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481A - 휴대가능한전자장치,그의하우징,및그의배터리칸막이 - Google Patents

휴대가능한전자장치,그의하우징,및그의배터리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481A
KR20000011481A KR1019990026835A KR19990026835A KR20000011481A KR 20000011481 A KR20000011481 A KR 20000011481A KR 1019990026835 A KR1019990026835 A KR 1019990026835A KR 19990026835 A KR19990026835 A KR 19990026835A KR 20000011481 A KR20000011481 A KR 20000011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ttery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파스칼 규미에르
파스칼앙드레르네 장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0001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4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Abstract

배터리(5)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1)는 전자 회로(3)를 구비하는 하우징(2), 분리 가능한 배터리 칸막이(4), 및 두 개의 배터리를 동시에 제자리에 넣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회로와 배터리 사이의 접속 수단(8)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접속 수단(8)은 하우징과 칸막이의 사이에 분리 가능한 접촉부를 형성하며, 플러그인(plug-in) 수단(11)은 접속 수단에 두 개 이상의 칸막이를 동시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선회 수단(8)은 상기 접속 수단 및 상기 하우징(2)의 상기 접속 수단에 플러그인되는 상기 칸막이(들)의 부채꼴 회전을 적어도 가능하게 하도록 하우징(2) 상에 제공된다.
이동 전화기 핸드세트에 적용됨.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 그의 하우징, 및 그의 배터리 칸막이{PORTABLE ELECTRONIC DEVICE, ITS HOUSING AND ITS BATTERY COMPARTMENT}
본 발명은 전자 회로를 고정하는 하우징, 배터리를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배터리 칸막이, 및 상기 전자 회로를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 전원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단들은 두 개 이상의 배터리의 동시 접속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사이즈가 작고 전력 소비가 낮은 어떤 타입의 휴대 가능한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는 예를 들면, 휴대 가능한 라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자기 카세트 테이프 판독기, 소형 무선 수신기, 휴대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또는 바람직하게는, 무선 전화기 핸드세트(또는 가정용)이든 이동 전화기 핸드세트(또한 이동용 또는 셀룰러 전화기라 불림)이든 간에 휴대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서, 특히 휴대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해서, 배터리는 제한된 유효 수명의 문제를 야기시키는데, 상기 장치가 훨씬 더 소형화되고, 배터리가 비교적 또한 소형화되기 때문이며, 또한 상기 장치가 위치되어 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발신 신호 중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전력 소모를 계속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배터리는 최대 용량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배터리가 전화 대화중에 마침내 방전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배터리가 비워지기 전에 배터리를 교체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유효 작동 시간은 제작자에 의해 발표된 것 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설상 가상으로, 이들이 완전히 비워지기 전에 이동 전화기용 배터리가 재충전된다는 사실은 이들의 유효 수명을 감소시킨다.
배터리가 대화중에 충전의 끝까지 이른다면, 전화기는 작동을 멈춘다. 대화를 계속하기 위해, 사용자는 배터리를 교체하고, 다시 전화기를 켜며, 다시 그의 코드로 들어가, 등록을 기다리며, 다시 번호를 돌리거나 원거리의 콜 당사자가 다시 그를 부르기를 희망하는 것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다. 이는 콜 당사자와의 통신두절이 아니라면 지연을 발생시키며, 오퍼레이터와 이루어진 계약에 따라서, 새로운 콜에 대한 가능한 지불 비용을 발생시킨다.
상기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타입의 해결책, 즉 전자 해결책 및 전자기계적 해결책이 고려될 수 있다. 순수한 전자 해결책은 전화기 네트워크 및 이와 관련된 이동 전화기의 프로그래밍에 복잡성을 수반하며, 대부분의 경우에, 이들은 대화자를 심하게 괴롭히는, 대략 몇 초간의 대화 방해를 일으키는 것 밖에는 할 수 없다.
