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673B1 -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 Google Patents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673B1
KR100562673B1 KR1020030057370A KR20030057370A KR100562673B1 KR 100562673 B1 KR100562673 B1 KR 100562673B1 KR 1020030057370 A KR1020030057370 A KR 1020030057370A KR 20030057370 A KR20030057370 A KR 20030057370A KR 100562673 B1 KR100562673 B1 KR 100562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battery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544A (ko
Inventor
박광영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5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6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 위한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통화중이나 대기중에도 전원의 꺼짐이 없이 배터리의 교체가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 위한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교체 가능한 외장형 배터리팩을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양측방으로 개방된 배터리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장착홈의 접촉면에는 측방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접촉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팩에 상기 슬라이드접촉단자에 대응되게 상대접촉단자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를 교체하는 중에 걸려오는 전화를 받지 못하는 불편함이 해소되고, 통화중에 배터리를 교체하는 경우 통화를 중단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possible uninterrupt power supply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배터리팩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배터리팩의 후면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따른 A부분의 종단면도,
도 3은 폴더형 휴대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종래 폴더형 휴대폰의 배터리팩 장착 과정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0 : 배터리장착홈
11 : 로킹부 12 : 슬라이드접촉단자
13 : 가이드홈
20 : 배터리팩
21 : 상대접촉단자
211 : 수용홈 212 : 스프링
213 : 접촉돌기 214 : 걸림턱
215 : 걸림돌기
22 : 가이드돌기 23 : 로킹홈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 위한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통화중이나 대기중에도 전원의 꺼짐이 없이 배터리의 교체가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 위한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첨단 이동통신수단의 일종으로, 대중의 기호에 따라 초기의 무전기형으로부터 플립형, 폴더형 등 다양한 구조의 단말기가 출시되어 있으며, 근래에는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함은 물론 디지털카메라등의 보조장치가 구비된 다양한 기능의 휴대폰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유용하게 사용하는 휴대폰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더형 휴대폰의 구조를 첨부된 도 3을 통해 설명하면, 상면에 각종 정보 입력을 위한 키패드(110)와 음성을 송신하는 송화부(120)를 구비하고, 상단부 일측에는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130)가 설치되어지며, 내부에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메인회로기판(미도시됨)이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후면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충전형 배터리팩(200)과; 상기 본체부(100)와 마주 보는 면으로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의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310)창과 수신된 음성을 출력하는 수화부(320)가 설치된 폴더부(300)로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폰의 작동을 위해서는 배터리팩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데, 종래의 배터리팩은 도 4에서 도시된 것 처럼 전류가 소모되어 새로운 배터리팩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전원을 끄고 사용된 배터리팩(200)을 본체(100)에서 빼낸 후 새로운 배터리팩을 삽입하고 다시 전원을 켜서 사용해야만 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터리팩을 교체하는 방식은 본체에서 배터리팩을 완전히 분리한 후 새로운 배터리팩을 장착하므로 인해 배터리팩의 교체중에는 휴대폰의 전원을 끌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항상 전원이 켜져 있어야만 하는 통화대기중의 상태에서 배터리팩을 교체하는 중에 걸려오는 전화는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통화중에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통화를 끊고 배터리팩을 교체한 후 다시 통화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원을 끌 필요가 없이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휴대폰 및 이를 위한 배터리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팩이 휴대폰에 견고히 결속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연결부의 접촉력이 우수한 배터리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외장형 배터리팩을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양측방으로 개방된 배터리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장착홈의 접촉면에는 측방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접촉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팩에 상기 슬라이드접촉단자에 대응되게 상대접촉단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장착홈의 상하부 내측 모서리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팩의 상하부 모서리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대접촉단자는 스프링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다수의 접촉돌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의 본체(1)의 배면으로 배터리장착홈(10)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장착홈(1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배터리팩(2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장착홈(10)은 본체(1)의 배면으로 배터리팩(20)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장착홈(10)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공간부를 형성한 가이드홈(13)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13)은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장착홈(10)의 내측면으로 상기 배터리팩(20)과의 접촉면에는 배터리팩(20)의 측방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접촉단자(12)를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드접촉단자(12)는 배터리팩(2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휴대폰의 특성에 맞게 두 개가 구비되는것이 바람직하나,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두 개 이상 구비되는것도 무방하다.
상기 배터리장착홈(10)의 상부에는 주지된 구성의 로킹부(11)를 구비하여 배터리팩(20)이 장착된 후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20)(20A)은 본체(1)와의 접촉면으로 상기 슬라이드접촉단자(12)와 대응되는 상대접촉단자(21)(21A)를 형성하고, 배터리팩(20)(20A)의 상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3)에 끼움되어 배터리팩(20)(20A)이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22)(22A)를 형성한다.
상기 상대접촉단자(21)(21A)는 배터리팩(20)(20A)이 슬라이딩되더라도 지속적인 전원 공급을 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 또한 배터리팩(20)(20A)이 좌·우 어느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더라도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터리팩(20)(20A)의 상부에는 상기 로킹부(11)에 걸려 고정되는 로킹홈(23)(23A)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휴대폰에서 배터리를 교체하라는 경보가 울릴 때 사용하던 배터리팩(20)을 로킹부(11)를 해제하고 일측방향으로 밀면서 타측방향으로 새로운 배터리팩(20A)을 삽입하면 본체(1)에는 두 개의 배터리팩(20)(20A)이 동시에 장착되게 된다.
이 때, 사용한 배터리팩(20)을 제거하고, 새로운 배터리팩(20A)을 계속 슬라이딩시켜 로킹홈(23)이 로킹부(11)에 고정되도록 하면 배터리팩(20)(20A)의 교체 작업은 종료되며 전원의 끊김이 없이 배터리팩(20)(20A)을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배터리팩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배터리팩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 처럼 배터리팩(20)의 후면에는 돌출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접촉돌기(213)를 다수개 구비한 상대접촉단자(21)를 형성한다.
상기 상대접촉단자(21)는 도 2b에서 보인 것 처럼, 배터리팩(20)의 내부로 수용홈(211)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211)의 내부에는 스프링(212)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212)의 외측으로 접촉돌기(213)를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212)에 의해 상기 접촉돌기(213)가 상시 돌출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수용홈(211)은 입구의 모서리에 걸림돌기(215)를 형성하고, 상기 접촉돌기(213)의 하부에는 걸림턱(214)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215)에 걸림턱(214)이 걸려 상기 접촉돌기(213)가 더 이상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접촉돌기(213)가 상시 돌출지지되도록 형성함으로서, 상대접촉단자(21)는 배터리팩(20)의 착탈중 발생하는 유격이나 슬라이드접촉단자(12)의 굴곡에 관계없이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213)를 배터리팩(20)의 횡방향으로 따라 다수개를 구비함으로서, 배터리팩(20)이 배터리결합부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어느 정도 밀려 나가 더라도 상시 전원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팩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된 배터리팩과 완충된 배터리팩을 동시에 장착가능하도록 하여 휴대폰의 전원을 끌 필요가 없이 배터리를 교체하도록 함으로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중에 걸려오는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통화중에 배터리를 교체하는 경우 통화를 중단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장착홈의 상하부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배터리가 견고이 장착되며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서, 배터리팩의 교체중에 배터리팩이 이탈되어 전원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접촉돌기를 형성함으로서, 배터리팩의 교체 과정과 휴대폰의 휴대 및 사용중의 전원접촉 불량으로 인해 전원의 꺼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3)

