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933A - 게임기 - Google Patents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933A
KR20060008933A KR1020057020456A KR20057020456A KR20060008933A KR 20060008933 A KR20060008933 A KR 20060008933A KR 1020057020456 A KR1020057020456 A KR 1020057020456A KR 20057020456 A KR20057020456 A KR 20057020456A KR 20060008933 A KR20060008933 A KR 20060008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reward
medal
horse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483B1 (ko
Inventor
마사또 오꾸아끼
류우 사사끼
Original Assignee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8Cumulative reward schemes, e.g. jackpo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6Game play aspects of gaming systems
    • G07F17/3272Games involving multiple players
    • G07F17/3276Games involving multiple players wherein the players compete, e.g. tourna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 게임에 대한 흥취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의 스테이션(40)과, 스테이션(40)마다 개별로 실행되는 개별 게임을 제어하는 스테이션 제어 장치(110)와, 복수의 스테이션(40) 사이에서 공통하여 실행되는 센터 게임을 제어하는 센터 게임 제어 장치(100)를 구비한 게임기에 있어서, 복수의 매스(305a, 305b…)를 연속하여 구성한 적어도 1개의 특정 루트(304)를 복수의 게임기 사이에서 공용하는 동시에, 그 루트(304) 상에 배치되어야 하는 말(306)의 위치도 게임기 사이에서 공용화한다. 특정 루트(304) 상에 있어서의 말(306)의 위치에 관련시킨 보수의 부여가, 특정 루트(304)를 공용하는 다른 게임기(1) 사이에서 겨루어지도록 보수의 부여를 제어한다.
스테이션, 센터 게임 제어 장치, 매스, 루트, 말

Description

게임기{GAME MACHINE}
본 발명은 복수의 스테이션을 구비한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스테이션을 구비한 게임기에 있어서, 스테이션마다 개별로 실행되는 개별 게임과는 별개로,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공통하여 적립된 보수를 스테이션 사이에서 취합하기 위한 센터 게임을 실행시킴으로써 개별 게임보다도 고배당을 가능하게 한 게임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1대의 게임기에 접속되는 스테이션의 수에는 제한이 있고, 스테이션끼리 공통하여 배당을 적립해도 그 상승률은 작다. 또한, 고가의 배당을 준비해도 확률이 낮기 때문에 당선자가 생기는 일 자체가 드물어져 센터 게임에 대한 흥미도 저하하는 경향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센터 게임에 대한 흥취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형태에 관한 게임기의 정면도이다.
도2는 상기 게임기의 평면도이다.
도3은 상기 게임기의 우측면도이다.
도4는 메인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5는 메인 유닛의 정면측의 사시도이다.
도6은 메인 유닛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VII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라이트 박스의 배면도이다.
도9는 도8의 IX-I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10은 메인 유닛의 스크린으로 상을 투영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추첨기의 정면측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추첨기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13은 서브 유닛의 정면측의 사시도이다.
도14는 서브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15는 서브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16은 서브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17은 메달 받침 접시의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7의 XVⅢ-XVⅢ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19는 게임 반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0은 상부 테이블로부터 하부 테이블에 이르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1은 게임 반면의 평면도이다.
도22는 게임 반면의 우측면도이다.
도23은 게임 반면의 전후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24는 게임 반면의 정면도이다.
도25는 메달 안내 장치의 배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26은 메달 안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27은 메달 안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28은 도27의 XXVⅢ-XXVⅢ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29는 가이드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30은 가이드 블럭의 평면도이다.
도31은 가이드 블럭의 우측면도이다.
도32는 메달 지불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33은 메달 지불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4는 메달 지불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35는 메인 유닛에 설치되는 제어계의 블럭도이다.
도36은 서브 유닛에 설치되는 제어계의 블럭도이다.
도37은 스테이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8은 도37의 게임 화면으로 사용되는 입상역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39는 메인 유닛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0은 메인 게임의 실행시에 스테이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1은 서브 유닛의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스테이션 제어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42는 메인 유닛의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센터 게임 제어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43은 도42에 계속되는 흐름도이다.
도44는 메인 유닛의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게임 정보 갱신 제어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게임기는 복수의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스테이션마다 개별로 실행되는 개별 게임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공통하여 실행되는 센터 게임이 유기 가능하게 된 게임기에 있어서, 자기에 설치된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설정되는 독립 보수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과 상기 다른 게임기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설정되는 공통 보수를 기억하는 보수 기억 수단과, 상기 개별 게임에 의해 소정의 조건이 성립된 경우에 상기 조건을 성립시킨 스테이션에 대해 상기 센터 게임을 실행시키는 게임 실행 수단과, 상기 센터 게임의 실행 상황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독립 보수 및 상기 공통 보수의 지불과,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독립 보수 및 상기 공통 보수의 증감을 제어하는 보수 제어 수단과,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공통 보수가 일치하도록,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상기 공통 보수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여 상 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공통 보수를 제어하는 정보 공유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게임기에 따르면, 센터 게임에 있어서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취합해야 하는 보수의 일부가 다른 게임기를 포함한 공통 보수로서 설정되어 있고, 그 공통 보수는 다른 게임기와 일치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보수의 증감에 관하여 다른 게임기가 영향을 미침으로써 단일의 게임기만으로 보수의 획득을 경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센터 게임에 있어서의 보수의 변화가 커진다. 이에 의해 센터 게임에 대한 주목도가 증가하여 센터 게임의 흥취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의 게임기에 있어서 다른 게임기는 공통 보수를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고, 동일한 센터 게임이 유기 가능한지 여부를 묻지 않는다. 보수 제어 수단이 고려하는 센터 게임의 실행 상황에는 센터 게임의 유기 결과, 센터 게임에 의해 얻어진 성과, 센터 게임의 유기 경과 등의 다양한 개념을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다른 게임기와 공통의 게임을 센터 게임으로서 실행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정보 공유 수단은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상기 센터 게임의 실황 상황에 관한 정보를 교환 가능하게 되어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게임기에는 자기 및 상기 다른 게임기에 있어서의 센터 게임의 실행 상황과 상기 공통 보수를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이 더 마련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다른 게임기도 포함하는 센터 게임의 실행 상황과 공통 보수의 증감이 각 스테이션의 플레이어에 제시되도록 되고, 플레이어의 긴장감이 높아져 센터 게임의 흥취를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게임기는 복수의 스테이션과, 스테이션마다 개별로 실행되는 개별 게임을 제어하는 스테이션 제어 장치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공통하여 실행되는 센터 게임을 제어하는 센터 게임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동일한 센터 게임이 실행 가능하게 된 게임기에 있어서, 복수의 매스를 연속하여 구성한 적어도 1개의 루트를 포함하는 맵을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해 공통하여 제시하기 위한 맵 정보를 기억하는 맵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루트 상에 있어서의 각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말의 위치를 기억하는 말 위치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 게임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성립된 경우에 소정의 말 진행 처리를 상기 센터 게임의 일종으로서 실행하고, 그 말 진행 처리의 결과에 따른 매스수만큼 상기 조건이 성립된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말이 상기 루트 상을 진행하도록 상기 말 위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말의 위치를 갱신하는 말 위치 제어 수단과, 상기 말 위치의 변화에 관련시켜 상기 센터 게임의 플레이에 대한 보수의 부여를 제어하는 보수 제어 수단과, 상기 맵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맵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특정 루트와, 상기 말 위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특정 루트 상에 있어서의 말의 위치가,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공유되도록 상기 맵 정보 기억 수단 및 상기 말 위치 기억 수단의 기억 내용을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로 정합시키는 정보 공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수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 루트 상에 있어서의 상기 말의 위치에 관련시킨 보수의 부여가, 상기 특정 루트를 공용하는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겨루어지도록 상기 보수의 부여를 제어함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맵 상의 적어도 일부의 특정 루트가 공용되고, 그 공용된 특정 루트 상에 있어 각 게임기의 각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말이 말 진행 처리에 따라 이동하고, 말 위치의 변화에 관련시켜 보수의 부여가 제어된다. 이 보수의 부여가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겨루어지도록 제어됨으로써,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뿐만 아니라 복수의 게임기 사이에서도 센터 게임을 동시 진행적으로 실행하여 보수를 취합하는 플레이 형태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단일의 게임기만으로 보수의 획득을 경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센터 게임의 주목도가 증가하여 그 흥취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게임기에 있어서는,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획득이 겨루어져야 하는 공통 보수를 기억하는 보수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정보 공유 수단은,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공통 보수가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일치하도록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의 기억 내용을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로 정합시키고, 상기 보수 제어 수단은,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공통 보수를 상기 특정 루트 상에 배치된 자기의 말의 위치에 관련시켜 증감시켜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게임기 사이에서 공통 보수가 일치하고, 어느 한 게임기에 있어서 센터 게임의 성과로서 공통 보수가 지불되면 모든 게임기에 있어서 공통 보수가 동등하게 감액되도록 된다. 이에 의해, 게임기 사이에서 공통 보수를 서로 빼앗는 개념을 플레이어에 명확하게 인식시켜 센터 게임에 대한 흥취를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게임기에 있어서는, 상기 보수의 양이 상기 개별 게임으로 사용되는 유기 매체(예를 들어 메달)의 수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보수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 루트 상의 특정 매스에 상기 말이 정지되었을 때에 소정의 추첨 처리를 상기 센터 게임의 일종으로서 실행하고, 그 추첨 처리로 특정한 결과가 얻어졌을 때에 상기 공통 보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특정 매스에 정지된 말에 대응하는 스테이션에 대해 지불하고, 그 지불된 양만큼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공통 보수를 감소시켜도 좋다. 이에 의해, 공통 보수를 획득하기까지의 순서를 다중화하여 센터 게임의 흥취를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게임기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공용되는 표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터 게임 제어 장치는 상기 맵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맵을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말 위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말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자기 및 상기 다른 게임기에 대응하는 말의 화상을 상기 맵 상에 표시하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게임기의 화면에는 자기뿐만 아니라 다른 게임기의 말도 표시된다. 그리고, 다른 게임기의 말이 특정 매스에 접근하는 모양이 표시됨으로써 플레이어의 긴장감이 높아져 센터 게임의 흥취를 더 높일 수 있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게임기의 일형태를 도시하고, 도1은 정면도, 도2는 평면도, 도3은 우측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게임기(1)는 게임점 등의 상업 시설로 설정되어 플레이어에 의한 경제적 가치의 소비로의 대가로서 소정 범위 내의 유기를 제공하는 상용(商用) 게임기(소위 아케이드 게임기)로 구성되어 있고, 메인 유닛(2)과 그 메인 유닛(2)의 전방면 중앙, 전 방면 우측 및 전방면 좌측에 각각 배치된 3대의 서브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각 서브 유닛(3)은 메인 유닛(2)으로부터 분리되어 적절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 또한, 게임기(1)에 있어서의 경제적 가치의 소비는 서브 유닛(3)에 대한 메달의 투입에 의해 행해진다.
