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366B1 - 배터리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366B1
KR102025366B1 KR1020150030544A KR20150030544A KR102025366B1 KR 102025366 B1 KR102025366 B1 KR 102025366B1 KR 1020150030544 A KR1020150030544 A KR 1020150030544A KR 20150030544 A KR20150030544 A KR 20150030544A KR 102025366 B1 KR102025366 B1 KR 102025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battery unit
fixing pin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601A (ko
Inventor
윤석훈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366B1/ko
Priority to US15/555,606 priority patent/US10541394B2/en
Priority to PCT/KR2015/004501 priority patent/WO2016140397A1/ko
Publication of KR2016010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01M2/106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슬라이딩 움직임으로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 장착부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배터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 장착부와 마주보는 면에 대해 전진과 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으로 눌려져 상기 고정핀을 후퇴시키도록 설치되는 고정핀 후퇴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부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단자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부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이 끼워지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배터리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장착 장치{Apparatus for installing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교체 시 전원 공급 대상 기기에 전원 공급을 유지하면서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배터리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사용하는 기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배터리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휴대 전화, 이동 청소 로봇과 같이 이동 기기들이 많이 사용되면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의 중요성이 높아가고 있다.
배터리는 그 저장 용량의 한계가 있으므로, 배터리가 방전된 후나 방전되기 전에 기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중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소정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기기를 바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교체 작업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할 때는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기 때문에 기기의 전원도 꺼지게 된다. 그 경우 배터리를 교체한 후에 전원을 켜게 되면 재부팅(rebooting)이 필요한 기기의 경우에는 재부팅 작업이 진행되게 되는데, 그 경우 재부팅 시간만큼 기기의 사용 중단이 일어나게 되므로, 그만큼 작업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2004-0026515호에는 배터리팩의 착탈을 허용하는 로킹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교체 시 전원의 공급이 유지되면서도 배터리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터리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슬라이딩 움직임으로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 장착부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배터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 장착부와 마주보는 면에 대해 전진과 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으로 눌려져 상기 고정핀을 후퇴시키도록 설치되는 고정핀 후퇴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부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단자;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부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이 끼워지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배터리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의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 후퇴 버튼은 캠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 기구는, 상기 고정핀 후퇴 버튼에 연결되며, 캠 홈이 형성된 구동 부재;와,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며, 상기 캠 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배치된 종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핀 후퇴 버튼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접속 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속은 상기 배터리부의 교체 시에도 계속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접속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의 단부는 제1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부분 중 상기 배터리부가 슬라이딩 진입하는 부분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는, 배터리 교체 시 전원의 공급이 유지되고, 배터리 교체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부의 저면부를 위쪽으로 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부의 제2 접속 단자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기구에 의해 고정핀과 고정핀 후퇴 버튼이 연결되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의 고정핀이 전진되어 돌출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의 고정핀이 돌출되어 있을 때의 고정핀, 고정핀 후퇴 버튼, 캠 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의 고정핀이 후퇴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의 고정핀 후퇴 버튼이 눌려져 고정핀이 후퇴되어 있을 경우의 고정핀, 고정핀 후퇴 버튼, 캠 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된 기존의 배터리부를 새로운 배터리부로 교체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의 저면부를 위쪽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부의 저면부를 위쪽으로 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부의 제2 접속 단자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기구에 의해 고정핀과 고정핀 후퇴 버튼이 연결되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100)는, 배터리부(110)와 배터리 장착부(120)를 포함하는데, 배터리부(110)는 배터리 장착부(120)에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슬라이딩되어 장착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부(110)는, 제1 가이드부(111), 제1 접속 단자(112), 고정핀(113), 고정핀 후퇴 버튼(114), 캠 기구(115)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111)는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데, 제1 가이드부(111)는 배터리부(110)의 양 측면에 배치되며,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홈(111a)을 포함한다.
제1 접속 단자(112)는 배터리부(110)의 면들 중 저면부, 즉 배터리 장착부(120)와 마주보는 면(110a)에 배치된다.
제1 접속 단자(112)는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제1 접속 단자(112)는 2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공급되는 전원이 직류인 경우 각각의 열은 양극과 음극의 기능을 가진다.
제1 접속 단자(112)는 전기 도전성의 소재로 형성되는데, 제1 접속 단자(112)의 배치 길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부(110)의 교체 시에도 제2 접속 단자(122)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계속 유지되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한다.
