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845B1 -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845B1
KR100741845B1 KR1020070036913A KR20070036913A KR100741845B1 KR 100741845 B1 KR100741845 B1 KR 100741845B1 KR 1020070036913 A KR1020070036913 A KR 1020070036913A KR 20070036913 A KR20070036913 A KR 20070036913A KR 100741845 B1 KR100741845 B1 KR 100741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mat
mat
conveyor
floor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채
Original Assignee
(주) 디유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유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 디유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3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845B1/ko
Priority to US12/596,352 priority patent/US8100680B2/en
Priority to CN2008800120805A priority patent/CN101678957B/zh
Priority to PCT/KR2008/001988 priority patent/WO200812700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8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8Endless belts
    • B29C2043/483Endless belts cooperating with a second endless belt, i.e. double band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2Floor coverings
    • B29L2031/7324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의 작업장 바닥면이나 각종 건물 또는 차량의 바닥면,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 바닥면 등에 설치되어 신체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하중을 최소화하고,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는 바닥 매트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는 바닥 매트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상형 및 하형이 일정크기로 규격화되어 각각 일정개수로 연접되어 조립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더블 컨베이어시스템에 바닥 매트의 원료가 연속적으로 주입되어 바닥 매트가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대량생산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형이나 하형 각각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바닥 매트의 크기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바닥 매트는 발포체 수지로 이루어져 탄성이 우수하고, 하면은 평평하게 이루어져 각종 건물의 바닥면에 밀착되며 상면은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으로 정해진 크기로 규격화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는 매트의 평평한 하면이 성형되도록 평평한 표면을 가진 상형들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상부 컨베이어를 이루고, 매트의 돌기가 형성된 상면이 성형되도록 복수개의 요홈이 표면에 배열된 하형들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하부 컨베이어를 이루며, 상하부 컨베이어 표면으로 매트원료 누출방지 및 표면층 형성을 위한 매트부착용 필름이 연속적으로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언코일러가 상하부 컨베이어의 전방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 컨베이어의 전단부로 발포체 수지가 공급되면, 언코일러에서 공급되는 매트부착용 필름을 매개로 상하부 컨베이어 표면 사이에 발포체 수지가 이송되면서 발포성형됨으로써 연속적으로 바닥 매트가 대량으로 제조된다.
바닥 매트, 컨베이어, 금형, 상형, 하형, 언코일러

Description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A manutacturing equipment adopted double conveyor system for floor m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바닥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의 하부 컨베이어를 이루는 제1단위하형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의 하부 컨베이어를 이루는 제2단위하형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의 하부 컨베이어의 부분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컨베이어 12, 22 : 슬라트판
20 : 하부 컨베이어 24 : 측판
30, 30' : 언코일러 40 : 단위상형
50 : 단위하형 52 : 요홈
54 : 제1단위하형 56 : 제2단위하형
58 : 가로대 60 : 발포체 수지 공급장치
70 : 매트부착용 필름 100 : 제조장치
200 : 바닥 매트 220 : 하면
240 : 상면 242 : 돌기
250 : 발포체 수지
본 발명은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바닥 매트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상형 및 하형이 일정크기로 규격화되어 각각 일정개수로 연접되어 조립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더블 컨베이어시스템을 바닥 매트의 원료가 통과하면서 바닥 매트가 제조됨으로써 바닥 매트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높아지고, 상형이나 하형 각각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바닥 매트의 크기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닥 매트는 산업현장의 작업장 바닥면이나 각종 건물 또는 차량의 바닥면,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 바닥면 등에 장시간 발을 딛고 있는 상태로 일함으로써 유발되는 신체의 피로누적 및 무릎, 허리 등 신체부위의 통증유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바닥에 흘러내린 물이나 기름 등의 액체에 의해 미끄러져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장이나 각종 건물 바닥면, 차량의 바닥면,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 바닥면 등에 깔아 놓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완충효과가 뛰어난 폴리우레탄 발포층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표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를 일정간격으로 형성시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한다.