(메인 유닛의 구성)
도4 내지 도6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유닛(2)은 점포 등의 플로워 상에 자립 가능한 하우징(5)을 갖고 있다. 하우징(5)은 통상의 게임기와 마찬가지로 목재나 수지재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5)의 정면 좌측에는 모니터(6)가 설치되고, 그 모니터(6)의 우측에는 추첨기(7)가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6)에는 예를 들어 액정 프로젝터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가 적절하게 이용된다. 물론, 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CRT를 모니터로서 사용해도 좋다. 추첨기(7)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메인 유닛(2)의 하우징(5)에는 게임기(1)의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장식물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6) 및 추첨기(7)의 외측에는 데코레이션(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동일 게임기(1)의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하우징(5)의 상면(5a)에는 세일(10)이 설치되어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일(10)은 프레임 워크(11)와 그 프레임 워크(11)의 표면에 걸쳐진 스크린(12)을 갖고 있다. 프레임 워크(11)는 복수개의 종 프레임(13)과, 횡 프레임(14)을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크린(12)은 예를 들어 백지의 비닐 크로스나 범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크린(12)은 종 프레임(13) 사이에 있어서 적절한 이완이 생기도록 하여 프레임 워크(11)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스크린(12)의 고정에는 각종의 수단을 이용하여 좋다.
하우징(5)의 상면(5a)의 전방 모서리에는 세일(10)의 하부를 숨기는 커버(5b)가 고정되어 있다. 그 커버(5b)의 이면측에는 하우징(5)의 좌우 방향(도1의 좌우 방향)을 따라 간격을 비워 복수의 프레임 지지판(15)이 하우징(5)의 전후 방향과 평행 또한 연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한 프레임 지지판(15)은 하우징(5)의 상면(5a) 및 커버(5b)에 각각 볼트(16)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프레임 지지판(15)에는 프레임 홀더(17)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6에 있어서 전방측의 2매의 프레임 지지판(15)에 관해서는 프레임 홀더(17)가 이면측에 숨어 있어 보이지 않았다.
도7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홀더(17)는 단면이 사각 형상인 통 형상 부재의(1)의 일측면을 개구시키는 동시에 그 개구부의 양쪽 모서리에 플랜지(17a)(도7에서는 한 쪽만 도시함)를 설치한 구성을 갖고 있다. 프레임 홀더(17)는 그 플랜지(17a)에 장착되는 볼트(18)가 프레임 지지판(15)에 나사 삽입됨으로써 프레임 지지판(15) 상에 고정된다. 프레임 홀더(17)가 프레임 지지판(15)과 조합됨으로써 프레임 지지판(15)과 프레임 홀더(17) 사이에 가늘고 긴 공동부(空洞部)가 생기고, 그 공동부에 종 프레임(13)의 하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세일(10)은 그 상단부를 향할수록 게임기(1)의 정면측으로 돌출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하우징(5) 상에 부착된다.
프레임 지지판(15)에는 프레임 홀더(17)의 하단부측에 장착되는 볼트(18)가 나사 삽입되어야 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19)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한 나사 구멍(19)은 프레임 홀더(17)의 상단부측에 설정되는 지지점을 중심으로 한 곡률 반경이 일정한 원호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프레임 홀더(17)의 상단부측에 장착되는 볼트(18)에 대응하는 나사 구멍도 상기 지지점을 중심으로 한 곡률 반경이 일정한 원호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단, 상단부측에 관해서는 어느 1개의 나사 구멍을 프레임 홀더(17)의 경사각을 변경할 때의 지지점으로서 해도 좋다. 따라서, 볼트(18)가 나사 삽입되어야 하는 나사 구멍(19)을 변화시킴으로써 프레임 홀더(17)의 경사를 변경하고, 그에 따라 세일(10)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종 프레임(13)을 프레임 홀더(17)로부터 빼내면 세일(10) 그 자체를 하우징(5)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의 정면측의 하단부에는 라이트 박스(20)가 설치되어 있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트 박스(20)는 폐쇄된 캐비넷(21)을 갖고, 하우징(5)에 대해 분리 가능하다. 캐비넷(21)의 상면(21a)은 비스듬히 경사지고, 그 일부에는 투명 패널(22)이 라이트 박스(20)의 폭 방향[하우징(5)의 좌우 방향에 상당]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캐비넷(21)의 내부에는 투명 패널(22)과 대향하도록 투영 장치(23)가 배치되어 있다. 투영 장치(23)는 슬라이드(24)에 프린트된 도안 등을 광원(25)으로부터의 조명광에 의해 투영하기 위한 것이며, 그 투영 방향은 연직 상방에 설정되어 있다. 도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라이트 박스(20)는 그 투명 패널(22)이 세일(1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우징(5)의 정면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투영 장치(23) 의 조명광을 세일(10)의 스크린(12)에서 수용하여 슬라이드(24)의 도안 등의 상을 스크린(12)에 투영할 수 있다. 도10은 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스크린(12)에 투영하는 상은 정지 화상이라도 좋고 동화상(動畵像)이라도 좋다. 슬라이드(24)를 생략하고, 광원(25)으로부터의 조명광의 색채나 모양 등을 변화시켜 동적인 연출을 스크린(12) 상에서 행해도 좋다.
또한,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 주위에 서브 유닛(3)이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각 서브 유닛(3)의 위치는 투영 장치(23)로부터 스크린(12)까지의 광로에 포개어지지 않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각 서브 유닛(3)이 라이트 박스(20)의 주위를 둘러쌓음으로써 플레이어 등이 투영 장치(23)로부터 스크린(12)까지의 광로로 들어갈 우려도 없다.
도11 및 도12는 추첨기(7)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첨기(7)는 캐비넷(30)과, 전후 방향의 축선 주위로 선회 가능한 상태로 캐비넷(30)의 정면측에 배치된 드럼(31)과, 인디케이터(32)를 갖고 있다. 드럼(31) 주위에는 볼 통로(33)가 설치되어 있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31)의 표면은 주위 방향으로 8 등분되고, 각 영역에는 숫자 1 내지 8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넷(30)의 내부에는 볼 투입 기구(34)와, 드럼 구동 모터(35)와, 인디케이터 구동 기구(36)와, 볼 회수 기구(37)가 설치되어 있다. 볼 투입 기구(34)는 게임기(1)의 제어계가 추첨기(7)에 부여하는 투입 지령에 응답하여 추첨용 볼(B)(도11 참조)을 볼 통로(33)에 투입한다. 드럼 구동 모터(35)는 드럼(31)을 그 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한다. 인디케이터 구동 기구(36)는 드럼(31)의 바로 아래에 볼 통로(33)와 연속하도록 설치된 포켓(38)으로 볼(B)이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포켓(38)으로의 볼(B)의 투입이 검출되면 그것에 응답하여 인디케이터(32)를 도11에 도시한 수평으로 쓰러진 대기 위치(P1)로부터 연직으로 일으켜진 작동 위치(P2)로 이동시킨다. 인디케이터(32)의 선단부는 바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작동 위치(P2)에 있어서 드럼(31) 상의 어느 1개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포켓(38)으로 투입된 볼(B)은 덕트(39)를 지나 볼 회수 기구(37)로 유도된다. 볼 회수 기구(37)는 볼(B)을 볼 투입 기구(34)까지 복귀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덕트(39)로부터 건네받은 볼(B)을 상하 방향으로 주행하는 톱니 부착 벨트(37a)에 의해 연직 상방으로 반송하고, 벨트(37a)의 상단부 복귀 위치 부근에서 볼(B)을 볼 투입 기구(34)의 볼 보유 지지부(34a)에 건네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추첨기(7)는 드럼(31) 상에 설치된 1 내지 8 중 어느 1개의 수치를 선택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그 기능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현된다. 우선, 게임기(1)의 제어계로부터 추첨기(7)에 대해 추첨 개시 지시가 부여되면 그에 따라서 드럼 구동 모터(35)가 구동되어 드럼(31)의 회전이 개시되고, 계속해서 볼 투입 기구(34)에 볼 투입 지령이 부여되면 볼(B)이 볼 통로(33)에 투입된다. 투입된 볼(B)이 포켓(38)에 도달하면 인디케이터 구동 기구(36)가 구동되어 인디케이터(32)가 작동 위치(P2)로 구동되고, 그것에 동기하여 드럼(31)이 마치 인디케이터(32)에 압박되어 정지된 바와 같이 보이도록 드럼 구동 모터(35)가 정지된다. 드럼(31)이 정지된 후에 인디케이터(32)의 선단부가 지시하는 수치가 드럼 구동 모 터(35)의 회전 위치(예를 들어 인코더로 검출)로부터 특정되고, 그것에 의해 1 내지 8 중 어느 1개의 수치가 추첨으로 선택된 수치로서 확정된다. 포켓(38)의 볼(B)은 다음 회의 추첨에 구비하여 볼 회수 기구(37)로 복귀된다. 또한, 추첨기(7)의 정면측은 볼(B)의 날아감 방지 등을 위해 투명한 커버로 덮여진다. 볼(B)이 포켓(38)에 도달한 타이밍과 드럼(31)이 정지되는 타이밍의 시간적 관계를 플레이어가 알아차리지 않는 범위에서 가변함으로써, 추첨 확률을 변동시켜도 좋다. 이와 같은 조작은 예를 들어 지불률의 조정에 이용할 수 있다. 추첨기(7)는 어느 하나의 수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그 구성은 변경되어도 좋다.
