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154B1 - 전차선용 홀딩장치 - Google Patents

전차선용 홀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154B1
KR101490154B1 KR20130017300A KR20130017300A KR101490154B1 KR 101490154 B1 KR101490154 B1 KR 101490154B1 KR 20130017300 A KR20130017300 A KR 20130017300A KR 20130017300 A KR20130017300 A KR 20130017300A KR 101490154 B1 KR101490154 B1 KR 101490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nary
support member
protrusion
hol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645A (ko
Inventor
이기환
이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Priority to KR2013001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15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선고정금구에서 부분이탈 된 전차선의 추가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전차선용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차선용 홀딩장치의 특징은 전차선고정금구(1)에 고정된 전차선(2)의 하부에 접촉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10);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전차선(2)에 접촉된 고정수단(10)으로 도통되는 전류를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서 인가하는 강체전차선(30); 및 강체전차선(30)을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차선용 홀딩장치{HOLDING DEVICE FOR ELECTRIC CAR LINE}
본 발명은 전차선고정금구에서 부분이탈 된 전차선의 추가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전차선용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차선은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차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차선고정금구에 의해 선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차는 팬터그래프를 통해 전차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선로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
그러나, 강풍이나 더운 여름날에 발생되는 고온 또는 전차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에서 전차선의 일부분이 이탈되는 장애가 발생된다. 즉, 전차선의 일부분이 전차선고정금구에서 이탈되어서 늘어지게 되는 경우, 고속으로 이동하는 전차에 연결된 팬터그래프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 팬터그래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팬터그래프의 손상에 의해 전원공급이 중단되어서 전차가 운행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때, 전차가 저속으로 서서히 운행하는 경우 팬터그래프에 마련된 탄성체에 의해 팬터그래프가 상하로 신축되면서 늘어진 전차선에 용이하게 대응하면서 전차선을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전차들이 빈번하게 통과하는 경우 늘어진 전차선과 팬터그래프의 접촉빈도가 증가됨에 따라, 전차선이 더욱더 늘어지게 되어 종래에는 팬터그래프가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들이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을 교체하여 전차의 운행이 재계될 수 있으나,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을 전차선고정금구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전차선을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교체시간이 요구되어 하나의 선로를 운행하는 전차들이 장시간동안 전체적으로 운행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차선의 일부분이 이탈되는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 전차의 운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차가 장애가 발생된 부분을 서행하여서 통과하여도 전차선이 추가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차선고정금구에서 부분이탈 된 전차선의 추가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전차선용 홀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차선용 홀딩장치는,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접촉되는 상부프레임(100); 상부프레임(100)의 양단에서 하부로 각기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압프레임(200); 및 가압프레임(200)들에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을 가압하는 가압부(300);를 포함하고, 가압부(300)는 가압프레임(20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나사탭(310); 나사탭(310)에 나사결합 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을 가압하는 볼트부재(320); 및 볼트부재(320)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부재(330);를 포함하며, 마모방지부재(330)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에 접촉되는 캡부재(331); 및 캡부재(331)에 볼트부재(320)의 끝단을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키는 결속수단(3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결속수단(332)는 캡부재(331)의 단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333); 및 관통홀(333)에 삽입되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서로 이격되어서 대칭상태로 볼트부재(320)의 끝단에 각기 형성되는 결속돌기(3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용 홀딩장치는,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상부에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에 끼워지는 좌측홈(510)이 형성되고, 좌측홈(510)의 상부로 이격되게 좌측관통홀(520)이 형성되며, 좌측관통홀(520)의 하부로 이격되게 좌측나사홀(530)이 형성되는 좌측지지부재(500)와, 좌측지지부재(500)의 좌측홈(510)과 대응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우측상부에 돌출된 우측상부돌출부(1b)에 끼워지는 우측홈(610)이 형성되고, 좌측관통홀(520)과 대응되도록 우측홈(610)의 상부로 이격되게 나사체결홀(620)이 형성되고, 좌측나사홀(530)과 대응되도록 나사체결홀(620)의 하부로 이격되게 우측나사홀(630)이 형성되는 우측지지부재(600)와,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를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좌측지지부재(500)의 좌측관통홀(520)에 관통되면서 