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255A -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255A
KR20060007255A KR1020040056037A KR20040056037A KR20060007255A KR 20060007255 A KR20060007255 A KR 20060007255A KR 1020040056037 A KR1020040056037 A KR 1020040056037A KR 20040056037 A KR20040056037 A KR 20040056037A KR 20060007255 A KR20060007255 A KR 20060007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harging
main body
termina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7255A/ko
Priority to CNA2005100004554A priority patent/CN1725550A/zh
Publication of KR2006000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가 충전거치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후 외부로 돌출되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게 함으로써, 충전단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원회로기판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회로기판을 이동시키는 전원회로기판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를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충전단자, 전원회로기판, 이동수단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CHARGING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 및 충전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로서, 충전단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충전단자의 파손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로서, 충전단자의 설치구조 및 그 작동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휴대용 단말기 120 : 충전거치대
121 : 본체 121a : 거치부
121b : 관통공 122 : 충전단자
123 : 결합돌기 124 : 커넥터
125 : 전원코드 126 : 플러그
127 : 전원회로기판 130 : 전원회로기판 이동수단
131 : 조작레버부 132 : 작동레버부
133 : 코일스프링 134 : 회동축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가 충전거치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후 외부로 돌출되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게 함으로써, 충전단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 및 충전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로서, 충전단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충전단자의 파손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이하에서는 본체와 본체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10)는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내부에 메인피시비(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용되어 있는 본체(11)와, 소정의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엘시디패널(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여 본체(11)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의 배면에는 배터리수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터리수용부에는 배터리(13)가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바, 이와 같이 결합되는 배터리(13)는 배터리 고정장치(14)를 통해 그 결합상태가 유지 및 해제될 수 있다.
또, 상기 배터리(13)의 배면 하단에는 후술할 충전거치대(20)의 충전단자(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13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의 양 측면에는 충전거치대(20)의 결합돌기(23)가 수용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a)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거치대(20)는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하거나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그 일측에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형상 즉, 배터리(13)의 배면형상에 대응되게 거치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거치부(21)의 하단에는 상기 배터리(13)의 전원접속단자(13a)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22)가 탄성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거치부(21)의 양측 내벽면에는 상기 결합홈(11a)에 수용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충전거치대(20)의 충전단자(22)는 충전거치대(20)의 내부에 수용된 전원회로기판(27)을 통해 거치부(21)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하, 종래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단말기(10)를 충전거치대(20)를 통해 충전하는 방법은, 먼저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을 즉, 배터리(13)의 배면을 충전거치대(20)의 거치부(21)에 밀착시킨 후 하방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가 충전거치대(20)의 거치부(21)를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 배터리(13)의 전원접속단자(13a)가 충전거치대(20)의 충전단자(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10)의 결합홈(11a)에 충전거치대(20)의 결합돌기(23)가 끼워지며 휴대용 단말기(10)가 충전거치대(20)에 거치된 상태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충전거치대(20)에 커넥터(24)를 통해 연결된 전원코드(25)의 플러그(26)를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에 끼우면 충전거치대(20)에 전원이 공급되며 휴대용 단말기(배터리)(10)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충전거치대(20)에 있어서는, 휴대용 단말기(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충전단자(22)가 항상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바, 비록 상기 충전단자(22)가 탄성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슬라이딩되며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10)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첨부한 도 3과 같이 충전거치대(20)의 충전단자(22)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신뢰성이 저하되고 파손된 충전단자(22)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충전단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원회로기판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회로기판을 이동시키는 전원회로기판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회로기판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거치부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됨에 따라 가압되며 회동되는 조작레버부와; 상기 조작레버부에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전원회로기판의 저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부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되며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회로기판을 이동시키는 작동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작레버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동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조작레버부의 일단이 통과되며 회동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단은 상기 작동레버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로서, 충전단자의 설치구조 및 그 작동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120)는, 휴대용 단말기(110)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부(121a)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21)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단자(122)가 구비되어 본체(12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원회로기판(127)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의 거치여부에 따라 충전단자(122)가 본체(121)의 외부로 돌출되며 휴대용 단말기(110)에 접속되거나 본체(1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전원회로기판(127)을 이동시키는 전원회로기판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이하에서는 본체와 본체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110)는,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내부에 메인피시비(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용되어 있는 본체(111)와, 소정의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엘시디패널(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여 본체(111)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112)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1)의 배면에는 배터리수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터리수용부에는 배터리(113)가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바, 이와 같이 결합되는 배터리(113)는 배터리 고정장치(114)를 통해 그 결합상태가 유지 및 해제될 수 있다.