두 개의 배터리의 동시적인 일시 연결을 가능할 수 있게 구성하는 전자기계적 해결책은, 장치가 영구적으로 전력을 공급 받기 때문에, 전화 대화를 방해하지 않으며, 배터리가 교체되는 것이 예상될 때 전자 회로 또는 이들의 프로그램을 또한 변경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들 해결책중에는 배터리 칸막이가 또한 전도중인 핸드세트의 하우징 후부에 두 개의 측부 슬롯과 상호 작용하는 두 개의 하부 전도 측부 리브를 구비함에 따른 일본 JP-A 08186515의 특허 출원의 해결책이 현저하게 공지되어 있다. 상기 사용된 배터리는 하우징의 일측부 상의 슬롯 내로 새로운 배터리를 삽입함에 의해 교체되며, 사용된 배터리가 다른 측부 상으로 방출되도록 새로운 배터리를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새로운 배터리가 하우징에 대해 제자리에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단순하지만 실행하기 어려운 기술을 수반하며, 그에 따라서 핸드세트의 하우징과 배터리 칸막이의 둘 다에 대해 비용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전화기의 배터리와 전자 회로의 사이에 접속 수단을 실현시키는 것이며, 상기 접속 수단은 두 개의 칸막이의 동시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실시예는 이용하는데 쉬우며 그에 따라서 경제적인 반면에 신뢰성이 있으며 충격에 대해 저항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되며 종래 기술의 단점은 개시된 내용에 한정된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가 다음의 특징, 즉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칸막이의 사이에 분리 접촉부를 형성하며, 플러그인 수단은 상기 접속 수단에 대해 두 개 이상의 칸막이를 견고하게 동시에 부착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선회 수단은 상기 접속 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접속 수단에 플러그인되는 상기 칸막이(들)의 부채꼴 회전을 적어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제공된다는 사실 덕택에 완화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는 상기 접속 수단이 반복되는 절연링 및 전도체를 구비하는 실린더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는 하우징의 모서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는 하우징과 칸막이(들)의 외측부로 약간 돌출되는 슬라이딩 전기 접촉부와 상기 실린더의 전도링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린더가 회전할 수 있는 모서리는 하우징의 후부측 하부 모서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가 거의 완전히 방전될 때, 배터리를 한 섹터씩 실린더의 주위로 돌게함으로써 대화중에 조차도 배터리가 하우징으로부터 꺼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다른 충전 배터리를 실린더 내로 밀어 넣고, 방전된 배터리를 밖으로 끌어내며, 최종적으로 앞의 절차에 반대 순서로 하우징에 대해 충전 배터리를 제자리로 밀어 넣는다. 상기 모든 작동 중에, 장치는 영구적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이동 전화기의 경우에 대기 모드이든 대화중이든 간에, 기능을 유지한 채로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는, 즉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공형 실린더 바디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바디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전도체의 납작한 케이블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모서리 위치측 상기 하우징 내에 제 1 개구에 대향되게 이루어진 제 2의 충분히 큰 개구를 가로질러 이어지는 제 1 장방향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는 원주의 주위에 배치되는 내측부에 전도 트랙을 구비하며, 칸막이의 표면을 관통해 도시되며 90。 이하로 각이지게 실제적으로 떨어진 접촉부를 전기 접촉부로서 수용하도록 의도된 개구 위치측 표면을 관통해 도시되는 두 개 이상의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실시예는 슬라이딩 접촉부를 사용하지 않는 사실 때문에 제 1 실시예로부터 구별된다. 배터리의 교체에 관련해서, 상기의 경우에, 취급은 제 1 실시예에 대해 위에 기술된 것에 비교될 수 있다. 더욱이, 실린더 또는 실린더 바디 내에 두 개의 플러그인 핀 및 전형적으로 표면을 관통해 도시되는 네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동일한 칸막이가 위에 인용된 두 가지 실시예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지될 것이다.
전자 장치의 전력 공급을 위해 두 개의 배터리의 동시 평행한 접속은 충전된 배터리가 수십 초 또는 심지어 수분을 지속할 수 있는 공통 접속의 시간 동안 방전 배터리로 방전되는 추가의 기술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원치 않는 방전을 피하기 위해, 각각의 배터리 칸막이는 두 개의 배터리 칸막이가 상기 장치 내로 동시에 넣어질 때 소정의 시간 동안 다른 배터리로 되는 배터리의 방전을 억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리턴-방지 다이오드라 불림)를 포함하도록 제공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내용 및 다른 양상은 이후에 기술되는 실시예로부터 자명할 것이며, 이를 참조로 하여 명료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 이 경우에 이동 전화기 핸드세트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7 내지 도 9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 1은 하우징 상에 칸막이가 잠겨진 채로 후부로부터 보여지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칸막이가 선회 작용에 의해 상승되는 도 1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장치의 하우징, 칸막이, 및 실린더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4a는 칸막이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4b는 실린더로부터 분리된 어떤 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두 개의 칸막이가 동시에 플러그인되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칸막이가 하우징에 대해 선회되어진 후의 도 5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개방된 형상으로 두 개의 칸막이를 구비하는 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횡측단면도.