바닥 매트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발명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5549호 "산업용 안전 매트"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발포층과; 클로로프렌고무, 니트릴고무, 하이팔론고무, 아크릴고무, 우레탄고무, 불소고무 또는 다황화고무 등과 같은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표면층으로 구성되어 내약품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53544호 "산업용 피로방지매트"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발포층과; 상기 발포층 상면에 결합되고 내면에 인쇄층이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열가소성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표면층으로 구성되어 작업장의 유제 등이 스며들지 않고, 표면층에 다양한 형상, 모양 및 색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36312호 "주방용 매트"는 쇼어 경도 A값이 8 내지 20이고 두께가 7.0 내지 20.0mm인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발포층(20)과, 상기 발포층(20)의 상부에 두께가 0.4 내지 1.0mm인 합성피혁이 접착되어 이루어진 표면층(30)으로 구성되어 피로방지 및 디자인 구현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바닥 매트는 일반적으로 넓은 면적의 바닥면에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비교적 큰 크기를 가지는데, 믹싱헤드(mixing head)에서 혼합된 발포체 원료를 금형에 주입하여 발포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서, 바닥 매트의 크기가 큼에 따라 바닥 매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도 대형화되어 설비투자비용이 높아졌고, 크기가 커진 금형에 의해 불량률이 높아졌으며, 바닥 매트의 크기가 더욱 커질 경우에는 금형제조가 불가능하게 생산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바닥 매트의 크기를 변경해야 할 경우에는 금형 자체를 일일이 교체해야 하였고, 이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많이 들어갔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바닥 매트의 제조장치는 금형에 단속적으로 발포체 수지가 주입된 후 발포성형되고, 성형된 매트를 다시 금형에서 외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거쳐 바닥 매트를 제조하는 방식이어서 제조시간이 비교적 길어 생산성이 그리 높지 않았다.
한편, 연속적으로 소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 하는 장치들이 안출되어 있는데,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6-0000480호 "건축용판재 제조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029320호 "폐타이어를 활용한 완충매트 제조장치방법 및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211701호 "고무매트의 연속 성형장치" 등이 있다.
상기 "건축용판재 제조장치"는 판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측에서 파이프를 통해 합성시멘트몰탈을 공급받되, 내부하방에 한쌍의 회전로울러를 보유하는 공급수단과; 가이드부재에 끼워지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판의 편심지점에 연결된 커넥팅로드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하도록 된 다지기날을 보유하는 다지기수단과;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로울러를 차례로 배열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타이어를 활용한 완충매트 제조장치방법 및 제조방법"는 아파트건축물의 거실(방)바닥층에 매설되는 폐타이어 완충매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본체에서 구동기어에 의해 횡으로 이동하게 되며, 각각의 전기히터가 설치된 "ㄷ자상" 하금형구들을 연결대로 연결한 무한궤도 하금형과, 상기의 무한궤도하금형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맞물리게 되며, 전기히터가 설치된 원통상 상금형과, 상기의 무한궤도하금형상에 하면후포지를 공급하는 하면후포지공급롤과, 가소제를 혼련한 폐타이어고무칩을 공급하는 공급호퍼와, 상면망상지를 공급하는 상면망상지공급롤과, 하면후포지상에 투하된 가소제를 혼련한 폐타이어고무칩을 균등하게 정연하는 정연롤이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매트의 연속 성형장치"는 컨베이어 상에서 롤상의 카페트를 풀면 서 활성분말을 이용한 고무 패드와 합포시키고 패드상에 돌기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혼합기로 공급되는 활성분말 상태의 고무를 박판의 매트로 성형하는 카렌더; 상기 패드에 카페트를 합포한 상태에서 패드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도록 상기 카렌더의 하류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패드의 일면에 돌기를 연속적으로 성형하도록 상기 히터의 하류에 설치되는 성형롤러; 상기 패드상에 가황하도록 상기 성형롤러의 하류에 설치되는 히트챔버; 및 상기 패드와 카페트를 급속하게 냉각시켜 권취롤에 감도록 상기 히트챔버의 하류에 설치되는 냉각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제품 성형장치는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함에 따라 대량의 제품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는데, 이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바닥 매트의 제조에 적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개발도 현재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바닥 매트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상형 및 하형이 일정크기로 규격화되어 각각 일정개수로 연접되어 조립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더블 컨베이어시스템을 바닥 매트의 원료가 통과하면서 바닥 매트가 제조됨으로써 바닥 매트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바닥 매트의 더 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하부 컨베이어를 이루고 있는 다수개의 상형이나 하형 각각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바닥 매트의 크기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발포체 수지로 이루어져 탄성이 우수하고, 하면은 평평하게 이루어져 각종 건물의 바닥면에 밀착되며 상면은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정해진 크기로 규격화된 바닥 매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평평한 하면이 성형되도록 평평한 표면을 가진 상형들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상부 컨베이어를 이루고, 상기 매트의 돌기가 형성된 상면이 성형되도록 복수개의 요홈이 표면에 배열된 하형들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하부 컨베이어를 이루며,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 표면으로 매트부착용 필름이 