(서브 유닛의 구성)
다음에, 도13 이하를 참조하여 서브 유닛(3)을 설명한다. 또한, 3대의 서브 유닛(3)의 구성은 상호 동등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1대의 서브 유닛(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3 내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유닛(3)에 있어서는 좌우 2개의 스테이션(40)이 단일의 하우징(41) 상에 집약되어 있다. 스테이션(40)이라 함은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는 곳의 최소 단위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서브 유닛(3)의 하우징(41)의 높이는 메인 유닛(2)의 모니터(6)나 추첨기(7)의 주요부[드럼(31) 및 포켓(38)을 포함함]가 숨겨지지 않도록 제한되어 있다. 하우징(41) 내부에는 메달의 보유 지지 및 지불을 행하는 메달 호퍼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그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13 내지 도16으로 복귀하여, 하우징(41)의 상부에는 게임 공간(42)이 마련 되고, 그 게임 공간(42)의 바닥면측에는 스테이션(40)마다 게임 반면(43)이 구성되어 있다. 게임 반면(43)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게임 반면(43)끼리의 사이에는 스테이션(40)끼리 공용되는 메달 지불 장치(44)가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어에 의한 게임 반면(43)으로의 억세스를 저지하기 위해 게임 공간(42)은 투명한 커버(45)로 덮어져 있다(도14 내지 도16에서는 불투명하게 도시되어 있음). 하우징(41)의 정면측에는 컨트롤 패널(46)이 설치되어 있다. 그 컨트롤 패널(46)에는 스테이션(40)마다 좌우 한 쌍의 메달 투입기(47)가 설치되어 있다. 메달 투입기(47)는 유기 매체로서의 메달을 연직 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굴려 투입하는 것이며, 그 선단부는 커버(45)를 관통하여 게임 공간(42)에 삽입되어 있다. 플레이어의 의사에 의한 메달의 투입 방향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메달 투입기(47)는 적어도 좌우 방향에 관해서 그 방향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메달 투입기(47)에는, 소위 푸셔 게임으로 관용되어 있는 공지의 메달 슈트를 사용해도 좋다.
컨트롤 패널(46)에는 각 스테이션(40)에 하나씩 누름 버튼식의 조작 스위치(48)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48)는 예를 들어 추첨기(7)에 의한 볼(B)의 투입 타이밍을 플레이어가 지시하기 위해 조작된다. 물론, 이외의 목적으로 조작 스위치(48)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컨트롤 패널(46)에는 스테이션(40)마다 메달 받침 접시(50)가 설치되어 있다. 메달 받침 접시(50)는 플레이어가 획득한 메달의 지불처로서 설치되어 있다. 메달 받침 접시(50)의 상세를 도17 및 도18에 도시한다. 메달 받침 접시(50)는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금속 재료를 판금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직사 각형 형상의 바닥벽(51)과, 그 주위에 배치된 전방벽(52), 좌우 1개의 측벽(53, 54) 및 후방벽(55)을 갖고 있다. 측벽(53, 54)에는 메달 받침 접시(50)를 하우징(41)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53a, 54a)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벽(52)의 상단부에는 외측을 향해 복귀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어에 의한 메달의 취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메달 받침 접시(50)의 상면측은 개구하고, 또 전방벽(52)의 높이도 다른 벽(53 내지 55)과 비교하여 충분히 낮게 설정되어 있다. 단, 도1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방벽(52)은 메달 받침 접시(50)의 전방으로의 메달(M)의 낙하를 방지하여 바닥벽(51) 상에 메달(M)을 쌓아 포개어진 상태로 보유 지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전방벽(52)의 높이는 메달(M)의 취출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바닥벽(51)이 충분한 면적을 갖고 있는 경우 등, 반드시 전방벽(52)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바닥벽(51)에 전방 상승의 경사를 부착하여 전방벽(52)을 생략해도 좋다.
좌측벽(53)에는 메달 받침 접시(50) 내에 메달(M)을 지불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긴 슬릿 형상의 메달 지불구(53b)가 전방벽(52)보다도 후방벽(55)측에 근접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후방벽(55)의 상단부에는 그 메달 지불구(53b)를 숨기도록 하여 연장되는 L자 형상의 커버(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벽(55)에는 메달 받침 접시(50)의 폭 방향(도18에 있어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돌출부(57)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57)는 바닥벽(51) 사이에 메달(M)을 받아들이는 공간이 생기도록 바닥벽(51)보다도 상방으로 떨어져 배 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57)는 후방벽(55)과 접합되는 기초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할수록 상하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57)는 판 부재를 V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여 후방벽(55)에 접합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단, 돌출부(57)는 인발 부재 및 주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해도 좋다. 돌출부(57)의 위치는 메달 지불구(53b)의 바로 아래로 설정되고, 그 선단부는 커버(56)의 선단부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돌출부(57)의 하단부 위치는 전방벽(52)의 상단부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게다가, 바닥벽(51)과 돌출부(57) 사이에는 단면 원호 형상의 만곡벽(58)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메달 받침 접시(50)에 의하면, 메달 지불구(53b)로부터 받침 접시(50) 내에 지불된 메달(M)은 돌출부(57)로 안내되면서 바닥벽(51) 상으로 떨어져 적층된다. 후방벽(55)에 돌출부(5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메달(M)이 도18에 상상선(M')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벽(55)에 기댄 상태로 쌓아 올려질 우려가 없다. 이로 인해, 도18에 상상선(L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벽(51) 상에 쌓아 올려지는 메달(M)의 산이 그 정점 부분으로부터 받침 접시(50)의 전후 방향(도18의 좌우 방향)으로 거의 균등하게 확대되도록 되고, 플레이어가 하등 방법을 가하지 않아도 메달 지불구(53b)의 주위에 메달이 막히기 어렵고, 메달 받침 접시(50)에 비교적 많은 메달(M)을 축적할 수 있다. 가령 돌출부(57)가 존재하지 않으면 후방벽(55)에 기댄 메달(M)'이 그대로 쌓아 올려지고, 그 결과로서 상상선(L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메달(M)이 후방벽(55)으로부터 전방벽(52)을 향해 내림 경사를 이루도록 쌓아 올려지고, 메달 지불구(53b) 주위가 조기에 막혀 가감하게 된다. 따 라서, 플레이어에 의한 수정 없이 메달 받침 접시(50)에 축적할 수 있는 메달(M)의 매수가 본 실시 형태의 메달 받침 접시(50)보다도 감소한다.
다음에, 도19 내지 도31을 참조하여 게임 반면(43)의 상세를 설명한다. 또한, 각 게임 반면(43)의 구성은 공통이며 이하에서는 1개의 게임 반면(4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 반면(43)에는 메달의 흐름 방향 상류측(안 쪽에 상당)으로부터 하류측(전방측)을 향해 모니터(60)와, 메달 지불구(61)와, 상부 테이블(62)과, 메달 안내 장치(63)와, 체커(64)와, 하부 테이블(65)이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60)는 각 스테이션(40)에 있어서의 게임의 실행이나 각종 연출을 행하는 표시 수단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메달 지불구(61)는 모니터(6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41) 내의 메달 호퍼 장치로부터 메달 가이드(66)로 송출된 메달이 그 메달 지불구(61)로부터 상부 테이블(62)을 향해 지불된다. 상부 테이블(62)은 도면 중에 실선으로 나타낸 수평 위치와, 그 전단부 모서리(62a)를 지지점으로 하여 도면 중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20 내지 도24는 상부 테이블(62)로부터 하부 테이블(65)에 이르는 부분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하부 테이블(65)의 상방에는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67)가 설치되어 있다.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67)는 투명하며, 메달 투입기(47)와 1 : 1의 대응 관계를 이루도록 각 스테이션(40)에 2개 설치되어 있다. 도20 및 도21에서는 우측의 메달 투입기(47)에 대응하는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67)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22 및 도2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67)에는 게임 반면(43)의 안 쪽[모니터(60)가 설치되는 측] 및 좌우 방향의 중심측을 향해 내림 경사가 부착되어 있다. 메달 투입기(47)로부터 투입된 메달(M)은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67)의 경사에 수반하여 그 방향을 중앙으로 바꾸면서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67) 상을 굴려 메달 안내 장치(63) 상에 낙하한다. 메달 안내 장치(63)는 메달(M)의 방향을 게임 반면(43)의 전후 방향으로 구비하면서 체커(64)로 안내하는 것이지만 그 상세는 후술한다.
