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746A -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 - Google Patents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746A
KR20200011746A KR1020180086578A KR20180086578A KR20200011746A KR 20200011746 A KR20200011746 A KR 20200011746A KR 1020180086578 A KR1020180086578 A KR 1020180086578A KR 20180086578 A KR20180086578 A KR 20180086578A KR 20200011746 A KR20200011746 A KR 20200011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mpression
passage
water supply
wate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양행
Priority to KR102018008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1746A/ko
Publication of KR2020001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02A40/23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의 일측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공들을 구비한 호스본체; 및 상기 배출공들을 덮도록 상기 공급유로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벽 또는 양측벽을 관통하여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급수공들로 이루어진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의 내측에서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급수부와 연통하되 좌우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된 감압유로로 이루어진 감압부와, 상기 배출공들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감압부와 연통하는 배출부를 구비한 감압라이너;를 포함하여, 호스본체의 길이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감압을 통해 배출되는 용수의 유량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이물질에 의한 폐쇄를 방지하여 농작물의 생장속도를 균일하게 유도할 수 있는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DRIP HOSE}
본 발명은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의 일측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공들을 구비한 호스본체; 및 상기 배출공들을 덮도록 상기 공급유로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벽 또는 양측벽을 관통하여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급수공들로 이루어진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의 내측에서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급수부와 연통하되 좌우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된 감압유로로 이루어진 감압부와, 상기 배출공들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감압부와 연통하는 배출부를 구비한 감압라이너;를 포함하여, 호스본체의 길이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감압을 통해 배출되는 용수의 유량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이물질에 의한 폐쇄를 방지하여 농작물의 생장속도를 균일하게 유도할 수 있는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적호스는 농작물의 재배 시에 농작물의 뿌리에 근접하게 지면에 설치하여 점적호스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호스 내부의 용수가 소량씩 지면으로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배출공을 극히 미세하게 형성함으로써, 배출공에 용수가 방울 형태로 맺혀지며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통상의 일반 호스는 용수를 공급하는 측에는 수압이 높고, 공급측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압은 낮아지게 되므로, 통상 수압이 높은 곳에서는 용수의 공급량이 많아지고 수압이 낮은 곳에서는 용수의 공급량이 적어지게 되나, 점적호스는 호스의 내부 수압에 관계없이 균일한 양의 용수를 모든 농작물에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점적호스에 관한 종래기술로써, 공개특허 제10-2015-0064350호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띠 형상의 필름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인접된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요홈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유로를 덮도록 겹쳐진 상태에서 양단을 접착하되, 유로의 입구 측에 유로의 폭보다 넓은 폭의 입수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인접 형성된 출수공이 유로의 출구 측에 대향되게 접착되어 있는 점적호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입수부가 필름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호스 내를 흐르는 용수가 입수부를 통해 바닥부를 타고 음각 성형된 요홈 형상의 유로를 지나 출수공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용수 배출을 위한 출수공이 호스의 상측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유로가 호스의 상측면 내측에 부착되기 때문에 호스 내의 용수가 바닥부를 타고 넘어서 유로로 공급되기 어려우며, 출수공이 입수부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유로 내의 공기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용수가 유로 상으로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해 농작물에 대한 용수의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스 본체를 흐르는 용수가 감압라이너로 보다 쉽게 공급되어 용수의 흐름 및 배출을 항상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급수부와 배출부 사이의 감압부에서 용수의 감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호스본체의 길이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감압을 통해 배출되는 용수의 유량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이물질에 의한 폐쇄를 방지하여 농작물의 생장속도를 균일하게 유도할 수 있는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적호스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의 일측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공들을 구비한 호스본체; 및
