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671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1671A KR20070001671A KR1020050057280A KR20050057280A KR20070001671A KR 20070001671 A KR20070001671 A KR 20070001671A KR 1020050057280 A KR1020050057280 A KR 1020050057280A KR 20050057280 A KR20050057280 A KR 20050057280A KR 20070001671 A KR20070001671 A KR 200700016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terminal
- unit
- mobile communication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외부 일측면에 배터리 수용홈을 구비한 본체; 및 상기 배터리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를 제외한 별도의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 수납유닛; 및 그 일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며 그 타측은 상기 배터리의 탈착에 따라 상기 전지 수납유닛과의 연결이 단속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이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 교체시나 배터리의 완전 방전시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전원공급장치, 전지.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II-II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를 도 3의 IV-IV 선에 따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 3의 IV-IV 선에 따라 보인 단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10:배터리수용홈
140:인쇄회로기판(PCB) 150:접점부
200: 배터리 300: 연결유닛
310: 접점단자 320: 단자수용공
330: 탄성스프링 340: 걸림돌기
350: 납땜부 360: 금속단자
370: 걸림턱 500: 전지 수납유닛
510: 전지 520: 전지 수용부
530: 전지 케이스부 540: 외부단자
550: 연결 스위치 551: 회동축
552: 스프링 553: 접촉부
560: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 교체시나 배터리의 완전 방전시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소지하고 다니면서 어느 곳에서나 상대방과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기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노트북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가 장착되어 전력을 공급하므로 사용자가 전원으로부터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게 되어 휴대가 가능하게 되었다. 위와 같이, 본체와 배터리를 연결시키기 위해서 양측 모두 단자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예를 도 1 및 2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II-II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와, 상기 본체(10)와 상기 배터리(20)를 연결하는 단자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그 내부에 장착되어 통신에 필요한 회로부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14)과, 상기 배터리(20)가 장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 배터리 수용홈(11)과,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된 폴더(12)와, 일측에 구비되어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3)로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는 단자부(30)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게 되는데, 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상기 배터리 수용홈(11)에는 상기 배터리(20)에 형성된 판형의 금속단자(36)와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금속단자(36)와의 접촉에 의해 전력을 전달하는 접점 단자(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수용홈(11)은 상기 배터리(20)를 견고하게 상기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외곽벽(4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외곽벽(45)의 일측 중앙에는 배터리(20)에 형성된 결합홈(42)에 일부 삽입되는 결합돌기(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곽벽(45)의 타측 양측에는 상기 배터리(20)의 고정돌기(43)가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20)의 하단을 고정하도록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4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돌기(41)는 상기 배터리(20)를 상기 본체(10)에 탈착시 상기 결합홈(42)에 삽입, 이탈이 용이하도록 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탄성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10)에 장착한다. 상기 결합돌기(41)는 결합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결합부재(40)를 조작하면 결합돌기(41)가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20)는 전술한대로 상기 배터리 수용홈(11)과 접하는 상기 배터리(20)의 일측면에 판형의 금속단자(3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20)의 일단면 중앙에 본체(10)에 형성된 결합돌기(41)가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20)를 본체(10)에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를 갖는 결합홈(42)을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20)의 하단면 양측에는 상기 배터리(20)의 하단을 상기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돌출 형성되어 본체(10)에 형성된 고정홈(4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3)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부(30)는, 도 2에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수용홈(11)을 이루는 본체(10)의 외곽 케이스를 관통 형성한 단자수용공(32)에 삽입된 접점단자(31)와, 상기 단자수용공(32)의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접점단자(31)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37)과, 상기 접점단자(31)의 일단에 연결되어 직선방향으로 탄성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스프링(33)을 구비한다.
