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152A -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간질환의 억제,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코올대사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간질환의 억제,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코올대사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152A
KR20060007152A KR1020040055909A KR20040055909A KR20060007152A KR 20060007152 A KR20060007152 A KR 20060007152A KR 1020040055909 A KR1020040055909 A KR 1020040055909A KR 20040055909 A KR20040055909 A KR 20040055909A KR 20060007152 A KR20060007152 A KR 20060007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jangsaeng
alcohol
liver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3877B1 (ko
Inventor
정혜광
신동원
정영철
노성환
이영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정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정혜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Priority to KR102004005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877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억제,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코올 대사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생도라지 추출물은 알코올성 간손상 및 간염증의 지표인자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혈중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키면 알코올의 과다 섭취로 유발된 간손상·간염증 등 알코올성 간질환의 억제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알코올 대사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숙취해소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20년근 이상의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시킴으로써 2~4년근의 일반도라지에 비하여 우수한 약리작용과 생리활성효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생도라지 추출물이라는 천연물 유래 생약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생체 내에서 독성이 거의 없고 부작용 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된다.
장생도라지, 알코올성, 간질환, 간손상, 간염증, 대사촉진

Description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억제,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코올 대사촉진용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ccelerating alcohol metabolism and inhibiting alcoholic liver injury comprising old platycodon extracts as an effective components}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여부에 따른 혈청내 간손상 지표효소들인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아스파레이트 아미노트렌스퍼라제(Asparate aminotransferase; AST)와 락테이트 디하이드로나제(lactate dehydronase; LDH)의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여부에 따른 알코올성 간질환인 지방간(Steatosis), 간세포 괴사(Necrosis), 간염증(Inflammation)의 수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d는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여부에 따른 H.E(Hematoxylin-Eosin) 염색법에 의해 염색된 간조직 사진이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여부에 따른 알코올에 의해 증가된 혈중 중성지방(Triglycerides; T.G)과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여부에 따른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으로 증가된 간지질과산화로 생성되는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ehyde; MDA)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여부에 따른 알코올에 의한 간염증 지표인자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alpa; TNF-α)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여부에 따른 혈중알코올 농도변화를 시간대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억제,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코올 대사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라지 (길경 Platycodon grandiflorum A. DC)는 도라지과(Campanulaceae) 의 식물로 주근이 10 ∼ 15cm 내외이고 지름은 1 ∼ 3cm 이며 윗부분에는 불규칙한 줄기 자리가 있고 회갈∼유백색이며 세로 주름이 깊고, 가로로는 파목(皮目)과 주름이 있다. 질은 단단하나 비섬유성이어서 파절이 쉽고 약간의 냄새가 나며 맛은 아리다. (육창수 등, 현대 생약학, 서울, 학창사, 460-461, 1993)
이러한 도라지의 주요 약리성분은 트리테르펜계 사포닌(platycodin A, C, D, D2, D3)으로서 뿌리의 약 2%를 차지하며, 이 약리성분은 동물실험을 통하여 진해, 거담작용, 중추신경억제작용(진정, 진통, 해열효과), 급·만성 염증에 대한 항염증작용, 항궤양 및 위액분비억제작용,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낮추는 항콜린작용, 혈당강하작용,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Chem . Pharm. Bull., 20, 1952(1972), Chem . Pharm . Bull., 23, 2965(1975), J. Chem . Soc., Perkin trans I, 661(1984), Sogoigaku, 3, 1(1951), J. Pharm . Soc . Kor ., 19, 164(1975)). 또한 알파-스피나스테롤, 스티그마스트-7-엔올, 알파-스피나스테롤글루코시드등과 같은 스테로이드계 화합물과 이눌린, 베튤린과 같은 다당류도 도라지의 약리성분으로 단리되었다.
장생도라지(長桔)는 20년근 이상의 도라지를 말하는 것으로, 그 동안 도라지의 다양한 약리작용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재배가 어려웠으나, 최근 20년 이상의 도라지인 장생도라지를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이성호, "다년생 도라지재배법" 대한민국 특허 제045731호) 다량생산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장생도라지는 2∼4년근의 일반도라지에 비해 약리작용과 생리활성효능이 우수하다.
현재까지 장생도라지에 관한 연구는 항당뇨효과에 관한 실험(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986(1996)), 고지혈증에 관한 실험(J.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93(1973) 1188-1194) 등이 있으며, 간손상 억제 및 치료에 대한 연구 등이 계속되고 있다.
