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445B1 - 점적호스 - Google Patents

점적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445B1
KR101805445B1 KR1020170100168A KR20170100168A KR101805445B1 KR 101805445 B1 KR101805445 B1 KR 101805445B1 KR 1020170100168 A KR1020170100168 A KR 1020170100168A KR 20170100168 A KR20170100168 A KR 20170100168A KR 101805445 B1 KR101805445 B1 KR 101805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water
unit
longitudinal direct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드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드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드립
Priority to KR1020170100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445B1/ko
Priority to PCT/KR2017/014392 priority patent/WO20190316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물을 소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점적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의 측방향에 감압부와 유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유출부에 형성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물질 등에 의해 폐쇄되어도 개방되어 있는 다른 배출공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배출공 각각을 통해 일정한 유량의 물이 배출되는 점적호스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유입부가 크게 형성되어 일부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어도 물의 유입이 원활하고, 복수 개의 제1유도공을 통해 상기 유입부의 물의 유입이 원활하며, 어느 하나의 배출공이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어도 측방향 즉, 점적호스의 길이방향으로 물이 이동이 가능한 배출부에 의해 배출되는 유량이 균일하여 농작물의 생장속도를 균일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점적호스{Drip hose}
본 발명은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물을 소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점적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의 측방향에 감압부와 유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유출부에 형성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물질 등에 의해 폐쇄되어도 개방되어 있는 다른 배출공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배출공 각각을 통해 일정한 유량의 물이 배출되는 점적호스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점적호스는 농작물의 재배시에 농작물의 뿌리에 근접하게 지면에 설치하여 점적호스의 외주에 형성되는 통수공(배출공)을 통하여 호스 내부의 물이 지면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며, 통상의 점적호스는 소량의 물을 연속하여 지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통수공을 극히 미세하게 형성함으로써 물이 통수공을 통하여 방울방울 맺혀지며 지면에 공급하게 된다.
통상 호스는 물을 공급하는 측에는 수압이 크게 되고 그 거리가 멀어 질수록 즉, 물의 공급원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압은 낮아지게 되므로 통상 수압이 높은 곳에서는 물의 공급량이 많아지고 수압이 낮은 곳에서는 물의 공급량이 적어지게 되나, 점적호스는 호스의 내부수압에 관계없이 동일한 양의 물이 통수공을 통하여 농작물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우수한 점적호스는 호스 내부에 발생하는 수압에 관계없이 각각의 통수공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이 일정한 것이 우수한 점적호스라 할 수 있다. 즉, 농작물에 공급되느 물의 양에 따라 농작물의 생장속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균일한 생장을 유도하기 위하여서는 점적호스에 다수가 형성되는 통수공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이 균일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도 점적호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압을 상쇄하는 다양한 종류의 점적호스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 점적호스에서 지면으로 물을 공급하는 통수공에 다수의 저항구조를 갖는 저항체를 부착하거나 점적호스를 이중관으로 형성한 것이 있고, 점적호스를 이중관으로 형성한 것은 합성수지 필름을 원형으로 일부를 중첩되게 말아서 단부를 접착함으로써 내측에 내측통수로와 중첩부에 외측통수로를 형성하며 외측통수로의 내측 길이방향으로 실을 투입하며 내측과 외측통수로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내측통수공을 형성하고 외측통수로아 호스의 외주가 연통되는 외측통수공을 형성하여 내측통수로에서 공급되는 물이 내측통수공을 통하여 외측통수로로 이동하고 이동된 물이 외측통수공을 통하여 점적호스의 외측으로 물이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점적호스는 내측통수로에서 외측통수로로 공급되어진 물이 실을 타고 이동하여 외측통수공에 도달한다 하여도 내측통수로에서 발생하는 수압의 차이에 의해 외측통수로로 공급되는 물의 양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실을 타고 흐르는 물의 양에 차이가 발생하여 호스의 외부로 공급되는 물량의 편차가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이 외측통수로의 내측에서 고정되지 않고 그 위치가 이동됨으로써 실이 외측통수공 위를 지나가지 못하면 물이 공급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점적호스는 통상 합성수지 호스로 이루어짐에 따라 물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호스의 내측이 건조되어 밀착됨으로써 물을 공급하더라도 공급되어진 물이 호스 내측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69225호에는 도 1과 같이, 튜브(T)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1)와, 유입된 물의 감압을 위한 감압부(12) 및 상기 감압부(12)를 거쳐 튜브(T)의 외측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분출공(2)이 형성된 배출부(13)로 구성된 단위드립(1)이 튜브(T)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감압호스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69225호의 감압호스는 유입부(11) 또는 감압부(12) 및 배출부(13)의 분출공(2) 중 어느 하나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면 배출부(13)를 통해 물이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농작물의 생장속도가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감압호스 또는 점적호스는 앞서 언급된 물이 배출되는 통수공 혹은 분출공 등이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작은 이물질에도 자주 폐쇄되고, 이에 따라 호스 내부의 물이 유입되며 감압되고 배출되는 한개의 단위전체가 작용을 하지 못하므로 농작물의 균일한 생장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692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3243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5611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점적호스는 이물질에 의해 물의 유입, 감압 및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배출되는 유량이 불균일하거나, 배출되지 않아 농작물의 생장속도가 불균일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유입부의 측방향으로 감압부 및 유출부를 형성하여 유입부의 일부분, 감압부의 일부분 또는 유출부의 배출공 일부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어도 배출되는 유량이 균일할 뿐만 아니라 호스 전체에 형성된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물의 유량이 일정한 점적호스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점적부가 형성되는 점적호스에 있어서, 상기 점적부는 층 구조로 형성되고, 점적호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유입부와 점적호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부의 일측방향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감압부 및 점적호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감압부의 일측방향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점적부는 유입부와 감압부 및 유출부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가 점적호스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 형성되거나, 유입부와 감압부 및 유출부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 하나가 점적호스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입부는 점적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되,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진 구획편과 상기 구획편과 이웃한 구획편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압부는 "Ω" 또는 "∧" 또는 "∩" 또는 "