체커(64)는 게임 반면(43) 상의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그 상면측에는 다수의 슬릿 형상의 메달 통과 구멍(64a)이 마련되어 있다. 메달 통과 구멍(64a)은 게임 반면(4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메달 안내 장치(63)로부터 체커(64)에 낙하한 메달(M)은 그 낙하 위치에 따라서 메달 통과 구멍(64a)을 통과하는 것과, 메달 통과 구멍(64a)을 통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메달 통과 구멍(64a)을 통과한 메달(M)은 체커(64)의 내부로 수납되어 하우징(41) 내부의 메달 호퍼로 복귀된다. 한편, 메달 통과 구멍(64a)을 통과하지 않은 메달(M)은 하부 테이블(65)에 낙하한다.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하부 테이블(65)에는 다수의 메달이 평평하게 쌓은 상태로 적재된다. 하부 테이블(65)의 안 쪽에는 푸셔(68)가 설치되어 있다. 도23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68)는 그 전후에 배치된 롤러(69)를 통하여 하부 테이블(65) 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푸셔(68)는 하부 테이블(65)을 따라 전후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도19 내지 도24는 모두 푸셔(68)가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푸셔 구동 기구에 의해 푸셔(68)가 도시하는 위치와 그보 다도 전방으로 돌출한 위치 사이를 구동된다. 푸셔 구동 기구는 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을 슬라이드 크랭크 기구에 의해 푸셔(68)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 등, 공지의 푸셔 게임기로써 사용되고 있는 각종 기구를 사용해도 좋다.
푸셔(68)가 전후로 왕복됨으로써 하부 테이블(65)에 낙하한 메달이 돌출되어 하부 테이블(65) 상의 메달의 상호간에 충돌 작용이 생기고, 그 충돌 작용의 상태에 따라서는 하부 테이블(65)의 전방 모서리(65a) 또는 측 모서리(65b)(도20 참조)로부터 메달이 낙하한다. 낙하된 메달은 도시하지 않은 메달 호퍼 장치로 회수된다. 전방 모서리(65a)로부터의 메달의 낙하는 도시하지 않은 메달 낙하 센서로 검출되고, 검출된 매수만큼 메달 호퍼 장치로부터 메달 받침 접시(50)로 메달이 지불된다.
다음에, 도25 내지 도31을 참조하여 메달 안내 장치(63)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달 안내 장치(63)는 가이드 블럭(70)과, 가이드 블럭(70)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71)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블럭(70)의 상세를 도29 내지 도31에 도시한다. 가이드 블럭(70)은 공통의 기판(72)에 복수(도면에서는 10개)의 메달 안내 부재(73)를 일정 방향과 같은 피치로 병렬하여 부착한 것이다. 메달 안내 부재(73)는 하부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면측에 반원통면 형상의 메달 받침면(73a)이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다. 메달 안내 부재(73)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는 메달과의 마찰에 대해 적절한 내마찰성을 가질 필요가 있고, 예를 들어 POM이 메달 안내 부재(73)의 재질로서 적절하게 이용된다. 메달 안내 부재(73)의 정상부에는 돌기부(73b)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73b)는 메달 받침면(73a)의 축선 방 향, 바꾸어 말하면 게임 반면(43)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단, 돌기부(73b)가 설치되는 범위는 게임 반면(43)의 전후 방향에 관해서 메달 안내 부재(73)의 후반부로 제한되어 있다. 기판(72) 상에 있어서의 메달 안내 부재(73)끼리의 사이에는 간극(74)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74)은 메달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다. 간극(74)은 일정 간격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극(74)이 체커(64)에 접근하는 데 수반하여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는 복수의 메달이 간극(74)에 동시적으로 낙하하였을 때에 간극(74) 내에 메달이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30 및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메달 안내 부재(73)는 부착 나사(75)를 이용하여 기판(72)의 하면측으로부터 개별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한 메달 안내 부재(73)가 더러워지거나 파손되거나 한 경우에는 그 메달 안내 부재(73)만을 기판(72)으로부터 제거하여 교환할 수 있다. 기판(72)의 하면측에는 베이스(76)가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76)는 가이드 블럭(70)을 지지하는 지지부(76a)와, 지지부(76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76b)를 갖고 있다. 연결부(76b)에 대해 지지부(76a)가 전방 하향으로 경사짐으로써 기판(72)에는 체커(64)를 향해 내림 경사를 형성하도록 경사가 부착되고, 메달 안내 부재(73)도 그 후단부(73c)로부터 전단부(73d)를 향할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도25 내지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1)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77)과, 그 베이스 프레임(77)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78)을 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79)와, 슬라이더(79)의 구동원으로서의 모터(80)를 갖고 있다. 슬라이더(79)의 후단부측은 하방으로 복귀되고, 그 복귀 부분에는 가이드 플레이트(81)가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81)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8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터(80)의 출력축(80a)에는 크랭크 아암(82)이 출력축(80a)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고, 그 크랭크 아암(82)의 선단부에는 크랭크 핀(83)이 부착되어 있다. 크랭크 핀(83)의 선단부는 가이드 플레이트(81)의 가이드 홈(81a)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77)의 상방에는 가이드 블럭(70)이 배치되어 있고, 그 베이스(76)의 연결부(76b)는 슬라이더(79)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80)의 출력축(80a)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운동이 크랭크 핀(83)과 가이드 플레이트(81)에 의해 슬라이더(79)의 좌우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그 슬라이더(79)와 베이스(76)를 통하여 연결된 가이드 블럭(70)이 좌우로 왕복 운동한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럭(70)에 마련된 메달 안내 부재(73)끼리의 간극(74)은 체커(64)의 메달 통과 구멍(64a)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74)의 바닥이 되는 기판(72)은 체커(64)보다도 상방에 배치되고, 또한 체커(64)를 향해 전방 하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메달 투입기(47)로부터 투입되어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67)를 굴러 간 메달은 가이드 블럭(70)의 메달 받침면(73a) 상에 낙하한다. 메달 받침면(73a)은 반원통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기에 낙하한 메달은 메달 받침면(73a)을 미끄러져 간극(74)으로 유도된다. 이에 의해,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67)로부터 게임 반면(43)의 중심측을 향해 약간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에서 낙하하는 메달의 방향이 게임 반면(43)의 전후 방향[간극(74)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간극(74)에 유도된 메달은 메달 통과 구멍(64a)과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을 구비한 상태에서 세워져 기판(72) 상을 굴러 떨어지게 된다. 또한, 메달 받침면(73a)의 정상부에는 돌기부(73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플레이트(67)로부터 메달 받침면(73a)에 낙하한 메달이 가령 옆으로 쓰러지는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그 메달이 돌기부(73b)와 접촉함으로써 메달의 균형이 무너져 메달이 옆으로 쓰러진 상태에서 안정될 우려가 없다. 또한, 메달이 돌기부(73b)에 충돌함으로써 메달의 기세가 약해지고, 메달이 간극(74)으로 확실하게 떨어져 넣어지게 된다. 그리고, 메달이 간극(74)을 통하여 체커(64)에 낙하함으로써 메달이 옆으로 쓰러지는 상태에서 체커(64) 상에 떨어질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돌기부(73b)에 의한 메달의 방향의 조정 효과는 돌기부(73b)의 길이에 상관한다. 예를 들어, 돌기부(73b)가 짧아지면 돌기부(73b)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아져 메달이 옆으로 쓰러지는 상태 그대로 체커(64)로 떨어질 빈도가 증가하고, 그 결과로서 체커(64)로 메달이 들어갈 확률이 저하한다.
가이드 블럭(70)을 구동 기구(7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좌우 방향에 관해서 간극(74)과 메달 통과 구멍(64a)의 위치의 일치 또는 불일치가 점차 바뀐다. 간극(74)과 메달 통과 구멍(64a)이 거의 일치하는, 즉 전후 방향에 이들이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타이밍에서 체커(64)로 메달이 낙하하면 그 메달은 메달 통과 구멍(64a)을 통과한다. 다른 타이밍에서 체커(64)로 낙하한 메달은 체커(64)에 튕겨져 하부 테이블(65)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커(64)에는 메달 통과 구멍(64a)을 통과한 메달을 메달 호퍼 내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84)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메달 게임기에서는 게임 반면(43)에 투입된 메달을 체커(64)의 통과 전에 체커(64)의 메달 통과 구멍(64a)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하는 메달 안내 장치(6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기술을 갖지 않은 플레이어라도 체커(64)로 차는 메달의 통과 또는 불통과를 유기로서 즐길 수 있다. 또한, 메달 안내 장치(63)의 기판(72) 및 메달 안내 부재(73)에 대해 도31과는 반대 방향의 경사, 즉 메달 안내 부재(73)의 전단부(73d)로부터 후단부(73c)를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부착하고, 체커(64)를 메달 안내 부재(73)의 후단부(73c)측에 배치해도 좋다.
도32 내지 도34는 메달 지불 장치(44)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메달 지불 장치(44)는 대히트시 등에 대량의 메달을 게임 반면(43)에 지불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메달 접시(90)와 메달 접시(90)의 배후에 있어서 좌우의 게임 반면(43)끼리 연결되도록 연장시켜진 벨트 컨베이어(91)와, 벨트 컨베이어(91)의 양단부와 상부 테이블(62) 사이에 배치된 슛터(92)를 갖고 있다. 메달 접시(90)는 상부 후단부의 축부(90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엑튜에이터에 의해 축부(90a)로부터 전방으로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대기 위치와, 축부(90a)를 지지점으로 하여 선단부가 들어 올려진 작동 위치(도33 및 도34에 도시한 위치) 사이에서 구동된다. 메달 접시(90)를 구동하는 엑튜에이터는, 예를 들어 모 터와 같이 회전 운동을 발생하는 것이라도 좋고, 공기압 실린더와 같은 직선 운동을 발생하는 것이라도 좋다. 회전 운동형의 엑튜에이터이면 그 회전 운동을 축부(90a) 주위에 전달하여 메달 접시(90)를 회전시키면 좋다. 직선 운동형의 엑튜에이터이면 링크 기구 등을 이용하여 그 직선 운동을 메달 접시(9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면 좋다.