간은 인체내 소화기계와 전신순환계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들어온 생체외 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일단 생체내로 들어온 생체외 물질이 간을 통과하는 까닭에 간은 영양소 이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다른 장기보다 많아 그 만큼 손상될 확률도 다른 장기에 비해 높다. 간은 재생능력이 우수한 장기로 약간의 손상의 경우에는 충분히 정상을 회복된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손상될 경우 간조직의 일부가 완전히 파괴되면서 파괴된 부분이 정상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결합조직이 과다 축적되면서 간조직에 흉터가 형성되고 간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간손상이 만성이 되면 그 원인에 상관없이 결국에 간 섬유화 및 경화가 초래된다.
흡수된 알코올(여기서 알코올은 술로 알코올의 좁은 의미인 에탄올을 의미함)은 간에서 대사과정을 거치며, 간에서는 알코올 대사로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가 생성되며, 이러한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는 간손상을 주는 대표적인 중간대사 물질로 작용한다.
만성적인 알코올(술) 섭취는 여러 단계의 알코올성 간질환이 발병시킨다. 우선 지방간(steatosis)이 생기고, 여기에서 더 술을 계속 마시거나 다른 염증성 반응(inflammation)이 있다면 지방성 간염증(steatohepatitis)이 오게 된다. 지방 성 간염증은 간경화로 발전하기 전의 단계로 간염증이 있는 환자의 20% 정도가 간경화로 진행된다.
알코올의 섭취로 인해 간질환이 발생하기 까지는 몇가지 물질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알코올의 직접적인 영향이 있다. 알코올의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은 간 독성물질로 간에 직접적인 손상을 준다.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는 중요한 세포내 물질들과 결합하여 정상적인 생물학적 활동을 방해하고, 특히 면역시스템을 자극하여 염증반응(Inflammation)을 일으키고 이는 곧 간손상으로 연결된다.
또한 알코올은 장관내 세균(microflora)의 내독소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를 장막으로부터의 흡수를 증가시키는데, 이는 간내의 쿠퍼세포(Kupffer cell)와 같은 림프구를 자극하여 염증성 매개 물질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alpa; TNF-α) 등의 형성을 촉진시키고, 이렇게 만들어진 종양괴사인자와 같은 염증 매개인자는 간의 염증 반응 및 간세포 손상에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한다.
한편, 간지질과산화, 간섬유, 간경화, 간염 등과 같은 간질환 치료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치료제는 화학 요법제로써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모두 어느 정도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약제의 장기간 사용을 방해하는 부작용 등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상대적으로 부작용의 발현이 거의 없다고 생각되는 천연물 유래 생약 성분의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제제를 오랫동안 연구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알코올성 간염증과 간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회복시켜 간을 보호를 할 수 있으면서, 간독성이 없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제제를 찾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장생도라지(長桔) 추출물이 알코올에 유도된 간염증과 간손상에 대한 억제효과와 회복효과 및 간 보호효과를 발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 및 간염증에 대한 억제효과와 회복효과를 갖는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억제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혈중알코올 농도의 감소효과를 갖는 장생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대사촉진용 조성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4년근의 일반도라지에 비하여 우수한 약리작용과 생리활성효능을 가지는 장생도라지를 알코올성에 기인한 간질환의 억제 및 치료용 약제로서의 용도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생도라지의 추출물은 알코올성 간질환을 예방, 치료하기 위한 용도와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키기 위한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생도라지 추출물은 열수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장생도라지 추출물이 포함된 알코올 대사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으로 활용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생도라지 추출물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장생도라지 추출물은 통상 열수 추출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추출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허용가능한 생약재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생도라지 분말은 수분의 함량이 5% 이하가 되도록 장생도라지를 건조하고 이를 분쇄한 다음, 입자 크기가 0.6㎜ 이하인 것을 선별하여 사용된다. 열수추출물은 장생도라지 분말에 약 5∼10 배의 물을 첨가하고 90∼100℃의 온도에서 4∼6시간동안 2회 추출하여 얻은 여과액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허용 가능한 생약재 또는 생약재 추출물을 선택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한다. 유기용매 추출물은 장생도라지 분말에 약3배의 유기용매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회 추출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사용하며, 유기 용매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생도라지 추출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 활성 성분인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활성 성분에 대한 비히클 (Vehicle), 부형제 또는 메디움 (Medium)으로 작용하는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의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새세이, 엘릭시르, 현탁제, 유제, 용액제, 시럽제,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주사제, 멸균 분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10 내지 1,00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 체중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건강상태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장생도라지 열수 추출물의 제조
장생도라지를 수분함량 5 중량% 이하로 건조시켜 분쇄한 다음 입자의 크기가 0.6mm 이하가 되도록 선별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장생도라지 분말 0.2kg에 증류수 2ℓ를 가하고 90 ∼ 95℃에서 5시간 동안 2회 추출한 후 여과하고 이를 동결건조해서 장생도라지 추출물(CKT) 100g 얻었다.
