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454Y1 - 용수용 호스의 드립 - Google Patents

용수용 호스의 드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454Y1
KR200449454Y1 KR2020080008071U KR20080008071U KR200449454Y1 KR 200449454 Y1 KR200449454 Y1 KR 200449454Y1 KR 2020080008071 U KR2020080008071 U KR 2020080008071U KR 20080008071 U KR20080008071 U KR 20080008071U KR 200449454 Y1 KR200449454 Y1 KR 200449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se
decompression
path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023U (ko
Inventor
소재용
Original Assignee
소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재용 filed Critical 소재용
Priority to KR2020080008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454Y1/ko
Publication of KR20090013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4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 재배를 위한 용수용 호스에 형성되는 배출공에서 분출되는 용수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드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배출공을 가지는 호스가 경사진 경우에도 원활하게 용수가 분출되는 용수용 호수의 드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는 용수용 호스의 내측에 부착되어 용수를 감압한 후 호스에 형성된 제1,2배출공으로 배출시키는 드립에 있어서, 호스 내에서 유입구로 들어온 용수가 통과하며 압력을 낮추는 제1감압로와, 제1감압로와 연통되어 양측에 형성된 제1,2 물배출홈으로 용수를 분기하되, 제1감압로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용수의 압력을 낮추는 제2감압로가 형성된다.
이로써, 단면적을 달리하는 제1,2감압로가 구비됨에 따라 제1,2물배출홈을 경사진 호스에서도 양 배출공으로 원활하게 용수가 배출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용수량의 조절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작동에 대한 신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용수, 드립

Description

용수용 호스의 드립{Drip of emitting pipe}
본 고안은 농작물 재배를 위한 용수용 호스에 형성되는 배출공에서 분출되는 용수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드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배출공을 가지는 호스가 경사진 경우에도 원활하게 용수가 분출되는 용수용 호수의 드립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의 재배에 사용되는 용수용 호스는 넓은 대지에 심어진 농작물에 적정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호스로, 이 호스의 몸통에는 용수가 통과하는 배출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펌프 등으로 가압된 용수는 용수용 호스를 통하여 각 배출공에서 배출됨으로써 농작물에 도달되는데, 펌프와 가까운 배출공과 멀리 떨어진 배출공 모두에서 일정한 양이 배출되도록, 각 배출공에는 수압을 감압하여 배출시키는 드립이 구비된다.
이러한 드립 중 하나로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7004호 “용수도관용 드립”에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의 일측으로 형성된 물배출홈(4)이 다수의 감압돌기(3a)를 형성한 이동홈(3)과 연통되 게 형성되고, 이동홈(3)의 타측에는 유입공(21)이 형성된 물유입홈(2)이 연통되게 형성한 드립(100)에 있어서, 물유입홈(2)의 타측에는 다수의 제 2감압돌기(31a)를 형성한 제 2이동홈(31)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 2이동홈(31)의 일측단으로 제 2물배출홈(41)이 연통되게 형성된 드립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선 출원된 기술은 토양에 공급되는 용수의 량을 양측의 물배출홈에 따라 호스에 분출공을 각각 형성하여 간편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용수의 공급량에 따라 별도의 용수용 호스를 구입,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게 한 것이다.
그러나 선 출원된 기술을 사용하던 중에 “용수도관용 드립”이 사용된 용수용 호스가 경사진 장소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물유입홈(2)으로 유입된 용수는 낮은 위치의 물배출홈으로 흘러 배출공으로 배출되나, 타측의 높은 위치의 물배출홈으로는 흐르지 못하여 용수가 배출되지 아니한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이중 물배출공이 구비된 드립에서 경사진 경우에도 호스의 배출공에서 용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급되는 용수의 분량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드립 중 선택하여 적절한 양이 공급되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드립 내에서 용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용수용 호스의 내측에 부착되어 용수를 감압한 후 상기 호스에 형성된 제1,2배출공으로 배출시키는 드립에 있어서, 상기 호스 내에서 유입구로 들어온 용수가 통과하며 압력을 낮추는 제1감압로와, 상기 제1감압로(12)와 연통되고, 상기 제 1감압로(12)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양측으로 형성된 제1,2물배출홈(14,15)으로 용수를 분기하는 제2감압로(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용 호스의 드립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2감압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감압로의 단면적의 반만큼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용 호스의 드립을 제시한다.