우측지지부재(600)의 나사체결홀(620)에 나사결합 되는 체결볼트(700) 및 좌측지지부재(500)의 좌측나사홀(530)과 우측지지부재(600)의 우측나사홀(630)에 각기 나사결합 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가 전차선(2)을 가압하는 압력이 증대되도록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하는 가압볼트(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좌측지지부재(500)는 상단에 좌측상단지지턱(540)이 형성되고, 우측지지부재(600)는 상단에 좌측상단지지턱(540)에 걸려서 지지되는 우측상단걸림턱(6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좌측지지부재(500)는 상부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좌측돌기(560)가 형성되고, 우측지지부재(600)는 상부의 측방에서 오목하게 좌측돌기홈(660)이 형성되어 좌측돌기(560)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며, 좌측돌기(560)는 볼록한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좌측돌기홈(660)은 오목한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좌측지지부재(500)는 하단에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하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하부돌출부(1c)에 걸려서 지지되는 좌측하단지지턱(550)이 형성되고, 우측지지부재(600)는 하단에 전차선고정금구(1)의 우측하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우측하부돌출부(1d)에 걸려서 지지되는 우측하단지지턱(6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용 홀딩장치는,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전핀(920)에 의해 가위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일단부들이 좁혀지면 타단부들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부재(910); 및 가압부재(910)들이 전차선고정금구(1)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서로 좁혀진 가압부재(910)들의 타단부들을 결속하는 결속부재(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압부재(910)들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와 우측상부돌출부(1b)가 각기 끼워지도록, 서로 마주되는 일단부들 각각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되게 돌기홈(911)이 형성되며, 서로 마주되는 타단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통홀(913)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나사탭(9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결속부재(930)는 가압부재(910)들의 다단부들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면서 다른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차선고정금구에서 부분이탈 된 전차선의 추가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전차선의 부분이탈에 따른 장애발생구간에서 전차선보수작업이나 전차선교체작업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전차가 멈추지 않고 서행하여서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차선의 부분이탈에 따른 장애발생구간이 발생되어도 전차선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전차들의 운행이 중단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차선용 홀딩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볼트부재에 캡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가 가압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용 홀딩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가 가압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좌측지지부재와 우측지지부재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용 홀딩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2는 도 11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차선용 홀딩장치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 가압프레임(200) 및 가압부(300)를 포함한다.
상부프레임(100)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접촉되고, 가압프레임(200)은 상부프레임(100)의 양단에서 하부로 각기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프레임(100)과 가압프레임(200)은 일체로 된 전체적인 형상이 '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프레임(100)과 가압프레임(200)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져서 걸쳐지게 된다.
가압부(300)는 가압프레임(200)들에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프레임(20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나사탭(310) 및 나사탭(310)에 나사결합 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을 가압하는 볼트부재(3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볼트부재(320)들을 각각의 나사탭(310)에 나사결합 시킨 상태에서 볼트부재(320)들을 조이는 경우, 볼트부재(320)들이 가압프레임(200)에 고정된 상태로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동시에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부재(320)들에 의해 가압되는 전차선고정금구(1)는 전차선(2)의 양측을 가압하여서 전차선(2)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차선(2)이 이탈된 부분에서 후술되는 볼트부재(320)가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하는 경우, 전차선고정금구(1)에서 전차선(2)의 추가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300)는 볼트부재(320)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부재(3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마모방지부재(330)는 캡부재(331) 및 결속수단(332)를 포함한다.
캡부재(331)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에 접촉된다. 이러한, 캡부재(331)는 결속수단(332)에 의해 볼트부재(320)의 단부에 결속된 상태로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에 접촉된다. 따라서, 볼트부재(320)가 정회전되어서 캡부재(331)을 가압하여도 볼트부재(320)의 단부가 캡부재(331)의 외측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캡부재(331)을 가압한다. 이때, 캡부재(331)는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을 가압하므로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면이 마모되지 않는다.
