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084A - 감압호스 - Google Patents

감압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084A
KR20050122084A KR1020040047236A KR20040047236A KR20050122084A KR 20050122084 A KR20050122084 A KR 20050122084A KR 1020040047236 A KR1020040047236 A KR 1020040047236A KR 20040047236 A KR20040047236 A KR 20040047236A KR 20050122084 A KR20050122084 A KR 20050122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tube
unit
decompression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9225B1 (ko
Inventor
소재용
Original Assignee
소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재용 filed Critical 소재용
Priority to KR102004004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225B1/ko
Publication of KR2005012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압호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속도로 압출되어지는 튜브와 동일한 속도로 드립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드립의 배출부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공시 상기 튜브의 선속도에 맞추어 타공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연속적인 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감압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띠 형태를 이루는 드립몸체(10) 상에 유입부(11)와 감압돌기(12d)를 갖는 감압부(12) 및 배출부(13)로 구성된 단위 드립(1)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드립(D)을 튜브(T)의 내측면에 융착하고, 상기 드립(D)의 배출부(13)에 해당되는 위치의 튜브(T)에 분출공(2)을 형성함으로써 타공시 상기 튜브의 선속도에 맞추어 타공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연속적인 타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압부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의 극대화는 물론 고품질의 감압호스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압호스{A water pipe}
본 발명은 감압호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속도로 압출되어지는 튜브와 동일한 속도로 드립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드립의 배출부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공시 상기 튜브의 선속도에 맞추어 타공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연속적인 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감압호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압호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T)의 내면에 독립된 다수의 감압편, 즉 드립(D)을 일정 간격으로 장착하여 튜브(T)의 처음과 끝부분의 유량편차를 극소화함으로써 농작물에 일정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호스로서,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00은, 튜브(T)에 형성되는 분출공이다.
도 7은 종래의 드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드립(D)은 유입부(110)와 감압부(120) 및 배출부(130)를 갖는 하나의 드립몸체(10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부(110)는 후술되어질 감압부(120)에 물이 유입될 때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감압부(120)는 유입된 물에 저항을 주어 수압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배출부(130)는 수압이 감소된 물을 튜브(T)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입부(110)는 가능한 많은 좋고, 감압부(120)는 길수록 감압호스의 처음과 끝부분의 유량 편차를 극소화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8을 참조로 하여 상기 부분별로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입부(110)는 직선 방향으로 연속되는 다수의 물유입공(110a)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압부(120)는 유입부(110)와 배출부(130)의 사이를 서로 통하게 형성되어 내부 양측을 따라 다수의 감압돌기(120a)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130)는 대략 직사각 형태를 이루는 면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드립(D)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110)의 물유입공(110a)을 통해 튜브(T)의 내부에 흐르는 물이 드립(D)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물은 감압부(120)의 감압돌기(120a)를 통과하는 동안 수압이 감소되어 배출부(130) 측으로 공급된 후, 튜브(T)의 분출공(200)을 통해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공급되는 튜브(T)의 처음과 끝부분의 유량의 편차를 극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감압호스는 독립된 다수의 감압편을 내면에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감압편간의 거리를 동일하게 맞출 수 없다. 따라서 감압호스의 제조시 감압편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여 타공을 하게 되므로 감압편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또는 감압편간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정해진 시간 안에 일정한 속도로 압출되어지는 감압호스에 타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일정한 속도로 압출되어지는 튜브와 동일한 속도로 드립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드립의 배출부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공시 상기 튜브의 선속도에 맞추어 타공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연속적인 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띠 형태를 이루고 유입부와 감압부 및 배출부로 구성된 단위 드립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드립에 있어, 상기 감압부 길이를 단축하여 각 드립의 배출부 사이의 간격을 줄이더라도 감압효과는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립의 배출부에 해당되는 튜브의 위치에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분출공을 형성할 때, 상기 튜브가 밀려 천공되지 않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띠 형태를 이루는 드립몸체 상에 유입부와 감압돌기를 갖는 감압부 및 배출부로 구성된 단위 드립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드립을 튜브의 내측면에 융착하고, 상기 드립의 배출부에 해당되는 위치의 튜브에 분출공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감압호스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드립의 감압부는 서로 평행하면서 통하는 1차 감압부 및 2차 감압부로 구성되고, 상기 1차 감압부와 배출부의 사이에 1차 감압부와 통하는 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는 2차 감압부와 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감압부와 2차 감압부의 사이는 감압돌기가 없는 연결통로에 의해서 서로 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의 중앙부에 배출부의 길이에 직각을 이루고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돌기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 사이의 튜브에 분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출공은 튜브를 절개하여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 사이의 