Figure 112017076230819-pat00001
" 또는 "
Figure 112017076230819-pat00002
" 형상이 점적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감압유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감압부는 상기 유입부의 일측방향에 점적호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구획편과, 상기 제1구획편의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유도돌기를 구비하고, 점적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제1측부와 상기 제1구획편과 이웃한 제1구획편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도공과 상기 제1측부의 일측방향에 점적호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구획편과, 상기 제2구획편의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유도돌기와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유도돌기를 구비하고, 점적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제2측부 및 상기 제2구획편과 이웃한 제2구획편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도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출부는 감압부와 연통되는 배출유로부와 상기 배출유로부를 형성하되, 점적호스에 형성된 배출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유로부를 상기 배출부와 함께 형성하되, 상기 배출부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점적호스는 종래에 비해 유입부가 크게 형성되어 일부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어도 물의 유입이 원활하고, 복수 개의 제1유도공을 통해 상기 유입부의 물의 유입이 원활하며, 어느 하나의 배출공이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어도 측방향 즉, 점적호스의 길이방향으로 물의 이동이 가능한 배출부에 의해 배출되는 유량이 호스 전체가 균일하여 농작물의 생장속도를 균일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점적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적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적호스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적호스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적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적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 및 단면도.
본 발명은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물을 소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점적호스(10)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점적호스(10) 내부의 물이 유입되되, 상기 점적호스(1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유입부(200)와, 상기 유입부(200)의 측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200)로 유입된 물이 유입되어 상기 물의 유속을 조절하는 감압부(300) 및 상기 감압부(300)로 유입된 물이 유입되어 일정한 양의 물을 배출공(500)을 통해 점적호스(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점적부(100)가 형성됨으로써, 유입부(200), 감압부(300) 또는 배출부(400)의 배출공(500) 각각의 일부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어도 일정한 유량의 물이 배출되어 농작물의 생장을 균일하게 유도할 수 있는 점적호스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점적부(100)가 형성되는 점적호스(10)에 있어서, 상기 점적부(100)는 층 구조로 형성되고,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유입부(200);와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부(200)의 일측방향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감압부(300); 및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감압부(300)의 일측방향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점적부(100)는 유입부(200)와 감압부(300) 및 유출부(400)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가 점적호스(10)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 형성되거나, 유입부(200)와 감압부(300) 및 유출부(400)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 하나가 점적호스(10)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입부(200)는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되,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진 구획편(210);과 상기 구획편(210)과 이웃한 구획편(210)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공(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압부(300)는 "Ω" 또는 "∧" 또는 "∩" 또는 "
Figure 112017076230819-pat00003
" 또는 "
Figure 112017076230819-pat00004
" 형상이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감압유로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감압부(300)는 상기 유입부(200)의 일측방향에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구획편(322)과, 상기 제1구획편(322)의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유도돌기(324)를 구비하고,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제1측부(320);와 상기 제1구획편(322)과 이웃한 제1구획편(322)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도공(330);과 상기 제1측부(320)의 일측방향에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구획편(342)과, 상기 제2구획편(342)의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유도돌기(324)와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유도돌기(344)를 구비하고,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제2측부(340); 및 상기 제2구획편(342)과 이웃한 제2구획편(342)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도공(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출부(400)는 감압부(300)와 연통되는 배출유로부(410);와 상기 배출유로부(410)를 형성하되, 점적호스(10)에 형성된 배출공(500)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배출부(420); 및 상기 배출유로부(410)를 상기 배출부(420)와 함께 형성하되, 상기 배출부(42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지지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점적부(100)는