연속적으로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언코일러가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전단부로 발포체 수지가 공급되되, 상기 언코일러에서 공급되는 상기 매트부착용 필름을 매개로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 표면 사이에 이송되면서 발포성형됨으로써 연속적으로 바닥 매트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에서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하형은 복수개의 요홈이 표면에 배열된 제1단위하형과, 복수개의 요홈이 배열된 표면의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단부형성용 가로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바닥 매트의 전후방 단부의 형상이 성형되는 제2단위하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단위하형 사이에 배열되는 상기 제1단위하형의 개수가 조절되어 바닥 매트의 전후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는 신체의 피로를 방지하고 근골격통을 예방하기 위하여 바닥 매트는 산업현장의 작업장 바닥면이나 각종 건물 또는 차량의 바닥면,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 바닥면 등에 설치되는 바닥 매트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는 바닥 매트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상형 및 하형이 일정크기로 규격화되어 각각 일정개수로 연접되어 조립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더블 컨베이어시스템을 바닥 매트의 원료가 통과하면서 바닥 매트가 제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상하부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더블 컨베이어시스템이 금형과 이송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바닥 매트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하부 컨베이어를 이루고 있는 다수개의 상형이나 하형 각각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바닥 매트의 크기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바닥 매트의 제조장치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바닥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의 하부 컨베이어를 이루는 제1단위하형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의 하부 컨베 이어를 이루는 제2단위하형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의 하부 컨베이어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100)는 더블 컨베이어시스템을 이루는 상하부 컨베이어(10)(20)와, 상하부 컨베이어(10)(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언코일러(30)(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바닥 매트(200)는 정해진 크기로 규격화되어 있는데, 발포체 수지(250)로 이루어져 탄성이 우수하고, 하면(220)은 평평하게 이루어져 각종 건물의 바닥면에 밀착되며 상면(240)은 다수개의 돌기(242)가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바닥 매트(200)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100)의 기술적 특징은 바닥 매트(200)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상형 및 하형이 연접되어 이루어지는 상하부 컨베이어(10)(20)의 구성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에서 상하부 컨베이어(10)(20)는 바닥 매트(200)의 원료인 발포체 수지(250)를 이송하는 기능과 더불어 발포체 수지(250)를 바닥 매트(200)를 성형하는 금형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하부 컨베이어(10)(20)는 바닥 매트(200)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상형과 하형을 각각 이루게 되는데, 바닥 매트(200)의 전체형상에 맞추어 하나 의 상형과 하형으로 하나의 바닥 매트(200)가 성형되도록 하거나, 하나의 바닥 매트(200)를 일정하게 분할하여 이루어진 분할형상에 대응되게 규격화된 단위상형(40)과 단위하형(50)을 제조하여, 다수개의 단위상형(40)과 단위하형(50)을 각각 조합함으로써 하나의 바닥 매트(200)가 성형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100)에서는 하나의 바닥 매트(200)의 분할형상에 대응되게 규격화된 단위상형(40)과 단위하형(50)이 각각 조합되어 하나의 바닥 매트(200)에 대응되는 금형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바닥 매트(200)의 크기가 비교적 크고, 필요에 따라 바닥 매트(2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규격화된 단위상형(40) 및 단위하형(50)이 각각 다수개 배열되어 조립되어 하나의 바닥 매트(200)를 성형하는 금형을 형성시키므로, 배열되어 조립되는 단위상형(40)이나 단위하형(5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바닥 매트(2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100)에서는 바닥 매트(200)의 평평한 하면(220)은 상부 컨베이어(10)에서 성형되도록 하고, 바닥 매트(200)의 돌기(242)가 형성된 상면(240)은 하부 컨베이어(20)에서 성형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바닥 매트(200)의 평평한 하면(220)이 성형되는 상부 컨베이어(10)는 표면이 평평한 평판형태의 단위상형(40)이 일렬로 연접되게 배열되어 이 루어지고, 바닥 매트(200)의 돌기(242)가 형성된 상면(240)이 성형되는 하부 컨베이어(20)는 돌기(242)와 대응되는 형상의 요홈(52)이 형성된 단위하형(50)이 일렬로 연접되게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단위상형(40)과 단위하형(50)은 도 3의 (b)와 같이 상하부 컨베이어(10)(20)의 프레임을 이루는 슬라트판(12)(22)의 일측 표면에 결합되는데, 단위상형(40)의 경우 표면이 평평한 평판형태이므로, 도 3의 (a)와 같이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지 않고 슬라트판(12) 자체의 평평한 표면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하부 컨베이어(10)(20) 사이 공간으로 주입되는 발포체 수지(250)의 측면성형을 위해 상하부 컨베이어(10)(20) 사이 공간의 양측부로 측판(24)이 상하부 컨베이어(10)(20)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상부 컨베이어(10) 또는 하부 컨베이어(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단위상형(40)과 단위하형(50) 각각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하부 컨베이어(10)(20)를 형성시키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029320호 "폐타이어를 활용한 완충매트 제조장치방법 및 제조방법" 등에서 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하부 컨베이어(10)(20) 사이 공간으로 바닥 매트(200)를 이루는 발포체 수지(250)가 액상으로 주입되어 상하부 컨베이어(10)(20) 에 의해 이송되는데, 이와 같은 이송과정에서 발포체 수지(250)가 점차 부풀어올라 상하부 컨베이어(10)(20) 내에서 의해 바닥 매트(200)로 발포성형되게 된다.