또한, 길게 형성되는 판형상 몸체의 폭 중앙부분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과 연통되는 상기 제1감압로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길게 형성되며, 상 기 제1감압로를 통과한 용수가 상기 몸체의 가운데로 이동되는 회수로가 상기 유입구의 길이방향에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감압로의 반대측에는 상기 회수로와 연통되는 상기 제2감압로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감압로의 양단에는 제1,2물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용 호스의 드립을 제시한다.
또한,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의 몸체 외주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상기 제1감압로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며, 상기 제2감압로는 상기 제1감압로와 상기 몸체의 가운데에서 연통되며, 상기 제2감압로의 양단에는 원주면에 따라 제1,2물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용 호스의 드립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1,2감압로는 길게 형성된 홈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엇갈리게 돌출형성되는 감압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홈을 진행하는 용수와 상기 감압돌기가 만나는 지점은 용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용 호스의 드립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용 호스의 드립에 따르면, 단면적을 달리하는 제1,2감압로가 구비됨에 따라 제1,2물배출홈을 경사진 호스에서도 양 배출공으로 원활하게 용수가 배출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용수량의 조절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작동에 대한 신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공급되는 용수량이 작은 경우에는 판형상의 드립이 구비된 용수용 호 스를 사용하고, 큰 경우에는 관형상의 드립이 구비된 용수용 호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2물배출구에서 배출공을 추가 형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용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토양의 재질, 농작물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한 분량의 용수를 공급할 수 있어 농산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2감압로 내의 직사각형 감압돌기를 형성하고, 용수가 흐르는 방향에 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제1,2감압로를 통과하는 용수에 와류가 적게 형성되므로, 유동량이 증대되어 용수의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인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사시도이다.
이하,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수용 호스의 드립(1,1′)은 용수용 호스(H)의 성형시 호스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합성수지 등에 의하여 형성된 몸체(10)와, 이 몸체상에 유입구(11), 제1,2감압로(12,13) 및 제1,2물배출홈(14,15) 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0)는 대략 직사각형인 판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길게 형성되는 방향이 호스(H)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결합되며, 몸체에 홈으로 형성된 제1,2감압로 및 제1,2물배출홈 등은 호스의 내주면과 몸체가 부착됨에 따라 용수가 흐르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수용 호스의 드립(1,1′)에는, 호스의 내측에 부착되어 용수를 감압한 후 호스(H)에 형성된 제1 또는 2배출공(h1,h2)으로 배출시키는 드립에 있어서, 호스(H) 내에서 유입구(11)로 들어온 용수가 통과하며 압력을 낮추는 제1감압로(12)와, 이 제1감압로(12)와 연통되어 양측에 형성된 제1,2물배출홈(14,15)으로 용수를 분기하되, 제1감압로(12)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용수의 압력을 낮추는 제2감압로(13)가 형성된다.
이때, 유입구(11)는 드립의 몸체(10)가 천공되어 호스 내부를 흐르는 용수가 드립과 호스의 부착으로 형성되는 통로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유입구(11)는 길게 나열된 여러 개의 유입공(11a)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드립의 몸체에(10)는 용수가 흘러 오는 일측에서 유입구(11)까지 가이드홈(10a)이 더 형성됨에 따라 유입구에서 드립의 내부로 용수가 잘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유입구(11)를 통과하여 유입된 용수는 제1감압로(12)를 지나는데, 제1 감압로(12)는 통로가 복잡한 형상, 일예로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이 제1감압로를 지나는 용수는 제1감압로의 형상에 따른 저항을 받게 된다.
이러한 제1감압로(12)를 거침으로써 용수의 압력은 호스(H)의 내부를 흐르는 용수의 압력에 비하여 낮아지는 것이다.