또, 상기 배터리(113)의 배면 하단에는 후술할 충전거치대(120)의 충전단자(1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113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1)의 양 측면에는 충전거치대(120)의 결합돌기(123)가 수용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1a)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거치대(120)는 휴대용 단말기(110)를 거치하거나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본체(121)의 일측에는 휴대용 단말기(110)의 배면형상 즉, 배터리(113)의 배면형상에 대응되게 거치부(12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거치부(121a)의 하단에는 상기 배터리(113)의 전원접속단자(113a)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122)가 탄성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거치부(121a)의 양측 내벽면에는 상기 결합홈(111a)에 수용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충전거치대(120)의 충전단자(122)는 본체(121)의 내부에 수용된 전원회로기판(127)을 통해 설치되는 바, 상기 전원회로기판(127)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갑압, 정류하는 변압기 및 정류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121)의 내부에서 거치부(121a)의 판면에 대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원회로기판 이동수단(130)은, 본체(121)의 내부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거치부(121a)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휴대용 단말기(110)가 거치됨에 따라 가압되며 회동되는 조작레버부(131)와, 상기 조작레버부(131)에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전원회로기판(127)의 저부에 배치되어 조작레버부(131)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되며 충전단자(122)가 거치부(121a)의 하단에 형성된 충전단자 안내공(121c)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거나 본체(1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전원회로기판(127)을 이동시키는 작동레버부(132)가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21)의 내부에는 횡방향을 따라 회동축(13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레버부(131)에는 상기 회동축(134)이 관통될 수 있도록 축공(도시하지 않음)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조작레버부(131)는 회동축(134)을 통해 본체(121)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121a)의 내벽면에는 조작레버부(131)의 일단이 통과되며 회동될 수 있도록 관통공(121b)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21)의 내부에는 충전단자(122)가 본체(12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스프링부재는 코일스프링(133)으로서 일단은 작동레버부(132)에 고정되고 타단은 본체(121)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 첨부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단말기(110)를 충전거치대(120)를 통해 충전하는 방법은, 먼저 휴대용 단말기(110)의 배면을 즉, 배터리(113)의 배면을 충전거치대(120)의 거치부(121a)에 밀착시킨 후 하방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이때 상기 충전단자(122)는 첨부한 도 6과 같이, 충전단자 안내공(121c)을 통해 본체(121)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부(131)의 일단은 관통공(121b)을 통해 거치부(121a)의 내벽면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113)가 충전거치대(120)의 거치부(121a)를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 배터리(113)의 하단부가 거치부(121a)에 내벽면에 돌출되어 있는 조작레버부(131)를 가압하며 밀게되고, 이에 따라 조작레버부(131)는 회동축(134)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작동레버부(132)가 회동되게 한다.