점적호스(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점적호스(10)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200)와, 상기 유입부(200)의 물이 유입되어 유속을 조절하는 감압부(300) 및 상기 감압부(300)의 물이 유입되어 관통형성된 배출공(500)을 통해 점적호스(10)의 외부로 물을 배출시키는 유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입부(200)와 감압부(300) 및 유출부(400)는 일측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적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200)와 감압부(300) 및 유출부(400)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체(미표시)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가 점적호스(10)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 즉,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점적부(100)는 하나의 단위체가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됨으로써, 점적호스(10)의 외측에 인접한 농작물에 일정한 유량의 물을 공급하되, 하나의 단위체가 이물질에 의해 전체가 폐쇄되어도 폐쇄되지 않은 다른 단위체를 통해 점적호스(10)의 외부로 물이 배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점적부(100)는 특성상 점적호스(10) 내부의 이물질에 의해 유입부(200) 및 감압부(300)가 폐쇄되는 것보다 점적호스(10)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유출부(400)의 배출공(500)이 더욱 많이 폐쇄되는 문제가 발생되는데, 이때, 유입부(200)와 감압부(300), 감압부(300)와 유출부(400)가 복수 개의 이동통로(이하의 유입공(220), 제1유도공(330), 제2유도공(350))로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일부의 배출공(500)이 외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어도 폐쇄되지 않은 배출공(500)을 통해 물이 점적호스(1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농작물의 생장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부가하여, 가장 바람직한 본 발명의 점적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200)와 감압부(300) 및 유출부(400)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 하나가 점적호스(10)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앞서 언급한 단위체가 연속으로 배열되는 것보다 유입부(200), 감압부(300), 유출부(400)의 배출공(500)들의 일부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어도 개방되어 있는 유입부(200), 감압부(300), 유출부(400)의 배출공(500)을 통해 점적호스(10) 내부의 물이 이동되어 더욱더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점적부(100)의 유입부(200)는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되,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진 구획편(210)과, 상기 구획편(210)과 이웃한 구획편(210)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공(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공(220)을 통해 점적호스(10) 내부의 물이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감압부(300)로 이동된다.
즉, 상기 구획편(210)은 점적호스(10)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공(220)을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폐쇄되어 있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됨으로써, 복수 개의 유입공(220)을 형성하고, 이후에 설명될 감압부(300)와 이격되어 유입유로(미표시)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유로를 따라 물이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유입부(200)는 점적호스(10) 내부의 이물질에 의해 일부의 유입공(220)이 폐쇄되어도 개방되어 있는 유입공(220)을 통해 물이 유입유로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유입유로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이 유입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유입공(220)은 크기가 이후에 설명될 감압부(300)에 형성되는 제1유도공(330) 및 유입유로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상기 유입공(220)을 통해 큰 이물질이 점적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감압부(300)는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부(200)의 일측방향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앞서 언급한 유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유입부(200)의 구획편(210)과 이격되어 일측방향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유입유로로부터 유입된 물이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되, 일정한 유속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감압유로부(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감압유로부(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Ω" 또는 "∧" 또는 "∩" 또는 "
Figure 112017076230819-pat00005
" 또는 "
Figure 112017076230819-pat00006
" 형상이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유입유로로부터 유입된 물이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감압유로부(310)의 내측면에 부딪히도록 유도함으로써, 물의 유속을 일정하게 유도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감압유로부(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굽어지는 곳 각각에 감압홈(312)이 형성되므로써,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물의 유속을 느려지게 하여 일정한 유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할 뿐만 아니라 와류를 형성시켜 축적되는 이물질 또는 찌꺼기를 제거하며 이동시킴으로써, 더욱더 원활한 물의 유속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감압유로부(310)는 물의 유속을 느려지게 하는 감압홈(312)이 가장 많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인 "Ω" 형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감압부(3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유입부(200)의 일측방향에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구획편(322)과, 상기 제1구획편(322)의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유도돌기(324)를 구비하고,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제1측부(320)와, 상기 제1구획편(322)과 이웃한 제1구획편(322)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도공(330)과, 상기 제1측부(320)의 일측방향에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구획편(342)과, 상기 제2구획편(342)의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유도돌기(324)와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유도돌기(344)를 구비하고,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제2측부(340) 및 상기 제2구획편(342)과 이웃한 제2구획편(342)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도공(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측부(320)와 제2측부(340)에 의해 앞서 설명한 감압유로부(310)가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부(320)의 제1구획편(322)과 이웃한 제1측부(320)의 제1구획편(322) 사이에 유입부(200)의 유입유로부의 물이 