이후, 제1감압로(12)를 통과한 용수는 몸체(10)의 길이 방향의 가운데 부분에서 제2감압로(13)를 따라 분기되어, 몸체(10)의 양끝단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2물배출홈(14,15)에까지 진행된다.
이때, 제2감압로(13)는 제1감압로(12)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복잡한 형상을 가져 통로를 지나는 용수의 압력을 낮추면서, 제2감압로(13)가 기울어진 경사를 가지는 경우라도 제1감압로(12)를 지난 용수가 제1,2물배출홈(14,15)으로 흐를 수 있게 한다.
즉, 제1감압로(12)는 제2감압로(13)의 중앙과 연통됨에 따라, 제1감압로(12)를 통과한 용수는 제2감압로(13)의 양측으로 분기되어 흐르게 된다. 이때, 제1감압로(12)를 통과하는 용수의 유동량과 제2감압로(13)에서 양측으로 분기되어 흐르는 용수의 유동량이 같거나 작아 같아지도록, 제2감압로(13)가 형성하는 통로의 단면적이 제1감압로(12)가 형성하는 통로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제1감압로를 통과한 유동량이 제2감압로(13)를 통과하는 유동량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2감압로(13)의 용수는 중력을 이기고 경사진 제2감압로(13)를 거슬러 올라가 배출공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감압로(12)의 단면적과 제2감압로(13)의 단면적은 2 : 1의 비율을 갖게 형성되어, 제1감압로(12)의 유동량과 제2감압로(13)의 양측으로 흘러나가는 유동량을 같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감압로(13)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량이 제1감압로(12)를 통과하는 유동량과 같아지므로, 제1감압로(12)를 지나 제2감압로(13)로 진입한 용수의 압력이 갑자기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후 제2감압로(13)를 지나면서 천천히 감압되어 제1,2물배출홈(14,15)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갑작스런 감압 없이 용수가 진행됨에 따라 드립이 설치된 호스가 경사진 경우에도 유입구와 제1감압로(12)를 지난 용수의 압력으로 제2감압로(13)의 용수를 드립의 양측에 형성된 제1,2물배출홈(14,15)까지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제1,2물배출홈(14,15)에 유입된 용수는 제1,2물배출홈(14,15)을 감싸는 호스(H)에 형성된 제1,2배출공(h1,h2)으로 배출됨에 따라 원하는 장소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수용 호스의 드립(1)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용수용 호스(1)의 드립은 대략 직사각형인 판형의 몸체(10)로 형성되어, 호 스(H) 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의 폭 중앙부분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11)와 연통되는 제1감압로(12)가 몸체의 일측에 길게 형성되며, 이 제1감압로(12)를 통과한 용수가 몸체의 가운데로 이동되는 회수로(16)가 유입구(11)의 길이방향에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감압로(12)의 반대측에는 회수로(16)와 중앙이 연통되는 제2감압로(13)가 길게 형성되며, 이 제2감압로(13)의 양단에는 제1,2물배출홈(14,15)이 형성된다.
즉, 몸체(10)의 길이방향 양단 부분에는 제1,2물배출홈(14,15)이 형성되고, 제1물배출홈(14)에서 몸체(10)의 가운데까지는 폭의 중앙을 따라 유입구(11)가 형성된다.
이때, 유입구(11)의 측면, 즉 몸체(10) 길이방향의 측면에는 제1,2물배출홈(14,15) 사이에 제1감압로(12)가 형성되고, 이 제1감압로(12)의 끝단이 유입구(11)와 연통된다.
한편, 회수로(16)는 유입구(11)와 제2물배출홈(15) 사이의 몸체(10) 폭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고, 이 회수로(16)는 제1감압로(12)의 타측 끝단과 연통된다.
또한, 제2감압로(13)는 제1감압로(12)가 형성된 반대편에, 제1,2물배출홈(14,15)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이 제2감압로(13)의 중간이 회수로(16)와 연통된다.
이로써, 유입구(11)로 유입된 용수는 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감압로(12), 회수로(16)를 거쳐 몸체(10)의 중앙 부근까지 흐른 후, 제2감압로(13)에서 양쪽으로 분기되어 제1,2물배출홈(14,15)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하, 제1물배출홈이 제2물배출홈 보다 높게 위치되는 경우에 드립(1)의 내부를 흐르는 용수의 흐름을 설명한다.