메달 접시(90)에는 도시하지 않은 메달 호퍼로부터 메달이 지불되어 가능하게 되어 있고, 메달 접시(90)를 대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면 메달 접시(90) 상의 메달이 벨트 컨베이어(91) 상에 낙하한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91)를 좌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주행시킴으로써 벨트 컨베이어(91) 상의 메달을 어느 한 쪽의 슛터(92)로 반송하고, 그 슛터(92)를 통하여 메달을 어느 한 쪽의 상부 테이블(62)에 지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달 접시(90)와 슛터(92) 사이에 벨트 컨베이어(91)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슛터(9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메달 접시(90)의 높이를 억제하면서 슛터(92)에 충분한 경사를 부여할 수 있다. 가령 벨트 컨베이어(91)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하면 메달 접시(90)의 좌우 방향에 관한 중심부까지 슛터(92)를 연장하여, 메달 접시(90)로부터의 메달의 낙하 방향을 어느 한 쪽의 슛터(92)로 지향시키는 수단을 마련하게 되지만, 그 경우에는 슛터(92)에 필요 충분한 경사를 부여하면 슛터(92)의 전체 높이가 커져 그것에 맞추어 메달 접시(90)의 위치를 상방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서브 유닛(3)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고, 배후의 메인 유닛(2)의 모니터(6)나 추첨기(7)가 숨겨진다는 부적합이 생긴다. 이 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컨베이어(91)를 이용하여 각 상부 테이블(62)의 바로 가까이까지 메달을 수평으로 반송하고 있기 때문에, 슛터(92)가 짧아져 그 전체 높이가 억제된다. 이로 인해, 메달 접시(90)의 위치를 내릴 수 있다.
(제어계의 구성에 대해서)
다음에, 도35 이하를 참조하여 게임기(1)의 제어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5는 메인 유닛(2)에 설치되는 제어계의 블럭도이다. 메인 유닛(2)은 제어 장치(100)를 갖고 있다.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 유닛으로 구성되고, 주기억 장치로서의 ROM(101) 및 RAM(10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0)에는 표시 장치로서의 모니터(6)가 접속되는 동시에 제어 대상 기기로서 추첨기(7)의 볼 투입 기구(34), 드럼 구동 모터(35) 및 인디케이터 구동 기구(36)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기구에는 1개 또는 복수의 엑튜에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 장치(100)는 각각의 엑튜에이터에 대해 구동 회로를 통하여 접속되지만 그들의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메인 유닛(2)과 서브 유닛(3)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여 소정의 게임을 실현하기 위해 메인 유닛(2)의 제어 장치(100)는 각 서브 유닛(3)의 제어계와 접속된다. 게다가, 메인 유닛(2)의 제어 장치(100)에는 통신 제어 장치(103)도 접속된다. 통신 제어 장치(103)는 다른 게임기(1)의 메인 유닛(2)의 제어 장치(100)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 회선을 통한 정보 통신을 행하여, 복수의 게임기(1)를 집합시킨 1개의 게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메인 유닛(2)이 통신 제어 장치(103) 및 서버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도 좋고, 메인 유닛(2)끼리가 서버를 통하지 않고 통신 제어 장치(103)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도 좋다. 이상 이외에도, 메인 유닛(2)의 제어 장치(100)에는 각종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가 접속되어도 좋다. 다른 게임기(1)는 동일 점포 내에 설치된 것이라도 좋고, 다른 점포에 설치된 것이라도 좋다.
도36은 서브 유닛(3)에 설치되는 제어계의 블럭도이다. 서브 유닛(3)도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 유닛으로 구성된 제어 장치(110)를 갖고 있다. 그 제어 장치(110)에는 주기억 장치로서의 ROM(111) 및 RAM(11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110)에는 표시 장치로서의 모니터(60)(도19 참조)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110)에는 좌우의 스테이션(40)에 설치된 각종 기기가 입력 장치 또는 제어 대상 기기로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10)에는 입력 장치로서 조작 스위치(48)(도13 참조) 및 입상 검출 센서(113)가 접속되어 있다. 입상 검출 센서(113)는 체커(64)의 메달 통과 구멍(64a)을 통과하여 체커(64) 내에 유도된 메달을 검출하여 소정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장치(110)에는 제어 대상 기기로서 푸셔(68)를 구동하기 위한 푸셔 구동 모터(114) 및 메달 안내 장치(63)의 가이드 블럭(7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80)(도25 참조), 하우징(1)에 있어서의 메달의 지불용 메달 호퍼(11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36에서는 좌측의 스테이션(40)만 상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우측의 스테이션(40)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서브 유닛(3)의 제어 장치(110)에는 제어 대상 기기로서 메달 지불 장치(44)의 메달 접시(90)를 구동하기 위한 엑튜에이터(116)와 벨트 컨베이어(9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달 접시(90)에 대한 메달의 지불은 메달 호퍼(115)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하지만 다른 메달 호퍼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그러한 경우에는 메달 호퍼(115)와는 다른 메달 호퍼가 메달 접시(90)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로서 제어 장치(110)에 접속된다.
또한, 서브 유닛(3)의 제어 장치(110)에는 통신 제어 장치(117)도 접속된다. 통신 제어 장치(117)는 제어 장치(110)가 동일한 게임기(1)의 메인 유닛(2)의 제어 장치(100) 사이에서 정보 통신을 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상 이외에도, 서브 유닛(3)의 제어 장치(110)에는 각종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가 접속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메달의 지불률을 관리하기 위해 메달 투입기(47)로부터의 메달의 투입을 검출하는 메달 투입 센서나 하부 테이블(65)로부터의 메달의 낙하를 검출하는 메달 낙하 검출 센서 등이 제어 장치(110)에 접속된다.
(게임의 개요)
도37 내지 도40을 참조하여 게임기(1)에서 행해지는 게임의 내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게임기(1)는 메달 투입기(47)로부터 투입되어 하부 테이블(65)에 낙하한 메달을 푸셔(68)로 밀어내어 하부 테이블(65)로부터 낙하시키는, 소위 푸셔 게임로서의 기본적 유기 외에 체커(64)로의 메달의 입상과 관련시킨 유기를 플레이어에 대해 제공하는 것이다. 도37은 그러한 유기를 위해 스테이션(40)의 모니터(60)에 표시된 게임 화면(200)을 도시하고 있다. 게임 화면(200)은 메인 유기부(201)와 화면(20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배치된 룰렛 메타부(202)와, 화면(200)의 좌측 단부에 연직으로 배치된 잭팟 카운터부(203)를 포함하고 있다.
메인 유기부(201)에서는 상하 3열의 도안띠(201a 내지 201c)를 슬롯 머신의 릴과 같이 서로 개별로 주행시키고, 적당한 타이밍에서 각 도안띠(201a 내지 201c)를 정지시켰을 때의 상하 또는 경사 방향으로의 특정 입상역의 성공 여부를 겨루는 게임이 실행된다. 메인 유기부(201)의 게임은 체커(64)로의 메달의 입상을 트리거로서 실행된다. 메인 유기부(201)에 표시되는 도안이나 입상역은 적절하게 결정해도 좋지만 일례로서 도38과 같이 결정된다. 여기서 확률 변동이란 입상역이 성립되는 확률을 일정한 레벨로 상승시키는 조작을 말한다. 센터 게임이란 메인 유닛(2)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게임이고, 싱글이란 그 센터 게임을 한 번만 플레이하는 권리가 부여되는 것을, 트리플이란 그 센터 게임을 3회 연속하여 플레이하는 권리가 부여되는 것을 각각 의미한다.
도39는 센터 게임의 실행시에 메인 유닛(2)의 모니터(6)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300)을, 도40은 그 센터 게임의 실행 중에 스테이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301)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3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센터 게임의 화면(300)에는 외주 루트(303)와, 내주 루트(304)를 갖는 맵(302)이 표시된다. 각 루트(303)는 사각형의 매스(305)를 대략 정사각형으로 포개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매스(305)를 알파벳 a, b, c…를 붙여 구별하고 있지만 구별 불필요한 경우에는 참조 부호 305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맵(302)의 각 루트(303, 304)의 구성은 메인 유닛(2)의 ROM(101)에 맵 정보로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루트(303, 304)에는 각 스테이션(40)에 대응하는 말(306)이 스테이션 번호(1 내지 6 중 어느 하나)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40의 게임 화면(301)은 게임 화면(300) 중, 그 화면(301)이 표시되어 있는 스테이션(40)에 대응하는 말(306)이 위치하고 있는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스테이션(40)에 있어서의 게임에서 센터 게임을 플레이하는 권리가 부여되면, 그 스테이션에 관해서 추첨기(7)를 이용하여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수치가 추첨되고, 그 추첨에서 얻어진 수와 같은 매스수만큼 말(306)이 루트(303, 304) 상을 일정 방향으로 이동한다. 각 매스(305)에는 센터 게임에 의해 부여되는 보수의 내용이 기재되어 있고, 말(306)이 정지되면 그 정지된 매스에 기재된 내용의 보수가 센터 게임을 플레이한 플레이어에 대해 부여된다.