한편, 고정핀(113)은, 배터리부(110)의 면들 중 저면부, 즉 배터리 장착부(120)와 마주보는 면(110a)에 대해 전진과 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13)의 단부는 제1 경사면(113a)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그러한 제1 경사면(113a)은 배터리 장착부(120)의 제2 경사면(120a_1)에 닿아 고정핀(113)을 점차 눌러 후퇴시킴으로써, 배터리부(110)가 배터리 장착부(120) 위를 슬라이딩 이동할 때 고정핀(113)이 배터리 장착부(120)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고정핀 후퇴 버튼(114)은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힘을 받아 눌려지게 되면 고정핀(113)이 후퇴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고정핀 후퇴 버튼(114)은 배터리부(110)의 면들 중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110b)에 설치되고, 고정핀(113)과 고정핀 후퇴 버튼(114)은 캠 기구(115)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된다.
캠 기구(115)는 고정핀(113)과 고정핀 후퇴 버튼(114)에 연결되어, 고정핀 후퇴 버튼(114)이 눌려지면 고정핀(113)이 후퇴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기구(115)는, 구동 부재(115a), 종동 부재(115b), 탄성 부재(115c)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115a)는 고정핀 후퇴 버튼(114)에 연결되며 있으며, 일부에 캠 홈(115a_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탄성 부재 지지부(115a_2)가 배치되어 있다.
종동 부재(115b)는 고정핀(113)에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부재(115a)의 캠 홈(115a_1)에 끼워지는 돌기(115b_1)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115c)는 구동 부재(115a)의 탄성 부재 지지부(115a_2)에 연결되어 설치되는데, 탄성 부재(115c)는 고정핀 후퇴 버튼(114)이 돌출되도록 고정핀 후퇴 버튼(114)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부(110)는 캠 기구(115)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부(110)는 캠 기구(11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경우 고정핀 후퇴 버튼(114)이 눌려지면 고정핀(113)이 후퇴되도록 하는 다른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캠 기구가 아닌 기계식 장치, 모터가 포함된 전자식 장치, 공압 또는 유압의 유압식 장치 등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착부(120)는, 제2 가이드부(121), 제2 접속 단자(122), 고정홀(123)을 포함한다.
배터리 장착부(120)는 배터리 장착 장치(100)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장치, 로봇 등의 기기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제2 가이드부(121)는 제1 가이드부(111)와 함께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데, 제2 가이드부(121)는 배터리 장착부(120)의 양 측면에 배치되며,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 플랜지(121a)를 포함한다.
가이드 플랜지(121a)는 배터리부(110)의 장착 시나 분리 시 제1 가이드부(111)의 홈(111a)에 끼워져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제2 접속 단자(122)는 배터리 장착부(120)의 면들 중 배터리부(110)와 마주보는 면(120a)에 배치되는데, 배터리부(110)의 제1 접속 단자(112)에 접속된다.
제2 접속 단자(122)는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과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에 수직한 방향(R)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제2 접속 단자(122)가 배치되는데, 공급되는 전원이 직류인 경우 제2 접속 단자(122) 중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을 배치되는 2개는 양극의 기능을 가지고, 나머지 2개는 음극의 기능을 가진다. 제2 접속 단자(122)는 각각 대응되는 제1 접속 단자(112)에 접속되게 된다.
제2 접속 단자(122)는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는데, 이하 도 3을 참조로 하여, 제2 접속 단자(122)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한다.
제2 접속 단자(122)는 배터리 장착부(120)의 단자 수용홈(120c)에 수용되어 설치되는데, 탄성 지지를 위한 탄성부(122a)와, 전원 공급 대상 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적 연결부(122b)와,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 방지부(122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접속 단자(122)는 탄성부(122a)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탈 방지부(122c)는 단자 수용홈(120c)의 걸림부(120c_1)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접속 단자(122)는 전기 도전성의 소재로 형성되는데, 그 배치 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부(110)의 교체 시에도 제1 접속 단자(112)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계속 유지되도록 배치한다. 즉,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122)는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다른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122)와 소정의 간격(D1)을 두고 배치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속 단자(112)는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므로, 배터리부(110)의 교체 시 제2 접속 단자(122)는 제1 접속 단자(112)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계속 유지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접속 단자(122)는 배터리 장착부(120)의 단자 수용홈(120c)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탄성 지지를 위한 탄성부(122a)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적 연결부(122b)와,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 방지부(122c)를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접속 단자는 제1 접속 단자(112)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기만 하면 되고, 그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한편, 고정홀(123)은 배터리 장착부(120)의 면들 중 배터리부(110)와 마주보는 면(120a)에 형성되는데, 배터리부(110)의 장착 시 고정홀(123)에는 고정핀(113)이 끼워지게 된다.