[실험예 1] 실험 동물 및 처리
1. 시약
시약은 다음의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올리브유, 알라닌 아미노 트랜스퍼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아스파레이트 아미노 트렌스퍼라제(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락테이트 디하이드로제나제(lactate dehydronase; LDH) 키트, 트리글리세라이드(T.G)와 콜레스테롤 키트, 환원형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 산화형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SG),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vde; MDA) 및 혈중알코올 농도 측정키트는 시그마사(Sigma chemical co)에서 구입하였고,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alpa; TNF-α) 및 효소면역검사법(enzyl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키트는 R&D(USA)사에서 구입하였다.
2. 동물
실험동물은 생후 6주된 200~250g의 실험용 쥐(S.D Rat)를 사용하였고, 사료 (purina korea)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사육장의 온도는 21~24℃, 상대습도는 40~80%로 유지하였다. 또한 12시간마다 낮과 밤이 반복되도록 사육장내 빛을 조절하였다.
3. 실험방법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이 알코올성 간질환의 억제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동물을 각군당 8마리씩 무처리한 정상군(control)과 알코올(에탄올)만 먹인 군(Ethanol) 및 알코올(에탄올)과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을 함께 먹인 군(Ethanol + CKT 50 mg/kg and Ethanol + CKT 200 mg/kg)으로 구별하여 실험하였다. 알코올을 초기 1주 동안은 10 g/kg/day, 다음 2주 동안은 12 g/kg/day, 다음 3주 동안은 14 g/kg/day, 마지막 4주 동안은 16 g/kg/day를 구강 투여하였으며,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은 50mg/kg/day, 200mg/kg/day을 4주간 구강 투여하였다.
[실시예 2] 알코올과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에 의한 실험동물의 몸무게와 간무게 측정
알코올과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에 의한 실험동물 쥐의 몸무게 변화와 간 무게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알코올과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처리 전에 몸무게를 측정하고 알코올과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처리 4주후에 다시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간의 무게를 측정하여 알코올과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에 의한 간의 무게 변화를 조사하였다.
<표 1> 실험동물 쥐의 몸무게와 간의 무게 변화
Group Initial body weight (g) Final body weight (g) Weight gain (g) Liver weight (g)
Control 220.3 ±12.5 335.5 ±10.3 110.3 ±12.3 13.5 ±3.5
Ethanol 213.2 ±8.3 318.8 ±9.5 103.4 ±11.2 16.6 ±2.8
Ethanol + CKT 50mg/kg 209.3 ±11.2 324.2 ±10.3 109.3 ±9.3 15.6 ±2.7
Ethanol + CKT 200mg/kg 225.1 ±10.1 337.3 ±12.5 111.3 ±10.5 14.5 ±2.2
<표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알코올과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을 처리하기 전의 몸무게와 4주 처리 후 몸무게를 비교해 보았을 때 알코올만 먹인 군의 몸무게는 약간 감소하였고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을 먹인 군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간의 무게 변화에서는 알코올만을 먹인 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체중 당 비교한 간의 무게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을 먹인 군에 서는 알코올에 의한 간의 무게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3]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 지표인 혈중 ALT, AST, LDH의 활성도 측정
간손상시 혈액으로 유리되어 나오는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T)와 아스파레이트 아미노트렌스퍼라제(AST) 활성도 양을 라이트만-프랭켈(Reitman-Frankel) 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4주 동안 처리한 후 18시간 뒤에 심장으로부터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분리한 혈청을 기질액과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켜 피루빅산(pyruvate)을 생성시킨 후, 발색액을 넣고 20분 후 0.4N NaOH를 섞어서 동정색이 발색되면 5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락테이트 디하이드로나제 (lactate dehydronase; LDH)는 간, 근육, 골격, 뇌, 신장, 적혈구, 심장 등에 많이 분포하는 효소이며, 장기에 염증이 있을 때에는 그 수치가 올라가므로, 그 활성도를 파악하면 알코올에 의해 손상된 간이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에 의해 얼마나 회복됐는지 