도 8은 방전된 배터리가 제거되어지며 새로운 충전 배터리가 하우징에 대해 포개지는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횡측단면도.
도 9는 제 2 실시예에 의해 사용되는 중공형 실린더 바디의 두 개의 위치를 따라 도시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장치 2: 하우징
3,30: 전자 회로 4,43,44: 칸막이
7: 러그 8: 접속 수단, 또는 실린더
10: 잠금 장치 11: 플러그인 수단, 또는 핀
12,13: 접촉부 14: 부시
16: 샤프트 20: 하우징
21: 바디 23: 인쇄 회로 기판
34: 컨넥터 36,37: 전도체
38,39: 다이오드 41: 방전 배터리
42: 충전 배터리
도 1의 이동 전화기(1)용 핸드세트는 전자 회로(3)(도 2 참조)를 둘러싸는 하우징(2), 및 하나의 배터리(5)(도 2 참조)를 포함하는 배터리 칸막이(4)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배터리 칸막이는 공지된 타입의 잠금 장치(10)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도 2에서, 칸막이(4)는 칸막이(4)가 플러그인 수단을 형성하는 핀(11)에 의해 구멍(9)에 고정된, 구멍(9)이 있는 실린더(8)를 러그(7a)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하우징의 후부측 하부 모서리(6)에 대해 90。로 풀리고 회전된다. 실린더의 축을 따라서 각각의 어떤 미리 결정된 측부에서, 실린더는 규칙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몇 개의 구멍(9)을 구비하며, 그 결과 다양한 칸막이를 동시에 플러그인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배터리가 장치에 전력을 동시에 공급하는 것이 주지될 것이다.
도면에서, 구멍은 90。씩 일정한 간격으로 각이지게 도시되며, 실린더 내의 제자리에 넣어지는 각각의 칸막이는 90。의 각도 회전 공간을 또한 갖는다. 그러나, 상기 부채꼴 각은, 칸막이의 하부면을 비스듬히 자름으로써 제 2 실시예(도 7 및 도 8)의 경우에서와 같이 더 작을 수 있으며, 대략 45。의 값으로 낮아질 수 있다. 45。 보다 더욱더 작은 각은, 실린더를 부서지기 쉽게 만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두 개의 칸막이를 플러그인 하며 동시에 연결하는 것이 충분하다는 사실은 반드시 주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주지될 것이다.
배터리(5)와 전자 회로(3) 사이의 접속 수단은 칸막이(도 4a) 내에 12 및 결합 부품(도 3) 내에 13으로 참조되는 결합 부품의 바깥측 표면을 가로질러 이어지며 이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표면을 관통하여 도시되는 탄성 블레이드의 형태로 전형적으로 4개의 접촉부에 의해 형성된다. 실린더(8)는 접촉부(12,13)의 사이에 별도의 접촉부 형태로 전자기계적 계전기로서 기여한다. 그러므로, 상호 절연되는 전도 부시(또는 링)(14)는 상대편 접촉부(12,13)와 각각 슬라이딩 접촉을 한다.
실린더(8)의 실시예의 한 예는 도 4b에, 즉 18,19와 같은 절연링이 도시되며, 부시(14)는 샤프트(16) 상에서 교대로 슬라이딩한다. 부시 자체는 절연링에 의해 지지되며, 조립체는 약간 타이트해지며, 샤프트(16)의 단부는 원형 러그(7)의 중앙 구멍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링(18,19)은 하우징 및 칸막이의 몰딩된 결합 부품처럼 아크릴래이트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ABS-PC; Acrylate Butadiene Styrene Polycarbonate)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접촉부(12,13) 및 부시(14)는, 잘 전도되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이동 전화기 분야에 공지된 타입의 산화에 쉽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핸드세트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에 의한 경고 후 방전 배터리(41)를 충전 배터리(42)로 교체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실행될 수 있다. 즉, 도 1의 위치에 존재하는 핸드세트는 도 5의 위치까지 개방되는 반면에, 칸막이(41)는 180。로 선회된다. 그 다음에, 실린더(8)의 구멍(9) 덕택에, 새롭게 충전된 배터리(42)는 배터리(4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전방으로 밀린다. 그 다음에, 두 개의 배터리의 조립체는 배터리(42)가 잠금 장치(10)(도 6)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잠길 때까지 하우징의 방향으로 포개지며, 최종적으로 배터리(41)는 꺼내진다. 배터리의 교환중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것과 같은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는 다른 진행 방법이 있는데, 예를 들면 새로운 배터리(42)는 비워지기로 되어있는 배터리(4)(제각기 4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후방으로, 즉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실린더 내로 밀려지며, 그에 따라서 배터리(42)는 풀리며, 조립체는 배터리(4)(41)의 상부가 하우징에서 떨어지기에 충분하게 15 내지 20。로 선회되며, 그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41)는 축출되며 새로운 배터리(42)가 다시 하우징에 대해 체결된다.