상기 접점단자(31)에는 일측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37)과 접촉하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33)의 하단은 납땜부(35)에 의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4)에고정되고 상기 납땜부(3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의 인쇄회로기판 접점부(15)와 연결되어 있다. 접점 단자(31), 탄성스프링(33), 납땜부(35) 및 인쇄회로기판 접점부(15)는 모두 통전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배터리(20)의 전력을 공급하는 라인으로 이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와 본체의 접촉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터리(20)를 본체(10)에 결합할 때는 우선 상기 배터리(20)의 일측면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기(43)를 상기 본체(10)의 고정홈(44)에 삽입하여 상기 배터리(20)의 하단을 고정한다. 그 후, 상기 배터리(20)의 배면을 상기 본체(10)에 밀착시켜 상기 배터리(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42)에 상기 결합부재(40)의 결합돌기(41)를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배터리(20)를 본체(10)에 결합시키면, 상기 배터리(20)의 금속단자(36)가 상기 단자부(30)의 접점단자(31)를 본체(10)의 내부로 누르게 된다. 이 때, 상기 접점부(30)의 접점단자(31)는 그 하단에 구비된 탄성스프링(33)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금속단자(36)와 점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접점단자(31)와 상기 금속단자(36)의 접촉에 의하여 배터리(20)의 전력이 본체(10)로 전력이 공급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접촉구조는 본체(10)에 장착된 접점단자(31)가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배터리(20)에 장착된 판형의 금속단자(36)와 점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접점단자(31)가 요동으로 인하여 상기 접점단자(31)가 금속단자(36)에서 이탈되어 전원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통화시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화 등을 시청하고 있을 때 전원이 차단되는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배터리는 그 방전 시간의 한계로 인하여 일정시간이 흐르면 교체를 시켜줘야 하는데 전화 통화중인 경우에는 통화가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 영화나 TV 등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청하고 있을 때는 배터리를 교체하고 다시 영화나 TV 등의 프로그램에 접속하기까지의 시간이 소요되어 그 흐름을 놓치거나 스토리를 파악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만약, 예비적으로 충전이 된 배터리가 준비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배터리를 다시 충전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이뿐 아니라 배터리가 방전됨으로써 위급시 전화 통화를 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하는데, 조난을 당했거나 화재, 의료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배터 리의 방전으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상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여유분의 배터리가 없거나 충전기를 소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 또는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다시 충전할 여건이 되지 않는 위급한 상황에서는 빠른 시간 안에 연락을 못함으로써 더욱 큰 사고로 발전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 교체시나 배터리의 완전 방전시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외부 일측면에 배터리 수용홈을 구비한 본체; 및 상기 배터리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배터리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를 제외한 별도의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 수납유닛; 및 그 일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며 그 타측은 상기 배터리의 탈착에 따라 상기 전지 수납유닛과의 연결이 단속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지 수납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지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지 수용부; 상기 전지 수용부의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전지 케이스부; 일측은 상기 전지의 일 단자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전지 수용부 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외부단자; 및 상기 전지의 다른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 케이스부는 상기 전지 수용부와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전지 케이스부는 그 일측이 상기 전지 수용부와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을 구비하여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지 케이스부는 회동축이 구비된 측의 대향되는 면에 상기 전지 수용부 및 전지 케이스부의 일측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부가 상기 전지 수용부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락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배터리 수용홈을 형성하는 본체의 외곽 케이스를 관통 형성한 단자수용공에 삽입된 접점단자; 상기 접점단자의 일단에 접촉하여 직선방향으로 탄성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 및 통전되는 재질로서 일단은 접점단자와 접촉되고 중앙에 회동축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타단은 배터리의 결합유무에 따라 상기 전지 수납유닛의 외부 단자와 착탈되는 연결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접점단자는 일측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과 접촉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스프링은 그 하단이 납땜부에 의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스위치는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전지 수납유닛의 외부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는 확장 형성된다. 