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060B1 - 전차선 운반기 - Google Patents

전차선 운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060B1
KR101482060B1 KR20130017301A KR20130017301A KR101482060B1 KR 101482060 B1 KR101482060 B1 KR 101482060B1 KR 20130017301 A KR20130017301 A KR 20130017301A KR 20130017301 A KR20130017301 A KR 20130017301A KR 101482060 B1 KR101482060 B1 KR 10148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atenary
sides
electric wir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646A (ko
Inventor
이기환
이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Priority to KR2013001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06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가 발생된 부분에 교체되어야 하는 다수의 전차선을 휴대하지 않으면서 전차선고정금구에 근접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차선 운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전차선(7)의 양측을 가압하는 가압부(2)와, 가압부(2)의 상부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차선(7)의 상부에 위치되는 브라켓(6)에 고정되는 상부돌출부(3) 및 가압부(2)의 하부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돌출부(4)로 구성되는 전차선고정금구(1)와,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 위치되고, 다수의 전차선(7)이 적재되도록 직사각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전차선(7)이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에 외측판(11)이 기립되는 적재부(10)와, 적재부(10)를 운반시키기 위해 전차선고정금구(1)를 따라 이동하도록 적재부(10)의 양측에 고정되어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돌출부(4)들에 각각 걸쳐지는 바퀴부(20) 및 바퀴부(20)가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돌출부(4)들에 걸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바퀴부(20)를 적재부(10)의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차선 운반기{A CARRIER FOR STREETCAR LINE}
본 발명은 장애가 발생된 부분에 교체되어야 하는 다수의 전차선을 휴대하지 않으면서 전차선고정금구에 근접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차선 운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차선은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차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차선고정금구에 의해 선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차는 팬터그래프를 통해 전차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선로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
그러나, 강풍이나 더운 여름날에 발생되는 고온 또는 전차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에서 전차선의 일부분이 이탈되는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즉, 전차선의 일부분이 전차선고정금구에서 이탈되어서 늘어지게 되는 경우, 고속으로 이동하는 전차에 연결된 팬터그래프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 팬터그래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팬터그래프의 손상에 의해 전원공급이 중단되어서 전차가 운행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작업자들이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을 교체하여 전차의 운행이 재계될 수 있으나,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을 전차선고정금구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전차선을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교체시간이 요구되어 하나의 선로를 운행하는 전차들이 장시간동안 전체적으로 운행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전차선고정금구에 장착된 하나의 전차선은 약200M의 길이이고, 장애가 발생되는 전차선의 길이는 대략 2~20M일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약1~3M의 전차선들을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이 탈리된 전차선고정금구에 다른 작업자에 의해 전차선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연이어지게 전차선고정금구에 장착시킨다. 따라서, 약200M의 전차선을 전체적으로 교체하지 않고 장애가 발생된 부분만 교체하므로, 전차선의 교체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전차의 운행을 재개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는 전차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된 전차선고정금구에 양손을 이용하여 하나의 전차선을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전차선을 지상에서 하나씩 공급하여야 함에 따라 전차선을 공급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작업자가 약1~3M의 전차선들을 휴대한 상태로 장착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높은 위치에서 전차선 장착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자신의 키보다 큰 전차선들의 길이와 무게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차선 교체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장애가 발생된 부분에 교체되어야 하는 전체의 전차선을 휴대하지 않으면서 한꺼번에 전차선고정금구에 근접된 상태로 이동시키면서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애가 발생된 부분에 교체되어야 하는 다수의 전차선을 휴대하지 않으면서 전차선고정금구에 근접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차선 운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차선 운반기는, 전차선(7)의 양측을 가압하는 가압부(2)와, 가압부(2)의 상부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차선(7)의 상부에 위치되는 브라켓(6)에 고정되는 상부돌출부(3) 및 가압부(2)의 하부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돌출부(4)로 구성되는 