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433B1 - 점적 호스 - Google Patents

점적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433B1
KR100932433B1 KR1020090065265A KR20090065265A KR100932433B1 KR 100932433 B1 KR100932433 B1 KR 100932433B1 KR 1020090065265 A KR1020090065265 A KR 1020090065265A KR 20090065265 A KR20090065265 A KR 20090065265A KR 100932433 B1 KR100932433 B1 KR 100932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se
channel
fu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삼원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기업 filed Critical (주)삼원기업
Priority to KR102009006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433B1/ko
Priority to EP10799966.6A priority patent/EP2478966B1/en
Priority to PCT/KR2010/003242 priority patent/WO201100795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2Multi-channel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적 호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적 호스에 제1통수로와 함께 제2통수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통수로가 단위 섹션으로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점적 호스 내부에 발생하는 수압에 관계없이 각각의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이 일정하도록 하여 농작물의 균일한 생장을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적 호스는 별도의 보조기구, 즉 라이너 등을 이용하지 않고 평판형 수지필름만을 이용하여 제조됨에 따라 제조단가가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평판형 수지필름의 양측 단부가 융착되어 이루어지는 점적 호스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수지필름은 양측 단부가 중첩되어 길이방향으로 2개의 융착라인이 형성되도록 융착됨으로써, 상기 융착라인에 의해 제1통수로와 함께 중첩부에 제2통수로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중첩부에는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융착라인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중첩부가 하나 이상의 단위 섹션으로 구획되어지며, 상기 단위 섹션을 구성하는 길이방향의 융착라인에는 상기 제1통수로의 물을 제2통수로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와, 상기 제2통수로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적 호스, 통수로, 융착라인, 평판형 수지필름, 배수구, 급수구

Description

점적 호스{DROPS HOSE}
본 발명은 점적 호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적 호스에 제1통수로와 함께 제2통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통수로가 다수의 단위 섹션으로 구획됨으로써, 점적 호스 내부에 발생하는 수압에 관계없이 각각의 단위 섹션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하여 동일한 물의 양이 배출되도록 하여 농작물의 균일한 생장을 유도하는 것이다.
점적 호스는 농작물의 재배시에 농작물의 뿌리에 근접하게 지면에 설치하여 호스의 외주에 형성되는 통수공을 통하여 호스 내부의 물이 지면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며, 통상의 점적 호스는 소량의 물을 연속하여 지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통수공을 극히 미세하게 형성함으로써 물이 통수공을 통하여 방울방울 맺혀지며 지면에 공급하게 된다.
통상 호스는 물을 공급하는 측에는 수압이 크게 되고 그 거리가 멀어 질수록 즉 물의 공급원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압은 낮아지게 되므로 통상수압이 높은 곳에서는 물의 공급량이 많아지고 수압이 낮은 곳에서는 물의 공급량이 적어지게 되며 점적 호스는 호스의 내부수압에 관계없이 동일한 양의 물이 통수공을 통하여 농작물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우수한 점적 호스는 호스 내부에 발생하는 수압에 관계없이 각각의 통수공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량이 일정한 것이 우수한 점적 호스라 할 수 있다.