  1. 교체 가능한 외장형 배터리팩(20)을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20)의 상하부 모서리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2);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양측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하부 내측 모서리에 상기 가이드돌기(22)가 끼워질 수 있게 가이드홈(13)이 형성된 배터리장착홈(10);
    상기 배터리장착홈(10)의 접촉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측방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접촉단자(12); 및
    상기 배터리팩(20)에 상기 슬라이드접촉단자(12)에 대응되게 형성되되, 스프링(212)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다수의 접촉돌기(213)로 형성된 상대접촉단자(21)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2. 삭제
  3. 삭제
KR1020030057370A 2003-08-19 2003-08-19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KR100562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370A KR100562673B1 (ko) 2003-08-19 2003-08-19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370A KR100562673B1 (ko) 2003-08-19 2003-08-19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544A KR20050019544A (ko) 2005-03-03
KR100562673B1 true KR100562673B1 (ko) 2006-03-20

Family

ID=3722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370A KR100562673B1 (ko) 2003-08-19 2003-08-19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6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463B1 (ko) * 2005-11-29 2007-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리튬 이차전지가 장착되는 전기/전자기기
KR20160107601A (ko) * 2015-03-04 2016-09-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배터리 장착 장치
KR20160107600A (ko) * 2015-03-04 2016-09-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배터리 교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20B1 (ko) * 2005-03-04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장착 장치
CN102694137B (zh) * 2012-04-28 2014-07-30 华为终端有限公司 终端设备
KR101392975B1 (ko) 2012-11-12 2014-05-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무정지 배터리 교환 시스템
KR101552435B1 (ko) 2014-04-24 2015-09-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무정지 배터리 교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463B1 (ko) * 2005-11-29 2007-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리튬 이차전지가 장착되는 전기/전자기기
KR20160107601A (ko) * 2015-03-04 2016-09-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배터리 장착 장치
KR20160107600A (ko) * 2015-03-04 2016-09-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배터리 교체 시스템
KR102025367B1 (ko) * 2015-03-04 2019-09-25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배터리 교체 시스템
KR102025366B1 (ko) * 2015-03-04 2019-09-25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배터리 장착 장치
US10541394B2 (en) 2015-03-04 2020-01-21 Hanwha Defense Co., Ltd. Battery mounting assembly and battery replac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544A (ko)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3084B1 (en) Battery-charging base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KR10087674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100562673B1 (ko)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US92193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KR19990037388A (ko) 축적 장치를 포함하는 전화통신 장치 및 이와 같은 전화통신 장치에 적합한 축적 장치
JP2000069137A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
KR10057574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 장치
KR100446736B1 (ko) 휴대단말기의 듀얼모드 전원공급장치
KR100474284B1 (ko) 휴대폰의 배터리 결합구조 및 그 방법
KR100641136B1 (ko)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
KR200323889Y1 (ko) 휴대 단말기용 보조 전원 연결 장치
KR100432050B1 (ko) 전원의 꺼짐이 없는 배터리 교체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27460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KR200357054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탈식 내장 배터리의 고정 구조
KR100316160B1 (ko) 바-타입변환휴대폰
KR1005609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배터리 결합장치
KR200165277Y1 (ko)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KR940008201Y1 (ko) 밧데리팩의 오삽입 방지구조
KR20070001671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0308159Y1 (ko) 다수개의 배터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65484Y1 (ko) 이동 통신 기기용 배터리 팩
JP3643944B2 (ja) 携帯電子機器用予備電源装置
KR19980011206U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200191435Y1 (ko)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KR200292165Y1 (ko) 휴대폰용 밧데리의 이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