예를 들어,「30」,「50」이라는 수치가 기재된 매스(305a)에 말(306)이 정지된 경우에는 그것에 기재된 수치에 동등한 매수의 메달을 플레이어가 획득된다. 외주 루트(303)에는「SJP 찬스」라고 표기된 매스(이하, SJP 매스라 부름)(305b)가 있고, 거기에 말(306)이 정지된 경우에는 슈퍼 잭팟에 당선될 권리가 부여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추첨기(7)를 이용하여 슈퍼 잭팟에 당선되었는지 여부의 추첨이 행해진다. 그리고, 슈퍼 잭팟에 당선되면 SJP 매스(305b)의 외측에 인접하는 SJP 표시부(307)에 표시된 매수(이하, SJP 매수라 부름)의 메달을 플레이어가 획득한다. 또한, SJP 매스(305b)를 말(306)이 통과하였을 때에는 SJP 매수가 소정 매수만큼 추가된다.
한편, 내주 루트(304)에는「BB 찬스」라고 표기된 매스(이하, BB 매스라 부름)(305c)가 있다. 여기에 말(306)이 정지되면 빅 보너스에 당선될 권리가 부여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추첨기(7)를 이용하여 빅 보너스에 당선되었는지 여부의 추 첨이 행해진다. 그리고, 빅 보너스에 당선되면 내주 루트(304)의 중심부에 배치된 BB 표시부(308)에 표시된 매수(이하, BB 매수라 부름)의 메달을 플레이어가 획득한다. 또한, BB 매스(305c)를 말(306)이 통과할 때에는 BB 매수가 소정 매수만큼 추가된다.
각 루트(303, 304)의 네 구석에는「GO」라고 표기된 워프 매스(305d)가 배치되어 있다. 워프 매스(305d)에 말(306)이 정지된 경우, 말(306)이 외주 루트(303)와 내주 루트(304) 사이에서 이동한다. 루트(303, 304) 사이에서 매스(305a)에 표시된 수치를 대비하면 이해할 수 있도록 내주 루트(304) 쪽이 외주 루트(303)보다도 높은 배당을 쉽게 얻게 되어 있다. 이상 이외에도 루트(303, 304)에는 적절하게 특전 매스(305e, 305f…)가 형성되지만, 그들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의 게임기(1)가 상호 접속되어 1개의 게임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 상술한 내주 루트(304)는 게임기(1) 사이에 있어서 공용된다. 즉, 1개의 게임 시스템 내에 있어서 각 게임기(1)의 ROM(101)에 기억된 내주 루트(304)의 구성에 관한 정보는 서로 동등하다. 또한, 그러한 게임기(1) 사이에 있어서 내주 루트(304) 상에 배치되는 말(306)의 위치나 BB 매수도 공유된다. 이러한 정보는 게임기(1)의 RAM(102)에 정보로서 기억되지만, 그러한 정보는 게임기(1) 사이에서 적절하게 변환되어 정합성이 유지된다.
그리고, 내주 루트(304)에는 다른 게임기(1)에 있어서의 말(309)도 표시된다. 이러한 말(309)이 BB 매스(305c)에 정지되었을 때에는 그 말(309)에 대응하는 게임기(1)의 스테이션(40)에 대해 빅 보너스에 당선될 권리가 부여된다. 또한, BB 매스(305c)를 말(309)이 통과하였을 때에는 동일한 게임 시스템 내의 모든 게임기(1)에 있어서 BB 매수가 소정 매수만큼 추가된다. 즉, BB 매수는 복수의 게임기(1) 사이에서 공용되는, 소위 프로그래시브 보너스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맵(302)의 일부가 복수의 게임기(1) 사이에서 공용되고, 그 공용부분에 있어서의 게임의 배당에 대해서도 그러한 게임기(1) 사이에서 상관 관계가 설정됨으로써, 플레이어는 동일 게임기(1)의 다른 플레이어뿐만 아니라 다른 게임기(1)의 플레이어의 유기 상황도 신경 쓸 필요가 생겨 게임에 대한 흥취가 높아진다. 또한, 복수의 게임기(1) 사이에서 공통의 배당을 포개어 쌓고 있으므로 단일의 게임기만으로 게임의 배당을 포개어 쌓은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큰 배당을 만들어내는 수 있어 그것에 의해서도 게임의 흥취를 높일 수 있다.
(제어 순서에 대해서)
스테이션 제어 루틴을 개시하면, 제어 장치(110)는 우선 스텝 S101에 의해 게임 화면(200)의 메인 유기부(201)에 표시해야 하는 도안의 조합에 대해서 난수를 이용한 추첨을 행하고, 그 추첨 결과가 표시되도록 메인 유기부(201)의 표시 내용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도안띠(201a 내지 201c)를 주행시켜 추첨에서 결정된 도안의 조합이 얻어지도록 각각의 표시 내용을 제어한다.
다음에, 스텝 S102에서 확률 변동 개시역(단,「777」을 제외함)이 성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확률 변동 개시역이 성립되어 있으면 스텝 S103에서 확률 변동 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한편, 확률 변동 개시역이 성립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스텝 S104로 진행하여 확률 변동 종료역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 확률 변동 플래그를 0으로 리셋하여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확률 변동 플래그는 스텝 S101에 있어서의 추첨에서 고려되고, 플래그에 1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0으로 리셋되어 있는 경우로부터 입상역(도38에 도시한 역)이 성립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스텝 S106에서는 메달 호퍼(115)를 구동하여 추첨으로 성립된 역에 대응하는 매수의 메달을 메달 지불구(61)로부터 상부 테이블(62)에 지불한다. 이 때, 모니터(6) 상에 메달이 낙하해오는 영상을 표시하게 하고, 그것에 동기하여 메달 지불구(61)로부터 메달을 지불함으로써 메달이 진동해 오는 연출을 행해도 좋다.
메달의 지불 후에는 스텝 S107로 진행하여 RAM(112)에 보존되어 있는 JP 스텝의 값에 1을 가산한다. JP 스텝의 값은 게임 화면(200)의 잭팟 카운터부(203)의 점등수에 동등하게 하고, RAM(112)의 값이 갱신되면 그것에 맞추어 잭팟 카운터부(203)의 점등수도 갱신된다. 계속되는 스텝 S108에서는 JP 스텝이 소정의 최대치(여기에서는 7)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최대치에 도달하고 있으면 JP 성립으로서 스텝 S109로 진행하고, 상부 테이블(62)을 수평 위치→작동 위치→수평 위치로 구동하여 그 위에 모여 있는 메달을 모두 메달 안내 장치(63)로 낙하시킴으로써 하부 테이블(65)을 향해 잭팟 메달을 지불한다. 이 때, 메달 지불구(61)로부터도 메달을 지불해도 좋다. 그 후, 스텝 S110에서 RAM(112) 상의 JP 스텝을 초기치 0으로 리셋하여 스테이션 제어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04의 조건이 부정된 경우에는 스텝 S111로 진행하여 센터 게임 싱글역(도38 참조)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성립되어 있으면 스텝 S112로 진행하여 메인 유닛(2)의 제어 장치(100)에 대해 센터 게임 싱글역의 성립을 통지한다. 그 후, 스텝 S106으로 진행하여 센터 게임 싱글역에 대응하는 메달의 지불을 행한다.
스텝 S111의 조건이 부정된 경우에는 스텝 S113으로 진행하여 센터 게임 트리플역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성립되어 있으면 스텝 S114로 진행하여 상부 테이블(62)을 수평 위치→작동 위치→수평 위치로 구동한다. 계속되는 스텝 S115에서는 메인 유닛(2)의 제어 장치(100)에 대해 센터 게임 트리플역의 성립을 통지한다. 그 후, 스텝 S103으로 진행하여 확률 변동 플래그에 1을 세트한 후, 스텝 S106으로 진행하여 센터 게임 트리플역에 대응하는 메달의 지불을 행한다.
스텝 S113에서 트리플역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6으로 진행하여 도안띠(201a 내지 201c)의 정지 후 메인 유기부(201) 내에 룰렛 도안(도38의 아래로부터 2단째에 도시한 도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존재하고 있으면 스텝 S117로 진행하여 RAM(112)에 보존하고 있는 룰렛 메타의 값에 1을 가산한다. 룰렛 메타의 값은 게임 화면(200)의 룰렛 메타부(202)의 점등수에 동등하게 RAM(112)의 값이 갱신되면 그것에 맞추어 룰렛 메타부(202)의 점등수도 갱신된다. 계속되는 스텝 S118로서는 룰렛 메타치가 소정의 최대치(여기서는 25)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최대치에 도달하고 있으면 스텝 S119로 진행하여 메인 유닛(2)의 제어 장치(100)에 대해 센터 게임 싱글역이 성립된 것을 통지한다. 그 후, 스텝 S120으로 RAM(112) 상의 룰렛 메타치를 초기치 0으로 리셋하여 스테이션 제 어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16에서 룰렛 도안 없음이라고 판단하였을 때, 또는 스텝 S118에서 메타치가 최대치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후의 처리를 스킵하여 스테이션 제어 루틴을 종료한다.
다음에, 메인 유닛(2)의 제어 장치(100)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42 및 도43은 메인 유닛(2)의 제어 장치(100)가 센터 게임을 실현하기 위해 실행하는 센터 게임 제어 루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루틴은 어느 1개의 서브 유닛(3)의 제어 장치(110)로부터 센터 게임 싱글역 또는 트리플역의 성립이 통지된 경우에, 그 싱글역 또는 트리플역을 성립시킨 스테이션(40)을 대상으로 하여 실행된다. 즉, 이하의 처리는 특별히 거절이 없는 한, 센터 게임 싱글역 또는 트리플역을 성립시킨 스테이션(40)에 관해서 실행되는 것이다.