즉, 농작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에 따라 농작물의 생장속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균일한 생장을 유도하기 위하여서는 점적 호스에 다수가 형성되는 통수공에서 공급되는 물의 량이 균일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도 점적 호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압을 상쇄하는 다양한 종류의 점적 호스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 점적 호스에서 지면으로 물을 공급하는 통수공에 다수의 저항구조를 갖는 저항체를 부착하거나 점적 호스를 이중관으로 형성한 것이 있으며, 점적 호스를 이중관으로 형성한 것은 합성수지 필름을 원형으로 일부를 중첩되게 말아서 단부를 접착함으로써 내측에 내측통수로와 중첩부에 외측통수로를 형성하며 외측통수로의 내측 길이방향으로 실을 투입하며 내측과 외측통수로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내측통수공을 형성하고 외측통수로와 호스의 외주가 연통되는 외측통수공을 형성하여 내측통수로에서 공급되는 물이 내측통수공을 통하여 외측통수로로 이동하고 이동된 물이 외측통수공을 통하여 호스의 외측으로 물이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되는 종래의 점적 호스는 내측통수로에서 외측통수로로 공급되어진 물이 외측통수공에 도달한다 하여도 내측통수로에서 발생하는 수압의 차이에 의해 외측통수로로 공급되는 물의 양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점적 호스는 통상 합성수지 호스로 이루어짐에 따라 물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호스의 내측이 건조되어 밀착됨으로써 물을 공급하더라도 공급되어진 물이 호스 내측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점적 호스의 선출원으로서는 등록실용신안 제 0401878호의 "점적 호스"가 제안되었는 바,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점적 호스의 내주벽(106)과 외주벽(107)의 사이는 간격유지돌환(105)에 의해 일정폭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내측통수로(101)에 물을 공급하면 내주벽(106)으로 수압이 발생하게 되고 내주벽(106)의 지름이 외주벽(107)보다 크거나 같게하여 수압이 발생하지 않는 외주벽(107)과 강하게 밀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간격유지돌환(105)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통수로(103)의 단면적은 그 크기가 작아지게 되며 내측통수로(101)의 수압이 낮은곳에서는 내주벽(106)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적게 되어 간격유지돌환(105)에 의해 외측통수로(103)가 보다 넓게 확보됨으로 각각의 외측통수공(104)의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 실용신안 역시 간격유지돌환(105)만으로는 점적 호스 내의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었으며, 건조시 호스간 밀착현상 또한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등록된 등록특허 제0761493호의 "감압 라이너 및 이를 이용한 점적 호스"에서는 도 2와 같이, 점적 호스(H)를 위한 라이너(L)의 가공면에 성형된 배수구간의 타공돌출부가 감압구간의 저항돌출부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어 있어 튜브와 의 열접합시 튜브 외면에는 상기 타공돌출부로 인하여 대응돌출부가 형성되므로, 절개(incise) 방식과 따내기(pick)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펀칭공정에서 배수부(T1)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이너(L), 이 라이너(L)가 튜브에 접합되어 형성된 점적 호스(H)를 제공하였으나, 별도의 라이너(L)를 호스(T)에 접합하고, 상기 호스(T)에 배수부(T1)를 타공하여야 함에 따라 그 제조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라이너 만으로는 수압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점적 호스에 제1통수로와 함께 제2통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통수로가 다수의 단위 섹션으로 구획됨으로써, 점적 호스 내부에 발생하는 수압에 관계없이 각각의 단위 섹션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하여 동일한 물의 양이 배출되도록 하여 농작물의 균일한 생장을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점적 호스의 배수구가 각 단위 섹션마다 구비됨으로써, 점적 호스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더라도 하나의 단위 섹션에 형성된 배수구만을 방해하여 전체 농작물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점적 호스의 내부에 미세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건조 시 점적 호스의 내부가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적 호스는 평판형 수지필름의 양측 단부가 융착되어 이루어지는 점적 호스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수지필름은 양측 단부가 중첩되어 길이방향으로 2개의 융착라인이 형성되도록 융착됨으로써, 상기 융착라인에 의해 제1통수로와 함께 중첩부에 제2통수로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중첩부에는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융착라인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중첩부가 하나 이상의 단위 섹션으로 구획되어지며,
