크리트의 재생방법 및 그 장치
WO2017023018A3 (ko) * 2015-08-05 2017-05-11 위성환 골재 예열기
CN110986518A (zh) * 2019-10-24 2020-04-10 长安大学 一种石料清洗烘干一体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270B1 (ko) 2006-09-30 2008-02-22 주식회사 정보기공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1385378B1 (ko) * 2012-08-20 2014-04-14 강은희 폐아스콘재생용 가열드라이어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807A (ja) * 1982-07-07 1984-01-18 株式会社 りとる コンクリ−トアスフアルト廃材溶解再生機
FR2645556B1 (fr) * 1989-04-05 1991-07-19 Ermont Cm Tambour secheur et enrobeur pour la preparation de produits enrobes bitumineux comportant un bruleur perfection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15B1 (ko) * 2006-05-10 2007-04-09 주식회사 티비엠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0832136B1 (ko) * 2007-10-09 2008-05-27 주식회사 정보기공 폐아스콘 재생처리장치 및 재생방법
KR100892434B1 (ko) * 2008-12-02 2009-04-10 주식회사 경동순환아스콘 주.종 회전드럼을 이용한 폐아스팔트콘크리트의 재생방법 및 그 장치
WO2017023018A3 (ko) * 2015-08-05 2017-05-11 위성환 골재 예열기
CN110986518A (zh) * 2019-10-24 2020-04-10 长安大学 一种石料清洗烘干一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345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8235B1 (en) Recycled asphalt pavement (RAP) preparation system
CA109745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phaltic concrete hot mix recycling
CN105951560B (zh) 一种废旧沥青加热搅拌机、废旧沥青再生系统及再生方法
US431861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phaltic concrete hot mix recycling
KR101217055B1 (ko) 내통회전드럼과 외통회전드럼의 2중 드럼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아스콘 재생방법
CN103132444B (zh) 沥青路面旧料热再生养护车
KR100624345B1 (ko)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방법과 그 장치
KR200364925Y1 (ko)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CN103088743A (zh) 连续式再生沥青混合料搅拌设备
CN103397589A (zh) 一种加热、烘干并连续搅拌生产热再生混合料的滚筒
JP2001090018A (ja) アスファルト廃材の移動式再生装置
CN204509953U (zh) 一种沥青再生混合料烘干装置
KR101143226B1 (ko)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CN103132426B (zh) 沥青路面旧料热再生养护车的强制搅拌装置
KR101504814B1 (ko)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0892434B1 (ko) 주.종 회전드럼을 이용한 폐아스팔트콘크리트의 재생방법 및 그 장치
CN102322013B (zh) 用于沥青路面就地热再生复拌机上的拌合装置
KR100412067B1 (ko)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KR101003007B1 (ko) 2중 원통형 회전드럼을 갖는 폐아스팔트콘크리트 재생 및 순환아스팔트콘크리트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1120952B1 (ko) 재생 가열 아스팔트혼합물 생산을 위한 2단 평행류형 드럼 믹서
KR100606291B1 (ko) 폐 아스팔트 재생처리시설 운전방법
CN203096562U (zh) 一种连续式再生沥青混合料搅拌设备
CN201125358Y (zh) 沥青再生设备的烘干筒
KR200364479Y1 (ko) 폐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
KR100940282B1 (ko) 건조와 분리효율을 높인 폐아스콘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