여기서, 캡부재(331)는 내부가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33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개방홀(335)을 통해 캡부재(331)의 내부가 개방되는 경우 캡부재(331)에 결속되어서 캡부재(331)의 내측에 위치되며 후술되는 결속수단(332)의 결속돌기(334)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출된 결속돌기(334)을 조작하는 경우 캡부재(331)가 결속돌기(334)에서 이탈됨에 따라 볼트부재(3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결속수단(332)은 캡부재(331)에 볼트부재(320)의 끝단을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캡부재(331)의 단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333) 및 관통홀(333)에 삽입되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서로 이격되어서 대칭상태로 볼트부재(320)의 끝단에 각기 형성되는 결속돌기(3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3의 (a)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프레임(200)의 내측과 외측에 캡부재(331)과 볼트부재(320)을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재(320)을 나사탭(310)에 나사결합 하여 가압프레임(200)에 고정되게 한 후에, 캡부재(331)의 관통홀(333)에 결속돌기(334)를 위치시킨 상태로 캡부재(331)을 가압하는 경우,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돌기(334)가 오므려지면서 관통홀(333)에 관통된 후 원상태로 벌려지게 되어 관통홀(333)의 내측 테두리에 걸리게 된다.
계속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재(320)을 정회전시키는 경우 결속수단(332)을 통해 볼트부재(320)의 단부에 고정된 캡부재(331)가 가압된다. 즉, 캡부재(331)가 정회전되는 볼트부재(320)에 의해 가압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을 가압하므로, 전차선(2)은 가압되는 전차선고정금구(1)에 의해 견고하게 파지되어서 이탈되지 않는다. 즉, 전차선고정금구(1)에서 전차선(2)이 부분적으로 이탈된 상태에서 볼트부재(320)에 의해 가압되는 캡부재(331)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면이 가압되므로, 전차선(2)에 대한 전차선고정금구(1)의 파지력(가압력)이 증대되어 전차선(2)이 전차선고정금구(1)에서 추가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용 홀딩장치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와, 체결볼트(700) 및 가압볼트(800)를 포함한다.
좌측지지부재(500)는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상부에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에 끼워지는 좌측홈(510)이 형성되고, 좌측홈(510)의 상부로 이격되게 좌측관통홀(520)이 형성되며, 좌측관통홀(520)의 하부로 이격되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좌측나사홀(530)이 형성되고, 상단에 좌측상단지지턱(540)이 형성되며, 하단에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하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하부돌출부(1c)에 걸려서 지지되는 좌측하단지지턱(550)이 형성된다.
우측지지부재(600)는 좌측지지부재(500)의 좌측홈(510)과 대응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우측상부에 돌출된 우측상부돌출부(1b)에 끼워지는 우측홈(610)이 형성되고, 좌측관통홀(520)과 대응되도록 우측홈(610)의 상부로 이격되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체결홀(620)이 형성되고, 좌측나사홀(530)과 대응되도록 나사체결홀(620)의 하부로 이격되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우측나사홀(630)이 형성되고, 상단에 좌측상단지지턱(540)에 걸려서 지지되는 우측상단걸림턱(640)이 형성되며, 하단에 전차선고정금구(1)의 우측하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우측하부돌출부(1d)에 걸려서 지지되는 우측하단지지턱(650)이 형성된다.
체결볼트(700)는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를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좌측지지부재(500)의 좌측관통홀(520)에 관통되면서 우측지지부재(600)의 나사체결홀(620)에 나사결합 된다.
가압볼트(800)는 좌측지지부재(500)의 좌측나사홀(530)과 우측지지부재(600)의 우측나사홀(630)에 각기 나사결합 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가 전차선(2)을 가압하는 압력이 증대되도록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한다.