도 7 내지 도 9의 제 2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는 반대로 슬라이딩 접촉부를 사용하지 않는 독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로서, 제 1 실시예의 실린더(8)가 자유롭게 회전하는데 반해, 제 2 실시예의 실린더(8)를 대신하는 중공형 실린더 바디(21)는 부채꼴로 회전하기 쉬우며 그 반면에, 최대 회전 각도는 2가지 방향으로 대략 90。이다.
도 7 및 도 8에서, 칸막이(43)(제각기 44)를 위한 잠금 장치(50) 및 인쇄 회로 기판(23) 상에 전자 회로(30)를 구비하는 하우징(20)은, 본 발명에 따라서, 하우징(20)과 칸막이(들)(43,44)의 사이에 분리 접촉부를 형성하는 중공형 실린더 바디(21)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되는 바디(21)는 일측부 상에 모선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전형적으로) 4개의 개구부의 두 세트, 즉 실린더의 축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쌍으로 대응하는 개구부(61,71; 62,72; 63,73; 64,74)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는 실린더의 바깥측 표면을 통해 도시되는 탄성 블레이드의 형태로 하나의 전기 접촉부가 지나도록 남아있다. 각각의 쌍의 접촉부는 24(도 7 및 도 8)와 같이 원주를 따라 내부 전도 트랙의 일부를 형성하며, 한 쌍의 개구(63,73)의 각각의 접촉부는 배터리 칸막이의 12(도 4a 참조)와 같이 접촉부의 반대편 접촉부를 만나도록 의도된다. 칸막이(43,44)는 제 1 실시예의 칸막이(4,41, 및 42)와 거의 동일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칸막이(43,44)는 중공형 바디(도 9 참조)의 구멍(9)으로 끼워지도록 핀(11)(미도시됨)을 포함한다. 이들의 하부 표면이 약간 비스듬히 잘리며 중공형 바디(21)의 원주 주위에 이들의 고정은 단지 대략 75。이라는 사실에 의해서 차이가 발생한다. 전기 접촉부를 위한 개구부를 갖는 것의 반대측 상에, 중공형 바디(21)는 두 개의 장방향 립(lips)(27,28)을 갖는 장방향 개구부(26)를 구비한다. 중공형 바디(21)는 하우징(도 1 참조)의 7과 같이 러그(미도시됨) 내로 축방향 핀(29)을 끼움으로써 제자리에 넣어지며, 그 결과 립(27,28)은 개구(26)에 적용되는 길이에 걸쳐 개구(31)(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돌출한다. 따라서, 립(27,28)은 하우징(20)의 내측 벽에 대해 모서리를 형성하며, 중공형 바디가 대략 90。의 각도 변위를 갖을 수 있게 한다. 중공형 바디가 장착되는 반면에, (4개의) 트랙(24)은 립(27,28)의 사이를 통과하는 납작한 케이블(32)을 형성하는 많은 전도체에 대해서 견고하게 접촉되며, 하우징의 내측 컨넥터(34)의 접촉 스터드에 연결된다.
도 7은 두 개의 칸막이, 즉 배터리가 방전되며 립(28)이 하우징에 대해 정지할 때까지 약 15。씩 곧 바로 올려지는 칸막이(43), 및 충전 배터리를 구비하며 중공형 바디(21) 내에 곧 바로 넣어지는 칸막이(44)를 갖는 이동 전화기의 하우징(20)을 도시한다. 도 7의 구성으로부터 도 8의 정상 작동의 구성으로 바꾸기 위해, 칸막이(43)는 축줄되며 칸막이(44)는 잠금 장치(50)에 의해 차단될 때까지 하우징(20)에 대해 회전되어지며, 상기 위치에서 립(27)은 하우징(20)에 대해 하부 상에 정지한다.
