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219A -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219A
KR20060004219A KR1020040053254A KR20040053254A KR20060004219A KR 20060004219 A KR20060004219 A KR 20060004219A KR 1020040053254 A KR1020040053254 A KR 1020040053254A KR 20040053254 A KR20040053254 A KR 20040053254A KR 20060004219 A KR20060004219 A KR 20060004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zon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4219A/ko
Publication of KR20060004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발생사실을 감지하여 소화액을 화재발생구역에 자동 분사하여서 화재를 초기에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디(1)에 탑재하고 토출관(11a)(11b)(11c)을 연결한 복수개의 소화액탱크(10)와; 상기 토출관(11a)(11b)(11c)에 각각 설치한 마그네틱 밸브(12a) (12b)(12c)와; 상기 마그네틱 밸브(12a)(12b)(12c)에 일단을 연결하여 그 개구부를 진화구역을 분할하여 각 분할된 구역에 배치한 분사도관(13a)(13b)과; 상기 분할된 진화구역에 각각 설치하고, 임의의 진화구역의 화재시 이를 감지하여 그 출력신호에 의하여 마그네틱 밸브(12a)(12b)(12c)를 개방하는 센서(14a)(14b)(14c)로 구성한 것이다.
소화액탱크, 토출관, 마그네틱 밸브, 분사도관, 센서

Description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B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소화액탱크 11a,11b,11c : 토출관 12a,12b,12c : 마그네틱 밸브
13a,13b : 분사도관 14a,14b,14c : 센서
본 발명은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버스는 많은 탑승자가 탑승하는 반면에 승강구는 보디의 중앙에 1개만을 설치하거나, 중앙과 전방에 2개를 설치하여 통상시에 상기 승강구를 통하여 탑승자가 승강하고 있으며, 위급상황시에는 상기 승강구 외에 윈도우 글래스를 파손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탈출통로로 이용하고 있다.
한편 버스는 화재시를 대비하여 운전석 주위와 승객석 하부에 2내지 3개의 소화기를 비치하여서 화재시에 상기 소화기를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수동 조작하여 화재를 진화하고 있으며, 상기 소화기는 실내에 설치한 브라켓에 밴드 등으로 결속하여 비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버스의 실내에 수동식 소화기를 비치할 경우 운전자는 그 비치위치를 인식하고 있으나, 탑승자는 소화기의 비치위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으로 화재시 운전자가 화재를 진화하려고 할 때 탑승자가 놀라서 우왕좌왕하는 등의 이유로 거동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신속한 진화가 불가능하며, 또한 화재시 많은 탑승자가 일시에 승강구를 통하여 하차하려고 함으로 신속한 하차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탈출해머를 이용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파손하려고 하여도 탈출해머를 도난 당하거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탈출해머를 와이어 등으로 묶어 놓는 것이 현 실정임으로 신속한 대피도 불가능한 실정으로 탑승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못하고, 버스의 소실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보디에 소화기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을 설치할 때 보디를 보강하여야 함으로 부품수가 증대되고, 한편 상기 소화기는 승객석 하부에 설치한 브라켓에 밴드 등으로 결속한 것임으로 탑승자가 소화기를 분리하는데 불편하여 이 또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화재발생사실을 감지하여 소화액을 화재발생구역에 자동 분사하여서 화재를 초기에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디에 탑재하고 토출관을 연결한 복수개의 소화액탱크와; 상기 토출관에 각각 설치한 마그네틱 밸브와; 상기 마그네틱 밸브에 일단을 연결하여 그 개구부를 진화구역을 분할하여 각 분할된 구역에 배치한 분사도관과; 상기 분할된 진화구역에 각각 설치하고, 임의의 진화구역의 화재시 이를 감지하여 그 출력신호에 의하여 마그네틱 밸브를 개방하는 센서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버스의 실내의 소화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통도로서, 1은 보디이고, 10은 소화액탱크로서, 상기 소화액탱크(10)는 복수개를 루프 패널(2)에 탑재하여 각각 토출관(11a)(11b)(11c)을 연결한 것이고, 상기 소화액탱크(10)는 냉방시스템(3)의 후방에 연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화액탱크(10)는 상기 위치 이외에 보디(1)의 다른 위치 예를 들면 보디(1)의 하부에 화물실을 설치한 고속버스 등은 화물실에 수납할 수도 있는 것이다.
12a,12b,12c 는 마그네틱 밸브로서, 상기 마그네틱 밸브(12a)(12b)(12c)는 상기 소화액탱크(10)의 토출관(11a)(11b)(11c)에 각각 설치한 것이다.