상기 배출공들을 덮도록 상기 공급유로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벽 또는 양측벽을 관통하여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급수공들로 이루어진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의 내측에서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급수부와 연통하되 좌우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된 감압유로로 이루어진 감압부와, 상기 배출공들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감압부와 연통하는 배출부를 구비한 감압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점적호스에서,
상기 감압부는 상기 급수부의 내측에 형성된 제1 감압유로와, 상기 제1 감압유로의 일단부에서 제1 감압유로의 반대편 길이방향으로 절곡하도록 연결된 제2 감압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 감압유로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제2 감압유로와 동일 선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적호스에서,
상기 감압부는 상기 급수부의 내측에 형성된 제1 감압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 감압유로의 일단부에서 제1 감압유로의 반대편 길이방향으로 절곡하도록 연결되어 제1 감압유로와 다른 선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감압라이너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연결된 외측벽부와, 상기 급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벽부를 관통하여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유입공들로 이루어진 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적호스는,
감압라이너로의 용수 공급이 측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루어져 호스본체 내의 수압이나 유량 변화에 상관없이 용수의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감압부를 지날 때 용수의 감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용수의 흐름이 끊기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배출되는 용수의 유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한 폐쇄를 방지함과 아울러, 일부 폐쇄가 발생하더라도 개방된 유로로 용수의 공급이 계속 이루어지고,
호스본체의 길이나 배출공들의 개수 내지 간격 등에 상관없이 일정 이상으로 감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배출되는 용수의 유량을 점적에 적당한 양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감압라이너 내에서 용수가 유로의 형상 및 방향에 맞게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공급 및 감압이 이루어짐으로써,
농작물의 생장속도를 균일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감압라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출부의 안내돌기들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호스본체의 단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용수를 방울 형태(점적)로 농작물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점적호스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용수 공급원과 연결되어 농작물이 재배되는 지면에 설치되는 호스본체(H)와, 상기 호스본체(H)의 내부에 부착되어 호스본체(H) 내에서 공급된 용수를 일정하게 감압시켜 호스본체(H) 외부로 배출하는 감압라이너(L)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본체(H)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급유로(10)와, 상기 공급유로(10)의 일측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공(11)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상기 호스본체(H)의 단면이 타원형인 실시예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이나 사각형이어도 무방하며, 원형의 호스본체(H)의 경우 감압라이너(L)를 호스본체(H)의 곡률에 맞게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제작하여 호스본체(H) 내부에 감압라이너(L)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11)은 호스본체(H)를 관통하는 미세 구멍으로써, 감압라이너(L)에서 감압 후 배출되는 용수가 배출공(11)에 방울 형태(점적)로 맺히면서 배출되어 농작물이 심어진 지면으로 공급되며, 농작물의 종류나 재배지의 면적 내지 모양 등에 따라, 호스본체(H)의 일부 구간에만 복수개의 배출공(11)(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호스본체(H)의 전체에 걸쳐 복수개의 배출공(11)(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배출공(11)은 단일 또는 복수개의 군집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공(11)은 상기 공급유로(10)의 상하좌우 외면들 중 어느 면에도 형성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급유로(10)의 상부면 상에 배출공(11)들이 구비된다.
상기 감압라이너(L)는 상기 배출공(11)들을 덮도록 상기 공급유로(1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몸체부(20)와, 상기 공급유로(10)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20)의 좌우 일측벽 또는 양측벽(21)(22)을 관통하여 몸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급수공(31)들로 이루어진 급수부(30)와, 상기 급수부(30)의 내측에서 몸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급수부(30)와 연통하되 좌우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된 감압유로(41)로 이루어진 감압부(40)와, 상기 배출공(11)들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몸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감압부(40)와 연통하는 배출부(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압라이너(L)는 도 1 내지 도 3의 제1 실시예와 같이 소정 길이의 단위 분체가 호스본체(H)의 길이방향으로 결합 및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2, 제3 실시예와 같이 호스본체(H)의 길이에 대응하는 단일의 감압라이너(L)가 호스본체(H)에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제2, 제3 실시예의 감압라이너(L)를 복수개의 단위 분체로 개별 제작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20)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외변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결된 좌우 측벽(21)(22)을 구비하여, 몸체부(20) 내부에 급수부(30)와 감압부(40) 및 배출부(50)가 상면이 개구된 홈 형상을 가지면서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급수부(30)는 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측벽(21)(22)들에 구비된 급수공(31)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몸체부(20)의 측벽(21)(22)들 중 일부 구간에 급수부(30)가 구비되며, 급수공(31)들의 개수 및 급수부(30) 전체의 길이 등에 제한이 없다.