감압부(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유도공(330)이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측부(340)의 제2구획편(342)과 이웃한 제2측부(340)의 제2구획편(342) 사이에 감압유로부(310)의 물이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유출부(4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유도공(35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유출부(400)는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감압부(300)의 일측방향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점적호스(1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공(500)의 위치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어 상기 감압부(300)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공(500)을 통해 점적호스(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출부(400)는 감압부(300)와 연통되는 배출유로부(410)와, 상기 배출유로부(410)를 형성하되, 점적호스(10)에 형성된 배출공(500)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배출부(420) 및 상기 배출유로부(410)를 상기 배출부(420)와 함께 형성하되, 상기 배출부(42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지지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배출유로부(410)는 감압부(300)의 감압유로부(310)의 물이 제2유도공(350)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제2유도공(350)을 통해 유입된 물이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 즉, 점적호스(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부(420)와 지지부(430)는 상기와 같은 배출유로부(410)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420)는 점적호스(10)에 형성되는 배출공(500)을 통해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4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430)는 상기 배출부(4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배출공(500)이 형성된 점적호스(10) 부분인 배출부(420)로 많은 양의 물이 채우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출공(500)을 통해 높은 수압이 아닌 적절한 수압을 유지하며 외부로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배출부(420)가 지지부(430)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은 지지부(430)에 비해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었을 때, 지지부(430)에 비해 높은 수압이 발생되어 배출공(500)이 형성된 점적호스(10)의 부위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수압이 발생되었을 경우 점적호스(10) 부근의 농작물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며, 이물질이 더욱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넓은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이물질에 의해 배출공(500)이 폐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유출부(400)는 상기 배출부(420)와 지지부(430)에 의해 배출유로부(410)를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에 전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적절한 수압으로 물을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일부의 배출공(500)이 폐쇄되더라도 개방되어 있는 배출공(500)을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생장속도가 균일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점적호스 100 : 점적부
200 : 유입부 210 : 구획편
220 : 유입공 300 : 감압부
310 : 감압유로부 320 : 제1측부
322 : 제1구획편 324 : 제1유도돌기
330 : 제1유도공 340 : 제2측부
342 : 제2구획편 344 : 제2유도돌기
350 : 제2유도공 400 : 유출부
410 : 배출유로부 420 : 배출부
430 : 지지부 500 : 배출공

Claims (7)

  1. 점적부(100)가 형성되는 점적호스(10)에 있어서,
    상기 점적부(100)는 층 구조로 형성되고,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유입부(200);와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부(200)의 일측방향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감압부(300); 및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감압부(300)의 일측방향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입부(200), 감압부(300) 및 유출부(400)는 복수 개의 이동통로로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일부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어도 개방되어 있는 유입부(200), 감압부(300) 및 유출부(400)의 배출공(500)을 통해 물이 점적호스(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적부(100)는
    유입부(200)와 감압부(300) 및 유출부(400)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가 점적호스(10)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적부(100)는
    유입부(200)와 감압부(300) 및 유출부(400)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 하나가 점적호스(10)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200)는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되,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진 구획편(210);과
    상기 구획편(210)과 이웃한 구획편(210)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공(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300)는
    "Ω" 또는 "∧" 또는 "∩" 또는 "
    Figure 112017076230819-pat00007
    " 또는 "
    Figure 112017076230819-pat00008
    " 형상이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감압유로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300)는
    상기 유입부(200)의 일측방향에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구획편(322)과, 상기 제1구획편(322)의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유도돌기(324)를 구비하고,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제1측부(320);와
    상기 제1구획편(322)과 이웃한 제1구획편(322)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도공(330);과
    상기 제1측부(320)의 일측방향에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구획편(342)과, 상기 제2구획편(342)의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유도돌기(324)와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유도돌기(344)를 구비하고, 점적호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제2측부(340); 및
    상기 제2구획편(342)과 이웃한 제2구획편(342)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도공(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400)는
    감압부(300)와 연통되는 배출유로부(410);와
    상기 배출유로부(410)를 형성하되, 점적호스(10)에 형성된 배출공(500)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배출부(420); 및
    상기 배출유로부(410)를 상기 배출부(420)와 함께 형성하되, 상기 배출부(42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지지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호스.