13a,13b 는 분사도관으로서, 상기 분사도관(13a)(13b)은 상기 마그네틱 밸브(12a)(12b)(12c)에 각각 일단을 연결하여 그 개구부를 실내의 분할된 진화구역에 각각 배치하여 임의의 구역에 화재발생시 그 화재발생구역에 소화액을 분사토록 한 것이며, 상기 진화구역은 실내를 전방(F), 중앙(C) 및 후방(R)으로 분할한 것이다.
상기 분사도관(13a)(13b)은 양측의 냉방덕트(6a)(6b)에 그 개구부를 배치하여 소화액이 냉방덕트(6a)(6b)에 분사되고, 루버(7a)(7b)를 통하여 임의의 화재발생구역에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것이다.
14a,14b,14c 는 센서로서, 상기 센서(14a)(14b)(14c)는 상기 분할된 진화구역인 실내의 전방(F), 중앙(C) 및 후방(R)의 천장에 각각 설치하여 임의의 구역에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사실을 감지하고, 그 출력신호에 의하여 마그네틱 밸브 (12a)(12b)(12c)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화재발생구역에만 소화액을 분사토록 한 것이다.
상기 센서(14a)(14b)(14c)는 실내의 헤드라이닝(4)의 중앙에 제 1 센서 (140a)를, 실내의 양측에 설치된 선반(5)의 하부에 각각 제 2 센서(140b)(140c)를 설치하여 화재의 감지를 양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14a)(14b)(14c)는 전원스위치(16)에 병렬로 연결한 것이며, 임의의 진화구역에 화재가 발생시에 그 화재발생구역에 설치한 센서(14a) (14b)(14c)가 화재사실을 선택적으로 감지하여서 그 출력신호에 의하여 마그네틱 밸브(12a)(12b)(12c)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센서(14a)(14b)(14c)의 출력측에 경보수단(17)을 연결하고, 상기 경보수단(17)은 램프(18)와 경보기(19)를 병렬 연결하여서 화재발생시에 탑승자에게 경각심을 주고, 신속한 대피를 하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20은 퓨즈이고, 21은 릴레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임의의 진화구역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센서 예를 들어 중앙(C)에 화재가 발생하면 센서(14b)가 이를 감지하여 그 출력신호에 의하여 마그네틱 밸브(12b)가 개방되어 소화액탱크(10)에 저장된 소화액이 분사도관(13a)(13b)을 통하여 냉방덕트(6a)(6b)에 분사됨과 동시에 경보수단 (17)이 경보를 발하고, 냉방덕트(6a)(6b)에 분사된 소화액은 루버(7a)(7b)로 유출되어 화재발생구역에 집중적으로 분사됨으로써 임의의 화재발생구역의 화재를 자동으로 신속히 진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특정 화재발생구역의 화재를 진화할 때 탑승자는 경보수단 (17)의 작동에 의하여 화재사실을 인식하고 있음으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다른 구역의 승강구 또는 윈도우 글래스를 통하여 신속히 대피함으로써 인명구조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버스의 실외 하부의 소화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로서, 상기 제 2 실시예는 버스의 장거리 주행시 화재발생 빈도가 많은 엔진, 전ㆍ후차축, 크래쉬 패드의 내부의 화재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것인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실시예는 마그네틱 밸브(12a)(12b)(12c)에 연결되는 분사도관 (130a)(130b)을 보디(1)의 아웃터 패널과 트림 사이에 은폐되게 배치한 후 그 개구부를 특정진화구역인 엔진 룸(E), 후차축부위(RA), 전차축부위(FA), 크래쉬 패드 내부(CP)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특정진화구역에 각각 센서(24a)(24b)(24c)(24d)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제 2 실시예는 특정진화구역 예를 들면 엔진 룸(E)에 화재가 발생하면 엔진 룸(E)에 설치한 센서(24a)가 이를 감지하여 그 출력신호에 의하여 해당 마그네틱 밸브가 선택적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소화액탱크(10)에 내장된 소화액이 엔진 룸(E)에 분사됨으로써 엔진 룸(E)의 화재를 자동으로 신속히 진화함으로써 화재가 버스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예방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이때에도 경보수단(17)은 작동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보디에 소화액탱크를 탑재하여 그 토출관에 마그네틱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마그네틱 밸브에 분사도관을 연결하여 그 개구부를 진화구역인 실내 또는 실외 하부에 배치하며, 진화구역에 각각 센서를 설치하여 화재시 센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마그네틱 밸브를 개방하여서 탑승자를 신속히 대피시키고, 화재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였음으로 인명구조를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화재가 버스 전체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어 재산상의 손실을 경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보디에 탑재하고 토출관을 연결한 복수개의 소화액탱크와; 상기 토출관에 각각 설치한 마그네틱 밸브와; 상기 마그네틱 밸브에 일단을 연결하여 그 개구부를 진화구역을 분할하여 각 분할된 구역에 배치한 분사도관과; 상기 진화구역에 각각 설치하고, 임의의 진화구역의 화재시 이를 