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325B1 - 용수 도관 - Google Patents

용수 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325B1
KR101218325B1 KR1020120051146A KR20120051146A KR101218325B1 KR 101218325 B1 KR101218325 B1 KR 101218325B1 KR 1020120051146 A KR1020120051146 A KR 1020120051146A KR 20120051146 A KR20120051146 A KR 20120051146A KR 101218325 B1 KR101218325 B1 KR 101218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drip
water conduit
flui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재용
Original Assignee
소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재용 filed Critical 소재용
Priority to KR102012005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025/006Tubular drip irrigation dispensers mounted coaxially within water feeding tub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용수 도관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 도관은, 유체유입 영역, 유체감압 영역 및 유체토출 영역을 갖는 단위 드립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스트립 형태의 띠 드립이 내주면에 부착되는 용수 도관으로서, 상기 띠 드립은, 상기 용수 도관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일정 이상의 형상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복수의 엠보싱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띠 드립이 용수의 유압에 의해 형상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용수의 유압이 일정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경우에도 최종 토출되는 용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수 도관{EMITTING PIPE}
본 발명은, 용수 도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용수의 유압 변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형상 변형되어 최종 배출압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해 제조가 간단하여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용수 도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재배에 사용되는 용수용 호스는 넓은 대지에 심어진 농작물에 적정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호스로서, 호스에는 용수가 통과하도록 배출공이 다수 형성된다.
즉, 펌프 등으로 가압된 용수는 용수용 호스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며, 펌프와 가까운 배출공과 멀리 떨어진 배출공 모두에서 일정한 양의 용수가 배출되도록 각각의 배출공에는 용수의 수압을 감압하여 배출하기 위한 드립이 마련된다.
일 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569225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감압 호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드립은 유입부, 감압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고, 감압부는 복잡한 구조의 감압돌기가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의 드립은 복잡한 구조의 패턴이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종래 이러한 드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2개의 성형 롤러에 이러한 복잡한 구조의 패턴을 형성하고 2개의 성형 롤러 사이로 용융된 상태의 플라스틱 합성수지액을 흘려 보내 드립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복잡한 구조의 패턴으로 인해 드립의 성형 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드립의 성형시 패턴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패턴의 성형을 위해서는 성형 롤러를 일정 이하의 속도로 회전시켜야 했으므로 신속한 대량 생산이 힘든 상황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드립은, 드립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감압 호스 내부를 유동하는 용수의 유압이 일정 범위 내에서 변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감압부를 형성하는 패턴의 길이가 조절되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부연하자면, 설정된 용수의 유압에 따라 다양한 감압부 패턴의 길이가 성형된 다수의 성형 롤러가 준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569225호 (2006. 04. 03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용수의 유압 변동시 이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압이 변동하는 경우에도 최종 토출되는 용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드립이 구비된 용수 도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보다 용수의 감압을 위한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충분한 감압 효과를 구현 가능하며, 성형 불량의 발생을 보다 감소하고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한 드립이 마련된 용수 도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유체유입 영역, 유체감압 영역 및 유체토출 영역을 갖는 단위 드립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스트립 형태의 띠 드립이 내주면에 부착되는 용수 도관으로서, 상기 띠 드립은, 상기 용수 도관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일정 이상의 형상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복수의 엠보싱 돌기가 마련되는 용수 도관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 드립은, 일면에 상기 복수의 엠보싱 돌기가 마련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마련되며 상기 용수 도관의 내주면에 부착 가능한 제1 및 제2 돌출바;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용수 도관의 유체 배출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3 돌출바; 및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 사이의 내측 구간에 상기 유체감압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용수 도관의 