배터리로부터 이어지는 공급 전도체(36)(제각기 37)중의 하나는 다이오드(38)(제각기 39)를 구비한다는 것이 도 7에서 주지될 것이다. 이는 두 개의 배터리가 동시에 접속되는 시간 동안에 충전 배터리(칸막이(44))가 방전 배터리(칸막이(43))로 방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에 대해 기술되는 두 가지 실시예에 더욱이 적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에 상응한다. 상기의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은 충전 전류의 차단을 실현하는 다이오드(39)가 있다. 38 또는 39와 같은 다이오드는 전력 공급의 양극(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음극(역 극성을 가짐) 상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6의 제 1 실시예는 이로부터 배터리 하우징(4)(제각기 41,42)을 완전하게 하는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당업자의 이해 범위 내에 해당되게 모두 기술되지 않은 다양한 다른 변경들과 같이 위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기술되는 두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특히, 하우징에 관련되는 배터리 칸막이의 회전 비틀림 양은 후측부 상의 하부 모서리 대신에 하우징의 후측 측부 모서리에서 알 수 있으며, 당업자는 후측부 상의 양측 측부 모서리 상에 두 개의 실린더 또는 두 개의 중공형 바디를 위치시키는 것을 심지어 고려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관련해서, 실린더는 실린더의 단부측에 및 전도 부시(14)가 슬라이딩되는 주위에 핀을 갖는 단일의 실린더 부분에 의해 또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되는 두 가지 실시예의 각각에 대해서, 접촉부가 실현(전형적으로 4)되는 만큼 많은 금속 핀 또는 금속화된 핀이 존재하며 암 단자로서 작용하는 구멍(9)은 또한 금속화되며 부시(14) 또는 트랙(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고 가정하면, 캐치의 특성과 핀(11)의 전기 접촉 특성을 조합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Claims (9)

  1. 전자 회로를 고정하는 하우징, 배터리를 갖추는 분리 가능한 배터리 칸막이, 및 상기 배터리에 상기 전자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 전원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로서, 상기 수단은 두 개 이상의 배터리의 동시 접속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상기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칸막이의 사이에 분리 가능한 접촉부를 형성하며, 플러그인(plug-in) 수단은 상기 접속 수단에 대해 견고하게 두 개 이상의 칸막이를 동시에 부착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선회 수단은 상기 접속 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접속 수단에 플러그인되는 상기 칸막이(들)의 부채꼴 회전을 적어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휴대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이동 전화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반복 절연링과 전도체를 구비하는 실린더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칸막이(들)의 외부로 약간 돌출하는 슬라이딩 전기 접촉부와 상기 실린더의 전도링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제 1 방향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형 실린더 바디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제 1 장방향 개구부를 통해 전도체의 납작한 케이블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모서리 위치측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제 1 개구부와 대향되게 이루어진 제 2의 충분히 큰 개구부를 가로질러 이어지며, 상기 중공형 바디는 내측부 상의 원주 주위에 배치되는 전도 트랙을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의 표면을 관통해 도시되는 접촉부를 전기 접촉부로서 수용하도록 의도되며 각이지게 실제적으로 90。 이하로 떨어져있는 개구의 위치측 표면을 관통해 도시되는 두 개 이상의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부는 상기 제 2 개구부 내로 관통하며 상기 상기 하우징의 벽에 대해 내부 멈춤부로서 기여하는 립(lips)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는 상기 하우징의 후부 상에 상기 하부 모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배터리 칸막이는 두 개의 배터리 칸막이가 상기 장치 내로 동시에 넣어질 시간 동안 다른 배터리로 되어 지는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
  8.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를 위해 의도되는 배터리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칸막이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칸막이의 전자 접속부를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디자인되는 상기 접속 수단에 상기 칸막이를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플러그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칸막이.
  9.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를 위해 의도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칸막이의 전자 접속부를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디자인되는, 선회되게 장착되는 상기 접속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배터리 칸막이의 상기 플러그인 수단을 수용하기 위해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우징.