상기 단위 섹션을 구성하는 길이방향의 융착라인에는 상기 제1통수로의 물을 제2통수로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와, 상기 제2통수로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적 호스 내부의 제1통수로의 수압과 관계없이 제2통수로의 배수구를 통해 동일한 양의 물이 농작물에 공급되도록 하여, 농작물의 균일 생장을 유도하고, 점적 호스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더라도 하나의 단위 섹션에 형성된 배수구만을 방해하게 되어 점적 호스의 막힘현상을 최소로 함으로써, 전체 농작물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적 호스의 내부에 미세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시 점적 호스의 내부가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점적 호스에 비해 제조가 간단하여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적 호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점적 호스의 평면도이며, 도 5a는 도 3의 B-B 선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3의 C-C 선의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3의 D-D 선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필름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점적 호스(A)는 제1통수로(1), 제2통수로(2) 및 단위섹션(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호스의 길이방향 전체를 도시하지 아니하고, 점적 호스의 길이방향을 절단하여 도시한 것으로, 도 8과 같이, 점적 호스는 길이방향으로 동일구조를 갖도록 연장되는 것은 당연하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점적 호스(A)는 도 3과 같이, 평판형 수지필름(10)을 환형태로 말아 그 양측 단부를 서로 융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데, 상기 평판형 수지필름(10)의 양측 단부가 서로 일부 중첩되도록 하고, 상기 중첩된 중척부에 길이방향으로 2개의 융착라인(11)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융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길이방향의 2개의 융착라인(11)은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융착라인(11)에 의해 상기 평판형 수지필름(10)의 단부가 서로 열융착됨으로써, 환형으로 말린 평판형 수지필름(10)의 내부에 제1통수로(1)가 형성되는 것은 물론, 상기 평판형 수지필름(10)의 접합부에도 상기 2개의 융착라인(11)에 의해 제2통수로(2)가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중첩부에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융착라인(11')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융착라인(11)과 상기 폭방향 융착라인(11')이 서로 맞닿게 되어 상기 중첩부가 하나 이상의 단위 섹션(3)으로 구획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 섹션(3)은 점적 호스(A)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 기 폭방향 융착라인(11')이 둘 이상 형성되어지되, 이웃하는 융착라인(11')이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하여 상기 다수의 단위 섹션(3)이 등 간격을 갖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재배간격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단위 섹션(3)은 2개의 길이방향 융착라인(11)과 2개의 폭방향 융착라인(11')으로 되는 바, 상기 단위 섹션(3)의 중앙에는 하나 이상의 융착라인(11")이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단위 섹션(3)의 제2통수로(2)가 둘 이상의 단위 통수로(21)(21')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폭방향 융착라인(11')은 그 끝단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융착라인(11)과 맞닿도록 형성되면 족한 것으로, 상기 길이방향 융착라인(11)과 수직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직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길이방향 융착라인(11) 중 어느 하나와 추가로 형성되는 융착라인(11")과 맞닿도록 형성하고, 다시 상기 추가로 형성되는 융착라인(11")과 길이방향 융착라인(11) 중 다른 하나와 맞닿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점적 호스(A)는 상기 제1통수로(1)와 제2통수로(2) 그리고 각 단위 통수로(21)(21')간 서로 연통되어 상기 제1통수로(1)로 공급되는 물이 흐를 수 있어야 하는 바, 도 5a와 같이 상기 단위 섹션(3)을 형성하는 길이방향의 융착라인(11) 중 어느 하나, 즉 평판형 수지(10)의 단부가 점적 호스(A)의 내측에 위치되는 측의 융착라인(11)에는 급수구(11a)가 형성되어, 상기 제1통수로(1)의 물을 제2 통수로(2)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융착라인(11), 즉 평판형 수지(10)의 단부가 점적 호스(A)의 외측에 위치되는 측의 융착라인(11)에는 상기 급수구(11a)와 동일한 형태의 배수구(11b)가 형성되어, 제2통수로(2)로 공급된 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게 되며, 도 5c와 같이 상기 추가 형성된 길이방향의 융착라인(11")에도 개구부(11c)가 형성되어 상기 2열의 단위 통수로(21)(21')가 서로 연통되게 된다. 