즉, 첨부한 도 7과 같이 작동레버부(132)가 조작레버부(131)와 함께 회동됨에 따라 작동레버부(132)의 상단부에 위치된 전원회로기판(127)이 일정구간 상승하게 되고, 전원회로기판(127)에 설치된 충전단자(122)는 충전단자 안내공(121c)을 통해 거치부(121a)의 외부로 돌출되며 배터리(113)의 전원접속단자(11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배터리(113)의 전원접속단자(113a)가 충전거치대(120)의 충전단자(1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110)의 결합홈(111a)에 충전거치대(120)의 결합돌기(123)가 끼워지며 휴대용 단말기(110)가 충전거치대(120)에 거치된 상태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충전거치대(120)에 커넥터(124)를 통해 연결된 전원코드(125)의 플러그(126)를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에 끼우면 충전거치대(120)에 전원이 공급되며 휴대용 단말기(배터리)(110)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110)의 충전이 완료되어 충전거치대(120)에서 휴대용 단말기(110)를 분리시키면 작동레버부(132)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33)의 탄성에 의해 충전단자(122)는 다시 본체(121)의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단자(122)가 본체(12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휴대용 단말기(110)가 거치된 후 본체(121)의 외부로 돌출되며 휴대용 단말기(110)에 접속되게 함으로써, 종래 휴대용 단말기가 슬라이딩되며 거치될 시 충전단자와의 접촉에 의한 충전단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에 의하면,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가 충전거치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후 외부로 돌출되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게 함으로써, 충전단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종래 충전단자가 파손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Claims (6)

  1.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원회로기판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회로기판을 이동시키는 전원회로기판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로기판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거치부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됨에 따라 가압되며 회동되는 조작레버부와;
    상기 조작레버부에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전원회로기판의 저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부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되며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회로기판을 이동시키는 작동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충저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동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조작레버부의 일단이 통과되며 회동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단은 상기 작동레버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KR1020040056037A 2004-07-19 2004-07-19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KR20060007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037A KR20060007255A (ko) 2004-07-19 2004-07-19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CNA2005100004554A CN1725550A (zh) 2004-07-19 2005-01-11 一种便携终端的充电托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037A KR20060007255A (ko) 2004-07-19 2004-07-19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255A true KR20060007255A (ko) 2006-01-24

Family

ID=3592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037A KR20060007255A (ko) 2004-07-19 2004-07-19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07255A (ko)
CN (1) CN17255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5935A (zh) * 2018-06-27 2018-09-2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充电座及智能眼镜
CN111463840A (zh) * 2019-01-22 2020-07-28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座、收纳盒、手持吸尘器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76992B4 (de) * 2011-06-06 2021-12-09 Robert Bosch Gmbh Direktsteckelement mit geschütztem Direktkontakt
HK1172199A2 (en) * 2012-12-20 2013-04-12 Portia Internat Trading Ltd A device for holding an electronic apparatus
CN107702030A (zh) * 2017-09-28 2018-02-16 谢志坚 一种隧道施工照明装置
EP3851037A1 (en) * 2020-01-14 2021-07-21 Bionime Corporation Charging device for a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r and a charging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5935A (zh) * 2018-06-27 2018-09-2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充电座及智能眼镜
CN111463840A (zh) * 2019-01-22 2020-07-28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座、收纳盒、手持吸尘器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5550A (zh)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8734B1 (en) Hold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s unit
JP3164959U (ja) 収納可能なusbプラグを備える充放電装置
US8851912B2 (en) Power socket having an electromagnetic pop-up mechanism
JPH04345772A (ja) バッテリパック充電器
JP4803054B2 (ja) 非常用照明器具
KR101483149B1 (ko)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단말기용 무선 충전 고정 장치
CN114207953B (zh) 电源适配器及电连接器
KR100369593B1 (ko) 호환가능한 배터리팩 충전기
EP0776070B1 (en) Connecting apparatus
KR20060007255A (ko)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KR20180061776A (ko)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WO2021042288A1 (zh) 安装组件、壳体组件、电池及用电设备
JP4725286B2 (ja) 電子機器
KR100562673B1 (ko)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CN114906044A (zh) 用于充电入口的聚光灯模块化组件
EP2278669A2 (en) Power supply adapter
JP2000261973A (ja) 充電台
KR100785319B1 (ko) 휴대용 단말기 차량 거치대
CN217606242U (zh) 芯片构件和显影盒
CN218569865U (zh) 充电器
JP4818248B2 (ja) 回転可能な、そして受け入れ可能なプラグを備える電気器具
CN217543670U (zh) 一种处理盒以及芯片安装装置
CN217386141U (zh) 显影盒
KR100531890B1 (ko) 이동단말기
KR100677407B1 (ko) 단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충전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