고정핀(113)이 고정홀(123)에 끼워지게 되면, 배터리부(110)는 배터리 장착부(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한편, 배터리 장착부(120)의 부분 중 배터리부(110)가 슬라이딩 진입하는 부분에는 제2 경사면(120a_1)이 형성된다. 그러한 제2 경사면(120a_1)은 배터리부(110)가 진입할 때 고정핀(113)의 단부와 부딪히는데, 그 때 큰 충격 없이 고정핀(113)을 후퇴시킴으로써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이동을 돕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장착부(120)의 부분 중 배터리부(110)가 슬라이딩 진입하는 부분에는 제2 경사면(120a_1)이 형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장착부(120)에 제2 경사면(120a_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배터리부(110)가 진입할 때, 진입하는 배터리부(110)의 고정핀 후퇴 버튼(114)을 누름으로써, 고정핀(113)과 배터리 장착부(120)의 부딪힘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속 단자(112)는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제2 접속 단자(122)는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접속 단자(112)와 제2 접속 단자(122)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배터리부(110)의 교체 시에도 계속 유지되도록 배치되기만 하면 되고, 구체적인 단자의 형태, 개수, 배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반대로, 제1 접속 단자(112)는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2 접속 단자(122)는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110)의 고정핀(113), 고정핀 후퇴 버튼(114), 캠 기구(115)의 상호 작동 상태를 살펴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의 고정핀이 전진되어 돌출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의 고정핀이 돌출되어 있을 때의 고정핀, 고정핀 후퇴 버튼, 캠 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의 고정핀이 후퇴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의 고정핀 후퇴 버튼이 눌려져 고정핀이 후퇴되어 있을 경우의 고정핀, 고정핀 후퇴 버튼, 캠 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상태는 배터리부(110)의 고정핀(113)이 전진되어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는 탄성 부재(115c)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 후퇴 버튼(114)이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배터리부(110)를 교체하기 위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 후퇴 버튼(114)이 배터리부(1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눌려지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115a)가 하강하게 되고, 구동 부재(115a)가 하강하게 되면 구동 부재(115a)의 홈(115a_1)에 끼워지는 돌기(115b_1)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종동 부재(115b)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고정핀(113)이 후퇴하게 된다. 아울러 이 때에는 탄성 부재(115c)가 눌려지기 때문에 탄성 부재(115c)는 탄성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차후, 고정핀 후퇴 버튼(114)의 누름이 해제되면, 탄성에너지가 저장된 탄성 부재(115c)에 의해 구동 부재(115a)가 상승하게 되고, 구동 부재(115a)의 홈(115a_1)에 끼워지는 돌기(115b_1)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종동 부재(115b)도 우측으로 이동하여 고정핀(113)이 전진하게 됨으로써,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100)에서 배터리 장착부(120)에 장착된 배터리부(110M)를 새로운 배터리부(110N)로 교체하는 모습을 살펴본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부(120)에 장착된 기존의 배터리부(110M)를 새로운 배터리부(110N)로 교체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배터리부(110N)의 일면(110c)을 기존의 배터리부(110M)의 고정핀 후퇴 버튼(114)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기존의 배터리부(110M)는 배터리 장착부(12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서, 제1 가이드부(111) 및 제2 가이드부(121)에 의해 배터리부(110M)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고, 배터리부(110M)의 고정핀(113)은 배터리 장착부(120)의 고정홀(123)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배터리부(110N)를 하방(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더 이동시켜 그 일면(110c)이 기존의 배터리부(110M)의 고정핀 후퇴 버튼(114)을 누르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배터리부(110M)의 구동 부재(115a)가 하강하게 되고, 구동 부재(115a)가 하강하게 되면 구동 부재(115a)의 홈(115a_1)에 끼워지는 돌기(115b_1)는 후퇴하므로, 배터리부(110M)의 고정핀(113)은 배터리 장착부(120)의 