내주면에 부착 가능한 제4 돌출바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 상기 제3 돌출바, 상기 제4 돌출바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체의 유동 진행 방향상 상기 제4 돌출바의 후방에는, 상기 제4 돌출바와 이격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용수 도관의 내주면에 부착 가능한 제5 돌출바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엠보싱 돌기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상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띠 드립은 상기 용수 도관을 이루는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폴리에틸렌 수지에 고무가 첨가된 재질, 고무, 우레탄 및 비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엠보싱 돌기는, 사각형, 사다리꼴 및 반원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용수 도관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띠 드립이 용수의 유압에 의해 형상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용수의 유압이 일정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경우에도 최종 토출되는 용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베이스 부재에 종래보다 간단한 구조의 복수의 엠보싱 돌기를 마련하여 용수를 감압함으로써, 종래보다 띠 드립의 성형 불량 발생을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제5 돌출바를 더 마련함으로써, 용수가 유체 토출공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이웃하는 다른 단위 드립 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배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 도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 도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 도관의 띠 드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 도관의 띠 드립 중 단위 드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 도관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용수의 유압에 따른 띠 드립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 도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 도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 도관의 띠 드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 도관의 띠 드립 중 단위 드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 도관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용수의 유압에 따른 띠 드립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수 도관은, 배관 내를 따라 공급되는 유체(일 예로, 물로 적용되며 이하 용수라 한다)의 공급 압력 변동에 따른 유량의 증감시 이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물의 배출 압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보다 쉽게 제조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용수 도관(100)은, 유체유입 영역(210), 유체감압 영역(220) 및 유체토출 영역(230)을 갖는 단위 드립(200)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스트립 형태의 띠 드립(300)이 내주면에 융착 등의 방법을 통해 부착된 상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용수 도관(100) 내부를 유동하는 용수는, 유체유입 영역(210)으로 유입된 후 유체감압 영역(220)을 통과하여 일정 이상 감압된 후 유체토출 영역(230)으로 진입하여 최종적으로 용수 도관(100)의 유체 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띠 드립(300)은, 용수 도관(100)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용수의 유압에 의해 일정 이상의 형상 변형 및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용수 도관(100)의 주 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용수의 압력이 1kg/cm2일 때와 2kg/cm2일 때와 같이 용수의 유압이 변하는 경우에도 유체 배출공(110)을 통해 최종 배출되는 용수의 압력차는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수 도관(100) 내부를 유동하는 용수의 유압이나 유량의 변화시 최종 배출되는 용수의 배출량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가져갈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단위 드립(200)은, 베이스 부재(201), 베이스 부재(201)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베이스 부재(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의 내측 영역에서 베이스 부재(20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용수 도관(100)의 유체 배출공(110)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3 돌출바(204), 및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 사이를 연결하여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 사이의 내측 구간에 유체감압 영역(220)을 형성하는 제4 돌출바(20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201),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 제3 돌출바(204), 제4 돌출바(205) 및 후술하는 제5 돌출바(206)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띠 드립(300)은, 용수 도관(100) 내의 용수의 유압이나 유량이 일정 이상 증가한 경우, 형상이 변형되어 유체감압 영역(220)을 흐르는 용수를 더욱 감압하게 된다. 