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254A - 용수 도관용 띠 드립 - Google Patents

용수 도관용 띠 드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254A
KR20200011254A KR1020180086119A KR20180086119A KR20200011254A KR 20200011254 A KR20200011254 A KR 20200011254A KR 1020180086119 A KR1020180086119 A KR 1020180086119A KR 20180086119 A KR20180086119 A KR 20180086119A KR 20200011254 A KR20200011254 A KR 20200011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uide
drip
decompression
dischar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010B1 (ko
Inventor
소재용
Original Assignee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010B1/ko
Priority to PCT/KR2019/008621 priority patent/WO2020022677A1/ko
Publication of KR2020001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02A40/23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용수 도관의 내면에 융착되는 띠 드립을 거쳐 용수 도관의 배출공을 통하여 용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용수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분사되면서 용수 도관을 타고 흐르는 것이 아니라 배출공으로부터 월류(越流) 되면서 용수 도관의 일면을 타고 직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띠 드립의 드립부에 형성되는 감압로의 끝단에 위치하는 감압돌기에 띠 본체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그 감압돌기로부터 배출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도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로; 상기 가이드로 끝단에 그 가이드로로부터 유도된 용수를 배출공간 측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형성되는 전환 가이드; 및 상기 유도 가이드 또는 유도 가이드와 전환 가이드 사이에 상기 배출공간과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연결로;를 포함하는 용수 도관용 띠 드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라 용수의 공급량을 최소화하면서 농작물의 재배 효율성은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용수 도관용 띠 드립{The belt drip for emitting pipe}
본 발명은 용수 도관용 띠 드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수 도관의 내면에 융착되는 띠 드립을 거쳐 용수 도관의 배출공을 통하여 용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용수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분사되면서 용수 도관을 타고 흐르는 것이 아니라 배출공으로부터 월류(越流) 되면서 용수 도관의 일면을 타고 직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 용수 도관용 띠 드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 도관은 넓은 대지에 심어진 농작물에 적정하게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농작물이 심어진 위치에 용수를 공급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각각의 배출공이 형성된다.
아울러 용수 도관의 용수를 펌프 등의 압력에 의해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펌프와 가깝거나 먼 위치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용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양의 용수가 배출되도록 배출공에는 용수의 압력을 감압하여 공급하도록 드립(drip)이 마련된다.
드립은 배출공의 밑면에 융착되는 편 형태의 편 드립과,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는 띠 형태의 띠 드립으로 나뉜다.
본원에서는 드립 중 띠 드립에 적용되는 일 예로 설명한다.
종래 일반적인 띠 드립(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 도관(200)에 일정간격 두고 형성되는 배출공(202)과 배출공(202)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 용수 도관의 내면에 융착되는 띠 본체(110)에 각각의 드립부(120)가 형성된다.
드립부(120)는 복수 개의 돌기(122A) 사이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로(122)와, 상기 유입로(122)를 거쳐 유입된 용수의 압력을 감압하도록 하나 건너 하나씩 어긋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감압돌기(124A)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로(124)와, 상기 감압로(124) 끝단 상기 배출공(202)의 하부에 위치하여 용수가 모여지는 배출공간(125)과, 상기 배출공간(125)의 상면과 밑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바(126)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돌출 바(126)는 용수 도관(200)에 배출공(202)을 타공할 때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띠 드립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2872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감압호스('용수 도관'에 해당)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각 감압편을 하나의 유니트화하여 띠 형태를 이루는 하나의 몸체 상에서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감압호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나 유입량 변화에 상관없이 각 유니트의 물유입구와 감압돌기 및 배출구, 그리고 상기 배출구 상의 감압호스에 형성되는 분출공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감압호스용 감압편과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832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배관('용수 도관'에 해당) 내부를 유동하는 용수의 유압 변동시 이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압이 변동하는 경우에도 최종 토출되는 용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드립이 구비된 용수 도관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748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유로를 가져서 유체의 감압효과가 탁월한 용수 도관용 드립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287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83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7489호