이와 같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상부돌출부(1a)에 좌측홈(510)을 끼워서 좌측지지부재(500)를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전차선고정금구(1)의 우측상부돌출부(1b)에 우측홈(610)을 끼워서 우측지지부재(600)를 전차선고정금구(1)의 우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좌측상단지지턱(540)에 우측상단걸림턱(640)이 걸려서 지지되고,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하부돌출부(1c)에 좌측하단지지턱(550)이 걸려서 지지됨과 동시에, 전차선고정금구(1)의 우측하부돌출부(1d)에 우측하단지지턱(650)이 걸려서 지지된다. 이어서, 체결볼트(700)를 좌측관통홀(520)에 관통시키면서 나사체결홀(620)에 나사결합 시킨다. 따라서, 체결볼트(700)의 체결에 의해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는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우측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체결볼트(700)를 더욱 강하게 조이면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가 서로 가까워지게 되므로, 좌측하단지지턱(550)이 좌측하부돌출부(1c)를 가압하고 우측하단지지턱(650)이 우측하부돌출부(1d)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하부돌출부(1c)와 우측하부돌출부(1d)가 가까워지게 되므로,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 하단이 조여지게 됨에 따라 전차선(2)이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다.
계속해서, 가압볼트(800)를 좌측나사홀(530)과 우측나사홀(630)에 각기 나사결합 시킨 상태에서 가압볼트(800)를 강하게 조이면,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에 각기 결합된 가압볼트(800)들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우측을 가압하므로,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 하단이 조여지면서 파지력이 증대되어 전차선고정금구(1)에서 전차선(2)의 추가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차선고정금구(1)에서 이탈되어 늘어진 전차선(2)의 양측에서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에 각기 결합된 볼트부재(320)들이나 가압볼트(800)들이 전차선고정금구(1)를 가압하면 전차선(2)의 추가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트(800)들이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에 각기 지지된 상태로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 하단을 가압하는 경우, 좌측상단지지턱(540)과 우측상단걸림턱(640)이 접촉되므로 체결볼트(700)를 축으로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의 하단이 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좌측상단지지턱(540)과 우측상단걸림턱(640)이 접촉됨에 따라, 체결볼트(700)를 축으로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의 상단이 더 이상 가까워지지 못하므로, 체결볼트(700)를 축으로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의 하단이 서로 멀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압볼트(800)들이 강하게 조여져도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의 하단이 벌려지지 않으므로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 하단이 가하게 조여져서 전차선(2)을 강력하게 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1)에서 이탈된 전차선(2)이 추가적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전차들이 서행으로 운행하여서 전차선(2)이 이탈되어 장애가 발생된 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전차가 운행되는 시간에 전차선(2)을 교체하는 등의 작업에 의해 전차의 운행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지지부재(500)는 상부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좌측돌기(560)가 형성되고, 우측지지부재(600)는 상부의 측방에서 오목하게 좌측돌기홈(660)이 형성되어 좌측돌기(560)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며, 좌측돌기(560)는 볼록한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좌측돌기홈(660)은 오목한 원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가 체결볼트(700)에 의해 체결되어 전차선고정금구(1)에 고정된 상태에서, 볼트부재(320)나 가압볼트(800)를 조여서 전차선고정금구(1)를 가압하면 좌측돌기(560)와 좌측돌기홈(66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원호형태를 따라 미세하게 회전되다가 회전이 정지되어서 고정되므로, 볼트부재(320)나 가압볼트(800)가 전차선고정금구(1)를 더욱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용 홀딩장치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910) 및 결속부재(930)를 포함한다.
가압부재(910)는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전핀(920)에 의해 가위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일단부들이 좁혀지면 타단부들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부재(910)들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와 우측상부돌출부(1b)가 각기 끼워지도록, 서로 마주되는 일단부들 각각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되게 돌기홈(911)이 형성되고, 돌기홈(911)들에서 각각 하방으로 이격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좌측하부돌출부(1c)와 우측하부돌출부(1d)에 각기 걸려서 지지되는 단부지지턱(912)이 형성되며, 각각의 타단에는 관통홀(913)이 형성되며, 서로 마주되는 타단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통홀(913)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나사탭(914)이 형성된다.