튜브에 분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출공은 천공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감압호스과 같이 튜브(T)의 내측에 드립(D)을 부착하고, 상기 드립(D)의 배출부(13)에 해당되는 위치의 튜브(T)에 분출공(2)을 형성한 것이나, 여기서 특징적인 점은 드립(D)의 구조를 띠 형태의 드립몸체(10)로 구성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드립(D)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1)와 감압부(12) 및 배출부(13)로 이루어진 단위 드립(1)을 띠 형태의 드립몸체(10) 상에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유입부(11)와 감압부(12) 및 배출부(13)는 직선방향으로 연이어 서로 통할 수 있게 형성되고,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단위 드립(1) 간에는 단절된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써 각 단위 드립(1)의 배출부(13)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유입부(11)는 튜브(T)와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다수 형성되는 측방의 물유입공(11a)을 가지며, 감압부(12)는 통상의 드립 감압부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따라 양내측에 다수의 감압돌기(12d)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배출부(13)에 튜브(T)의 위치에는 분출공(미도시됨)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드립(D)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T)의 내측에 융착되는데, 이때 상기 드립(D)이 띠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감압호스 제조시 압출되어지는 튜브(T)의 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므로 기존에 독립된 각각의 드립을 감지하여 타공함에 따른 시간적인 지연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낱개로 된 드립을 시간 간격을 두고 튜브에 공급하는 경우, 각각의 드립을 튜브에 내측에 융착할 때 마다 일일이 튜브의 이송을 정지시킨 후 타공 작업을 수행해야만 되므로 시간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반면에, 본 발명과 같이 띠 형태로 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튜브의 이송을 정지시킬 필요없이 드립의 공급 및 융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생산성 측면에서 상당한 시간적인 단축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튜브(T)의 내부를 통과하는 물이 유입부(11)의 물유입공(11a)을 통해서 상기 유입부(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며, 이 유입된 물은 다시 감압부(12)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감압부(12)의 내측에 형성된 감압돌기(12d)의 저항에 의해서 압력이 감소되어 배출부(13)로 공급되고, 상기 배출부(13)의 물은 감압된 상태로 튜브(T)의 분출공(2)을 통해서 상기 튜브(T)의 외부로 분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립(D)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띠 형태를 이루는 드립몸체(10)로 구성되고, 상기 드립몸체(10) 상에 단위 드립(1)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단위 드립(1)은 유입부(11)와 감압부(12) 및 배출부(13)로 구성되고, 단위 드립(1) 간에는 단절된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상기 감압부(12)를 1차 감압부(12a) 및 2차 감압부(12b)로 구성한 것이며, 상기 1차 감압부(12a) 및 2차 감압부(12b)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연결통로(12c)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는데, 이때 1차 감압부(12a) 및 2차 감압부(12b)는 통상에서와 같이 내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압돌기(12d)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나, 상기 연결통로(12c)의 내측에는 상기 감압돌기(12d)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렇게 연결통로(12c)에 감압돌기(12d)를 형성하지 않는 것은 1차 감압부(12a)와 2차 감압부(12b)의 감압기능을 서로 명확히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결통로(12c)는 1차 감압부(12a)와 2차 감압부(12b)의 사이에서 이들을 서로 통하게 하는 단순 기능만을 부여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1차 감압부(12a)와 배출부(13)의 사이에 1차 감압부(12a)와 통하는 유입부(11)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배출부(13)는 2차 감압부(12b)와 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드립을 구성하는 것은, 띠 형태를 이루는 드립몸체(10) 상에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단위 드립(1)의 배출부(13) 사이의 간격, 즉 감압부(12)의 길이를 줄이더라도 오히려 감압효과는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 단위 드립(1)의 유입부(11)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고, 이 유입된 물은 1차 감압부(12a)에 의해서 압력이 감소된 후, 다시 연결통로(12c)를 거쳐 2차 감압부(12b)에 의해서 재차 압력이 감소되는 것이며, 이 감압된 물은 배출부(13)를 통과하여 튜브의 분출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위 드립(1)의 각 배출부(13)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돌기(13a)를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돌기(13a)는 배출부(13)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배출부(13)의 길이에 직각을 이루며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돌기(13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T)를 천공할 때, 상기 튜브(T)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튜브의 밀림현상없이 정확하게 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절개에 의해서도 튜브(T)의 분출공(2)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속도로 압출되어지는 튜브와 동일한 속도로 드립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드립의 배출부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공시 상기 튜브의 선속도에 맞추어 타공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연속적인 타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압부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의 극대화는 물론 고품질의 감압호스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띠 형태를 이루고 유입부와 감압부 및 배출부로 구성된 단위 드립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드립에 있어, 상기 감압부 길이를 단축하여 각 드립의 배출부 사이의 간격을 줄이더라도 감압효과는 증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좁은 간격의 분출공을 갖는 감압호스의 제조가 가능하고, 이로인하여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립의 배출부에 해당되는 위치의 튜브에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분출공을 형성할 때, 천공시 상기 튜브가 밀리지 않게 함으로써 천공작업의 정확성에 따른 제품 불량의 최소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드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드립의 배출부 확대도.
도 6은 일반적인 감압호스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드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8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드립 T:튜브
1:단위 드립
10:드립몸체 11:유입부
11a:물유입공 12:감압부
12a:1차 감압부 12b:2차 감압부
12c:감압돌기 13:배출부
13a:지지돌기
2:분출공