여기서, 상하부 컨베이어(10)(20)에 의해 이송되면서 성형되는 바닥 매트(200)는 일정길이의 개체로 분리되지 않은 연속체이므로, 바닥 매트(200)의 길이에 맞게 이를 분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하부 컨베이어(20)의 단위하형(50)은 복수개의 요홈(52)이 표면에 배열된 제1단위하형(54)과, 복수개의 요홈(52)이 배열된 표면의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단부형성용 가로대(58)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바닥 매트(200)의 전후방 단부의 형상이 성형되는 제2단위하형(56)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부형성용 가로대(58)는 상하부 컨베이어(10)(20) 사이 간격보다 약간 낮게 돌출되어 발포체 수지(250)가 단부형성용 가로대(58)를 통과하여 계속적으로 발포성형될 수 있도록 하되, 단부형성용 가로대(58) 사이로 바닥 매트(200)가 경사면을 이루며 성형됨으로써 바닥 매트(200)의 전후방 단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닥 매트(200)가 형상적으로 분할되어 후처리단계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 컨베이어(10)(20) 사이 공간의 양측부로 측판(24)이 상하부 컨베이어(10)(20)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상부 컨베이어(10) 또는 하부 컨베이어(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길이가 다른 측판(24)을 교체하 여 상하부 컨베이어(10)(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킴으로써, 바닥 매트(200)의 좌우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단위하형(56) 사이에 배열되는 제1단위하형(54)의 개수가 조절되어 바닥 매트(200)의 전후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단위하형(56)의 가로대(58)에는 구동액추에이터와 연결된 커터가 폭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커터는 상하부 컨베이어(10)(20)의 구동과정에서 일정 시간간격으로 가로대(58) 표면에서 순간적으로 상승하면서 연질의 발포체 수지(250)을 통과하여 상부 컨베이어(10)에 밀착됨으로써 연속체로 이송되는 바닥 매트(200)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100)에서 상하부 컨베이어(10)(20) 사이 공간을 통과하며 발포성형되는 발포체 수지(250)는 액상으로 최초 공급되는 경우가 많음에 따라 성형과정에서 상하부 컨베이어(10)(20)의 상형이나 하형 내부로 누출되어 상형이나 하형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100)는 상하부 컨베이어(10)(20)의 전방부에 각각 언코일러(30)(30')가 설치되고 언코일러(30)(30')에는 TPU 필름이 주로 사용되는 매트부착용 필름(70)이 권취된다.
이에 따라 언코일러(30)(30')로부터 매트부착용 필름(70)이 상하부 컨베이어(10)(20)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펼쳐지고, 상하부 컨베이어(10)(20)의 표면상으 로 펼쳐지는 매트부착용 필름(70) 사이로 발포체 수지(250)가 공급되어 매트부착용 필름(70)을 매개로 상하부 컨베이어(10)(20)의 상형과 하형에 발포체 수지(250)가 밀착됨으로써 상하부 컨베이어(10)(20)의 상형이나 하형으로 발포체 수지(250)가 누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매트부착용 필름(70)은 발포체 수지(250)로 이루어지는 바닥 매트(200)의 상하 표면에 부착되는데, 바닥 매트(200)가 완성되면, 바닥 매트(200)의 하면(220)에 부착된 매트부착용 필름(70)은 떼어 내어 작업장 또는 건물 바닥면에 원활하게 바닥 매트(2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바닥 매트(200)의 상면(240)에 부착된 매트부착용 필름(70)은 그대로 두어 바닥 매트(200)의 상면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매트부착용 필름(70)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53544호 "산업용 피로방지매트"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하부 컨베이어(20)의 표면으로 공급되는 매트부착용 필름(70)이 권취된 언코일러(30)가 선단에 설치되고,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발포체 수지 공급장치(60)가 설치되어 발포체 수지(250)를 공급하며, 발포체 수지 공급장치(60)에 근접되어 하부 컨베이어(20)가 설치되어 발포체 수지 공급장치(60)로부터 공급된 발포체 수지(250)가 이송된다.
