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979A -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 Google Patents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979A
KR20050120979A KR1020040046109A KR20040046109A KR20050120979A KR 20050120979 A KR20050120979 A KR 20050120979A KR 1020040046109 A KR1020040046109 A KR 1020040046109A KR 20040046109 A KR20040046109 A KR 20040046109A KR 20050120979 A KR20050120979 A KR 20050120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work
tube
vehicle body
wor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6154B1 (ko
Inventor
최재관
Original Assignee
최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관 filed Critical 최재관
Priority to KR1020040046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154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하강됨과 아울러 폭방향으로 회전되는 작업대의 유격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철도레일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부에 차륜이 설치된 차량 본체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작업공간부와, 이중관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측관은 상기 작업공간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외측관은 상기 차량본체의 상부에 고정되어진 지지대와, 상기 외측관과 내측관의 외주면 일측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작업공간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내측관의 상부와 작업공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공간부를 회전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차량본체의 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내측관의 외측관에 대한 유격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외측관에 설치되어진 유격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WORKTABLE MEANS OF RAILWAY LINE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하강됨과 아울러 폭방향으로 회전되는 작업대의 유격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전차와 일부 철도차량 등은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레일 상측 적정 위치에 전원(차)선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원(차)선과 절연애자 또는 브래킷 등이 파손되는 경우에 신속하게 보수작업을 하기 위해서 전차선 작업차량을 구비함과 아울러 비정기적으로 운행시키고 있는 바, 상기 전차선 작업차량은 레일 상부를 주행하면서 특정 지점의 파손 부품을 교환함과 아울러 점검하는 것이다.
상기의 전차선 작업차량의 일례에 대한 종래의 예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유지된 실용신안등록번호 0200219의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구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따른 전차선 보조작업차의 작업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면상 부호는 선출원된 상태의 부호를 그대로 인용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차선 보조작업차의 작업대 구조는 차량 본체(10)에 돌출형성되는 원통상의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에 회전수단(13)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측에 다각기둥의 외부박스(14)가 고정된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의 외부박스(14) 내에 대응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박스(15)와, 상기 내부박스(15)의 상측에 고정되어 차량 본체(10)의 폭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상 확장되는 작업 공간부(16)와, 상기 작업 공간부(16)에 설치되어 베이스(12)와 작업 공간부(16)를 조작하는 제어부(1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13)은 지지부(11)의 외측과 베이스(12)의 내측 사이에 설치한 베어링(19)과, 상기 베이스(12)의 기어에 교합됨과 아울러 유압 모터(21)에 결합되는 리듀서(20)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박스(14)와 작업 공간부(16) 사이에 실린더(22)가 연결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차선 보조작업차의 작업대는 전차선 작업차량을 운행중에 전차(원)선 또는 절연애자 등을 보수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 공간부(16)를 상승시켜 전차선 등에 근접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 공간부(16)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제어부(18)를 통한 실린더(22)를 조작하여 내부박스(15)가 상승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22)의 작동으로 피스톤(22')이 내부박스(15)를 상승시키게 되면 내부박스(15)와 작업 공간부(16)가 전차선의 근접위치로 도달되고, 상기 근접위치에 도달되면 제어부(18)를 통해 실린더(22)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전차선 또는 절연애자 등을 간단하게 보수하는 것이며, 상기 보수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제어부(18)를 조작하여 실린더(22)의 피스톤(22')이 내부박스(15)를 당기어서 작업 공간부(16)의 위치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 본체(10)의 측부에 설치된 전차선 또는 레일 측부의 전선주에 설치된 브래킷과 절연애자 등을 작업 공간부(16) 상에서 보수하기 위해서는 베이스(12)를 회전시키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12)의 회전은 제어부(18)를 통한 유압 모터(21)의 작동으로 베이스(12)가 적정 위치로 회전되어 작업 공간부(16)의 일측이 전선주 등에 근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선주 등에 작업 공간부(16)를 근접시킨 후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박스(15)를 적정한 위치로 상승시켜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함과 아울러 신속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차선 보조작업차의 작업대는 작업자가 작업 공간부(16)에 탑승하여 고소작업하는 과정에서 작업공간부(16)가 조립유격 때문에 흔들림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안전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내부박스(15)와 외부박스(14)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의해 외부박스(14)의 내측에서 실린더(22)의 전후진 운동으로 승하강하는 내부박스(15)가 전후, 좌우로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외부박스(14)의 하단부에 설치되어진 회전수단(13)에 의해 내,외부박스(14)(15)와 작업공간부(16)가 회전되면서 상하로 유격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하강됨과 아울러 폭방향으로 