전차선고정금구(1)와,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 위치되고, 다수의 전차선(7)이 적재되도록 직사각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전차선(7)이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에 외측판(11)이 기립되는 적재부(10)와, 적재부(10)를 운반시키기 위해 전차선고정금구(1)를 따라 이동하도록 적재부(10)의 양측에 고정되어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돌출부(4)들에 각각 걸쳐지는 바퀴부(20) 및 바퀴부(20)가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돌출부(4)들에 걸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바퀴부(20)를 적재부(10)의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적재부(10)는 외측판(11)은 나사탭(12)이 형성되며, 고정부재(30)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적재부(10)는 일단에 연결홀(14)이 형성된 돌출부재(13)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바퀴부(20)는 적재부(10)의 양측에 설치되는 힌지(21)와, 힌지(21)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바퀴축(22) 및 바퀴축(22)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바퀴(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바퀴축(22)은 관통홀(24)이 형성되고, 바퀴(23)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내측바퀴(27) 및 내측바퀴(2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이면서 내측바퀴(27)의 측방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외측바퀴(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외측바퀴(28)는 바퀴축(22)의 타단에 수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3~1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바퀴축(22)은 적재부(1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적재부(10)의 외측을 향하도록 소정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바퀴(23)는 외주면을 따라 'V'형태의 걸림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걸림홈(25)은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적재부(10)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어 전차선(7)을 전차선고정금구(1)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40)를 더 포함하며, 가이드롤러부(40)는 적재부(10)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이격되는 롤러축(41) 및 롤러축(4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 'U'형태의 가이드홈(42)이 형성되는 롤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애가 발생된 부분에 교체되어야 하는 다수의 전차선을 휴대하지 않으면서 전차선고정금구에 근접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작업자가 편리하게 전차선을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차선의 교체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차선고정금구를 보인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차선 운반기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퀴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차선(7)이 적재되는 적재부(10)와, 적재부(10)를 운반시키기 위해 전차선고정금구(1)를 따라 이동하도록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에 걸쳐지는 바퀴부(20) 및 바퀴부(20)가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에 걸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바퀴부(20)를 적재부(10)의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차선고정금구(1)는 전차선(7)의 양측을 가압하는 가압부(2)와, 가압부(2)의 상부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부돌출부(3) 및 가압부(2)의 하부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하부돌출부(4)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압부(2)는 전차선(7)을 수평상태로 고정하고, 상부돌출부(3)는 터널 등의 천정에 설치된 브라켓(6)에 걸려서 고정되고, 하부돌출부(4)는 후술되는 바퀴(23)가 걸쳐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전차선고정금구(1)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볼트(5)와 연결부재(9)에 의해 일직선으로 연이어지게 연결되어 전차보다 높은 위치에 라인형태로 고정되어, 전차선(7)을 수평상태로 고정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0)는 다수의 전차선(7)이 적재되도록 직사각의 평판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기립되는 외측판(11)이 형성된다. 이때, 외측판(11)은 적재부(10)의 타단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차선(7)은 대략 1~3M의 길이로 형성되므로 적재부(10)의 길이도 1~3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재부(10)에 적재되는 전차선(7)은 외측판(11)에 의해 적재부(10)의 양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외측판(11)에는 나사탭(12)이 형성된다.
또한, 적재부(10)는 일단에 연결홀(14)이 형성된 돌출부재(13)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돌출부재(13)를 파지하여 밀거나 연결홀(14)에 로프(미도시)를 연결하고 연결된 로프를 당겨서 적재부(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바퀴부(20)는 적재부(10)의 양측에 설치되는 힌지(21)와, 힌지(21)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바퀴축(22) 및 바퀴축(22)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바퀴(23)를 포함한다.
힌지(21)는 바퀴축(22)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을 안내하도록 적재부(10)의 외측에 설치된다.
바퀴축(22)은 일직선으로 형성되면서 전술한 나사탭(12)과 연통되는 관통홀(24)이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되는 고정부재(30)인 볼트가 관통홀(24)에 관통된 상태로 나사탭(12)에 나사결합될 수 있어서, 바퀴축(22)이 기립된 상태로 적재부(10)의 외측판(11)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된다.