센터 게임 제어 루틴이 시작되면 제어 장치(100)는 우선 스텝 S200에서 싱글역이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싱글역이 통지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 S201로 진행하여 게임 회수를 판정하는 변수(N)에 초기치 1을 세트하고, 싱글역이 통지되어 있지 않을 때(즉, 트리플역이 통지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 S202로 진행하여 변수(N)에 초기치 3을 세트한다. 변수(N)의 세트 후는 스텝 S203으로 진행하여 룰렛 추첨, 즉 추첨기(7)를 이용한 1 내지 8 중 어느 1개의 수치의 추첨을 실행한다. 그리고, 얻어진 수치에 동등한 매스수만큼 맵(302) 상의 말(306)의 위치가 진행하도록 RAM(102)에 보존되어 있는 말(306)의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말(306)의 위치 정보는 스테이션(40)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RAM(102)에 보유 지지되어 있고, 이 때 갱신되는 위치 정보는 센터 게임 싱글역 또는 트리플역을 성립시킨 스테이션(40)에 대응하는 말(306)에 관한 것이다. 말 위치 정보의 갱신에 대응하여 모니터(6) 상의 표시도 갱신된다.
계속되는 스텝 S204에서는 말(306)이 SJP 매스(305b)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통과한 경우에는 스텝 S205에서 SJP 매스(305b)에 인접하는 SJP 표시부(307)에 대한 SJP 매수를 소정 매수만큼 증가시켜 그 후에 스텝 S208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04에서 SJP 매스(305b)를 통과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스텝 S206으로 진행하여 말(306)이 BB 매스(305c)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BB 매스(305c)를 통과하고 있을 때에는 스텝 S207로 진행하여 BB 매수를 소정 매수만큼 증가시킨다. 또한, BB 매수는 동일한 게임 시스템을 구성하는 외의 게임기(1)로 공용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게임기(1)의 제어 장치(100)에 대해서도 BB 매수의 추가를 통지한다. 이러한 처리 후에는 스텝 S208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206에서 부정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07을 스킵하여 스텝 S208로 진행한다.
스텝 S208에서는 스텝 S203에서 갱신된 말 위치에 대응하는 매스(정지 매스)의 종류를 판정한다. 계속되는 스텝 S209에서는 SJP 매스(305b)에 말(306)이 정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지되어 있으면 스텝 S210으로 진행하여 슈퍼 잭팟에 관한 룰렛 추첨을 행한다. 이러한 경우의 룰렛 추첨은, 예를 들어 추첨기(7)의 드럼(31) 상에 표시된 8개의 구획 중 어느 1개를 슈퍼 잭팟(SJP) 당선 매스로서 행해진다. 물론, 다른 수단에 의해 추첨을 행해도 좋다. 룰렛[드럼(31)]의 정지를 기다려 스텝 S211로 진행하여 슈퍼 잭팟에 당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당선되어 있으면 스텝 S216으로 진행하고, 당선되어 있지 있으면 도43의 스텝 S220으로 진행한다. 그 스텝 S220에서는 스텝 S210 또는 스텝 S213의 룰렛 추첨으로 얻어진 수치에 따른 매수의 메달을 플레이어가 획득한 매수로 세트한다.
한편, 도42의 스텝 S209에서 SJP 매스(305b)에 정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스텝 S212로 진행하여 말(306)이 BB 매스(305c)에 정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지되어 있으면 스텝 S213으로 진행하여 빅 보너스에 관한 룰렛 추첨을 행한다. 이러한 경우의 룰렛 추첨도, 예를 들어 추첨기(7)의 드럼(31) 상에 표시된 8개의 구획 중 어느 1개를 빅 보너스(BB) 당선 매스로서 행해진다. 물론, 다른 수단에 의해 추첨을 행해도 좋다. 룰렛[드럼(31)]의 정지를 기다려 스텝 S214로 진행하고, 빅 보너스에 당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당선되어 있으면 스텝 S215로 진행하고, 동일한 게임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게임기(1)에 대해 빅 보너스의 당선을 통지하여 스텝 S216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204 내지 스텝 S209 및 스텝 S212의 처리는 스텝 S203에서 룰렛 추첨의 결과가 얻어진 후에는 바로 행할 수 있고, 스텝 S203에서 얻어진 결과에 수반하여 모니터(6) 상의 표시가 갱신되는 것을 기다릴 필요는 없다.
스텝 S216에서는 SJP 또는 BB에 대응하는 매수의 메달을 지불한다. 이 때의 지불은 메달 지불 장치(44)의 메달 접시(90)에 대해 행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100)는 서브 유닛(3)의 제어 장치(110)에 대해 메달 지불을 지시하고, 이를 받아 제어 장치(110)는 메달 접시(90)로의 메달의 지불 완료를 기다려 메달 접시(90)를 작동 위치로 구동하고, 벨트 컨베이어(91)로의 메달의 낙하를 기다린 후 그 벨트 컨베이어(91)를 SJP 또는 BB에 당선된 측의 스테이션(40)에 향해 주행시킴으로써, 메달 접시(90)에 지불된 메달을 그 스테이션(40)의 상부 테이블(62)로 지불한다.
SJP 또는 BB의 지불 후는 스텝 S217로 진행하여 RAM(102)에 보존된 SJP 매수 또는 BB 매수를 초기치로 리셋하여 센터 게임 제어 루틴을 종료한다. 스텝 S212에서 BB 매스(305c)로의 정지가 부정된 경우에는 도43의 스텝 S221로 진행한다.
도43의 스텝 S221에서는 말(306)이 워프 매스(305d)에 정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워프 매스(305d)에 정지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22로 진행하여 다른 특전 매스(305e, 305f…)에 말(306)이 정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말(306)이 통상의 매스(305a)에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22가 부정되고, 그 경우에는 스텝 S223으로 진행하여 정지되어 있는 매스(305a)에 표기된 수치를 획득 매수로서 세트한다. 한편, 스텝 S222의 조건이 긍정되었을 때에는 스텝 S224로 진행하여 그 특전 매스(305e…)에 할당된 입상 내용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220 또는 S223에서 획득 매수를 세트한 후는 스텝 S225로 진행하여 그 획득 매수만큼 메달을 지불한다. 이러한 경우의 메달의 지불도 메달 지불 장치(44)를 이용해도 좋다. 단, 매수가 적을 때에는 메달 지불구(61)로부터 지불하도록 해도 좋다. 스텝 S221에서 워프 매스(305d)에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 S227로 진행하여 말(306)을 외주 루트(303)의 워프 매스(305d)와 내주 루트(304)의 워프 매스(305d)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또한, 외주 루트(303)로부터 내주 루트(304)로의 이동과, 내주 루트(304)로부터 외주 루트(303)로의 이동 사이에서 조건을 바꾸어도 좋다. 예를 들어, 내주 루트(304)로부터 외주 루트(303)로의 이동과 비교 하여 역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해도 좋다.
스텝 S224 및 스텝 S225 또는 스텝 S227의 처리 후는 스텝 S226으로 진행하여 갱신된 말(306)의 정지 위치를 다른 게임기(1)에 통지한다. 단, 그 통지는 내주 루트(304) 상에 위치하고 있는 말(306)만을 대상으로 해도 좋다. 정지 위치의 통지 후는 스텝 S228로 진행하여 변수(N)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1이 아니면 스텝 S229로 진행하여 변수(N)에서 1을 감산하고, 그 후에 도42의 스텝 S203으로 복귀한다. 스텝 S228에서 변수(N)가 1이면 센터 게임 제어 루틴을 종료한다.
도44는 제어 장치(100)가 다른 게임기(1) 사이에서 BB 매수 및 내주 루트(304) 상의 말(306, 309)의 위치를 공유하기 위해 실행하는 게임 정보 갱신 제어 루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처리는 제어 장치(100)에 있어서 적절한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게임 정보 갱신 제어 루틴에 있어서, 제어 장치(100)는 우선 스텝 S250에서 다른 게임기(1)로부터 BB 매수의 추가가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지되어 있으면 스텝 S251로 진행하여 RAM(102)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BB 매수를 소정 매수만큼 증가한 값으로 갱신한다. 통지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51은 스킵한다. 계속되는 스텝 S252에서는 다른 게임기(1)로부터 BB 당선이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지되어 있으면 스텝 S253으로 진행하여 RAM(102)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BB 매수를 초기치로 리셋한다. 통지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53을 스킵한다.
계속되는 스텝 S254에서는 다른 게임기(1)로부터 말(306)의 정지 위치가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지되어 있으면 스텝 S255로 진행하여 RAM(102)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내주 루트(304) 상의 말(309)의 위치 정보를 통지된 내용에 수반하여 갱신한다. 통지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55는 스킵한다. 계속되는 스텝 S256에서는 BB 매수 및 맵(302)의 표시 내용을 RAM(102)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최신의 내용에 수반하여 갱신한다. 이상에 의해 게임 정보 갱신 제어 루틴을 종료한다.