그러나 종래 통상적인 띠 드립은 물론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에 게시된 띠 드립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 도관의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수가 그 배출공의 직하부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배출공까지 용수 도관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감으로써, 배출공의 하부에 위치한 농작물로의 용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즉, 띠 드립의 배출공간과 용수 도관의 내면 사이의 공간은 상당히 협소함은 물론 배출공간으로 모여진 용수 또한 소정의 압력을 가짐에 따라 배출공간 내의 용수가 배출공을 벗어나는 시점에서 용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분사되듯이 배출됨에 따라 용수 도관의 외측면을 타고 흐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용수 도관의 내면에 융착되는 띠 드립을 거쳐 용수 도관의 배출공을 통하여 용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용수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분사되면서 용수 도관을 타고 흐르는 것이 아니라 배출공으로부터 월류(越流) 되면서 용수 도관의 일면을 타고 직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 용수 도관용 띠 드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용수가 점적 형태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용수 도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출공과 배출공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 용수 도관의 내면에 융착되는 띠 본체에 복수 개의 돌기 사이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를 거쳐 유입된 용수의 압력을 감압하도록 하나 건너 하나씩 어긋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감압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로와, 상기 감압로 끝단 상기 배출공의 하부에 위치하여 용수가 모여지는 배출공간과, 상기 배출공간의 상면과 밑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바를 포함하는 각각의 드립부를 포함하는 띠 드립으로서, 상기 감압로의 끝단에 위치하는 감압돌기에 상기 띠 본체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그 감압돌기로부터 배출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도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로; 상기 가이드로 끝단에 그 가이드로로부터 유도된 용수를 배출공간 측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형성되는 전환 가이드; 및 상기 유도 가이드 또는 유도 가이드와 전환 가이드 사이에 상기 배출공간과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연결로;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로의 폭은 감압로에서 감압 된 용수의 압력이 더 감압 되도록 상기 감압로의 끝단 폭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 가이드는 가이드로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전환 가이드의 끝단은 배출공간 측으로 유도 가이드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의 내주(內周)는 전환 가이드의 끝단과 접하거나 겹쳐지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용수 도관의 내면에 융착되는 띠 드립을 거쳐 용수 도관의 배출공을 통하여 용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용수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분사되면서 용수 도관을 타고 흐르는 것이 아니라 배출공으로부터 월류(越流) 되면서 용수 도관의 일면을 타고 직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의 공급량을 최소화하면서 농작물의 재배 효율성은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용수가 점적 형태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작물로의 용수 공급 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용수 도관에 융착된 상태에서 용수가 배출되는 것을 촬영한 사진,
도 5는 종래 일반적인 띠 드립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띠 드립이 용수 도관에 융착된 상태에서 용수가 배출되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용수 도관에 융착된 상태에서 용수가 배출되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띠 드립(100)은 용수 도관(200)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출공(202)과 배출공(202)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 용수 도관(200)의 내면에 융착되는 띠 본체(110)에 복수 개의 돌기(122A) 사이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로(122)와, 상기 유입로(122)를 거쳐 유입된 용수의 압력을 감압하도록 하나 건너 하나씩 어긋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감압돌기(124A)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로(124)와, 상기 감압로(124) 끝단 상기 배출공(202)의 하부에 위치하여 용수가 모여지는 배출공간(125)과, 상기 배출공간(125)의 상면과 밑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바(126)를 포함하는 각각의 드립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띠 드립(100)에서의 가장 큰 기술적 관건은 용수 도관(200)의 배출공(202)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수가 그 자리의 직하부로 점적 형태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다.
허 나, 일반적인 띠 드립의 경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띠 드립의 배출공간과 용수 도관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상당히 협소함은 물론 배출공간으로 모여진 용수 또한 소정의 압력을 가짐에 따라 배출공간 내의 용수가 배출공을 벗어나는 시점에서 용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분사되듯이 배출됨에 따라 용수 도관의 외측면을 타고 흐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로 인해 배출공의 하부에 위치한 농작물에는 정작 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불필요한 많은 양의 용수가 사용됨은 물론 농작물의 재배 효율성 또한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용수 도관의 내면에 융착되는 띠 드립을 거쳐 용수 도관의 배출공을 통하여 용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용수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분사되면서 용수 도관을 타고 흐르는 것이 아니라 배출공으로부터 월류(越流) 되면서 용수 도관의 일면을 타고 직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띠 드립(100)은 상기 감압로(124)의 끝단에 위치하는 감압돌기(124A)에 상기 띠 본체(11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그 감압돌기(124A)로부터 배출공간(12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도 가이드(12)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로(10)와; 상기 가이드로(10) 끝단에 그 가이드로(10)로부터 유도된 용수를 배출공간(125) 측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형성되는 전환 가이드(20); 및 상기 유도 가이드(12) 또는 유도 가이드(12)와 전환 가이드(20) 사이에 상기 배출공간(125)과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연결로(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로(10)의 폭(W)은 감압로(124)에서 감압 된 용수의 압력이 더 감압 되도록 상기 감압로(124)의 끝단 폭(w)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감압로를 경유한 용수가 배출공간으로 직접 모인 후 일정압력이 발생됨으로 인해 용수가 배출공을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분사되어 용수 도관의 외측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용수 도관의 일면을 타고 직하부로 점적 형태로 떨어지게 한다.