결속부재(930)는 가압부재(910)들이 전차선고정금구(1)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서로 좁혀진 가압부재(910)들의 타단부들을 결속한다. 이러한, 결속부재(930)는 가압부재(910)들의 다단부들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면서 다른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압부재(910)들의 일단을 벌리면 회전핀(920)을 축으로 가위운동 되면서 타단이 벌려지게 한 상태에서 가압부재(910)들의 타단을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서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압부재(910)들의 일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가압한다. 이때, 돌기홈(911)들이 좌측상부돌출부(1a)와 우측상부돌출부(1b)가 각기 끼워지고, 단부지지턱(912)이 좌측하부돌출부(1c)와 우측하부돌출부(1d)에 각기 걸려서 지지된다. 계속해서, 가압부재(910)들의 일단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관통홀(913)에 결속부재(930)인 볼트를 관통시키면서 나사탭(914)에 나사결합 시켜서 조인다.
따라서, 결속부재(930)인 볼트를 나사탭(914)에 조이면 가압부재(910)들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하므로, 전차선고정금구(1)가 전차선(2)을 가압하여 전차선(2)의 추가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위운동 가압부재(910)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1)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압할 수 있고, 결속부재(930)의 결합에 의해 가압부재(910)의 가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전차선고정금구 1a : 좌측상부돌출부
1b : 우측상부돌출부 1c : 좌측하부돌출부
1d : 우측하부돌출부 2 : 전차선
100 : 상부프레임 200 : 가압프레임
300 : 가압부 310 : 나사탭
320 : 볼트부재 330 : 마모방지부재
331 : 캡부재 332 : 결속수단
333 : 관통홀 334 : 결속돌기
500 : 좌측지지부재 510 : 좌측홈
520 : 좌측관통홀 530 : 좌측나사홀
540 : 좌측상단지지턱 550 : 좌측하단지지턱
600 : 우측지지부재 610 : 우측홈
620 : 나사체결홀 630 : 우측나사홀
640 : 우측상단걸림턱 650 : 우측하단지지턱
700 : 체결볼트 800 : 가압볼트
910 : 가압부재 920 : 회전핀
911 : 돌기홈 912 : 단부지지턱
913 : 관통홀 914 : 나사탭
930 : 결속부재

Claims (11)

  1.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접촉되는 상부프레임(100);
    상부프레임(100)의 양단에서 하부로 각기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압프레임(200); 및
    가압프레임(200)들에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 전차선고정금구(1)에서 부분 이탈된 전차선(2)이 추가이탈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을 가압하는 가압부(300);를 포함하고,
    가압부(300)는
    가압프레임(20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나사탭(310);
    나사탭(310)에 나사결합 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을 가압하는 볼트부재(320); 및
    볼트부재(320)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부재(330);를 포함하며,
    마모방지부재(330)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외측에 접촉되는 캡부재(331); 및
    캡부재(331)에 볼트부재(320)의 끝단을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키는 결속수단(3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홀딩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결속수단(332)는
    캡부재(331)의 단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333); 및
    관통홀(333)에 삽입되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서로 이격되어서 대칭상태로 볼트부재(320)의 끝단에 각기 형성되는 결속돌기(3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홀딩장치.