또한, 그 회동축은 회동축 상에서 상기 연결 스위치와 일체로 형성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연결 유닛은 연결 스위치의 일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초기에 인장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 스위치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스위치를 외부 단자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코일 스프링은 초기에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 스위치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스위치를 외부 단자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외부 일측면에 배터리 수용홈을 구비한 본체; 상기 배터리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배터리;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를 제외한 별도의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 수납유닛; 및 그 일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며 그 타측은 상기 배터리의 탈착에 따라 상기 전지 수납유닛과의 연결이 단속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를 도 3의 IV-IV 선에 따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 3의 IV-IV 선에 따라 보인 단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40)을 구비하고, 외부 일측면에 배터리 수용홈(110)을 구비한 본체(100); 및 상기 배터리 수용홈(110)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배터리(20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200)를 제외한 별도의 전지(510)를 수납하는 전지 수납유닛(500); 및 그 일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40)과 연결되며 그 타측은 상기 배터리(200)의 탈착에 따라 상기 전지 수납유닛(500)과의 연결이 단속되는 연결 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장착되어 통신에 필요한 회로부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PCB, 140)과, 상기 배터리(200)가 장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 배터리 수용홈(110)과,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된 폴더(120)와, 일측에 구비되어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3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연결유닛(300)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20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배터리 수용홈(110)에는 상기 배터리(200)에 형성된 판형의 금속단자(360)와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금속단자(360)와의 접촉에 의해 전력을 전달하 는 접점단자(310)가 단자수용공(320)을 통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접점단자(310)는 상기 금속단자(360)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수용홈(110)은 상기 배터리(200)를 견고하게 상기 본체(1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외곽벽(4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외곽벽(450)의 일측 중앙에는 배터리(200)에 형성된 결합홈(420)에 일부 삽입되는 결합부재(400)의 결합돌기(4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곽벽(450)의 타측 양측에는 상기 배터리(200)의 고정돌기(430)가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200)의 하단을 고정하도록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4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지 수납유닛(500)은 상기 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지(510)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지 수용부(520); 상기 전지 수용부(520)의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전지 케이스부(530); 일측은 상기 전지(510)의 일 단자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전지 수용부(52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외부 단자(540); 및 상기 전지(510)의 다른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40)과 연결되는 연결 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 수용부(520)는 배터리 수용홈(110) 내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100)내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은 대략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전지의 크기보다 약간 크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지 케이스부(530)는 상기 전지 수용부(520)와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그 일측이 상기 전지 수용부(520)와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을 구성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부(530)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면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보다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부(530)는 전지를 장착할 때나 교환할 때 등 상기 전지 수용부(520) 내의 수납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지 케이스부(530)의 회동되는 측의 대향되는 면에는 상기 전지 수용부(520) 및 전지 케이스부(530)의 일측면을 덮는 락커(535)를 설치하여 전지 수용부(52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단자(540)는 그 일측은 상기 전지(510)의 양극과 연결되며, 그 타측은 상기 전지 수용부(520)의 외부로 노출되어 후술하는 연결 스위치(550)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외부단자(540)는 전지(510)의 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통전되는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단자(미도시)는 그 일측은 상기 전지(510)의 음극과 연결되며, 그 타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40)과 상시적으로 연결된다. 연결단자는 항상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외부단자(540)가 연결 스위치(550)와 연결되면 전지(510)의 전력이 인쇄회로기판(140)을 통하여 본체(100)에 공급된다.
상기 연결유닛(300)은 배터리 수용홈(110)을 이루는 본체(100)의 외곽 케이스를 관통 형성한 단자수용공(320)에 삽입된 접점단자(310); 상기 접점단자(310)의 일단에 접촉하여 직선방향으로 탄성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스프링(330); 및 통전되는 재질로서 일단은 접점단자(310)와 접촉되고 중앙에 회동축(501)에 회 동되게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타단은 배터리(200)의 결합유무에 따라 상기 전지 수납유닛(500)의 외부 단자(540)와 착탈되는 연결 스위치(550);를 포함한다.
상기 접점단자(310)에는 일측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본체케이스에 형성된 걸림턱(370)과 접촉하는 걸림돌기(3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330)의 하단은 납땜부(350)에 의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에 고정되고 상기 납땜부(3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의 인쇄회로기판 접점부(150)와 연결되어 있다. 접점 단자(310), 탄성스프링(330), 납땜부(350) 및 인쇄회로기판 접점부(150)는 모두 통전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배터리(200)의 전력을 공급하는 라인으로 이용된다.