그리고, 하부 컨베이어(20)의 상측으로 바닥 매트(200)의 두께와 동일한 거 리만큼 이격된 상부 컨베이어(10)가 설치되는데, 상부 컨베이어(10)의 선단부 상측에 상부 컨베이어(10)의 표면으로 공급되는 매트부착용 필름(70)이 권취된 언코일러(30)가 설치된다.
하부 컨베이어(20)로 이송되는 발포체 수지(250)는 매트부착용 필름(70)을 매개로 상하부 컨베이어(10)(20)의 사이로 이송되는데, 상부 컨베이어(10)와 하부 컨베이어(20) 사이 공간으로 주입되면서 부풀어 오르면서 바닥 매트(200)의 상면을 이루는 돌기(242)를 성형하며 규격화된 바닥 매트(200)를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부 컨베이어(10)(20)로 이루어지는 더블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발포체 수지(250)의 이송과 성형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간편하게 신속하게 바닥 매트(200)가 제조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에 의하면, 바닥 매트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상형 및 하형이 일정크기로 규격화되어 각각 일정개수로 연접되어 조립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더블 컨베이어시스템을 바닥 매트의 원료가 통과하면서 바닥 매트가 제조됨으로써 바닥 매트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하부 컨베이어를 이루고 있는 다수개의 상형이나 하형 각각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바닥 매트의 크기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2)

  1. 발포체 수지로 이루어져 탄성이 우수하고, 하면은 평평하게 이루어져 각종 건물의 바닥면에 밀착되며 상면은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정해진 크기로 규격화된 바닥 매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평평한 하면이 성형되도록 평평한 표면을 가진 상형들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상부 컨베이어를 이루고, 상기 매트의 돌기가 형성된 상면이 성형되도록 복수개의 요홈이 표면에 배열된 하형들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하부 컨베이어를 이루며,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 표면으로 매트부착용 필름이 연속적으로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언코일러가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전단부로 발포체 수지가 공급되되, 상기 언코일러에서 공급되는 상기 매트부착용 필름을 매개로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 표면 사이에 이송되면서 발포성형됨으로써 연속적으로 바닥 매트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하형은 복수개의 요홈이 표면에 배열된 제1단위하형과, 복수개의 요홈이 배열된 표면의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단부형성용 가로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바닥 매트의 전후방 단부의 형상이 성형되는 제2단위하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단위하형 사이에 배열되는 상기 제1단위하형의 개수가 조절되어 바 닥 매트의 전후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
KR1020070036913A 2007-04-16 2007-04-16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 KR100741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913A KR100741845B1 (ko) 2007-04-16 2007-04-16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
US12/596,352 US8100680B2 (en) 2007-04-16 2008-04-08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oor mat using double conveyor system
CN2008800120805A CN101678957B (zh) 2007-04-16 2008-04-08 采用双传送带系统制造地垫的设备
PCT/KR2008/001988 WO2008127008A1 (en) 2007-04-16 2008-04-08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oor mat using double convey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913A KR100741845B1 (ko) 2007-04-16 2007-04-16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845B1 true KR100741845B1 (ko) 2007-07-23

Family

ID=3849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913A KR100741845B1 (ko) 2007-04-16 2007-04-16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00680B2 (ko)
KR (1) KR100741845B1 (ko)
CN (1) CN101678957B (ko)
WO (1) WO200812700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79B1 (ko) 2007-03-30 2008-02-27 주식회사 승주 우레탄패널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38210B1 (ko) 2008-04-08 2010-01-22 (주) 디유티코리아 폴리우레탄패널 마감재 제조장치
KR100963494B1 (ko) * 2009-09-17 2010-06-17 (주) 디유티코리아 폴리우레탄패널 마감재