알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장생도라지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손상을 억제 및 회복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간손상의 지표로 간조직에서 혈액으로 유리되어 나오는 혈액 내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 ALT)와 아스파레이트 아미노트렌스퍼라제(Asparate aminotransferase; AST) 및 락테이트 디하이드로나제(lactate dehydronase; LDH)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시 정상군에 비교하여 증가한 AST, ALT, LDH의 활성값이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이 간손상의 억제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알코올에 의한 간조직의 지방간 (Steatosis), 간세포 괴사(Necrosis) 및 염증(Inflammation)의 수치 측정
간조직을 H.E(Hematoxylin-Eosin) 염색법을 통해 지방간과 괴사된 간세포 및 염증 부위를 대조군과 비교해 각각의 수를 계측하여 알코올의 투입에 의한 간손상으로 증가한 지방간, 간세포 괴사, 염증에 대한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억제효과와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도 2a 내지 도 2c는 장생도라지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손상을 억제 및 회복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 (Steatosis), 간세포 괴사(Necrosis), 염증(Inflammation)의 수치 변화량을 보여주는 그래프로,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시 정상군에 비교하여 증가한 지방간, 간세포 괴사, 염증의 수치가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이 간손상의 억제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d는 H.E 염색법에 의해 염색된 간조직 사진으로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시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로 정상군과 비슷한 정도로 간조직이 회복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로부터 지방간 (Steatosis), 괴사된 간세포(Necrosis), 염증(Inflammation)이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에 의해 보호됐음을 할 수 있다.
[실시예 5] 알코올에 의해 증가된 간의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함량 측정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정량은 중성지질인 트리글리세라이드로부터 생성된 H2O2와 아미노안티피린의 산화적 축합 반응으로 형성된 적색 키논의 비색측정을 이용하여 중성지방량을 측정하였다.
혈청중에는 유리형 및 에스터형 콜레스테롤이 존재하며 에스터형 콜레스테롤에 콜레스테롤에스터 하이드로아제(Cholesterolester hydrolase)를 반응시키면 유리형 콜레스테로과 지방산으로 분해되고 유리형 콜레스테롤에 산화효소를 반응시키면 H2O2가 생성이 된다. 생성된 H2O2에 과산화효소와 페놀(Phenol)을 동시에 반응시키면 산화적 축합반응으로 키논이 생성되며 이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를 정량하였다.
도 3은 장생도라지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손상을 억제 및 회복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알코올에 의해 증가된 간장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시 정상군에 비교하여 증가한 간장내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이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이 간손상의 억제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으로 증가된 간조직의 지질과산화 지표인 MDA 측정
간조직의 지질과산화 측정은 지질과산화 과정중에서 불포화 지방산의 붕괴로 인해 생성된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를 산성조건에서 가온 했을 때 치오바비트릭 엑시드(thiobarbituric acid)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산물을 흡광도 535nm에서 비색 측정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도 4는 장생도라지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손상을 억제 및 회복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으로 증가된 간조직의 지질과산화 지표인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그래프로,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시 정상군에 비교하여 증가한 MDA가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이 간손상의 억제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알코올에 의한 간염증으로 증가한 간조직내의 종양괴사인자(TNF-α)의 함량 측정
간조직내의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alpa; TNF-α)의 함량 측정은 적출한 간을 완충액을 넣고 절편기(Homogeniger)로 조직을 균질화 시키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종양괴사인자(TNF-α) 효소면역검사법(enzyl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키트로 간 속에 있는 TNF-α의 양을 측정하였다.