상기 연결 스위치(550)는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전지 수납유닛(500)의 외부 단자(540)와 접촉되는 접촉부(553)는 접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확장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회동축(551)은 대략 상기 연결 스위치(550)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회동축(551)에는 스프링(55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552)은 연결 스위치(550)가 외부단자(540)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터리(200)를 본체(100)에 결합할 때는 우선 상기 배터리(200)의 일측면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기(430)를 상기 본체(10)의 고정홈(440)에 삽입하여 상기 배터리(20)의 하단을 고정한다. 그 후, 상기 배터리(200)의 배면을 상기 본체(100)에 밀착시켜 상기 배터리(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42)에 상기 결합부재(400) 의 결합돌기(410)를 삽입시킨다.
상기 배터리(200)를 본체(100)에 결합시키면, 상기 배터리(200)의 금속단자(360)가 상기 단자부(300)의 접점단자(310)를 본체(100)의 내부로 누르게 된다. 상기 배터리(200)가 삽입되어 상기 접점단자(310)가 하강할 때는 상기 접점단자(310)에 접촉된 연결 스위치(550)가 회동축(50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지 수납유닛(500)의 외부단자(540)와 단절된다. 따라서 전지(510)는 전원을 공급할 수 없으며, 상기 접점단자(310)와 상기 금속단자(360)의 접촉에 의하여 배터리(200)의 전력이 본체(100)로 공급된다.
또한 배터리(200)가 분리될 때는 상기 탄성스프링(330)이 접점단자(310)를 상측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접점단자(310)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접점단자(310)에 접촉된 연결 스위치(550)도 회동축(50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외부단자(540)와의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200)는 분리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없으며, 전지(510)와 연결 스위치(550)를 통하여 접점단자(310)와 연결되므로 전지(510)의 전력이 인쇄회로기판(140)을 통하여 본체(100)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00)에서 배터리(200)가 분리될 때는 전지(510)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화 통화나 영화시청 등을 끊어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교체시에도 전지(510)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배터리를 다시 충전하여 장착하는 시간동안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위급 상황이나 충전기를 소지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에서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에도 배터리(200)를 본체(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전지(510)의 전력이 본체(100)로 공급되게 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유닛(300)은 연결 스위치(550)의 일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5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코일스프링(560)은 초기에 인장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연결 스위치(550)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연결 스위치(550)의 하측 방향으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여 배터리(200)가 분리될 때는 연결 스위치(550)와 외부 단자(540)가 안정적으로 접촉하게 한다. 만약, 상기 코일스프링(560)을 연결 스위치(550)의 상측면과 결합할 때는 코일스프링(560)은 초기에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연결 스위치의 하측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본체에서 배터리가 분리될 때는 전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화 통화나 영화시청 등을 끊어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교체시에도 전지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배터리를 다시 충전하여 장착하는 시간동안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나 영화, TV 시청을 할 때 배터 리가 접속이 끊어지거나 모두 방전되었을 경우에도 전지로부터 전력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므로 흐름을 끊기지 않고 통화나 시청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뿐 아니라, 배터리가 완전 방전시에 위급 상황이나 충전기를 소지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에서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에도 배터리를 본체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전지의 전력이 본체로 공급되게 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외부 일측면에 배터리 수용홈을 구비한 본체; 및상기 배터리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를 제외한 별도의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 수납유닛; 및그 일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며 그 타측은 상기 배터리의 탈착에 따라 상기 전지 수납유닛과의 연결이 단속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지 수납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지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지 수용부;상기 전지 수용부의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전지 케이스부;일측은 상기 전지의 일 단자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전지 수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외부단자; 및상기 전지의 다른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지 케이스부는 상기 전지 수용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지 케이스부는 그 일측이 상기 전지 수용부와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을 구비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전지 케이스부는 회동축이 구비된 측의 대향되는 면에 상기 전지 수용부 및 전지 케이스부의 일측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부가 상기 전지 수용부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락커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외부단자는 통전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배터리 수용홈을 형성하는 본체의 외곽 케이스를 관통 형성한 단자수용공에 삽입된 접점단자;상기 접점단자의 일단에 접촉하여 직선방향으로 