이러한 급수부(30)는 측벽(21)(22)들의 일부인 복수개의 급수벽(32)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인접한 급수벽(32)들 사이가 급수공(31)이 되며, 급수공(31) 및 급수벽(32) 내측에는 감압부(40)의 제1 감압유로(41)와 동일 선상으로 배열된 급수로(33)가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급수벽(3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같이, 상기 공급유로(10) 내를 흐르는 용수의 공급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단부가 후방을 향하면서 내측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사선 형태로 구비되어, 공급유로(10)를 흐르는 용수가 급수부(30)로 보다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고,
이때 급수벽(32)의 외측단부를 몸체부(20)의 측벽(21)(22)들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급수벽(32)의 저항을 통해 용수의 공급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압부(40)는 감압유로(41) 내에서 흐르는 용수에 저항을 발생시켜 배출부(50)에서 용수가 일정한 수압으로 감압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감압유로(41)의 좌우 내측면에는 용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유속 및 수압을 저하시키는 복수개의 감압돌기(42)가 돌출되어 있으며, 좌우 양측의 감압돌기(42)는 서로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되어 지그재그 형태의 감압유로(41)를 형성한다.
상기 감압유로(41)는 좌우로 파형의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이때 감압돌기(42)는 제1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에 대한 저항이 감압부(40)의 전 구간에 걸쳐 점차적으로 진행되도록, 각 감압돌기(42)가 몸체부(2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전후 측면부(42a)(42b)가 내측으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돌기(42)에 부딪히는 용수에 대한 저항을 크게 한 후 다음의 감압돌기(42)로 진입할 때 용수에 대한 저항이 작아지도록, 각 감압돌기(42)가 몸체부(2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되, 후면 측면부(42d)가 몸체부(20)의 길이방향과 직각의 형태로 연결되고, 전면 측면부(42c)가 내측 전방을 향해 사선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연결되어, 감압돌기(42)가 전체적으로 내측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2 실시예에 도시된 감압돌기(42)는 후면 측면부(42d)에 용수가 부딪히면서 감압되는데, 이때 후면 측면부(42d)에 고착된 이물질을 용수의 충돌 압력으로 제거하여 감압유로(41)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50)는 상기 감압부(40)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감압유로(41)를 지난 용수를 배출공(11)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감압유로(41)의 좌우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장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출부(50)는 배출공(11)들이 형성된 구간을 덮어서, 배출부(50) 상에 저장된 용수가 감압된 압력으로 인해 배출공(11)에서 방울 형태로 맺혀서 배출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40)는 상기 급수부(3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감압유로(41A)와, 상기 제1 감압유로(41A)의 일단부에서 제1 감압유로(41A)의 반대편 길이방향으로 절곡하도록 연결된 제2 감압유로(41B)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50)는 상기 제1 감압유로(41A)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제2 감압유로(41B)와 동일선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실시예는 배출공(11)(들)이 호스본체(H)의 길이방향으로 호스본체(H)의 일부 구간에만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을 때, 감압부(40)를 이열로 배열된 2단 구조의 감압유로(41A)(41B)로 상호 인접 연결하여, 급수부(30)와 배출부(5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더라도 감압부(40)의 길이를 보다 길게 연장하여 충분한 감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급수로(33)와 동일 선상으로 연결된 제1 감압유로(41A)의 일측부에 제2 감압유로(41B)가 형성되며, 각 감압유로(41A)(41B)의 전단부가 'U'자형으로 연결되면서 제2 감압유로(41B)의 후단부에 배출부(50)가 연결되어, 급수부(30)와 배출부(50)가 좌우 동일 위치에서 이열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실시예는 특히, 감압라이너(L)를 짧은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단위 분체로 끊어서 개별 제작한 후 하나로 결합 및 연결할 필요가 있을 때, 감압부(40) 전체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감압에 필요한 거리를 확보한다.