유입구(11)로 유입된 용수는 호스(H)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제1감압로(12)를 점차 감압되며 흐르게 된다. 또한, 제1감압로(12)는 유입구(11)와 연통된 부분이 높고, 회수로(16)와 연통된 부분이 낮기 때문에 제1감압로(12)를 통과하는 용수는 중력에 의해서도 미세하게나마 보다 원활하게 흐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회수로(16) 내에서는 용수의 흐름에 저항이 되는 지그재그 구조가 형성되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제1감압로(12)를 통과한 압력 그대로 몸체(10)의 가운데까지 밀려 상승하게 된다.
이후, 회수로(16)를 통과하여 제2감압로(13)에 유입된 용수는 제2감압로(13)의 양단으로 분기되어, 일부는 제2물배출홈(15)으로 하강 이동하고 나머지는 제1물배출홈(14)을 향하여 상승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감압로(13)의 단면적은 제1감압로의 단면적보다 작게, 바람직하게는 제1감압로 단면적의 반으로 형성되어, 회수로(16)를 통과한 유동량의 반이 제2물배출홈 방향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용수는 제2물배출홈 방향으로 유출되는 유동량 보다 회수로(16)에서 유입되는 유동량이 크므로 제1물배출홈 방향으로 중력을 이기는 힘으로 밀림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로써, 제1,2물배출홈(14,15)에 계속 유입되는 용수는 호스(H)에 형성된 제1,2배출공(h1,h2)을 통하여 호스 외부로 배출되므로, 호스가 경사지에 위치한 경우에도 양 배출구 모두에서 용수가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전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수용 호스의 드립(1′)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성의 몸체(10′)를 가진다.
즉, 몸체(10′)의 외주면에 유입구(11), 제1,2감압로(12,13) 및 제1,2물배출홈(14,15)이 형성되고, 이 몸체(10′)의 외주면이 호스(H)의 내부면에 부착됨에 따라 유입구로 유입된 용수가 흐르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0′)의 외주면에는 원주를 따라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11)와 연통되는 제1감압로(12)는 몸체의 길이방향에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연통된다.
또한, 제2감압로(13)는 제1감압로(12)와 몸체(10′)의 가운데에서 연통되며, 이 제2감압로(13)의 양단에는 원주면에 따라 상기 제1,2물배출홈(14,15)이 형성된다.
즉, 유입구(11)로 유입된 용수가 제1감압로(12)와 제2감압로(13) 및 제1,2물 배출홈(14,15)을 차례로 거친 후, 호스(H)에 형성된 제1,2배출공(h1,h2)을 통하여 호스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주형 몸체(10′) 외주면의 길이방향 양끝 부분에는 원주면을 따라 제1,2물배출홈(14,15)이 형성되어, 이 부분을 감싸는 호스에 형성된 제1,2배출공으로 용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물배출홈(15) 가까이의 원주면를 따라 형성되는 유입구(11)는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유입공(11a)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원주면에 따라 2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유입구로 유입된 용수가 원주면의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유입로(17)가 형성된다.
한편, 유입로(17)와 연통되는 제1감압로(12)는 원통형 몸체의 길이방향에 따라 나란하게 복수로 배열되며, 서로 이웃하는 제1감압로(12)끼리는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일단이 연통된다. 또한,
즉, 제1감압로(12)는, 도 5에 도시된 전개도와 같이, 몸체(10′)의 길이방향에 따라 적층됨으로써, 호스가 기울어졌을 때 적층된 제1감압로(12)를 통과하는 용수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되어 중력에 의한 압력의 손실은 없게 된다.
한편, 제2감압로(13)는 적층된 제1감압로(12) 중 용수가 제일 최후로 통과되는 제1감압로(12)의 중간과 연통되어, 몸체(10′) 외주면의 길이방향 가운데에서 제1감압로(12)와 연통된다.