고정홀(123)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기존의 배터리부(110M)는 배터리 장착부(120)로부터 슬라이딩 움직임의 방향으로 분리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111)의 홈(111a)에 제2 가이드부(121)의 가이드 플랜지(121a)를 끼우고, 새로운 배터리부(110N)를 하방으로 계속하여 밀게 되면, 새로운 배터리부(110N)와 기존의 배터리부(110M)는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을 계속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움직임의 과정 중 새로운 배터리부(110N)의 고정핀(113)은 배터리 장착부(120)의 제2 경사면(120a_1)에 닿게 되는 때가 있는데, 이 때 고정핀(113)의 단부도 제1 경사면(113a)을 가지고 있으므로 큰 충격 없이 고정핀(113)에 외력이 가해져 고정핀(113)이 후퇴함으로써 새로운 배터리부(110N)는 고정핀(113)의 걸림 없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배터리부(110N)의 고정핀(113)이 배터리 장착부(120)의 고정홀(123)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탄성 부재(115c)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113)이 전진하여 고정홀(123)에 끼워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새로운 배터리부(110N)는 배터리 장착부(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되므로,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해도 새로운 배터리부(110N)는 아래로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더 이상 계속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이 때 기존의 배터리부(110M)는 배터리 장착부(120)로부터 완전히 분리가 되어, 배터리부의 교체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부(120)에 장착된 기존의 배터리부(110M)를 새로운 배터리부(110N)로 교체하는 모습을 설명하였는데, 이상과 같은 배터리부의 교체 작업은, 교체된 배터리부(110N)를 또 다른 배터리부로 교체 시에도 동일하게 진행된다. 즉,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때에는, 전술한 배터리 교체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장착부(120)를 배터리부(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시키고, 배터리부(110)를 움직여 배터리부(110)의 교체 작업을 진행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부(110)를 배터리 장착부(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시키고, 배터리 장착부(120)를 움직여 배터리부(110)의 교체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100)는, 배터리부(110)의 교체 시 전원의 공급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100)는, 배터리부(110)의 고정핀(113)과 배터리 장착부(120)의 고정홀(123)의 존재로 인해, 배터리부(110)의 교체작업을 진행하지 않을 때에는 배터리부(110)의 장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100)는, 고정핀(113)을 구동시키는 고정핀 후퇴 버튼(114)의 존재로 인해, 배터리부(110)의 교체작업이 용이해지고 배터리부(110)의 교체작업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배터리부(110)의 교체를 위해 새로운 배터리부(110N)를 단순히 기존의 배터리부(110M)에 닿도록 한 후 새로운 배터리부(110N)를 밀게 하는 동작만으로 배터리부(110)의 장착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부(110)의 교체가 용이해져 자동화 작업 전환이 수월하게 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배터리 장착 장치(200)에 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의 저면부를 위쪽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200)는, 배터리부(210)와 배터리 장착부(220)를 포함하는데, 배터리부(210)는 배터리 장착부(220)에 슬라이딩 움직임으로 장착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부(210)는, 제1 가이드부(211), 제1 접속 단자(212), 고정핀(213), 고정핀 후퇴 버튼(214), 캠 기구(215)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211)는 배터리부(210)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데, 제1 가이드부(211)는 배터리부(210)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배터리부(2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 플랜지(211a)를 포함한다.
가이드 플랜지(211a)는 제2 가이드부(221)의 홈(221a)에 끼워져 배터리부(210)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게 된다.
제1 접속 단자(212)는 배터리부(2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과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에 수직한 방향(R)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6개의 제1 접속 단자(212)가 배치되는데, 공급되는 전원이 직류인 경우 제1 접속 단자(212) 중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을 따라 배치되는 3개는 양극의 기능을 가지고, 나머지 3개는 음극의 기능을 가지는데, 각각 대응되는 제2 접속 단자(222)에 접속되게 된다.