KR1019990026835A 1998-07-07 1999-07-05 휴대가능한전자장치,그의하우징,및그의배터리칸막이 KR200000114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8694 1998-07-07
FR9808694A FR2781113A1 (fr) 1998-07-07 1998-07-07 Appareil electronique portable, son boitier et son magasin de batter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481A true KR20000011481A (ko) 2000-02-25

Family

ID=952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835A KR20000011481A (ko) 1998-07-07 1999-07-05 휴대가능한전자장치,그의하우징,및그의배터리칸막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54839A (ko)
EP (1) EP0971520A1 (ko)
JP (1) JP2000156571A (ko)
KR (1) KR20000011481A (ko)
FR (1) FR27811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502A (ko) * 2000-11-24 2002-05-30 구자홍 거치대 겸용 배터리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1272A (en) * 1997-01-28 1999-02-16 Streamlight, Incorporated Flashlight with rotatable lamp head
FR2809906B1 (fr) * 2000-06-02 2003-01-31 Sagem Connecteur pour module de telephone portable
US6633152B2 (en) 2001-04-26 2003-10-14 Streamlight, Inc. Rechargeable flashlight and battery charger
KR100432050B1 (ko) * 2001-12-28 2004-05-2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전원의 꺼짐이 없는 배터리 교체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JP4111769B2 (ja) * 2002-08-08 2008-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音声記録装置
US7535196B2 (en) * 2004-01-22 2009-05-19 Nec Corporation Power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cellular phone having main battery and attachable battery
TWI255572B (en) * 2004-05-05 2006-05-21 Advanced Connectek Inc A portable electrical power unit with transmission display
KR100689520B1 (ko) * 2005-03-04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장착 장치
TW200638586A (en) * 2005-04-28 2006-11-01 Chung-Hung Tsai Battery structure
CN101588684B (zh) * 2008-05-20 2011-09-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EP2639670A1 (de) * 2012-03-14 2013-09-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nisches Gerät
US20170054312A1 (en) * 2015-02-25 2017-02-23 Brock Steven Kuchynka Electronic device and cord storage apparatus
CN108735925A (zh) * 2017-04-20 2018-11-0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JP7157968B2 (ja) * 2019-04-08 2022-10-21 株式会社ソフテック スマートキ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9913B2 (ja) * 1994-07-15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開放型折畳み携帯無線機
JPH08186515A (ja) * 1994-12-27 1996-07-16 Funai Denki Kenkyusho:Kk 携帯電話機
US5604050A (en) * 1995-06-13 1997-02-18 Motorola Inc. Latching mechanism and method of latching thereby
US5857148A (en) * 1995-06-13 1999-01-0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power thereto
US6306538B1 (en) * 1996-02-26 2001-10-23 Citizen Watch Co., Lt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502A (ko) * 2000-11-24 2002-05-30 구자홍 거치대 겸용 배터리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71520A1 (fr) 2000-01-12
FR2781113A1 (fr) 2000-01-14
US6054839A (en) 2000-04-25
JP2000156571A (ja) 200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1481A (ko) 휴대가능한전자장치,그의하우징,및그의배터리칸막이
JP2777842B2 (ja) 一体型受話器収納およびバッテリ充電装置
EP0840396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lephone handset
US5946637A (en) Base station with detachable charger for cordless phone systems
JP3763703B2 (ja)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US6424842B1 (en)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CN209414978U (zh) 一种连接装置及手持云台设备
KR19990037388A (ko) 축적 장치를 포함하는 전화통신 장치 및 이와 같은 전화통신 장치에 적합한 축적 장치
US5625271A (en) Battery charger adapter and method therefor
KR101162552B1 (ko) 이동단말기용 충전 시스템
JP3681482B2 (ja) 携帯型電話機のデータ通信用接続分岐装置
KR20050019544A (ko)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위한 배터리팩
CN211908785U (zh) 一种轻便手持无线对讲机
CN1242650A (zh) 便携电子器件,其壳体和电池隔间
CN217985369U (zh) 一种电连接件、耳机及耳机组件
CN111711234B (zh) 移动电源
JPH05183615A (ja) 電話機
JPH0689709A (ja) 2次組電池及び電池収納装置
KR20070001671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JPH08162077A (ja) 電池パック装置及びその装着方法
KR100359074B1 (ko) 휴대폰의 회전식 통전장치
JPS6387055A (ja) コ−ドレス電話機
WO2002075948A1 (en) A cellular phone holder capable of an electric charging
JPH04261337A (ja) 充電装置
KR100635181B1 (ko) 무정전 상태에서 카드의 교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