이러한 제1 실시예는 급수부(30)의 급수공(31)들로 공급된 용수가 급수로(33)를 지나 전방으로 흐르면서 제1 감압유로(41A)를 거친 후, 후방으로 선회하여 제2 감압유로(41B)를 거치면서 감압된 상태로 배출부(50)에 저장된 다음, 배출공(11)으로 배출되며, 이때 제1, 제2 감압유로(41A)(41B)의 연장된 길이에 의하여 감압돌기(42)에 의한 감압이 충분하게 이루어져 배출공(11)으로 배출되는 용수는 소량의 점적 형태로 균일하게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40)는 상기 급수부(3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감압유로(41A)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50)는 상기 제1 감압유로(41A)의 일단부에서 제1 감압유로(41A)의 반대편 길이방향으로 절곡하도록 연결되어 제1 감압유로(41A)와 다른 선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2 실시예는 배출공(11)들이 호스본체(H)의 길이방향으로 호스본체(H)의 전체구간에 걸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을 때, 배출부(50)가 배출공(11)들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급수로(33)와 동일 선상으로 연결된 제1 감압유로(41A)의 일측부에 배출부(50)가 호스본체(H)의 길이에 대응하는 장홈 형태로 형성되며, 몸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제1 감압유로(41A)와 배출부(50) 사이를 연결하는 유출부(60)가 좌우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출부(60)는 제1 감압유로(41A)와 배출부(50)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유출공(61)으로 구성되며, 몸체부(20)의 내측벽부 일부인 복수개의 유출벽(62)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인접한 유출벽(62)들 사이가 유출공(61)이 된다.
이때 유출벽(62)은 몸체부(2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외측 단부가 제1 감압유로(41A) 내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제1 감압유로(41A)를 지나는 용수가 유출벽(62)에 부딪혀 배출부(50)로 방향이 선회되어 배출부(50) 상의 용수가 제1 감압유로(41A)의 용수와 반대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또한 도 4의 제2 실시예는 급수부(30)의 급수벽(32)이 몸체부(2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실시예와 같이 사선 형태로 배열된 급수벽(32)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급수부(30)의 급수공(31)들로 공급된 용수가 급수로(33)를 지나 전방으로 흐르면서 제1 감압유로(41A)를 거치면서 감압된 후, 유출부(60)의 유출벽(62)에 의해 유출공(61)을 지나면서 후방으로 선회하여 배출부(50)를 따라 흐르면서, 배출부(50)에 저장된 용수가 배출공(11)으로 배출되며, 제1 감압유로(41A)는 몸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감압돌기(42)에 의한 감압이 충분하게 이루어져 배출공(11)으로 배출되는 용수는 소량의 점적 형태로 균일하게 배출된다.
또한 이러한 제2 실시예는 전후 급수부(30) 사이(보다 엄밀하게는 급수부(30)들의 중간 위치)에 상기 유출부(60)가 형성되어 감압라이너(L) 내의 용수가 양방향의 루프 형상으로 순환하는 형태로 감압 후 배출이 이루어진다.