제1 접속 단자(212)는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는데, 제1 접속 단자(212)가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는 본 실시예의 제2 접속 단자(122)가 설치된 구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접속 단자(212)는 전기 도전성의 소재로 형성되는데, 그 배치 위치는, 배터리부(210)의 교체 시에도 제2 접속 단자(222)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계속 유지되도록 배치한다. 즉, 한 쌍의 제1 접속 단자(212)는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다른 한 쌍의 제1 접속 단자(212)와 소정의 간격(D2)을 두고 배치되고, 다른 한 쌍의 제1 접속 단자(212)는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또 다른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212)와 소정의 간격(D3)을 두고 배치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속 단자(222)는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므로, 배터리부(210)의 교체 시 제1 접속 단자(212)는 제2 접속 단자(222)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계속 유지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부(210)의 구성 중 고정핀(213), 고정핀 후퇴 버튼(214), 캠 기구(215)는, 본 실시예의 고정핀(113), 고정핀 후퇴 버튼(114), 캠 기구(115)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착부(220)는, 제2 가이드부(221), 제2 접속 단자(222), 고정홀(223)을 포함한다.
배터리 장착부(220)는 배터리 장착 장치(200)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장치, 로봇 등의 기기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제2 가이드부(221)는 배터리부(210)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데, 제2가이드부(221)는 배터리부(210)의 양 측면에 배치되며, 배터리부(2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홈(221a)을 포함한다.
제2 접속 단자(222)는 배터리 장착부(220)의 면들 중 배터리부(210)와 마주보는 면(220a)에 배치되며, 배터리부(210)의 제1 접속 단자(212)에 접속된다.
제2 접속 단자(222)는 배터리부(210)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S)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제2 접속 단자(222)는 2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공급되는 전원이 직류인 경우 각각의 열은 양극과 음극의 기능을 가진다.
제2 접속 단자(222)는 전기 도전성의 소재로 형성되는데, 제2 접속 단자(222)의 배치 길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부(210)의 교체 시에도 제1 접속 단자(212)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계속 유지되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한다.
한편, 고정홀(223)은 배터리 장착부(220)의 면들 중 배터리부(210)와 마주보는 면(220a)에 형성되는데, 배터리부(210)의 장착 시 고정홀(223)에는 고정핀(213)이 끼워지게 된다.
고정핀(213)이 고정홀(223)에 끼워지게 되면, 배터리부(210)는 배터리 장착부(2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한편, 배터리 장착부(220)의 부분 중 배터리부(210)가 슬라이딩 진입하는 부분에는 제2 경사면(220a_1)이 형성된다. 그러한 제2 경사면(220a_1)은 배터리부(210)가 진입할 때 고정핀(213)의 단부와 부딪히는데, 그 때 큰 충격 없이 고정핀(213)을 후퇴시킴으로써 배터리부(210)의 슬라이딩 이동을 돕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200)는, 배터리부(210)의 교체 시 전원의 공급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200)는, 배터리부(210)의 고정핀(213)과 배터리 장착부(220)의 고정홀(223)의 존재로 인해, 배터리부(210)의 교체작업을 진행하지 않을 때에는 배터리부(210)의 장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200)는, 고정핀(213)을 구동시키는 고정핀 후퇴 버튼(214)의 존재로 인해, 배터리부(210)의 교체작업이 용이해지고 배터리부(210)의 교체작업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배터리부(210)의 교체를 위해 새로운 배터리부를 단순히 기존의 배터리부에 닿도록 한 후 새로운 배터리부를 밀게 하는 동작만으로 배터리부의 장착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부의 교체가 용이해져 자동화 작업 전환이 수월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구성, 작용 및 효과 외의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200)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100) 및 그 제조 방법의 구성,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하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 장착 장치를 제조 및 이용하는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00, 200: 배터리 장착 장치 110, 210: 배터리부
120, 220: 배터리 장착부

Claims (10)

  1.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슬라이딩 움직임으로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배터리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 장착부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제1 접속 단자;
    상기 배터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 장착부와 마주보는 면에 대해 전진과 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핀; 및
    상기 배터리부의 교체 시 새로운 배터리부의 일면에 의해 눌려지는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새로운 배터리부에 의해 눌려져 상기 고정핀을 후퇴시키도록 설치되는 고정핀 후퇴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부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단자;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면들 중 상기 배터리부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이 끼워지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배터리 장착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배터리 장착 장치.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의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탄성 지지되는 배터리 장착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 후퇴 버튼은 캠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캠 기구는,