반대로, 용수의 유압이나 유랑이 감소한 경우, 형상이 반대 방향으로 변형되어 유체감압 영역(220)을 흐르는 용수의 감압 정도를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수 도관(100) 내의 유압 등에 의해 띠 드립(300)이 형상 변형 가능하도록, 띠 드립(30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띠 드립(300)은 용수 도관(100)을 이루는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폴리에틸렌 수지에 고무가 첨가된 재질, 고무, 우레탄 및 비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덧붙여, 띠 드립(300)과 용수 도관(100) 사이의 융착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띠 드립(300)이 고무, 우레탄,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실질적으로 용수 도관(100)에 융착되는 상단부에는 용수 도관(100)을 구성하는 재질과 유사한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가 더 코팅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띠 드립(300)의 형상 변형 및 용수의 감압 정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이스 부재(201)는,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 제3 돌출바(204), 제4 돌출바(205) 및 후술하는 제5 돌출바(206)가 마련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대략 0.3 ~ 0.7mm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갖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201)의 일면에는 복수의 엠보싱 돌기(208)가 마련된다. 엠보싱 돌기(208)는 용수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여 용수의 유압을 감압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사각형, 사다리꼴 및 반원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덧붙여, 이러한 용수의 흐름을 더욱 방해하여 유압의 감압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 엠보싱 돌기(208)는 반원 형상보다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수는 복수의 엠보싱 돌기(208)의 사이 공간과 베이스 부재(201)와 용수 도관(10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용수 도관(100)의 유체유입 영역(210) 측으로 유입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엠보싱 돌기(208)는 베이스 부재(201)의 일면상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엠보싱 돌기(208)는 용수를 감압하는 실질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종래에는 용수를 감압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의 미로와 같은 구조가 마련되어 있어 성형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지만, 본 실시예는 간단히 엠보싱 돌기 구조를 통해 용수를 충분히 감압할 수 있으므로 미성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엠보싱 돌기(208)가 형성된 부분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와 제4 돌출바(205)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이 실질적으로 유체감압 영역(220)으로서 기능하는 바, 복수의 엠보싱 돌기(208)는 유체감압 영역(220)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는, 베이스 부재(201)의 일면상의 양측 가장 자리 영역에 베이스 부재(201)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한편,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는 기설정된 길이만큼 베이스 부재(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단위 드립(200)의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와 이웃하는 또 다른 단위 드립(200)의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의 사이 영역이 유체유입 영역(210)으로서 기능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돌출바(204)는, 용수 도관(100)에 유체 배출공(110)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의 내측 영역에서 베이스 부재(20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201)의 배면에서 제3 돌출바(204)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전술한 유체 배출공(110)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해 배면 돌출바(207)가 마련된다. 여기서, 한 쌍의 롤러(미도시) 사이로 띠 드립(300)이 부착된 용수 도관(100)을 인입한 후 배면 돌출바(207)에 의해 용수 도관(100)의 일측으로 더 돌출된 제3 돌출바(204)의 단부를 별도의 커팅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절단함으로써 유체 배출공(110)을 형성하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 가능한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는바 이하 부연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돌출바(205)는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와 더불어 유체감압 영역(220)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와 제4 돌출바(205)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공간에서는 유체유입 영역(210)을 통해 유입된 용수의 실질적인 감압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1)의 전체 영역 또는 유체감압 영역(220)에 해당하는 부분에 복수의 엠보싱 돌기(208)가 형성됨에 따라, 유체감압 영역(220)의 입구측으로 유입된 용수는 복수의 엠보싱 돌기(208)에 의해 원활한 유동 흐름이 일정 부분 구속되어 일정 이상 감압된 후 유체토출 영역(230)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감압 영역(220)의 길이(L1)는 용수 도관(100)의 내경 치수의 변동에 비례하여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용수 도관(100)의 내경 치수가 1이라면 유체감압 영역(220)의 길이(L1)는 1로 적용되고, 만약 용수 도관(100)의 내경 치수가 2라면 유체감압 영역(220)의 길이(L1)는 2로 적용된다.
한편, 제4 돌출바(205)의 돌출 단부가 용수 도관(100)의 내주면에 확실히 융착되지 못한 경우, 유체감압 영역(220) 내에서 감압된 용수는 유체 배출공(110)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용수 유동 진행 방향상 후방에 위치하는 또 다른 단위 드립(200)의 유체감압 영역(220)으로 진입되거나(over flow) 띠 드립(30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용수 도관(100)의 특정 유체 배출공(110)에서의 용수 배출압이 현격히 낮아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수의 유동 진행 방향상 제4 돌출바(205)의 후방에는, 제4 돌출바(205)와 이격되면서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 사이를 연결하는 제5 돌출바(206)가 더 마련된다.
물론, 베이스 부재(201)의 일면에 대한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 및 제4 돌출바(205)의 돌출 높이와 제5 돌출바(206)의 돌출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5 돌출바(206)의 돌출 단부는 마찬가지로 용수 도관(100)의 내주면에 융착을 통해 부착된다.