회전되는 작업대의 유격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레일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부에 차륜이 설치된 차량 본체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작업공간부와, 이중관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측관은 상기 작업공간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외측관은 상기 차량본체의 상부에 고정되어진 지지대와, 상기 외측관과 내측관의 외주면 일측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작업공간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내측관의 상부와 작업공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공간부를 회전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차량본체의 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내측관의 외측관에 대한 유격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외측관에 설치되어진 유격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어고, 상기 작업공간부의 하부 및 내측관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진 링 형태의 회전링베어링(slewing ring bearing)과, 상기 회전링베어링의 기어부에 이맞물림시켜 회전되도록 하는 된 피니언과, 유압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감속기(reducer)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유격방지수단은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면과, 상기 내측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관의 내면에서 구름운동하는 제1로울러와, 상기 외측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면의 상면에서 구름운동하는 제2로울러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면상 부호 100은 작업대 전체를 나타내고, 200은 차량 본체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는 작업공간부(10), 지지대(20), 승강실린더(30), 회전수단(40) 및 유격방지수단(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공간부(10)는 철도레일(220)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부에 차륜(210)이 설치된 차량 본체(200)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진 것으로,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곳이다.
또한, 상기 작업공간부(10)는 발판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일정높이의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안전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20)는 이중관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측관(21)은 상기 작업공간부(10)의 하부에 고정되고, 외측관(22)은 상기 차량본체(2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0)의 관형태는 원형, 삼각, 사각, 오각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사각형상이 가강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실린더(30)는 상기 외측관(22)과 내측관(21)의 외주면 일측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작업공간부(10)를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수단(40)은 상기 내측관(21)의 상부와 작업공간부(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공간부(10)를 회전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차량 본체(200)의 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회전링베어링(slewing ring bearing)(41), 피니언(42), 감속기(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링베어링(41)은 외주면에 기어부(41a)가 형성되어고, 상기 작업공간부(10)의 하부 및 내측관(21)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지며,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싱기 피니언(42)은 상기 회전링베어링(41)의 기어부(41a)에 이맞물림시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감속기(43)는 유압모터(43a)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니언(42)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유격방지수단(50)은 상기 내측관(21)의 외측관(22)에 대한 유격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외측관(21)(22)에 설치되어진 것으로, 가이드면(51), 제1로울러(52) 및 제2로울러(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면(51)은 상기 내측관(2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1로울러(52)는 상기 내측관(2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관(22)의 내면에서 구름운동하는 것이며, 상기 제2로울러(53)는 상기 외측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면의 상면에서 구름운동하는 것이다.
상기 제1,2로울러(52)(53)은 사각형태의 내,외측관의 외주면의 전둘레에 각각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격방지수단(50)의 제1,2로울러(52)(53)에 의해 내,외측관(21)(22)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 60은 작업공간부(10)에 탑승하기 위한 승강계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본체(200)의 상면에 설치된 승강계단(60)을 통해 작업자는 작업공간부(10)에 탑승하여 전차선등의 가설, 전신주의 각종 지지물을 설치 및 교환 등의 보수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차량 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승강계단(60)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작업공간부(10)의 상면에 탑승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고소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승강실린더(30)를 전진시키게 되면 지지대(20)의 외측관(22)에 대해 내측관(21)이 슬라이딩되면서 내측관(21)에 상부에 결합되어진 작업공간부(1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내측관(2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진 제1로울러(52)와 외측관(22)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로울러(53)가 각각 외측관(22)의 내부 및 내측관(21)의 가이드면(51)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내,외측관(21)(22)의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철도 레일(220)의 외측에 설치된 전신주의 각종 가설물 등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내측관(21)과 작업공간부(10) 사이에 설치되어진 회전수단(40)을 동작시켜 작업공간부(10)를 작업 차량(100)의 폭방향으로 90°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는 유압모터(43a)의 구동력으로 감속기(43)를 회진시키고, 상기 