    상기 고정핀 후퇴 버튼에 연결되며, 캠 홈이 형성된 구동 부재;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며, 상기 캠 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배치된 종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핀 후퇴 버튼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착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접속 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속은 상기 배터리부의 교체 시에도 계속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접속 단자가 배치되는 배터리 장착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30544A 2015-03-04 2015-03-04 배터리 장착 장치 KR102025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44A KR102025366B1 (ko) 2015-03-04 2015-03-04 배터리 장착 장치
US15/555,606 US10541394B2 (en) 2015-03-04 2015-05-06 Battery mounting assembly and battery replacement system
PCT/KR2015/004501 WO2016140397A1 (ko) 2015-03-04 2015-05-06 배터리 장착 조립체 및 배터리 교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44A KR102025366B1 (ko) 2015-03-04 2015-03-04 배터리 장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601A KR20160107601A (ko) 2016-09-19
KR102025366B1 true KR102025366B1 (ko) 2019-09-25

Family

ID=5684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544A KR102025366B1 (ko) 2015-03-04 2015-03-04 배터리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41394B2 (ko)
KR (1) KR102025366B1 (ko)
WO (1) WO2016140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49570S1 (en) * 2017-03-31 2019-05-28 Elemental Machines, LLC Sensor device
WO2019177609A1 (en) * 2018-03-15 2019-09-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attery replacement
CN110165108A (zh) * 2019-04-22 2019-08-23 苏州舒广袖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全钒液流电池具有固定防护结构的维护平台
KR102195094B1 (ko) * 2019-09-20 2020-12-24 주식회사 리베르곤 이중 후크 구조의 배터리팩 이탈 방지구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팩 충전장치
CN116885374B (zh) * 2023-09-08 2023-12-29 山东中卓环保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新能源储能电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28Y1 (ko) 2003-10-14 2004-01-13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전원공급의 중단 없이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모바일전자기기
KR100562673B1 (ko) * 2003-08-19 2006-03-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KR101392975B1 (ko) * 2012-11-12 2014-05-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무정지 배터리 교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3835B2 (ja) * 1999-10-26 2004-08-11 株式会社マキタ 充電器
JP2003068263A (ja) * 2001-08-27 2003-03-07 Nec Corp バッテリ着脱機構
GB0218206D0 (en) * 2002-08-06 2002-09-11 Ibm Device with detachable battery mounting
KR100689520B1 (ko) * 2005-03-04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장착 장치
KR20060100891A (ko) 2005-03-18 200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장치
KR101417806B1 (ko) * 2007-10-26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배터리 탈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8517131B2 (en) * 2010-07-23 2013-08-27 Honda Motor Co., Ltd. Battery mounting assembly
KR200460647Y1 (ko) * 2012-01-27 2012-06-04 전일경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
KR20140018163A (ko) 2013-12-13 2014-02-12 이형준 전동릴용 리듐이온배터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673B1 (ko) * 2003-08-19 2006-03-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KR200338328Y1 (ko) 2003-10-14 2004-01-13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전원공급의 중단 없이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모바일전자기기
KR101392975B1 (ko) * 2012-11-12 2014-05-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무정지 배터리 교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601A (ko) 2016-09-19
US20180047955A1 (en) 2018-02-15
US10541394B2 (en) 2020-01-21
WO2016140397A1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366B1 (ko) 배터리 장착 장치
KR101552435B1 (ko) 무정지 배터리 교환장치
US8851912B2 (en) Power socket having an electromagnetic pop-up mechanism
KR101076412B1 (ko) 전지 충방전용 지그
US9312523B2 (en) Non-stop battery exchanging system
EP3654402B1 (en) Battery
EP2899832A1 (en) Charging station system of automatic working device
JP2014216284A (ja) 電池パック及び電気装置
KR101417806B1 (ko) 전자기기의 배터리 탈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JP2009504129A5 (ko)
US9054540B2 (en) Electrical charging device and electrical docking station
CN101615703A (zh) 充电装置
CN103782474A (zh) 电动剃刀和充电器之间的保持构造
CN111552348B (zh) 阶段式电池闩锁机构
KR20090021047A (ko)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KR102025367B1 (ko) 배터리 교체 시스템
JP2014038720A (ja) 電池パック
KR100513193B1 (ko) 배터리 교환 기기, 배터리 교환 방법 및 전자 기기
CN210270061U (zh) 一种单板测试治具底板及测试设备
CN211719908U (zh) 自动充电结构及使用上述结构的移动机器人
CN107814172B (zh) 一种实现翻转时防离心机构
KR101381428B1 (ko) 전지 충방전용 프로브
KR1005027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TWM563368U (zh) 智能充電結構
CN220512781U (zh) 触发组件和地面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