감지하여 그 출력신호에 의하여 마그네틱 밸브를 개방하는 센서로 구성한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진화구역은 실내 및 실외 하부로 구분함과 아울러 각각 수개로 분할한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분사도관은 그 개구부를 냉방덕트에 유도한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분사도관은 보디의 아웃터 패널과 트림사이에 은폐되게 배치한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의 출력측에 경보수단을 연결한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0040053254A 2004-07-09 2004-07-09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KR20060004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254A KR20060004219A (ko) 2004-07-09 2004-07-09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254A KR20060004219A (ko) 2004-07-09 2004-07-09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19A true KR20060004219A (ko) 2006-01-12

Family

ID=3711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254A KR20060004219A (ko) 2004-07-09 2004-07-09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421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90B1 (ko) * 2011-05-20 2012-05-31 서울특별시 성북구 버스를 이용한 제설장치 및 소화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 제설방법
CN104689498A (zh) * 2015-04-09 2015-06-10 陈炜杰 一种公交车灭火装置及其方法
CN104740808A (zh) * 2015-03-27 2015-07-01 王卫国 一种公交客车灭火系统
CN106017552A (zh) * 2016-05-17 2016-10-12 长安大学 一种公交车危险物品监测系统
CN109125979A (zh) * 2018-07-20 2019-01-04 芜湖清柏白露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自燃防护装置
CN109606288A (zh) * 2018-12-17 2019-04-12 长安大学 一种公交车车厢智能监测灭火系统及控制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90B1 (ko) * 2011-05-20 2012-05-31 서울특별시 성북구 버스를 이용한 제설장치 및 소화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 제설방법
CN104740808A (zh) * 2015-03-27 2015-07-01 王卫国 一种公交客车灭火系统
CN104689498A (zh) * 2015-04-09 2015-06-10 陈炜杰 一种公交车灭火装置及其方法
CN106017552A (zh) * 2016-05-17 2016-10-12 长安大学 一种公交车危险物品监测系统
CN109125979A (zh) * 2018-07-20 2019-01-04 芜湖清柏白露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自燃防护装置
CN109606288A (zh) * 2018-12-17 2019-04-12 长安大学 一种公交车车厢智能监测灭火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3265B2 (ja) 火災の予防と消火のための方法と装置
US9573005B2 (en) Protection device
CN102793991B (zh) 一种汽车智能灭火系统及方法
US20080264652A1 (en) Safety System in a Motor Vehicle
US8457816B2 (en) Fire detection in railway vehicles
KR20060004219A (ko)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US20110315408A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n Airplane and Method for Fire Fighting in an Airplane
CN108144222B (zh) 一种用于汽车发动机舱内的灭火系统及方法
KR100706889B1 (ko) 전동차의 화재진화시스템
WO1995023630A1 (en) Fire suppressing system for motor vehicle
JP2001346896A (ja) 旅客機用消火設備
JP4768485B2 (ja) 消火設備
KR20200023844A (ko) 차량용 비상 탈출 시스템
KR102009849B1 (ko) 대중교통 차량의 화재 진압 시스템 및 방법
KR100423005B1 (ko) 자동차용 자동 소화장치
JP2003088594A (ja) 自動車用防災設備
JP2000262643A (ja) トンネル消火システム
KR200300639Y1 (ko) 자동차용 소화장치
KR100218223B1 (ko) 자동차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KR0129072Y1 (ko) 자동차용 화재진압장치
KR20090004902U (ko) 차량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KR20230076903A (ko) 철도차량용 초기 화재 진압 장치
KR20210088774A (ko) 자동차의 대시 패널에 장착하는 화재진압 장치
TH121742A (th) ระบบเตือนภัยป้องกันภัยระงับภัยแก๊สรั่วในรถยนต์
CZ12775U1 (cs) Hasicí systémy pro dopravní prostředky, zejména pro hromadné dopravní prostředky kolové, kolejové, pásové, zavěšené a vodn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