도44의 루틴이 적절하게 반복하여 실행됨으로써, 각 게임기(1)의 RAM(102)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BB 매수 및 내주 루트(304) 상의 말 위치 정보를 서로 동등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100)가 센터 게임 제어 장치에 제어 장치(110)가 스테이션 제어 장치에 각각 상당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와 접속된 ROM(101)이 맵 정보 기억 수단에 RAM(102)이 말 위치 기억 수단 및 보수 기억 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스텝 S203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말 위치 제어 수단으로서 스텝 S209 내지 S217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보수 제어 수단으로서, 도44의 게임 정보 갱신 제어 루틴의 스텝 S250 내지 S255를 실행함으로써 정보 공유 수단으로서 각각 기능한다. 또한, 메달이 유기 매체에 상당하고, SJP 매수가 독립 보수에 BB 매수가 공통 보수에 맵(302)의 내주 루트(304)가 특정 루트에 상당한다. 또한, 스텝 S213에 있어서의 룰렛 추첨이 특정 매스로의 말의 정지에 대응하는 추첨 처리에 상당한다. 단,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에 의해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어, 말의 진행이나 보너스의 지불의 가부를 결정하는 게임은 적절하게 변경해도 좋다. 맵(302)의 구성도 게임기 (1)로 공용되는 루트가 존재하는 한에 있어서 적절하게 변경해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맵 상 중적어도 일부의 특정 루트가 공용되고, 그 공용된 특정 루트 상에 있어서 각 게임기의 각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말이 말 진행 처리에 따라서 이동하여 말 위치의 변화에 관련시켜 보수의 부여가 제어된다. 그리고, 보수의 부여가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겨루어지도록 제어됨으로써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뿐만 아니라 복수의 게임기 사이에서도 센터 게임을 동시 진행적으로 실행하여 보수를 취합하는 플레이 형태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단일의 게임기만으로 보수의 획득을 경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센터 게임의 주목도가 증가하여 그 흥취가 높아진다.

Claims (7)

  1. 복수의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스테이션마다 개별로 실행되는 개별 게임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공통하여 실행되는 센터 게임이 유기 가능하게 되는 게임기에 있어서,
    자기에 설치된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설정되는 독립 보수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과 상기 다른 게임기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설정되는 공통 보수를 기억하는 보수 기억 수단과,
    상기 개별 게임에 의해 소정의 조건이 성립된 경우에 상기 조건을 성립시킨 스테이션에 대해 상기 센터 게임을 실행시키는 게임 실행 수단과,
    상기 센터 게임의 실행 상황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독립 보수 및 상기 공통 보수의 지불과,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독립 보수 및 상기 공통 보수의 증감을 제어하는 보수 제어 수단과,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공통 보수가 일치하도록,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상기 공통 보수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여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공통 보수를 제어하는 정보 공유 수단을 구비한 게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다른 게임기와 공통의 게임을 센터 게임으로서 실행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정보 공유 수단은 상기 다른 게임기 사 이에서 상기 센터 게임의 실황 상황에 관한 정보를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게임기에는 자기 및 상기 다른 게임기에 있어서의 센터 게임의 실행 상황과 상기 공통 보수를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게임기.
  3. 복수의 스테이션과, 스테이션마다 개별로 실행되는 개별 게임을 제어하는 스테이션 제어 장치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공통하여 실행되는 센터 게임을 제어하는 센터 게임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동일한 센터 게임이 실행 가능하게 된 게임기에 있어서,
    복수의 매스를 연속하여 구성한 적어도 1개의 루트를 포함하는 맵을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해 공통하여 제시하기 위한 맵 정보를 기억하는 맵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루트 상에 있어서의 각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말의 위치를 기억하는 말 위치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 게임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성립된 경우에 소정의 말 진행 처리를 상기 센터 게임의 일종으로서 실행하고, 그 말 진행 처리의 결과에 따른 매스수만큼, 상기 조건이 성립된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말이 상기 루트 상을 진행하도록 상기 말 위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말의 위치를 갱신하는 말 위치 제어 수단과,
    상기 말 위치의 변화에 관련시켜 상기 센터 게임의 플레이에 대한 보수의 부여를 제어하는 보수 제어 수단과,
    상기 맵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맵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특정 루트와, 상기 말 위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특정 루트 상에 있어서의 말의 위치가,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공유되도록 상기 맵 정보 기억 수단 및 상기 말 위치 기억 수단의 기억 내용을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로 정합시키는 정보 공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수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 루트 상에 있어서의 상기 말의 위치에 관련시킨 보수의 부여가, 상기 특정 루트를 공용하는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겨루어지도록 상기 보수의 부여를 제어하는 게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획득이 겨루어져야 하는 공통 보수를 기억하는 보수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정보 공유 수단은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공통 보수가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에서 일치하도록 상기 보수 기억의 기억 내용을 상기 다른 게임기 사이로 정합시키고,
    상기 보수 제어 수단은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공통 보수를, 상기 특정 루트 상에 배치된 자기의 말의 위치에 관련시켜 증감시키는 게임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의 양이 상기 개별 게임에 의해 사용 되는 유기 매체의 수에 의해 표현되어 있는 게임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 루트 상의 특정 매스에 상기 말이 정지되었을 때에 상기 센터 게임의 일종으로서 소정의 추첨 처리를 실행하고, 그 추첨 처리로 특정한 결과가 얻어졌을 때에 상기 공통 보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특정 매스에 정지된 말에 대응하는 스테이션에 대해 지불하고, 그 지불한 양만큼 상기 보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공통 보수를 감소시키는 게임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공용되는 표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터 게임 제어 장치는 상기 맵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맵을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말 위치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말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자기 및 상기 다른 게임기에 대응하는 말의 화상을 상기 맵 상에 표시하게 하는 게임기.
KR1020057020456A 2004-02-10 2005-02-09 게임기 KR100721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34296A JP4371843B2 (ja) 2004-02-10 2004-02-10 ゲーム機
JPJP-P-2004-00034296 2004-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933A true KR20060008933A (ko) 2006-01-27
KR100721483B1 KR100721483B1 (ko) 2007-05-23

Family

ID=3483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456A KR100721483B1 (ko) 2004-02-10 2005-02-09 게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4371843B2 (ko)
KR (1) KR100721483B1 (ko)
CN (1) CN100509096C (ko)
GB (1) GB2425267B (ko)
HK (2) HK1090586A1 (ko)
TW (1) TWI265042B (ko)
WO (1) WO20050750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033B1 (ko) * 2007-12-10 2014-07-0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게임에서의 사냥터 실시간 안내 맵 제공장치 및 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6087987A1 (ja) * 2005-02-17 2008-07-03 株式会社セガ ゲーム装置
JP5193854B2 (ja) * 2005-05-18 2013-05-08 シーエフピーエイチ, エル.エル.シー. 小数タイム測定を使うレース・イベントにおける中途点に関する賭けを提供するシステム
US7905777B2 (en) 2005-08-04 2011-03-15 Igt Methods and apparatus for auctioning an item via a gaming device
JP5002938B2 (ja) * 2005-10-07 2012-08-15 株式会社セガ ゲーム装置
JP4628379B2 (ja) 2007-02-13 2011-02-0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
JP2008194200A (ja) 2007-02-13 2008-08-28 Konami Digital Entertainment:Kk ゲーム機
US8784181B2 (en) 2009-08-14 2014-07-22 Igt Gam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sual wagering game
US9418510B2 (en) 2009-11-12 2016-08-16 Igt Gaming system, gam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game having a dynamic award scheme
JP5572473B2 (ja) * 2010-07-30 2014-08-13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US9214067B2 (en) 2012-09-06 2015-12-15 Igt Gam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treaming symbols game
US9039512B2 (en) 2012-09-27 2015-05-26 Igt Gam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game which populates symbols along a path
US8992301B2 (en) 2012-09-27 2015-03-31 Igt Gam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game which populates symbols along a path
US9028318B2 (en) 2012-09-27 2015-05-12 Igt Gam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game which populates symbols along a path
US8851979B2 (en) 2013-03-07 2014-10-07 Igt Gam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ymbol elimination game
US10186106B2 (en) 2016-09-21 2019-01-22 Igt Gam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wards based on interacting symbo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0081B2 (ja) * 1994-06-17 2008-05-28 株式会社セガ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
US5564700A (en) * 1995-02-10 1996-10-15 Trump Taj Mahal Associates Proportional payout method for progressive linked gaming machines
JP4423706B2 (ja) * 1999-07-16 2010-03-03 株式会社セガ メダルプッシャゲーム装置
JP2002210228A (ja) * 2001-01-24 2002-07-30 Konami Co Ltd 競争ゲーム装置
CN1253228C (zh) * 2001-09-18 2006-04-26 世嘉股份有限公司 游戏机
US6780111B2 (en) * 2001-11-30 2004-08-24 Ig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petual bonus game
US7297059B2 (en) * 2002-01-24 2007-11-20 Progressive Gaming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gressive gaming system and method having fractional progressive jackpot awar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033B1 (ko) * 2007-12-10 2014-07-0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게임에서의 사냥터 실시간 안내 맵 제공장치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24326A (ja) 2005-08-25
GB0517648D0 (en) 2005-10-05
CN1771075A (zh) 2006-05-10
KR100721483B1 (ko) 2007-05-23
TW200536592A (en) 2005-11-16
HK1090586A1 (en) 2006-12-29
GB2425267B (en) 2008-06-18
TWI265042B (en) 2006-11-01
WO2005075037A1 (ja) 2005-08-18
GB2425267A (en) 2006-10-25
JP4371843B2 (ja) 2009-11-25
HK1107438A1 (en) 2008-04-03
CN100509096C (zh)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483B1 (ko) 게임기
KR100767559B1 (ko) 게임기의 메달 받침 접시 및 메달 게임기
CN101443086B (zh) 具狭缝的卡盘获奖口以及投币游戏装置
AU2012216804A1 (en) Game machine
KR100942641B1 (ko) 메달 게임기
JP2004248922A (ja) ゲーム機
KR100710796B1 (ko) 게임기
TWI255203B (en) Medal game machine and medal guiding apparatus thereof
JP2021029722A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2437664A (en) Gaming machine
JP5663301B2 (ja) 回胴式遊技機
AU2005205735B2 (en) Medal tray of game machine and medal game machine
TW202108217A (zh) 遊戲裝置
JP5663300B2 (ja) 回胴式遊技機
JP5663299B2 (ja) 回胴式遊技機
JP2008018273A (ja) ゲーム機
JP2006130351A (ja) ゲーム機
JP2012075596A (ja) 回胴式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