이때, 제2감압로(13)의 단면적이 제1감압로(12)의 단면적보다 작게, 바람직하게는 반만큼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1감압로(12)를 통과한 용수는 제2감압로(13)의 양측으로 분기되어 흐르고, 제2감압로(13)의 양 끝단과 연결된 제1,2물배출홈(14,15)으로 유입된다.
이때, 호스가 기울어졌을 때의 제2감압로(13)의 양측으로 분기되는 용수의 흐름 및 전술된 실시예와 중복된 구성, 기능 및 작용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몸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유입구를 복수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1감압로가 복수로 적층형성되어 감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대량의 용수를 배출하기 용이한 것이다.
한편, 전술된 2가지 실시예에서 제1,2감압로(12,13)의 용수를 감압하기 위한 복잡한 형상은 용수의 이동 경로 상에 마찰 저항을 증대시키는 복잡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며, 일정 또는 불특정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 제1,2감압로(12,13)의 형상은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으며, 이 지그재그 형상은 길게 형성된 통로에서 내측으로 어긋나게 교차로 돌출형성되는 감압돌기(P)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감압돌기(P)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뾰족한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 다각형 또는 타원, 반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감압돌기(P)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감압로의 지그재그 형상은 길게 형성된 통로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엇갈리게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되, 통로를 진행하는 용수와 갑압돌기가 만나는 지점은 용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곡면(p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압돌기(P)의 끝단이 뭉툭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합성수지 등의 성형이 용이해지며, 이 지그재그 형 통로를 진행하는 용수의 진행방향과 갑압돌기가 만나는 부분이 곡면(p1)으로 형성됨에 따라 용수의 흐름에 와류 형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즉, 용수가 감압돌기를 잘 타고 넘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제1,2감압로를 통과하는 용수에 와류가 적게 형성되므로, 용수의 유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전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용수용 호스의 드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드립 10 : 몸체
10a : 가이드홈 11 : 유입구
11a : 유입공 12 : 제1감압로
13 : 제2감압로 14 : 제1물배출홈
15 : 제2물배출홈 16 : 회수로
17 : 유입로 H : 호스
h1 : 제1배출공 h2 : 제2배출공

Claims (5)

  1. 용수용 호스(H)의 내측에 부착되어 용수를 감압한 후 상기 호스(H)에 형성된 제1,2배출공(h1,h2)으로 배출시키는 드립에 있어서,
    상기 호스(H) 내에서 유입구(11)로 들어온 용수가 통과하며 압력을 낮추는 제1감압로(12)와;
    상기 제1감압로(12)와 연통되고, 상기 제 1감압로(12)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양측으로 형성된 제1,2물배출홈(14,15)으로 용수를 분기하는 제2감압로(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용 호스의 드립.
  2. 제1항에서,
    상기 제2감압로(13)의 단면적은 상기 제1감압로(12)의 단면적의 반만큼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용 호스의 드립.
  3. 제1항에서,
    길게 형성되는 판형상 몸체(10)의 폭 중앙부분에 상기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와 연통되는 상기 제1감압로(12)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감압로(12)를 통과한 용수가 상기 몸체(10)의 가운데로 이동되는 회수로(16)가 상기 유입구(11)의 길이방향에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감압로(12)의 반대측에는 상기 회수로(16)가 연통되는 상기 제2감압로(13)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감압로(13)의 양단에는 제1,2물배출홈(14,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용 호스의 드립.
  4. 제1항에서,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의 몸체(10′) 외주면에는 원주면를 따라 상기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와 연통되는 상기 제1감압로(12)는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에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며,
    상기 제2감압로(13)는 상기 제1감압로(12)와 상기 몸체(10′)의 가운데에서 연통되며,
    상기 제2감압로(13)의 양단에는 원주면를 따라 제1,2물배출홈(14,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용 호스의 드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2감압로(12,13)는 길게 형성된 홈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엇갈리게 돌출형성되는 감압돌기(P)로 이루어지되,
    상기 홈을 진행하는 용수와 상기 감압돌기(P)가 만나는 지점은 용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곡면(p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용 호스의 드립.