아울러 도 5b와 같이, 급수구(11a), 배수구(11b) 및 개구부(11c)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제1통수로(1)와 단위 통수로(21)(21')로 각각 구획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급수구(11a), 배수구(11b) 및 개구부(11c)는 모두 동일 형태로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이 아닌, 상기 평판형 필름(10)의 접합부를 융착하여 융착라인(11)(11")을 형성할 시 일부분을 융착하지 않아 개구된 상태로 두는 것이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급수구(11a), 배수구(11b) 및 개구부(11c)의 형성 위치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급수구(11a)는 상기 단위 섹션(3)을 구성하는 길이방향의 융착라인(11)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c)는 상기 추가로 형성된 융착라인(11")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1b)는 상기 단위 섹션(3)을 구성하는 길이방향의 융착라인(11)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제1통수로(1)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제1통수로(1)로 공급된 물은 상기 급수구(11a)를 통해 제2통수로(2) 중 하나의 단위 통수로(21)로 공급되고, 상기 하나의 단위 통수로(21)를 통과한 물은 개구부(11c)를 통 해 다른 단위 통수로(21')로 공급되어 통과하고, 상기 다른 단위 통수로(21')의 단부측에 형성된 배수구(11b)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어 농작물에 공급되는 것인 바, 상기 각 급수구(11a), 배수구(11b) 및 개구부(11c)의 형성 위치를 제한하여 배수되는 물의 공급라인을 일원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위섹센(3)의 구성으로 인해, 제1통수로(1)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과 무관하게 단위 섹션(3)별 제2통수로(2)의 단위 통수로(21)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고, 각 배수구(11b)를 통해 배수되는 물의 양이 일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융착라인(11)(11')(11")은 열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방법을 통해 형성하는 바, 상기 열융착 및 고주파 융착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평판형 수지필름(10)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다양한 합성수지의 재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합성수지에 기타의 첨가제를 배합하여 될 수도 있는 것으로, 종래 점적호스 또는 일반 호스를 구성하는 모든 종류의 수지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평판형 수지필름(10)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평판형 수지필름(10)의 일면에 미세 요철부(10a)가 형성됨으로써, 제1통수로(1) 및 제2통수로(2)의 내측에는 미세 요철부(10a)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미세 요철부(10a)로 인해 점적 호스(A)의 미사용시 호스 내부가 건조되더라도 호스(A)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호스는 내부에 미세 요철부(10a)가 형성되지 않아 건조 시 호스의 내주연부가 서로 밀착되게 되고, 그 밀착력으로 인해 물을 공급하더라도 물이 호스 내부로 통과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세 요철부(10a)로 인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상기 미세 요철부(10a)의 형성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예로서 필름 압출기에서 수지 원료를 가열하여 압출하고, 압출된 필름이 고온의 표면온도를 갖은 상태에서 곧바로 미세 홈이 형성된 하부롤러와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상부롤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일측면에만 미세 요철부(10a)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미세 요철부(10a)는 그 요철의 개수, 폭 등은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점적 호스(A)는 다수개의 단위 섹션(3)으로 구획되어 제1통수로(1)를 통해 공급된 물이 각각의 단위 섹션(3)으로 공급되어 배수됨으로써, 이물질이 점적 호스(A)의 내부로 들어가더라도 어느 하나의 단위 섹션(3)에만 이물질이 공급되어 하나의 배수구(11b)만을 방해하게 되는 것인 바,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이물질로 인한 막힘현상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단위 섹션(3)에는 하나의 급수구(11a), 배수구(11b) 및 개구부(11c)만이 형성되어지되, 그 형성위치가 지그재그로 되어, 즉 각 단위 섹션(3)당 통수로가 일정 길이 이상으로 확보되어, 물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적 호스(A)는 도 7에서와 같이, 단위 섹션(3)의 중앙에 길이방향의 융착라인(11")을 추가로 형성하지 아니하여, 제2통수로(2)가 둘 이상의 단위 통수로(21)(21') 구획되지 않을 수도 있는 바, 이러한 경우 급수구(11a)는 단위 섹션(3)을 구성하는 길이방향의 융착라인(11)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하고, 배수구(11b)는 길이방향의 융착라인(11) 중 다른 하나의 타측에 형성함으로써, 급수구(11a)를 통과한 물이 제2통수로(2) 통과하지 않고 그대로 배수로(11b)로 배출될 수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점적 호스(A)는 농작물의 파종 후 또는 파종 전 설치하는 바, 도 8에서와 같이 농작물(파종위치)의 일측에만 점적 호스(A)를 설치할 수도 있고, 양측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설치 형태나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 및 도 1b 는 종래의 점적 호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점적 호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적 호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점적 호스의 평면도.