Claims (6)

  1. 띠 형태를 이루는 드립몸체(10) 상에 유입부(11)와 감압돌기(12d)를 갖는 감압부(12) 및 배출부(13)로 구성된 단위 드립(1)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드립(D)을 튜브(T)의 내측면에 융착하고, 상기 드립(D)의 배출부(13)에 해당되는 위치의 튜브(T)에 분출공(2)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감압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D)의 감압부(12)는 서로 평행하면서 통하는 1차 감압부(12a) 및 2차 감압부(12b)로 구성되고, 상기 1차 감압부(12a)와 배출부(13)의 사이에 1차 감압부(12a)와 통하는 유입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13)는 2차 감압부(12b)와 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감압호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감압부(12a)와 2차 감압부(12b)의 사이는 감압돌기(12d)가 없는 연결통로(12c)에 의해서 서로 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감압호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3)의 중앙부에 배출부(13)의 길이에 직각을 이루고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돌기(13a)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감압호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13a) 사이의 튜브(T)에 분출공(2)이 형성되고, 상기 분출공(2)은 튜브(T)를 절개하여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감압호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13a) 사이의 튜브(T)에 분출공(2)이 형성되고, 상기 분출공(2)은 천공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감압호스.
KR1020040047236A 2004-06-23 2004-06-23 감압호스 KR100569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236A KR100569225B1 (ko) 2004-06-23 2004-06-23 감압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236A KR100569225B1 (ko) 2004-06-23 2004-06-23 감압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084A true KR20050122084A (ko) 2005-12-28
KR100569225B1 KR100569225B1 (ko) 2006-04-07

Family

ID=3729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236A KR100569225B1 (ko) 2004-06-23 2004-06-23 감압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2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04B1 (ko) * 2007-02-14 2007-08-10 소재용 용수도관의 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분출공을갖는 용수도관
KR101218325B1 (ko) * 2012-05-14 2013-01-21 소재용 용수 도관
WO2016186333A1 (ko) * 2015-05-19 2016-11-24 신성순 식물재배용 회전분출식 분수 호스
WO2020022677A1 (ko) * 2018-07-24 2020-01-30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용수 도관용 띠 드립
WO2021091201A1 (ko) * 2019-11-07 2021-05-14 소인철 용수 도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699B1 (ko) * 2006-10-20 2007-12-17 주식회사 서원양행 감압라이너와 튜브의 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적호스제조시스템
KR100754779B1 (ko) 2007-02-21 2007-09-03 주식회사 서원양행 압력조절 점적테이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04B1 (ko) * 2007-02-14 2007-08-10 소재용 용수도관의 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분출공을갖는 용수도관
US8136246B2 (en) 2007-02-14 2012-03-20 So Jae-Yong Method for forming an ejection hole in an emitting pipe
KR101218325B1 (ko) * 2012-05-14 2013-01-21 소재용 용수 도관
WO2016186333A1 (ko) * 2015-05-19 2016-11-24 신성순 식물재배용 회전분출식 분수 호스
RU2691311C1 (ru) * 2015-05-19 2019-06-11 Сунсоон СХИН Разбрызгивающий шланг с вращательным разбрызгиванием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US10433500B2 (en) 2015-05-19 2019-10-08 Sungsoon SHIN Rotating ejection type oozing hose for plant cultivation
WO2020022677A1 (ko) * 2018-07-24 2020-01-30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용수 도관용 띠 드립
KR20200011254A (ko) * 2018-07-24 2020-02-03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용수 도관용 띠 드립
WO2021091201A1 (ko) * 2019-11-07 2021-05-14 소인철 용수 도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225B1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604B1 (ko) 용수도관의 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분출공을갖는 용수도관
CN103369958B (zh) 灌水器及打开出水开口的方法
KR100569225B1 (ko) 감압호스
ES2318663T5 (es) Instalación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tubos de irrigación gota a gota
WO2012137200A1 (en) Integral dripper with an elongated exit pool
WO2006038246A1 (en) Drop-by-drop irrigation hose having internal dripping elements, and dripping elements for said hose
US20070158469A1 (en) Concentricity for long concentric nebulizers
CN1910972B (zh) 喷嘴装置及用于以处理介质处理待处理材料的方法
KR100932433B1 (ko) 점적 호스
CN107488877B (zh) 熔喷用纺丝模具
WO2019065424A1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US5795441A (en) Breast box for a papermaking machine
JP4619139B2 (ja) スリットノズル
JPH0329357Y2 (ko)
JP2002028537A (ja) 液膜生成用スリットノズル
JP2017203233A (ja) メルトブロー用ダイ
JP4972326B2 (ja) ノズル
JP4587779B2 (ja) 棒流噴射用の一流体ノズル
CN213420023U (zh) 节流阀
KR102497244B1 (ko) 하나의 분출공 상에 두 개의 배출홈을 가지는 용수공급용 점적호스
JP2017145529A (ja) 不織布製造装置及び不織布製造方法
KR100528725B1 (ko) 감압호스용 감압편
KR20060005140A (ko) 감압호스 및 그 제조방법
CN219593677U (zh) 烟支导向组件及烟支圆周检测装置
JP3984584B2 (ja) プラズマトー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