감속기(43)의 단부에 설치된 피니언(42)에 의해 회전링베어링(41)의 기어부(41a)에 이맞물림되어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측관(21)과 작업공간부(10) 사이에 회전수단(40)을 설치함으로서, 종래에 비해 상,하방향으로의 유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작업자에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는 차량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진 지지대의 내,외측관에 유격방지수단을 설치하고, 승하강되는 내측관과 작업공간부 사이에 회전수단을 설치하여 작업공간부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작업공간부의 유격을 방지하여 작업자에게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전차선 보조작업차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작업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작업차량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작업차량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작업차량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8에서 내측관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작업차량의 회전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A - A선 단면도.<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작업공간부 20: 지지대
21: 내측관 22: 외측관
30: 승강실린더 40: 회전수단
41: 회전링베어링 41a: 기어부
42: 피니언 43: 감속기
43a: 유압모터 50: 유격방지수단
51: 가이드면 52: 제1로울러
53: 제2로울러

Claims (3)

  1. 철도레일(220)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부에 차륜(210)이 설치된 차량 본체(200)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작업공간부(10)와,
    이중관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측관(31)은 상기 작업공간부(10)의 하부에 고정되고, 외측관은 상기 차량본체의 상부에 고정되어진 지지대(20)와,
    상기 외측관(22)과 내측관(21)의 외주면 일측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작업공간부(1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30)와,
    상기 내측관(21)의 상부와 작업공간부(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공간부(10)를 회전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차량본체의 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40)과,
    상기 내측관(21)의 외측관(22)에 대한 유격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외측관(21)(22)에 설치되어진 유격방지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40)은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어고, 상기 작업공간부(10)의 하부 및 내측관(21)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진 링 형태의 회전링베어링(slewing ring bearing)(41)과, 상기 회전링베어링(41)의 기어부(41a)에 이맞물림시켜 회전되도록 하는 된 피니언(42)과, 유압모터(43a)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니언(42)을 회전시키는 감속기(reducer)(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수단(50)은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면(51)과, 상기 내측관(2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관(22)의 내면에서 구름운동하는 제1로울러(52)와, 상기 외측관(2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면(51)의 상면에서 구름운동하는 제2로울러(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KR1020040046109A 2004-06-21 2004-06-21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KR100596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109A KR100596154B1 (ko) 2004-06-21 2004-06-21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109A KR100596154B1 (ko) 2004-06-21 2004-06-21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979A true KR20050120979A (ko) 2005-12-26
KR100596154B1 KR100596154B1 (ko) 2006-07-06

Family

ID=3729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109A KR100596154B1 (ko) 2004-06-21 2004-06-21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060B1 (ko) * 2013-02-19 2015-01-13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전차선 운반기
CN105539207A (zh) * 2016-01-04 2016-05-04 济南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地铁多功能接触网综合作业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845B1 (ko) 2015-07-10 2015-12-29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060B1 (ko) * 2013-02-19 2015-01-13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전차선 운반기
CN105539207A (zh) * 2016-01-04 2016-05-04 济南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地铁多功能接触网综合作业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6154B1 (ko)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531B1 (ko) 철도선로용 틀비계
CN110655015B (zh) 一种用于地铁隧道维护的无轨自行式平台车
KR20130096944A (ko) 자동차 제자리 회전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CN210134027U (zh) 保养检测缺陷整治一体式台车
CN103341679B (zh) 大直径长管件的管端切割装置
KR101271922B1 (ko) 반송설치장치 및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
CN108529522B (zh) 一种吊装式可旋转钣金车间用举升机
KR100596154B1 (ko)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KR20110009738A (ko) 고소작업용 전동 레일카
CN212639750U (zh) 一种可调节型起重机
CN107117564A (zh) 一种具有转向功能的作业装置
KR200431074Y1 (ko) 터빈로터 조립용 터닝장치
JP4270401B2 (ja) 鉄道用保守車両
KR100483323B1 (ko) 전철보수용 고소작업차
CN204416758U (zh) 一种龙门收排线装置
CN203356810U (zh) 大直径长管件的管端切割装置
CN110937555A (zh) 轨道检修车
CN109823363B (zh) 一种自转运列车轮对探伤装置
JP4253999B2 (ja) トンネルの補修装置
JPH1018575A (ja) 耐火物吹き付け用作業台車の配管取付構造
KR101743095B1 (ko) 곤돌라용 승강장치
KR200200219Y1 (ko)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CN216238729U (zh) 动臂油缸的辅助安装小车及具有其的挖掘机装配线
CN213470066U (zh) 一种结构经过改进的风电塔筒焊接平台
CN220131765U (zh) 换电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