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3760A - 차량용 케이블 - Google Patents

차량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3760A
KR20060003760A KR1020040052771A KR20040052771A KR20060003760A KR 20060003760 A KR20060003760 A KR 20060003760A KR 1020040052771 A KR1020040052771 A KR 1020040052771A KR 20040052771 A KR20040052771 A KR 20040052771A KR 20060003760 A KR20060003760 A KR 20060003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vehicle
coupling member
coupl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3760A/ko
Publication of KR2006000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차량용 케이블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케이블은, 차량의 일측에 고정되고, 이에 웨이트가 그에 일측에 함께 체결되는 차량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와 마주보며 결합되고, 상기 제1삽입홈과 함께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게 제2삽입홈이 형성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습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아웃터의 눌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볼트 및 너트 체결방식을 텝핑 스크루의 적용으로 부품의 수를 줄여, 기존의 플랜지 형상을 삭제하였고, 공수절감 및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웨이트의 고정위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액셀러레이터 케이블, 웨이트, 차체 패널

Description

차량용 케이블{CABLE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케이블 중 액셀러레이터 케이블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웨이트가 장착된 차량용 케이블이 차체 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웨이트를 분해한 결합부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웨이트
51. 제1결합부재
52. 케이블
53. 체결부재
54. 안착홈
55. 라운드
56. 제1삽입홈
57. 체결공
58. 결합돌기
59. 결합홈
61. 세레이션
본 발명은 차량용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습동 저항을 최소화하고, 아웃터의 눌림을 방지하며, 공수절감 및 비용절감을 이루기 위해 개선된 차량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차량용 케이블 중 액셀러레이터 케이블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액셀러레이터 케이블(1)은 액셀러레이터 암(8)의 상단에 체결된다. 이 액셀러레이터 케이블(1)은, 외측 케이블(2)과, 이 외측 케이블(2)의 단부에 체결된 암 체결부(4)와, 이 외측 케이블(2)의 단부가 고정되는 케이싱 캡(11)과, 가이드(22)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 캡(11)에 고정되는 내측 케이블(3)과, 이 내측 케이블(3)의 단부에 체결된 레버 체결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암(8)은 바디를 이루는 로드(12)와, 상기 로드(12)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10)와, 로드(12)의 중간부에 고정된 돌부(14)와, 로드(12)의 하단부에 체결된 고정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돌부(14)에는 제2리턴 스프링(9)이 체결되고, 고정부(13)에는 제1리턴 스프링(7)을 사이에 두고 액셀러레이터 페달(6)이 장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액셀러레이터 케이블은 차량의 주행 중에 엔진의 진동이 액셀러레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로 전달되어 그대로 운전자의 발로 전달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승차감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도 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액셀러레이터 케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셀러레이터 케이블(3)은, 그로메트(41)에 의해 차체 패널(40)에 고정되며, 상기 차체 패널(40)과 근접한 곳에 내부가 계단식으로 형성된 웨이트(30)가 체결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30)는 상부 웨이트(31)와, 볼트(37)와 너트(38)에 의해 상기 상부 웨이트(31)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웨이트(32)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웨이트(31)에는 반구 형상을 가진 반구부(33)와 플랜지(35)가 구비되며, 마찬가지로 하부 웨이트(32)에도 반구 형상을 가진 반구부(34)와 플랜지(36)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케이블(3)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웨이트(30)에 도달하여 상이한 웨이트(30)의 고유 주파수와 만나 진동이 감소된다.
이와 같은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2042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웨이트(30)가 장착된 액셀러레이터 케이블(3)은, 볼트(37)와 너트(38)를 체결하기 위한 웨이트(30)상에 프랜지(3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해서 구조가 복잡하고 면적이 커진다.
그리고 웨이트(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당히 큰 요철부가 형성되어 케이블 아웃터(outer)(미도시)에 별도로 고정할 수밖에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결합에 있어서도, 볼트(37)와 너트(38)로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성이 떨어지고, 부품수가 증가되어 결국 작업공수가 증가되며, 비용(cost)이 증가된다.
그리고 웨이트(30)의 양단에 케이블 레이아웃을 위한 라운드처리가 없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스웨이징(swaging)시 하중이 케이블의 아웃터에 전달되어 케이블의 내측으로 아웃터가 우그러진다. 이에 따라 습동 저항이 커져 자동변속기의 조작 레버의 조작력이 무거워 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습동 저항을 최소화하고, 아웃터의 눌림을 방지하며, 공수절감 및 비용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한 차량용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케이블은, 차량의 일측에 고정되고, 이에 웨이트가 그에 일측에 함께 체결되는 차량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와 마주보며 결합되고, 상기 제1삽입홈과 함께 상기 케이블이 삽입 되게 제2삽입홈이 형성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를 분해하여 그 일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차량용 케이블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은, 차량의 일측 예컨대, 차체 패널에 고정되고, 이에 웨이트(50)가 차체 패널에 근접한 곳에 함께 체결된다.
본 발명의 특징부로써, 상기 웨이트(50)는, 케이블(52)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56)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51)와, 이 제1결합부재(51)와 마주보며 결합되고, 제1삽입홈(56)과 함께 케이블(52)이 삽입되게 제2삽입홈이 형성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재(51)와 제2결합부재는 동일하게 대칭된 구조로써 즉, 도 5에 도시된 제1결합부재(51) 또는 제2결합부재 어느 것에 상관없이 2개가 결합되면 도 4와 같은 하나의 웨이트(50)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 또는 후술하는 제2결합부재에 형성된 것들은 제1결합부재(51)와 같으므로 참조부호는 생략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51)와 제2결합부재는 각각 외주면이 각각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서로 동일한 대향 위치에 체결부재(53) 예컨대, 텝핑 스크루가 끼워지도록 체결공(57)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체결공(57)이 형성된 제1결합부재(51)와 제2결합부재의 외주면에는 체결부재(53)의 헤드면에 안착되도록 일정 깊이로 인입되며 안착홈(5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재(51)와 제2결합부재가 결합될 때 마주보며 맞닿는 접촉면에는 결합홈(59)과 결합돌기(58)가 각각 형성되어 제1결합부재(51)와 제2결합부재가 결합될 때, 각각의 상기 결합홈(59)과 결합돌기(58)가 서로 끼워지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재(51)와 제2결합부재의 양 단부 내면에는 제1삽입홈(56)과 제2삽입홈과 연결되게 라운드(round)(5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삽입홈(56)과 제2삽입홈에는 케이블(52)이 제1삽입홈(56)과 제2삽입홈에 결합될 때,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미세 돌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세레이션(serration)(61)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차량용 케이블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작용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종래와 같이, 볼트 및 너트를 체결을 위한 플랜지 구조를 없애고, 체결부재(53)인 텝핑 스크루로 간단히 체결되도록 구조를 단순화하 며, 그 크기도 소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52)의 자연스러운 꺾임을 위해 양 단부에 모따기 형태의 라운드(55)를 형성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케이블(52)의 꺾임 현상은 발생되지 않아 케이블(52)의 망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재(51)와 제2결합부재가 결합될 때 움직임이 없도록 결합홈(59)과 결합돌기(58)를 각각 형성하여 이들이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력도 증대된다.
그리고 케이블(52)과 웨이트(50)와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미세 돌기로 이루어진 세레이션(61)을 제1삽입홈(56)과 제2삽입홈에 형성하여 케이블(52)이 제1삽입홈(56)과 제2삽입홈에 끼워진 후 움직임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웨이트(50)에 케이블(52)이 결합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아웃터의 눌림을 방지하고, 습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웨이트(50) 고정 위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재(51)와 제2결합부재가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제조가 간단하다. 또한 차량에 소음이 있는 경우, 차량 A/S시 제1결합부재(51)와 제2결합부재의 체결부재(53)를 풀고 웨이트(5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쉽게 소음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습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아웃터의 눌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볼트 및 너트 체결방식을 텝핑 스크루의 적용으로 부품의 수를 줄여, 기존의 플랜지 형상을 삭제하였고, 공수절감 및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웨이트의 고정위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차량의 일측에 고정되고, 이에 웨이트가 그에 일측에 함께 체결되는 차량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와 마주보며 결합되고, 상기 제1삽입홈과 함께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게 제2삽입홈이 형성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부재는 각각 외주면이 각각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서로 동일한 대향 위치에 체결부재가 끼워지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제1,2결합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면에 안착되도록 일정 깊이의 인입되며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부재가 결합될 때 마주보며 맞닿는 접촉면에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2결합부재가 결합시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가 서로 끼워지며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부재의 양 단부 내면에는 상기 제1,2삽입홈과 연결되게 라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삽입홈에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1,2삽입홈에 결합될 때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세레이션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부재의 동일하게 구조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KR1020040052771A 2004-07-07 2004-07-07 차량용 케이블 KR20060003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771A KR20060003760A (ko) 2004-07-07 2004-07-07 차량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771A KR20060003760A (ko) 2004-07-07 2004-07-07 차량용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760A true KR20060003760A (ko) 2006-01-11