도 5a는 도 3의 B-B 선의 단면도.
도 5b는 도 3의 C-C 선의 단면도.
도 5c는 도 3의 D-D 선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필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적 호스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점적 호스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제1통수로 2: 제2통수로 3: 단위 섹션
10: 평판형 수지필름 10a: 미세 요철부
11, 11', 11": 융착라인 11a: 급수구 11b: 배수구
11c: 개구부 21: 단위 통수로

Claims (5)

  1. 평판형 수지필름(10)의 양측 단부가 융착되어 이루어지는 점적 호스(A)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수지필름(10)은 양측 단부가 중첩되어 길이방향으로 2개의 융착라인(11)이 형성되도록 융착됨으로써, 상기 융착라인(11)에 의해 제1통수로(1)와 함께 중첩부에 제2통수로(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중첩부에는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융착라인(11')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중첩부가 하나 이상의 단위 섹션(3)으로 구획되어지며,
    상기 단위 섹션(3)을 구성하는 길이방향의 융착라인(11)에는 상기 제1통수로(1)의 물을 제2통수로(2)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1a)와, 상기 제2통수로(2)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1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위 섹션(3)의 중앙에는 하나 이상의 융착라인(11")이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단위 섹션(3)에 둘 이상의 단위 통수로(21)(2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추가로 형성된 융착라인(11")에는 개구부(11c)가 형성되어 상기 둘 이상의 단위 통수로(21)(21')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급수구(11a)는 상기 단위 섹션(3)을 구성하는 길이방향의 융착라인(11)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c)는 상기 추가로 형성된 융착라인(11")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1b)는 상기 단위 섹션(3)을 구성하는 길이방향의 융착라인(11)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평판형 수지필름(10)의 일면에는 미세 요철부(10a)가 형성되어 제1통수로(1) 및 제2통수로(2)의 내측에는 미세 요철부(10a)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 호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라인(11)(11')(11")은 열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위 섹션(3)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 호스.
KR1020090065265A 2009-07-17 2009-07-17 점적 호스 KR100932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65A KR100932433B1 (ko) 2009-07-17 2009-07-17 점적 호스
EP10799966.6A EP2478966B1 (en) 2009-07-17 2010-05-24 Drip hose
PCT/KR2010/003242 WO2011007954A2 (ko) 2009-07-17 2010-05-24 점적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65A KR100932433B1 (ko) 2009-07-17 2009-07-17 점적 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433B1 true KR100932433B1 (ko) 2009-12-17

Family

ID=4168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265A KR100932433B1 (ko) 2009-07-17 2009-07-17 점적 호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478966B1 (ko)
KR (1) KR100932433B1 (ko)
WO (1) WO2011007954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487B1 (ko) 2010-12-09 2013-06-03 (주)삼원기업 점적 호스
KR101326641B1 (ko) 2012-02-29 2013-11-07 김미소 다기능 관수호스
KR101363526B1 (ko) 2012-05-31 2014-02-14 김미소 점적비닐호스
KR101451682B1 (ko) 2013-05-08 2014-10-22 김미소 작물재배용 점적호스
KR20150133508A (ko) * 2014-05-20 2015-11-30 김미소 유로형성이 용이한 작물 재배용 점적호스