따라서, 일 예로 제4 돌출바(205)의 융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라도 제5 돌출바(206)에 의해 용수가 이웃한 후방의 단위 드립(200) 측으로 오버 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201), 제1 내지 제5 돌출바(202,203,204,205,206)로 이루어지는 띠 드립(300)은, 두개의 회전 가능한 성형 롤러(미도시) 사이로 일정 이상의 온도를 갖는 성형 재료를 투입하여 압출한 후 냉각하여 제조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두개의 성형 롤러 표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베이스 부재(201), 엠보싱 돌기(208), 제1 내지 제5 돌출바(202,203,204,205,206)에 대응하는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음각 구조가 마련된 부분으로 용융 상태의 고무액, 우레탄액, 비닐액 중 어느 하나를 투입함으로써 띠 드립(300)을 성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는 베이스 부재(201)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만약,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가 베이스 부재(201)의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마련된다면 전술한 성형 롤러에 의한 압출 성형시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의 형상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못해 성형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는 용수 도관(100)의 내주면에 융착되는 일부분으로서 그 형상 및 치수가 상당히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의 형상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못하면 유체감압 영역(220)을 제대로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가 베이스 부재(201)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마련되며, 베이스 부재(201)의 가장자리 단부와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 사이의 각각의 이격 거리(L2)는 대략 1 ~ 1.5mm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이격 거리(L2)가 1mm 미만일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1.5mm를 초과하는 경우 베이스 부재(201)의 폭이 정해진 상태에서 실질적인 유체감압 영역(220)의 좌우 폭 감소로 인해 용수의 감압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용수 도관(100) 내부를 유동하는 용수의 유압이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수 도관(100)을 따라 유동하는 용수의 압력이 1 kg/cm2 인 경우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201)는 벤딩되지 않은 초기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201),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 및 용수 도관(10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감압 영역(220)의 유로 단면적은 'A'가 된다. 이때, 용수 도관(100)의 유체 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되는 용수는 유체감압 영역(220)에서 감압된 후 대략 0.5 kg/cm2의 압력으로 배출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수 도관(100)을 따라 유동하는 용수의 압력이 2 kg/cm2 인 경우 압력 증가에 따라 띠 드립(300)은 탄성 변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부재(201)가 유압에 의해 블록하게 벤딩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201), 제1 및 제2 돌출바(202,203) 및 용수 도관(10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감압 영역(220)의 유로 단면적은 'B'가 된다. 여기서, 'B'의 면적은 용수 도관(100) 내의 용수 유압에 비례하여 'A'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게 된다. 이때, 용수 도관(100)의 유체 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되는 용수는 전자(前者)의 경우보다 좁아진 유체감압 영역(220)을 통과하면서 더욱 감압된 후 마찬가지로 대략 0.5 kg/cm2의 압력으로 배출된다. 즉, 본 실시예는, 띠 드립(300)이 유압에 의해 일정 이상의 형상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용수 도관(100) 내의 용수 유압이 적정 범위 내에서 변하더라도 최종 배출압은 대략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커다란 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띠 드립(300)은 일종의 벨로우즈 밸브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플렉시블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용수의 유압 변경시에도 최종 용수의 배출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일종의 압력 보상밸브로서 기능한다.
한편, 일 예로 용수 도관(100) 내의 용수 유압이 급격히 증가하여 탄성 재질인 띠 드립(300)이 용수 도관(100)이 내주면을 향해 급격하게 벤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띠 드립(300)이 급격히 벤딩되더라도 복수의 엠보싱 돌기(208)가 용수 도관(100)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띠 드립(300)과 용수 도관(100)의 내주면 사이의 상호 접촉 면적을 감소하여 표면 장력에 의해 띠 드립(300)이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엠보싱 돌기(208)가 미형성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201)가 용수 도관(100)의 내주면에 밀착하면 표면 장력에 의해 용수 도관(100) 내의 용수 유압이 감소하더라도 띠 드립(300)이 용수 도관(100)의 내주면으로부터 다시 원위치로 이격되기가 쉽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부재(201)에 복수의 엠보싱 돌기(208)에 마련됨으로써, 용수 도관(100) 내의 용수 유압이 급격히 증가하더라도 띠 드립(300)이 용수 도관(100)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용수 유압이 다시 작아지면 원위치로 복원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띠 드립(300)이 용수의 유압에 의해 형상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 타입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용수의 유압이 일정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경우에도 최종 토출되는 용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201)에 간단한 구조의 복수의 엠보싱 돌기(208)를 마련하여 용수를 감압함으로써, 종래보다 성형 롤러를 고속 회전하면서도 띠 드립(300)의 성형 불량 발생을 감소하여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용수 도관 200: 단위 드립