즉, 도 4의 우측 중간 원내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부(60)를 기준으로, 유출부(60)의 후방측(도면 상 상측)에 위치한 급수부(30)로 공급된 용수는 제1 감압유로(41A)를 따라 전방으로 흐른 후 유출부(60)에서 후방측으로 선회하여 배출부(50)를 흐르고, 유출부(60)의 전방측(도면 상 하측)에 위치한 급수부(30)로 공급된 용수는 제1 감압유로(41A)를 따라 후방으로 흐른 후 유출부(60)에서 전방측으로 선회하여 배출부(50)를 흘러, 단일 장홈 형태로 길게 형성된 배출부(50)를 지나면서 용수의 감압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든 배출공(11)에서 용수가 점적의 형태로 최종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압라이너(L)는 상기 몸체부(2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연결된 외측벽부(72)와, 상기 급수부(30)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벽부(72)를 관통하여 몸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유입공(71)들로 이루어진 유입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20)는 바닥부가 측벽(21)(22)들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바닥부의 외변에 상기 외측벽부(72)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외측벽부(72)와 측벽(21)(22)들 사이에 상기 유입공(71)과 연통된 유입로(73)가 장홈 형태를 가지면서 몸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71)은 공급유로(10)의 용수가 감압라이너(L)로 유입될 때 이물질을 걸러서 급수공(31)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유입공(71)들이 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제2 실시예에 유입부(70)를 갖는 제3 실시예가 구비된 형태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실시예에도 제3 실시예의 추가 적용이 가능하며,
유입공(71)들이 형성된 외측벽부(72) 역시, 일자형으로 배열된 형태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급수벽(32)과 같은 사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3 실시예를 제1, 제2 실시예에 적용하면, 공급유로(10)를 흐르는 용수가 감압라이너(L)로 유입될 때, 유입공(71)들 중 일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더라도 개방된 나머지 유입공(71)들에 의해 용수가 감압라이너(L) 내부로 계속 유입된 후 유입로(73)를 따라 흐르면서 급수부(30)로 공급되어, 이물질에 의한 유로 막힘으로 용수의 점적 배출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유출부(60)를 기준으로 전, 후방의 제1 감압유로(41A)가 일자 형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반대방향으로 흐르던 용수가 유출부(60) 외측에서 서로 부딪히면서 내측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져, 유출부(60)를 지나 선회한 용수가 배출부(50)를 따라 흐른다.
이때 본 발명은 제1 감압유로(41A)에서 유출부(60)를 지나 배출부(50)로 흐르는 용수를 자연스럽게 안내하여, 감압된 상태에서도 용수의 흐름을 좋게 하면서 감압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내돌기(63A)(63B)(64)들을 도입하였다.
먼저 각 유출부(60)의 외측 제1 감압유로(41A) 상에는 내측 1개의 꼭짓점부가 유출공(61)을 향해 형성된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제1 안내돌기(63A)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안내돌기(63A)는 외측 2개의 꼭지점부 사이의 길이가 유출부(60) 전체의 구간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내측 꼭짓점부와 외측 꼭짓점부를 연결하는 제1 사선부(63a)가 내측으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감압유로(41A)를 따라 각각 전후방향으로 흐르던 용수가 제1 사선부에(63a) 부딪히면서 내측의 유출부(60)로 안내된다.
또한 각 유출부(60)의 내측 배출로(50) 상에는 좌우 양측 2개의 꼭짓점부가 각각 외측 유출공(61)을 항해 형성된 마름모꼴의 제2 안내돌기(64)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2 안내돌기(64)는 전후 2개의 꼭지점부 사이의 길이가 유출부(60) 전체의 구간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각 꼭짓점부들을 연결하는 제2 사선부(64a)가 내측으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안내돌기(63A)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유출공(61)을 통과한 용수가 제2 사선부(64a)에 부딪히면서 전후방의 배출부(50)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유출부(60)는 최소 2개 이상의 유출공(61)으로 구성되는 바, 제1 감압유로(41A)에서 각 유출공(61)으로 용수가 균일하게 분배되어 배출로(50)로 유도될 수 있도록, 제1 안내돌기(63B)는 제1 사면부(63a)의 표면 상측단 또는 하측단에서 제1 사면부(63a)와 상응하는 호 형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안내부(63b)와, 상, 하부 안내부들(63b)들 사이에 형성되어 용수가 제1 사면부(63a)로 통과되도록 하는 통과부(63c)를 더 포함한다.
도 6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측 제1 감압유로(41A)에 기본적인 형태의 제1 안내돌기(63A)를 도시하였고, 상측 제1 감압유로(41A)에 변형 제1 안내돌기(63B)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1 안내돌기(63B)는 제1 사면부(63a) 상에서, 유출부(60)의 정중앙 유출공(61)을 제외한 나머지 유출공(61)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안내부(63b)가 상하 양측 또는 상하 교차되는 형태로 돌설된다.