KR1020170100168A 2017-08-08 2017-08-08 점적호스 KR101805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168A KR101805445B1 (ko) 2017-08-08 2017-08-08 점적호스
PCT/KR2017/014392 WO2019031659A1 (ko) 2017-08-08 2017-12-08 점적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168A KR101805445B1 (ko) 2017-08-08 2017-08-08 점적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445B1 true KR101805445B1 (ko) 2017-12-06

Family

ID=6092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168A KR101805445B1 (ko) 2017-08-08 2017-08-08 점적호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5445B1 (ko)
WO (1) WO201903165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659A1 (ko) * 2017-08-08 2019-02-14 주식회사 탑드립 점적호스
KR101991901B1 (ko) * 2018-01-24 2019-06-21 김귀현 압력조절 겸 여과 기능의 유로를 구비한 점적호스
WO2021091201A1 (ko) * 2019-11-07 2021-05-14 소인철 용수 도관
KR102336639B1 (ko) 2021-03-25 2021-12-08 소인철 점적호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000114D0 (en) * 2020-01-06 2020-02-19 Dupont Teijin Films Us Lp Polymeric film tube
CN112616412A (zh) * 2021-01-15 2021-04-09 河南大学 一种农业灌溉用滴水灌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8323A1 (en) * 2005-12-16 2007-06-21 Seo Won Co., Ltd. Drip irrigation hose
KR200449454Y1 (ko) * 2008-06-17 2010-07-12 소재용 용수용 호스의 드립
KR101270487B1 (ko) * 2010-12-09 2013-06-03 (주)삼원기업 점적 호스
KR101685250B1 (ko) * 2014-05-20 2016-12-09 김미소 유로형성이 용이한 작물 재배용 점적호스
KR101805445B1 (ko) * 2017-08-08 2017-12-06 주식회사 탑드립 점적호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659A1 (ko) * 2017-08-08 2019-02-14 주식회사 탑드립 점적호스
KR101991901B1 (ko) * 2018-01-24 2019-06-21 김귀현 압력조절 겸 여과 기능의 유로를 구비한 점적호스
WO2021091201A1 (ko) * 2019-11-07 2021-05-14 소인철 용수 도관
KR102336639B1 (ko) 2021-03-25 2021-12-08 소인철 점적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1659A1 (ko)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445B1 (ko) 점적호스
KR200478547Y1 (ko) 띠형 회전 분출식 관수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KR20190122778A (ko) 점적급수노즐
RU2723041C2 (ru) Шланг для капельного орошения с лентой
US20160032570A1 (en) Water supply device
JP5921100B2 (ja) 自動閉鎖機能を有する多スロット塗布機
JP5005353B2 (ja) 処理液での被処理物処理のためのノズル配列、及び同ノズル配列を含む機器、並びに方法
RU201013343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й поливом
JP4331687B2 (ja) ノズル配列構造
KR100932433B1 (ko) 점적 호스
EP1776483B1 (en) Hot rolled strip cooling device with coolant header
KR101828597B1 (ko) 용수 공급호스용 드립
US8955774B2 (en) Water-drip hose
KR101390952B1 (ko) 점적급수노즐 및 이를 갖는 점적급수호스
JP2018508205A (ja) 植物栽培用回転噴出式分水ホース
KR20150024779A (ko)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KR102285559B1 (ko) 농작물 재배용 점적 조절장치
JP2022027178A5 (ko)
KR101883098B1 (ko) 물의 공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점적호스
JP2022511576A (ja) 灌水ホースを用いた灌水拡散型ドリップ
KR200479367Y1 (ko) 관수 호스
KR20200011746A (ko)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
JP6423495B1 (ja) ノズルキャップ、それを備えたノズル装置及び薬液の散布方法
KR200438727Y1 (ko) 농업용 이중호스
KR101938493B1 (ko) 양방향으로 급수되는 회전식 분수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