즉, 감압로를 경유한 용수는 띠 본체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유도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로에 유입된다. 이때, 가이드로의 폭은 감압로의 끝단 폭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감압로에서 감압된 용수의 압력을 더 감압시킨다.
이렇게, 가이드로를 거치는 용수는 다시 전환 가이드에 의해 용수가 흐르는 방향이 아닌 직교되는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연결로를 통하여 배출공간으로 유입되어 모여지게 된다.
그로 인해 배출공간에 모여진 용수는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시점에서 용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이 아니라 배출공의 어느 일측 용수 도관의 측면을 타고 직하부로 흘러 점적 형태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어느 일측은 용수가 최초 흘러 내리는 부분을 말한다.
즉, 배출공간으로 모여진 용수는 감압로 보다 더 낮은 압력을 가짐은 물론 용수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용수가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용수가 공급되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 후 배출공간으로 모인 후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용수는 분사되는 형태가 아닌 배출공에서 월류(越流) 된 형태로 배출되어 그 배출공의 일측 용수 도관의 측면을 타고 직하부로 흘러 점적 형태로 떨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배출공의 하부에 심어진 농작물로의 용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즉 용수의 압력을 더 감압함과 동시에 용수의 공급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용수의 흐름을 전환 시킴으로써, 띠 드립에서의 가장 큰 기술적 관건인 용수 도관의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수를 그 직하부로 흘러 점적 형태로 원활하게 떨어지도록 하는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그로 인해 농작물의 성장은 물론 수확 효율성을 더욱더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용수 공급 또한 농작물로 정확하게 공급함에 따라 불필요한 양 없이 최적의 양으로 공급이 이루어져, 용수의 사용량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한편, 상기 전환 가이드(20)는 가이드로(10)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로부터 유도되는 용수가 전환 가이드와 접촉시의 충격을 더 저감(低減)시킨 후 배출공간 측으로의 방향 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용수는 경사지게 형성된 전환 가이드와 접촉시 그 용수가 유도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의해 충격이 감소 됨과 아울러 그 경사면을 타고 배출공간 측으로 방향 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환 가이드(20)의 끝단은 배출공간(125) 측으로 유도 가이드(12)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전환 가이드와 접촉된 후 방향 전환된 용수가 배출공간 측으로의 안내가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환 가이드의 끝단이 유도 가이드의 위치 보다 짧을 경우, 가이드로를 유도된 용수가 배출공간 측으로의 방향 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유도 가이드가 위치한 위치 보다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출공(202)의 내주(內周)는 전환 가이드(20)의 끝단과 접하거나 겹쳐지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배출공의 내주가 전환 가이드의 끝단과 멀게 형성되면,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수가 용수의 공급되는 반대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음은 물론 전환 가이드와 겹쳐질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용수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출공의 내주는 전환 가이드의 접하거나 겹쳐지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가이드로 12 : 유도 가이드
20 : 전환 가이드 30 : 연결로
100 : 띠 드립
110 : 띠 본체 120 : 드립부
122 : 유입로 122A : 돌기
124 : 감압로 124A : 감압돌기
125 : 배출공간 126 : 돌출 바
200 : 용수 도관 202 : 배출공

Claims (5)

  1. 용수 도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출공과 배출공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 용수 도관의 내면에 융착되는 띠 본체에 복수 개의 돌기 사이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를 거쳐 유입된 용수의 압력을 감압하도록 하나 건너 하나씩 어긋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감압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로와, 상기 감압로 끝단 상기 배출공의 하부에 위치하여 용수가 모여지는 배출공간과, 상기 배출공간의 상면과 밑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바를 포함하는 각각의 드립부를 포함하는 띠 드립으로서,
    상기 감압로의 끝단에 위치하는 감압돌기에 상기 띠 본체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그 감압돌기로부터 배출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도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로;
    상기 가이드로 끝단에 그 가이드로로부터 유도된 용수를 배출공간 측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형성되는 전환 가이드; 및
    상기 유도 가이드 또는 유도 가이드와 전환 가이드 사이에 상기 배출공간과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연결로;를 포함하는 용수 도관용 띠 드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의 폭은 감압로에서 감압 된 용수의 압력이 더 감압 되도록 상기 감압로의 끝단 폭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용수 도관용 띠 드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가이드는 가이드로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용수 도관용 띠 드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가이드의 끝단은 배출공간 측으로 유도 가이드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용수 도관용 띠 드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의 내주(內周)는 전환 가이드의 끝단과 접하거나 겹쳐지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용수 도관용 띠 드립.