CN104684382A (zh) * 2012-10-02 2015-06-03 巴斯夫欧洲公司 由膨胀的热塑性聚氨酯颗粒泡沫制成的隔间地板覆盖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0850B2 (en) 2010-06-02 2014-12-30 Eco Product Group LLC Antimicrobial colloidal silver produc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902125B2 (en) 2011-03-24 2018-02-27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Methods for making an exercise mat
CN104114369A (zh) * 2011-12-28 2014-10-22 加拿大露露柠檬运动用品有限公司 运动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238A (ko) * 1988-03-29 1989-10-23 나까지마 미쓰루 섬유 강화열경화성수지 성형재료의 제조방법
JPH04133704A (ja) * 1990-09-26 1992-05-07 Sekisui Chem Co Ltd 繊維強化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KR19980020921A (ko) * 1996-09-13 1998-06-25 박원훈 성형 롤러, 배출 롤러 및 성형 벨트를 사용한 성형기
JP2002326243A (ja) 2001-05-02 2002-11-12 Dainippon Printing Co Ltd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7413A (en) * 1974-01-25 1976-05-18 Lieberman Abraham B Apparatus for producing high-speed production of a pressure generating product
US4043719A (en) * 1976-01-02 1977-08-23 The Celotex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rigid foam plastic laminated board
US4285654A (en) * 1978-06-12 1981-08-25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Apparatus for continuous tread production
US5453231A (en) * 1993-10-29 1995-09-26 Nrg Barri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oam product with venting channels and product therefrom
US5695848A (en) * 1994-12-21 1997-12-09 Nicofibers, Inc. Panel formed from molded fiberglass stran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238A (ko) * 1988-03-29 1989-10-23 나까지마 미쓰루 섬유 강화열경화성수지 성형재료의 제조방법
JPH04133704A (ja) * 1990-09-26 1992-05-07 Sekisui Chem Co Ltd 繊維強化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KR19980020921A (ko) * 1996-09-13 1998-06-25 박원훈 성형 롤러, 배출 롤러 및 성형 벨트를 사용한 성형기
JP2002326243A (ja) 2001-05-02 2002-11-12 Dainippon Printing Co Ltd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板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79B1 (ko) 2007-03-30 2008-02-27 주식회사 승주 우레탄패널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38210B1 (ko) 2008-04-08 2010-01-22 (주) 디유티코리아 폴리우레탄패널 마감재 제조장치
KR100963494B1 (ko) * 2009-09-17 2010-06-17 (주) 디유티코리아 폴리우레탄패널 마감재
CN104684382A (zh) * 2012-10-02 2015-06-03 巴斯夫欧洲公司 由膨胀的热塑性聚氨酯颗粒泡沫制成的隔间地板覆盖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7008A1 (en) 2008-10-23
US8100680B2 (en) 2012-01-24
US20100129481A1 (en) 2010-05-27
CN101678957A (zh) 2010-03-24
CN101678957B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845B1 (ko) 바닥 매트의 더블 컨베이어형 제조장치
US20210086413A1 (en) Method for molding three-dimensional foam products using a continuous forming apparatus
CA235046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vacuum forming shaped polymeric articles
US7211206B2 (en) Continuous forming system utilizing up to six endless belts
KR100627145B1 (ko) 내부 공동구조체를 구비한 연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US20110023332A1 (en) Shoe Outsole Made Using Composite Sheet Material
US3819781A (en) Textured surface,cellular core sheet material
CN107000348A (zh) 用于连续轮胎胎面挤压、模制和硫化的系统
CN107839135B (zh) 连续式混彩弹性垫体制造方法
KR100986438B1 (ko) 재생열가소성탄성체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다층점자블록및 그 제조방법
JPH01156022A (ja) 長尺コグ付きvベルトの製造方法
KR200450982Y1 (ko) 발포성 수지의 박판과 lld필름의 합지장치
KR200296306Y1 (ko) 매트용 넌슬립 시트 제조장치
CN107839140B (zh) 具有多纹路性的发泡垫体制程
WO2023108308A1 (zh) 供铺设在运动场地使用的预铸式聚氨酯表层的制备方法
US20150375489A1 (en) Flexible carpet cushion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U763581B2 (en) Extrusion
CN115366452A (zh) 一种链模一体装饰片材生产线
TW201808586A (zh) 具有多紋路性之發泡墊體製程
TWM453581U (zh) 塑膠彈性體成型裝置及其成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