KR2020080008071U 2008-06-17 2008-06-17 용수용 호스의 드립 KR200449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71U KR200449454Y1 (ko) 2008-06-17 2008-06-17 용수용 호스의 드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71U KR200449454Y1 (ko) 2008-06-17 2008-06-17 용수용 호스의 드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23U KR20090013023U (ko) 2009-12-28
KR200449454Y1 true KR200449454Y1 (ko) 2010-07-12

Family

ID=4424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071U KR200449454Y1 (ko) 2008-06-17 2008-06-17 용수용 호스의 드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4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261A (ko) 2017-08-31 2019-03-08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포그 드립
KR102497244B1 (ko) 2022-05-17 2023-02-08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하나의 분출공 상에 두 개의 배출홈을 가지는 용수공급용 점적호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445B1 (ko) * 2017-08-08 2017-12-06 주식회사 탑드립 점적호스
JP2021078420A (ja) * 2019-11-19 2021-05-27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9686A (en) 1996-05-22 1998-11-03 Cohen; Amir Irrigation emitters having reduced sensitivity to clogging
KR200168529Y1 (ko) 1998-12-28 2000-02-15 소재용 용수도관의 감압슬리브
KR20010068529A (ko) * 2000-01-06 2001-07-23 구자홍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의 속도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US6568607B2 (en) 2001-03-16 2003-05-27 The Toro Company Emitter
US6817548B2 (en) 2001-09-05 2004-11-16 R.M. Wade & Co. Fluid distribution emitter and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9686A (en) 1996-05-22 1998-11-03 Cohen; Amir Irrigation emitters having reduced sensitivity to clogging
KR200168529Y1 (ko) 1998-12-28 2000-02-15 소재용 용수도관의 감압슬리브
KR20010068529A (ko) * 2000-01-06 2001-07-23 구자홍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의 속도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US6568607B2 (en) 2001-03-16 2003-05-27 The Toro Company Emitter
US6817548B2 (en) 2001-09-05 2004-11-16 R.M. Wade & Co. Fluid distribution emitter and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261A (ko) 2017-08-31 2019-03-08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포그 드립
KR102497244B1 (ko) 2022-05-17 2023-02-08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하나의 분출공 상에 두 개의 배출홈을 가지는 용수공급용 점적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23U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0749B2 (en) Drip tape irrigation emitter
KR200449454Y1 (ko) 용수용 호스의 드립
US8496193B2 (en) Fluid control devices particularly useful in drip irrigation emitters
AU2006346289B2 (en) Fluid flow labyrinth
WO2006038246A1 (en) Drop-by-drop irrigation hose having internal dripping elements, and dripping elements for said hose
US20060196977A1 (en) Drip irrigation system employing parallel adjacent flowpaths
WO2008035335A2 (en) Drip irrigation hoses of the labyrinth type and flow–control elements for producing such hoses
US20070246572A1 (en) Ultra Low Flow Spray Head
JPS6023210B2 (ja) 流量制限装置
KR101805445B1 (ko) 점적호스
KR101905401B1 (ko) 육묘 트레이
CN104853593A (zh) 滴灌用滴头以及具备该滴灌用滴头的滴灌装置
JP2008541720A (ja) 気体超微粒気泡を含有する水を有する、植物、樹木、及び造園の地下潅漑
EP3298885B1 (en) Rotating ejection type oozing hose for plant cultivation
KR101904967B1 (ko) 비산형 드립
US5520339A (en) Multi-stage dripping tube for irrigation
KR20120064283A (ko) 점적 호스
KR102191010B1 (ko) 용수 도관용 띠 드립
CN214319104U (zh) 滑水娱乐装置
KR20200011746A (ko)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
JP7206402B2 (ja) 灌水ホースを用いた灌水拡散型ドリップ
KR101981495B1 (ko) 포그 드립
KR101938493B1 (ko) 양방향으로 급수되는 회전식 분수호스
KR102228771B1 (ko) 절곡홈이 형성된 분수유로체를 구비한 분수호스
CN205431025U (zh) 宽度可调的喷淋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