도 5는 장생도라지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염증을 억제 및 회복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알코올에 의한 간염증으로 증가한 간조직내의 염증 지표인자인 종양괴사인자(TNF-α)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그래프로, 알코올에 의한 간염증의 발생시 정상군에 비교하여 증가한 TNF-α가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의 투여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이 간염증의 억제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혈중알코올 농도 측정
실험동물에 알코올 10 g/kg과 장생도라지 추출물(CKT) 50 mg/kg 또는 200 mg/kg을 구강 투여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하고, 혈액 0.2ml에 1.8ml의 트리클로로마세틱 엑시드(trichloroacetic acid)를 첨가하여 서서히 섞은 후 2,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10㎕의 상층액과 3ml의 NAD-ADH 용액을 섞은 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방치 후 340nm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혈액내 알코올 농도는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도 6은 알코올만 먹인 군과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을 알코올과 함께 먹인 군의 혈중알코올 농도를 시간대별로 측정한 것을 나타낸 그래프로,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이 혈중알코올 농도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장생도라지 추출물(CKT)이 혈중알코올의 분해를 촉진시켜, 음주에 의한 숙취해소 효과 를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대사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키면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생도라지 추출물은 알코올성 간손상 및 간염증의 지표인자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혈중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키면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알코올 대사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숙취해소용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20년근 이상의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2~4년근의 일반도라지에 비하여 우수한 약리작용과 생리활성효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생도라지 추출물이라는 천연물 유래 생약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생체 내에서 독성이 거의 없고 부작용 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된다.

Claims (4)

  1.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억제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장생도라지 추출물은 열수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억제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대사촉진용 조성물.
  4. 제3항의 알코올 대사촉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KR1020040055909A 2004-07-19 2004-07-19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간질환의 억제,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코올대사촉진용 조성물 KR10064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09A KR100643877B1 (ko) 2004-07-19 2004-07-19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간질환의 억제,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코올대사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09A KR100643877B1 (ko) 2004-07-19 2004-07-19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간질환의 억제,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코올대사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152A true KR20060007152A (ko) 2006-01-24
KR100643877B1 KR100643877B1 (ko) 2006-11-10

Family

ID=3711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909A KR100643877B1 (ko) 2004-07-19 2004-07-19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간질환의 억제,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코올대사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8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O20080021A1 (it) * 2008-10-03 2010-04-04 Ivan Biffi Preparato alimentare per ottenere un piu' rapido abbassamento del tasso alcolico nel sangue.
CN103479707A (zh) * 2013-07-12 2014-01-01 中国农业科学院作物科学研究所 一种具有解酒效果的桔梗总皂苷的制备方法
CN104473992A (zh) * 2014-11-19 2015-04-01 吉林农业大学 一种桔梗提取物及在制备医药和保健品中的新用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710B1 (ko) * 2009-01-23 2012-07-05 (주) 비엔씨바이오팜 도라지 추출물 또는 도라지 사포닌 화합물을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45982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온사이언스 도라지 사포닌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도라지 추출물 또는 막분리 도라지 사포닌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O20080021A1 (it) * 2008-10-03 2010-04-04 Ivan Biffi Preparato alimentare per ottenere un piu' rapido abbassamento del tasso alcolico nel sangue.
CN103479707A (zh) * 2013-07-12 2014-01-01 中国农业科学院作物科学研究所 一种具有解酒效果的桔梗总皂苷的制备方法
CN103479707B (zh) * 2013-07-12 2015-06-10 中国农业科学院作物科学研究所 一种具有解酒效果的桔梗总皂苷的制备方法
CN104473992A (zh) * 2014-11-19 2015-04-01 吉林农业大学 一种桔梗提取物及在制备医药和保健品中的新用途
CN104473992B (zh) * 2014-11-19 2017-12-12 吉林农业大学 一种桔梗提取物及在制备医药和保健品中的新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3877B1 (ko)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416B1 (ko)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7176082A1 (ko)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047958A1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KR100643877B1 (ko)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간질환의 억제,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코올대사촉진용 조성물
WO2011115416A2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KR100601390B1 (ko)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979459B1 (ko) 근육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데이츄 추출물과이로부터 분리한 4h-크로멘-4-온 유도체
KR100414187B1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040084168A (ko) 피니톨 또는 카이로이노시톨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723022B1 (ko) 개오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0912735B1 (ko) 루틴 함유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조성물
KR102173882B1 (ko) 당귀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간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40080640A (ko) 항통풍활성을 갖는 개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EP0813871A1 (en) Berberine derivates for inhibiting production of HSP47
KR100513125B1 (ko)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장의항섬유화제
KR100895500B1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080101344A (ko) 탄닌 함유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조성물
KR20060106065A (ko) 신선초 뿌리 추출물, 하이드록시데리신(4-hydroxyderricin)및 잔소안제롤(xanthoangelol)의 간보호 효과
TWI607755B (zh) 麥角固醇之應用
KR20210004133A (ko)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 또는 분말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10206785A1 (en) Extract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ex murray var. hypoleucum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metabolic syndrome
KR0178097B1 (ko) 단백다당체 g009를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제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3019068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KR100657018B1 (ko)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