201: 베이스 부재
202,203,204,205,206: 제1 내지 제5 돌출바
208: 엠보싱 돌기 210: 유체유입 영역
220: 유체감압 영역 230: 유체토출 영역

Claims (8)

  1. 유체유입 영역, 유체감압 영역 및 유체토출 영역을 갖는 단위 드립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스트립 형태의 띠 드립이 내주면에 부착되는 용수 도관으로서,
    상기 띠 드립은, 상기 용수 도관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일정 이상의 형상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복수의 엠보싱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단위 드립은 일면에 상기 복수의 엠보싱 돌기가 마련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마련되며 상기 용수 도관의 내주면에 부착 가능한 제1 및 제2 돌출바;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용수 도관의 유체 배출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3 돌출바; 및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 사이의 내측 구간에 상기 유체감압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용수 도관의 내주면에 부착 가능한 제4 돌출바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 상기 제3 돌출바, 상기 제4 돌출바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수 도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유동 진행 방향상 상기 제4 돌출바의 후방에는, 상기 제4 돌출바와 이격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용수 도관의 내주면에 부착 가능한 제5 돌출바가 더 마련되는 용수 도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용수 도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돌기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상 전체 영역에 형성되는 용수 도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용수 도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 드립은 상기 용수 도관을 이루는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폴리에틸렌 수지에 고무가 첨가된 재질, 고무, 우레탄 및 비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수 도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돌기는, 사각형, 사다리꼴 및 반원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용수 도관.

KR1020120051146A 2012-05-14 2012-05-14 용수 도관 KR101218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146A KR101218325B1 (ko) 2012-05-14 2012-05-14 용수 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146A KR101218325B1 (ko) 2012-05-14 2012-05-14 용수 도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325B1 true KR101218325B1 (ko) 2013-01-21

Family

ID=4784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146A KR101218325B1 (ko) 2012-05-14 2012-05-14 용수 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3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964B1 (ko) * 2016-07-13 2018-10-08 소재용 용수도관용 드립
KR20200011254A (ko) 2018-07-24 2020-02-03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용수 도관용 띠 드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725B1 (ko) * 2004-10-18 2005-11-15 소재용 감압호스용 감압편
KR20050122084A (ko) * 2004-06-23 2005-12-28 소재용 감압호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084A (ko) * 2004-06-23 2005-12-28 소재용 감압호스
KR100528725B1 (ko) * 2004-10-18 2005-11-15 소재용 감압호스용 감압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964B1 (ko) * 2016-07-13 2018-10-08 소재용 용수도관용 드립
KR20200011254A (ko) 2018-07-24 2020-02-03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용수 도관용 띠 드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2757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JP6541220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CN202846859U (zh) 挤压成形装置
KR100970811B1 (ko) 디스크 형상 적하장치
KR101218325B1 (ko) 용수 도관
JPWO2020022115A1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JP4904372B2 (ja) 金属弾性ロール
KR100741845B1 (ko)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
JP6176909B2 (ja) トレッド部材、トレッド部材用押出金型およびタイヤの製造方法
KR101904964B1 (ko) 용수도관용 드립
KR20120131816A (ko) 인발성형용 금형
KR101512908B1 (ko) 차량용 시트 패드 성형을 위한 금형 내부 발포 가스 배기구
KR20130026087A (ko) 점적급수노즐 및 이를 갖는 점적급수호스
KR101363526B1 (ko) 점적비닐호스
JP2003225917A (ja) 成形型
JP2021029222A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KR101967042B1 (ko) 점적호스의 제조방법
TWI316898B (ko)
KR101754033B1 (ko) 이중토출구를 갖는 점적호스
KR101685250B1 (ko) 유로형성이 용이한 작물 재배용 점적호스
WO2021039831A1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CN210089210U (zh) 一种制冰机的冰模分流水管
KR101638952B1 (ko) 식출 방지를 위한 타이어 가류금형
KR20130138984A (ko) 다중 분사 튜브
KR100368578B1 (ko) 금형내부의 압출비를 조정하여 압출한 밴드 및 압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