탄성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 및통전되는 재질로서 일단은 접점단자와 접촉되고 중앙에 회동축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타단은 배터리의 결합유무에 따라 상기 전지 수납유닛의 외부 단자와 착탈되는 연결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접점단자는 일측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과 접촉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스프링은 그 하단이 납땜부에 의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연결 스위치는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전지 수납유닛의 외부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는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 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회동축은 회동축 상에서 상기 연결 스위치와 일체로 형성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연결 유닛은 연결 스위치의 일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코일 스프링은 초기에 인장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 스위치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스위치를 외부 단자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코일 스프링은 초기에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 스위치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스위치를 외부 단자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외부 일측면에 배터리 수용홈을 구비한 본체;상기 배터리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배터리;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를 제외한 별도의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 수납유닛; 및그 일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며 그 타측은 상기 배터리의 탈착에 따라 상기 전지 수납유닛과의 연결이 단속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전지 수납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지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지 수용부;상기 전지 수용부의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전지 케이스부;일측은 상기 전지의 일 단자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전지 수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외부단자; 및상기 전지의 다른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배터리 수용홈을 형성하는 본체의 외곽 케이스를 관 통 형성한 단자수용공에 삽입된 접점단자;상기 접점단자의 일단에 접촉하여 직선방향으로 탄성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 및통전되는 재질로서 일단은 접점단자와 접촉되고 중앙에 회동축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타단은 배터리의 결합유무에 따라 상기 전지 수납유닛의 외부 단자와 착탈되는 연결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회동축은 회동축 상에서 상기 연결 스위치와 일체로 형성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7280A KR20070001671A (ko) | 2005-06-29 | 2005-06-29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7280A KR20070001671A (ko) | 2005-06-29 | 2005-06-29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1671A true KR20070001671A (ko) | 2007-01-04 |
Family
ID=37869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7280A KR20070001671A (ko) | 2005-06-29 | 2005-06-29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0167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1014B1 (ko) * | 2015-01-29 | 2016-06-15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분형 축전장치 |
-
2005
- 2005-06-29 KR KR1020050057280A patent/KR2007000167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1014B1 (ko) * | 2015-01-29 | 2016-06-15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분형 축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20152B2 (en) | Contac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0313144B1 (ko) |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 |
JPH11317797A (ja) | 折畳み可能な電子装置用の光学ガイド | |
CN201639740U (zh) | 便携式终端的蓝牙耳机 | |
KR101756476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 |
US20080150479A1 (en) | Electric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JP2000349875A (ja) |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 |
US20010044330A1 (en) | External connector and battery extension pack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20000011481A (ko) | 휴대가능한전자장치,그의하우징,및그의배터리칸막이 | |
CN210007730U (zh) | 移动终端 | |
CN210183362U (zh) | 移动终端 | |
JP3122429B2 (ja) |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とコネクタ | |
KR100562673B1 (ko) |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 |
KR20070001671A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 |
JP2008288151A (ja) | 防水端子構造 | |
JP2003051875A (ja) |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 |
JP3790987B2 (ja) |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 |
JP2001346335A (ja) | 充電器 | |
RU2406223C2 (ru) |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 |
JP2003189484A (ja) | 携帯端末用充電装置及び携帯端末 | |
KR200357573Y1 (ko) | 단락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 및 이에 적합한충전 거치대 | |
JP2005245048A (ja) | 携帯機器用充電台 | |
JP2006128996A (ja) | 携帯端末装填装置 | |
KR100640458B1 (ko) |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 |
KR200359957Y1 (ko) | 단락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