KR101883098B1 (ko) * 2017-03-30 2018-07-27 김범준 물의 공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점적호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4106B (zh) * 2021-09-27 2022-08-09 四川省烟草公司攀枝花市公司 一种滴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63Y1 (ko) * 1994-03-29 1996-12-16 이난복 작물용 저압 급수호스
KR20030004743A (ko) * 2001-07-06 2003-01-15 윤종경 작물 재배용 관수파이프
KR200401878Y1 (ko) 2005-08-30 2005-11-22 권각수 점적호스
KR100754779B1 (ko) * 2007-02-21 2007-09-03 주식회사 서원양행 압력조절 점적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6365A1 (de) * 1977-04-13 1978-10-26 Kirchner Fraenk Rohr Tropfbewaesserungsschlauch
US4247051A (en) * 1979-12-20 1981-01-27 Davies Allport Irrigation hose and method for its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63Y1 (ko) * 1994-03-29 1996-12-16 이난복 작물용 저압 급수호스
KR20030004743A (ko) * 2001-07-06 2003-01-15 윤종경 작물 재배용 관수파이프
KR200401878Y1 (ko) 2005-08-30 2005-11-22 권각수 점적호스
KR100754779B1 (ko) * 2007-02-21 2007-09-03 주식회사 서원양행 압력조절 점적테이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487B1 (ko) 2010-12-09 2013-06-03 (주)삼원기업 점적 호스
US8955774B2 (en) 2010-12-09 2015-02-17 Sam Won Industry Co., Ltd. Water-drip hose
KR101326641B1 (ko) 2012-02-29 2013-11-07 김미소 다기능 관수호스
KR101363526B1 (ko) 2012-05-31 2014-02-14 김미소 점적비닐호스
KR101451682B1 (ko) 2013-05-08 2014-10-22 김미소 작물재배용 점적호스
KR20150133508A (ko) * 2014-05-20 2015-11-30 김미소 유로형성이 용이한 작물 재배용 점적호스
KR101685250B1 (ko) 2014-05-20 2016-12-09 김미소 유로형성이 용이한 작물 재배용 점적호스
KR101883098B1 (ko) * 2017-03-30 2018-07-27 김범준 물의 공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점적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8966B1 (en) 2016-12-21
WO2011007954A2 (ko) 2011-01-20
EP2478966A2 (en) 2012-07-25
WO2011007954A3 (ko) 2011-03-10
EP2478966A4 (en)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433B1 (ko) 점적 호스
US7108205B1 (en) Drip irrigation system employing parallel adjacent flowpaths
US8220727B2 (en) Pressure-compensation drip tape
US9807948B2 (en) Drip irrigation tube with metering elements inserted therein
AU757508B2 (en) Drip irrigation hose with emitters having different discharge rates
US4177946A (en) Integral drip irrigation system
US4247051A (en) Irrigation hose and method for its construction
US20190045728A1 (en) Anti-clogging drip irrigation emitter
BR112018072722B1 (pt) Método e sistema de irrigação
KR101270487B1 (ko) 점적 호스
CN109169196B (zh) 具有压力补偿功能的喷头、喷灌带及喷灌带的加工方法
KR101754495B1 (ko) 점적호스
KR101363526B1 (ko) 점적비닐호스
KR101883098B1 (ko) 물의 공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점적호스
KR200401878Y1 (ko) 점적호스
KR101754033B1 (ko) 이중토출구를 갖는 점적호스
KR101685250B1 (ko) 유로형성이 용이한 작물 재배용 점적호스
RU2343695C1 (ru) Поливная трубка для капельного орошения
KR970000578Y1 (ko) 농작물 급수용 점적 호오스
TWI580849B (zh) House cooler and its heat pipe
KR100305613B1 (ko) 농업용 점적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7330210A (ja) 散水チューブ
TWM530853U (zh) 屋涼裝置及其隔熱管
ITMI20010208A1 (it) Tubo gocciolante per irrigazione continua e localizz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