KR1020180086119A 2018-07-24 2018-07-24 용수 도관용 띠 드립 KR102191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119A KR102191010B1 (ko) 2018-07-24 2018-07-24 용수 도관용 띠 드립
PCT/KR2019/008621 WO2020022677A1 (ko) 2018-07-24 2019-07-12 용수 도관용 띠 드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119A KR102191010B1 (ko) 2018-07-24 2018-07-24 용수 도관용 띠 드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254A true KR20200011254A (ko) 2020-02-03
KR102191010B1 KR102191010B1 (ko) 2020-12-15

Family

ID=6918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119A KR102191010B1 (ko) 2018-07-24 2018-07-24 용수 도관용 띠 드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1010B1 (ko)
WO (1) WO20200226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244B1 (ko) * 2022-05-17 2023-02-08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하나의 분출공 상에 두 개의 배출홈을 가지는 용수공급용 점적호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7102A (zh) * 2020-05-21 2020-09-15 胡伟峰 一种防堵塞节水滴灌系统及其灌溉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0167A1 (en) * 1997-05-06 1998-11-12 T-Systems International, Inc. Pressure-compensating drip irrigation hos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100528725B1 (ko) 2004-10-18 2005-11-15 소재용 감압호스용 감압편
KR20050122084A (ko) * 2004-06-23 2005-12-28 소재용 감압호스
KR101218325B1 (ko) 2012-05-14 2013-01-21 소재용 용수 도관
CN104604643A (zh) * 2015-01-22 2015-05-13 平果县新农节水有限公司 一种内镶式抗堵双孔滴灌带
KR20180007489A (ko) 2016-07-13 2018-01-23 소재용 용수도관용 드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SV20050042A1 (it) * 2005-12-15 2007-06-16 Siplast S P A Tubo irrigatore
KR100748604B1 (ko) * 2007-02-14 2007-08-10 소재용 용수도관의 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분출공을갖는 용수도관
GR20100100517A (el) * 2010-09-20 2012-04-30 Αριστειδης Εμμανουηλ Δερμιτζακης Σταλακτης και μεθοδος διανοιξης οπων εξοδου του νερου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0167A1 (en) * 1997-05-06 1998-11-12 T-Systems International, Inc. Pressure-compensating drip irrigation hos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20050122084A (ko) * 2004-06-23 2005-12-28 소재용 감압호스
KR100528725B1 (ko) 2004-10-18 2005-11-15 소재용 감압호스용 감압편
KR101218325B1 (ko) 2012-05-14 2013-01-21 소재용 용수 도관
CN104604643A (zh) * 2015-01-22 2015-05-13 平果县新农节水有限公司 一种内镶式抗堵双孔滴灌带
KR20180007489A (ko) 2016-07-13 2018-01-23 소재용 용수도관용 드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244B1 (ko) * 2022-05-17 2023-02-08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하나의 분출공 상에 두 개의 배출홈을 가지는 용수공급용 점적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2677A1 (ko) 2020-01-30
KR102191010B1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758B2 (en) Drip irrigation hoses of the labyrinth type and flow-control elements for producing such hoses
MA25272A1 (fr) Tuyau d'irrigation goutte a goutte muni d'enbouts pour differents debits.
US9807948B2 (en) Drip irrigation tube with metering elements inserted therein
US8002496B2 (en) Irrigation pipe
US5236130A (en) Drip irrigation apparatus
AU651356B2 (en) Drip irrigation emitters
US8096491B2 (en) Drip emitter with an independent non-drain valve
KR20070064401A (ko) 관개용수 점적 공급용 도관
US8302887B2 (en) Drip emitter
US20130341431A1 (en) Drip Emitter with Outlet Tube
US9380749B2 (en) Drip tape irrigation emitter
US3792588A (en) Trickle irrigation unit
US3791587A (en) Flow-reducing device particularly useful for trickle irrigation
US20120097254A1 (en) Flow regulator for agricultural drip emitter
US10070595B2 (en) Drip irrigation tube having dosing elements inserted therein
KR20200011254A (ko) 용수 도관용 띠 드립
EP0295400A1 (en) One-piece in-line pressure compensating drip irrigation emitter
US3667685A (en) Irrigation devices
KR102285559B1 (ko) 농작물 재배용 점적 조절장치
WO2019004978A2 (en) DRINKING STRUCTURE FOR USE IN AGRICULTURAL IRRIGATION
KR200449454Y1 (ko) 용수용 호스의 드립
ES2184605A1 (es) Sistema de irrigacion subterranea por goteo.
RU2294625C1 (ru) Капельный водовыпуск полив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042400B1 (ko) 식물 재배용 관수호스
SU1061760A1 (ru) Водовыпус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