바퀴(23)는 수직된 상태로 바퀴축(22)의 타단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힌지(21)를 축으로 바퀴축(22)을 회전시켜서 기립되게 하면서 바퀴(23)가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돌출부(4)에 걸쳐지게 한 상태로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바퀴축(22)을 적재부(10)의 외측판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바퀴(23)가 하부돌출부(4)에 걸쳐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적재부(10)를 밀려지면 바퀴(23)가 하부돌출부(4)의 상면에서 회전되므로 적재부(10)가 전차선고정금구(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23)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내측바퀴(27) 및 내측바퀴(2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이면서 내측바퀴(27)의 측방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외측바퀴(28)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퀴(23)는 바퀴축(22)의 측면에 수직으로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바퀴(27)는 하부돌출부(4)의 상면에 올려지고, 외측바퀴(28)는 측면이 하부돌출부(4)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내측바퀴(27)는 하부돌출부(4)의 상면에서 구르면서 이동한다. 이때, 외측바퀴(28)의 측면이 하부돌출부(4)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내측바퀴(27)와 함께 회전되므로, 내측바퀴(27)가 하부돌출부(4)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내측바퀴(27)는 외측바퀴(28)에 의해 가압부(2)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5)와 간섭되거나 충돌되지 않는 상태로 구르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23)는 바퀴축(22)의 끝단에 수평으로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바퀴(28)의 측면이 하부돌출부(4)의 상부면에 올려지고, 내측바퀴(27)의 외주면이 하부돌출부(4)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측바퀴(27)가 하부돌출부(4)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외측바퀴(28)의 외주면이 가압부(2)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5)와 간섭되거나 충돌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외측바퀴(28)는 약3~10mm의 두께(d)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바퀴(28)는 수평상태로 회전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5)에 하부를 지나므로 볼트(5)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축(22)은 적재부(1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적재부(10)의 외측을 향하도록 소정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퀴(23)도 외주면을 따라 'V'형태의 걸림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홈(25)은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퀴(23)는 절곡된 바퀴축(22)의 타단부에 경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걸림홈(25)이 하부돌출부(4)의 상면과 외측면에 동시에 걸리게 된다. 즉, 바퀴(23)는 경사진 상태로 걸림홈(25)이 하부돌출부(4)의 상면과 외측면에 동시에 걸려서 회전되면서 하부돌출부(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하부돌출부(4)에 경사상태로 걸리는 바퀴(23)는 측면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5)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다.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는 전술한 관통홀(24)에 관통된 상태로 나사탭(12)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가 나사탭(12)에 나사결합 됨에 따라 바퀴축(22)이 적재부(10)의 외측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바퀴축(22)을 기립시키면서 바퀴(23)가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돌출부(4)에 걸리게 한 상태로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바퀴축(22)을 적재부(10)에 고정한다. 그리고, 적재부(10)에 전차선(7)들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적재부(10)를 밀면 적재부(10)가 전차선고정금구(1)를 따라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정직기(9)가 전차선고정금구(1)의 가압부(2)를 벌리면서 전차선고정금구(1)를 따라 이동하면, 작업자가 적재부(10)를 이동시키면서 벌려진 가압부(2)에 적재부(10)에 적재된 전차선(7)을 하나씩 위치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전차선(7)들이 서로 연이어지도록 각각의 끝단이 접촉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정직기(9)가 벌려진 가압부(2)를 오므려지게 하면 가압부(2)에 장착되는 전차선(7)들이 서로 연이어져서 하나의 라인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장애가 발생된 구간이 복구됨에 따라 전차가 복구된 전차선(7)으로부터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받으면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재부(10)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어 전차선(7)을 전차선고정금구(1)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부(40)는 적재부(10)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이격되는 롤러축(41) 및 롤러축(4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 'U'형태의 가이드홈(42)이 형성되는 롤러(43)를 포함한다. 여기서, 롤러축(41)은 전술한 외측판(11)의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적재부(10)의 상부로 타단이 돌출된다. 따라서, 롤러(43)는 적재부(10)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롤러축(41)의 타단에서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재부(10)에 적재된 전차선(7)의 일단이 롤러(43)의 가이드홈(42)에 올린 상태에서 전차선(7)의 타단을 파지하여 롤러(43)를 기준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시소운동 시킴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전차선(7)의 일단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가압부(2)에 미리 장착된 전차선(7)의 끝단에 접촉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전차선(7)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롤러(43)를 이용하여 전차선(7)을 전차선고정금구(1)의 가압부(2)에 장착하는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차선고정금구(1)를 따라 수동으로 이동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에 장착되어야 하는 전차선(7)을 운반할 수 있어서, 전차선(7)이 탈리된 장애구간의 전차선고정금구(1)에 전차선(7)을 장착시키는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전차선보수작업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전차선고정금구 2 : 가압부
3 : 상부돌출부 4 : 하부돌출부
5 : 볼트 6 : 브라켓
7 : 전차선 8 : 정직기
10 : 적재부 11 : 외측판
12 : 나사탭 13 : 돌출부재
14 : 연결홀 20 : 바퀴부
21 : 힌지 22 : 바퀴축
23 : 바퀴 24 : 관통홀
25 : 걸림홈 27 : 내측바퀴
28 : 외측바퀴 30 : 고정부재
40 : 가이드롤러부 41 : 측방바퀴축
42 : 가이드홈 43 : 롤러

Claims (9)