Family

ID=3710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771A KR20060003760A (ko) 2004-07-07 2004-07-07 차량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37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069B1 (ko) * 2007-03-21 2008-02-28 조은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변속기 케이블용 웨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069B1 (ko) * 2007-03-21 2008-02-28 조은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변속기 케이블용 웨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890B1 (en) Vibration reduc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4109319B2 (ja) 一体型グロメットを備えた絶縁層
KR100405539B1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멤버의 마운팅부 구조
GB2337570A (en) Press-fitting serration of bolt into bolthole of flange
US10981441B2 (en) Torque rod
KR100440004B1 (ko) 자동변속 차량용 트랜스미션 기어 시프트케이블
KR20060003760A (ko) 차량용 케이블
US20190285111A1 (en) Push-pull cable structure borne noise isolation
US20040105723A1 (en) Attaching device for fuel tank band
KR101196341B1 (ko) 앤드 아이 어셈블리의 특성곡선을 만족하는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변속기용 앤드 아이 어셈블리
KR200156039Y1 (ko) 차량의 자동변속기 케이블 연결용 조립체
JP2550057Y2 (ja) シフトレバーノブの防振構造
JPH0517496Y2 (ko)
JPH0323886Y2 (ko)
JPH0714685Y2 (ja) シフトレバーノブの防振構造
JPS633458Y2 (ko)
KR200147840Y1 (ko) 자동차 변속기 커버플레이트의 고무패드 결합구조
KR100423057B1 (ko) 데드웨이트 구조
KR100197873B1 (ko) 차량의 엑셀페달 어셈블리용 케이블 연결장치
KR100387446B1 (ko) 크래쉬 패드의 취부구조
JP2595896Y2 (ja) 自動車のコントロールレバー取付構造
JPS6031940Y2 (ja) ケ−ブル式クラッチレリ−ズ機構の振動遮断装置
JPH087468Y2 (ja) 操作用ノブの固定構造
KR100507645B1 (ko) 차량의 소음차단수단
JPH04473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