따라서 제1 감압유로(41A)에서 감압된 용수 중 일부는 상기 안내부(63b)에 의해 외측 유출공(61)들로 안내되고, 용수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통과부(63c)를 통과하여 제1 사면부(63a)에 의해 정중앙 유출공(61)으로 안내되며,
도면과 달리 3개 이상의 유출공(61)이 구비될 경우, 각 유출공(61)들의 위치마다 안내부(63b)들이 상하로 교차 배열되어 안내부(63b)가 없는 공간이 통과부(63c)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제2 안내돌기(63A)(63B)(64)는 각 돌기의 모양, 각 사선부의 호 형상 및 안내부(63b)를 통해 용수의 흐름 및 방향 전환을 보다 좋게 하여, 제1 감압유로(41A)에서 배출로(50)로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배출공(11)을 통한 균일한 점적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 : 호스본체 L : 감압라이너
10 : 공급유로 11 : 배출공
20 : 몸체부 21, 22 : 측벽
30 : 급수부 31 : 급수공
32 : 급수벽 33 : 급수로
40 : 감압부 41, 41A, 41B : 감압유로
42 : 감압돌기 50 : 배출부
60 : 유출부 61 : 유출공
62 : 유출벽 63A, 63B, 64 : 안내돌기
70 : 유입부 71 : 유입공
72 : 유입공

Claims (4)

  1.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의 일측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공들을 구비한 호스본체; 및
    상기 배출공들을 덮도록 상기 공급유로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벽 또는 양측벽을 관통하여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급수공들로 이루어진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의 내측에서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급수부와 연통하되 좌우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된 감압유로로 이루어진 감압부와, 상기 배출공들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감압부와 연통하는 배출부를 구비한 감압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는 상기 급수부의 내측에 형성된 제1 감압유로와, 상기 제1 감압유로의 일단부에서 제1 감압유로의 반대편 길이방향으로 절곡하도록 연결된 제2 감압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 감압유로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제2 감압유로와 동일 선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는 상기 급수부의 내측에 형성된 제1 감압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 감압유로의 일단부에서 제1 감압유로의 반대편 길이방향으로 절곡하도록 연결되어 제1 감압유로와 다른 선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라이너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연결된 외측벽부와, 상기 급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벽부를 관통하여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유입공들로 이루어진 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KR1020180086578A 2018-07-25 2018-07-25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 KR20200011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578A KR20200011746A (ko) 2018-07-25 2018-07-25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578A KR20200011746A (ko) 2018-07-25 2018-07-25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46A true KR20200011746A (ko) 2020-02-04

Family

ID=6957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578A KR20200011746A (ko) 2018-07-25 2018-07-25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17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599B1 (ko) * 2020-05-25 2020-08-11 (주)서원양행 절단 후 연결 시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점적호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599B1 (ko) * 2020-05-25 2020-08-11 (주)서원양행 절단 후 연결 시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점적호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1220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US9022059B2 (en) Flow regulator for agricultural drip emitter
ES2865123T3 (es) Emisor elastomérico y procedimientos relacionados con el mismo
JP6532757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JP6208672B2 (ja) 点滴灌漑用ドリッパおよび点滴灌漑装置
US9894850B2 (en) Dripper and drip irrigation tube
US20060237561A1 (en) Drip emitter
US20090165879A1 (en) Fluid Flow Labyrinth
KR101805445B1 (ko) 점적호스
EP3391738A1 (en) Drip emitter
US9883639B2 (en) Drip-irrigation emitter and drip-irrigation device provided therewith
JP6577318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CN105792640A (zh) 滴灌灌水器及形成滴灌管的方法
ES2747179T3 (es) Tubo de irrigación gota a gota
KR20200011746A (ko)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
JP6719297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JP6783089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KR200411174Y1 (ko) 농작물 재배용 호스
KR200449454Y1 (ko) 용수용 호스의 드립
KR101390952B1 (ko) 점적급수노즐 및 이를 갖는 점적급수호스
KR102285559B1 (ko) 농작물 재배용 점적 조절장치
JP6710602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JP6689634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KR101883098B1 (ko) 물의 공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점적호스
KR101264468B1 (ko) 유체 유동 라비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