  1. 전차선(7)의 양측을 가압하는 가압부(2)와, 가압부(2)의 상부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차선(7)의 상부에 위치되는 브라켓(6)에 고정되는 상부돌출부(3) 및 가압부(2)의 하부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돌출부(4)로 구성되는 전차선고정금구(1)와,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 위치되고, 다수의 전차선(7)이 적재되도록 직사각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전차선(7)이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에 외측판(11)이 기립되는 적재부(10)와,
    적재부(10)를 운반시키기 위해 전차선고정금구(1)를 따라 이동하도록 적재부(10)의 양측에 고정되어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돌출부(4)들에 각각 걸쳐지는 바퀴부(20) 및
    바퀴부(20)가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돌출부(4)들에 걸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바퀴부(20)를 적재부(10)의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운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측판(11)은 나사탭(12)이 형성되며,
    고정부재(30)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운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재부(10)는 일단에 연결홀(14)이 형성된 돌출부재(13)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운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바퀴부(20)는
    적재부(10)의 양측에 설치되는 힌지(21)와,
    힌지(21)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바퀴축(22) 및
    바퀴축(22)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바퀴(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운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바퀴축(22)은 관통홀(24)이 형성되고,
    바퀴(23)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내측바퀴(27) 및 내측바퀴(2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이면서 내측바퀴(27)의 측방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외측바퀴(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운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외측바퀴(28)는 바퀴축(22)의 타단에 수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3~1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운반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바퀴축(22)은 적재부(1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적재부(10)의 외측을 향하도록 소정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바퀴(23)는 외주면을 따라 'V'형태의 걸림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운반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걸림홈(25)은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운반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재부(10)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어 전차선(7)을 전차선고정금구(1)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40)를 더 포함하며,
    가이드롤러부(40)는 적재부(10)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이격되는 롤러축(41) 및
    롤러축(4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 'U'형태의 가이드홈(42)이 형성되는 롤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운반기.
KR20130017301A 2013-02-19 2013-02-19 전차선 운반기 KR10148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7301A KR101482060B1 (ko) 2013-02-19 2013-02-19 전차선 운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7301A KR101482060B1 (ko) 2013-02-19 2013-02-19 전차선 운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46A KR20140103646A (ko) 2014-08-27
KR101482060B1 true KR101482060B1 (ko) 2015-01-13

Family

ID=5174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7301A KR101482060B1 (ko) 2013-02-19 2013-02-19 전차선 운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658B1 (ko) * 2021-04-26 2021-12-07 박진수 전차선의 버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865A (ja) * 1994-03-09 1995-09-26 East Japan Railway Co 電車線用ハンガイヤの供給装置
JPH07246864A (ja) * 1994-03-09 1995-09-26 East Japan Railway Co 電車線作業装置
JPH10244859A (ja) * 1997-02-17 1998-09-14 Franz Plasser Bahnbaumas Ind Gmbh 架空線の電車線を敷設する機械
KR20050120979A (ko) * 2004-06-21 2005-12-26 최재관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865A (ja) * 1994-03-09 1995-09-26 East Japan Railway Co 電車線用ハンガイヤの供給装置
JPH07246864A (ja) * 1994-03-09 1995-09-26 East Japan Railway Co 電車線作業装置
JPH10244859A (ja) * 1997-02-17 1998-09-14 Franz Plasser Bahnbaumas Ind Gmbh 架空線の電車線を敷設する機械
KR20050120979A (ko) * 2004-06-21 2005-12-26 최재관 전차선 작업차량의 작업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46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1638A (ko) 케이블 포설장치
US20130221166A1 (en) Rail Car Intercar Cable Arrangement, Rail Car Intercar Cable, and Hanger Arrangement Therefor
KR101482060B1 (ko) 전차선 운반기
RU1625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в депо метрополитена
CA2919235C (en) Truck and installation method for wires
CN213085013U (zh) 一种高铁双向电缆敷设车专用底盘
KR101490154B1 (ko) 전차선용 홀딩장치
EP3181502A1 (en) Service vehicle
CN111994712A (zh) 一种高铁双向电缆敷设车专用底盘
RU180674U1 (ru) Узел отвода от контактного рельса токосъемного узла устройства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в депо метрополитена
CN202518906U (zh) 井道随行电缆架
CN208662880U (zh) 核电站钢制安全壳自动化焊接装备行走机构
CN209833818U (zh) 一种移位装置
KR20140144971A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RU175475U1 (ru) Токосъемный узел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в депо метрополитена
KR20140103644A (ko) 강체전차선 장치
CN202691291U (zh) 一种线缆空中挂线装置
US20100270521A1 (en) Carrier device for a hose packet of supply lines of an operating robot
KR20110133802A (ko) 전원케이블 점검용 대차
KR20160092200A (ko) 터널브래키트용 암지지금구 및 곡선당김금구
CN214192380U (zh) 一种钢丝绳排绳装置
CN215892277U (zh) 一种导轨式升降系统
KR101558818B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CN214086332U (zh) 电缆盘具物流装置
CN211717764U (zh) 一种受电弓检修试验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