  5.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상부에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에 끼워지는 좌측홈(510)이 형성되고, 좌측홈(510)의 상부로 이격되게 좌측관통홀(520)이 형성되며, 좌측관통홀(520)의 하부로 이격되게 좌측나사홀(530)이 형성되는 좌측지지부재(500)와,
    좌측지지부재(500)의 좌측홈(510)과 대응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우측상부에 돌출된 우측상부돌출부(1b)에 끼워지는 우측홈(610)이 형성되고, 좌측관통홀(520)과 대응되도록 우측홈(610)의 상부로 이격되게 나사체결홀(620)이 형성되고, 좌측나사홀(530)과 대응되도록 나사체결홀(620)의 하부로 이격되게 우측나사홀(630)이 형성되는 우측지지부재(600)와,
    좌측지지부재(500)와 우측지지부재(600)를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좌측지지부재(500)의 좌측관통홀(520)에 관통되면서 우측지지부재(600)의 나사체결홀(620)에 나사결합 되는 체결볼트(700) 및
    좌측지지부재(500)의 좌측나사홀(530)과 우측지지부재(600)의 우측나사홀(630)에 각기 나사결합 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가 전차선(2)을 가압하는 압력이 증대되도록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하는 가압볼트(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홀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좌측지지부재(500)는 상단에 좌측상단지지턱(540)이 형성되고,
    우측지지부재(600)는 상단에 좌측상단지지턱(540)에 걸려서 지지되는 우측상단걸림턱(6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홀딩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좌측지지부재(500)는 상부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좌측돌기(560)가 형성되고,
    우측지지부재(600)는 상부의 측방에서 오목하게 좌측돌기홈(660)이 형성되어 좌측돌기(560)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며,
    좌측돌기(560)는 볼록한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좌측돌기홈(660)은 오목한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홀딩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좌측지지부재(500)는 하단에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하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하부돌출부(1c)에 걸려서 지지되는 좌측하단지지턱(550)이 형성되고,
    우측지지부재(600)는 하단에 전차선고정금구(1)의 우측하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우측하부돌출부(1d)에 걸려서 지지되는 우측하단지지턱(6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홀딩장치.
  9.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전핀(920)에 의해 가위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일단부들이 좁혀지면 타단부들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부재(910); 및
    가압부재(910)들이 전차선고정금구(1)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서로 좁혀진 가압부재(910)들의 타단부들을 결속하는 결속부재(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홀딩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가압부재(910)들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와 우측상부돌출부(1b)가 각기 끼워지도록, 서로 마주되는 일단부들 각각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되게 돌기홈(911)이 형성되고,
    돌기홈(911)들에서 각각 하방으로 이격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좌측하부돌출부(1c)와 우측하부돌출부(1d)에 각기 걸려서 지지되는 단부지지턱(912)이 형성되며,
    서로 마주되는 타단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통홀(913)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나사탭(9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홀딩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결속부재(930)는 가압부재(910)들의 다단부들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면서 다른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홀딩장치.
KR20130017300A 2013-02-19 2013-02-19 전차선용 홀딩장치 KR10149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7300A KR101490154B1 (ko) 2013-02-19 2013-02-19 전차선용 홀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7300A KR101490154B1 (ko) 2013-02-19 2013-02-19 전차선용 홀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45A KR20140103645A (ko) 2014-08-27
KR101490154B1 true KR101490154B1 (ko) 2015-02-05

Family

ID=5174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7300A KR101490154B1 (ko) 2013-02-19 2013-02-19 전차선용 홀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211B1 (ko) 2016-04-11 2018-03-29 이진국 차선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전기자동차의 충전장치
KR101910230B1 (ko) 2015-09-22 2018-12-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강체전차선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806B1 (ko) * 2015-10-13 2023-09-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
KR200494542Y1 (ko) * 2017-03-07 2021-11-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강체전차선용 급전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430A (ja) 2002-02-07 2003-08-19 Mitsubishi Cable Ind Ltd 電車線支持装置
JP4067458B2 (ja) 2003-06-19 2008-03-26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トンネル用剛体電車線装置
JP4310492B2 (ja) 2003-08-20 2009-08-12 株式会社浅羽製作所 合成電車線用イヤー装置
JP2010168029A (ja) 2008-12-24 2010-08-05 Railway Technical Res Inst 剛体電車線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430A (ja) 2002-02-07 2003-08-19 Mitsubishi Cable Ind Ltd 電車線支持装置
JP4067458B2 (ja) 2003-06-19 2008-03-26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トンネル用剛体電車線装置
JP4310492B2 (ja) 2003-08-20 2009-08-12 株式会社浅羽製作所 合成電車線用イヤー装置
JP2010168029A (ja) 2008-12-24 2010-08-05 Railway Technical Res Inst 剛体電車線支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230B1 (ko) 2015-09-22 2018-12-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강체전차선 연결구조
KR101829211B1 (ko) 2016-04-11 2018-03-29 이진국 차선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전기자동차의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45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154B1 (ko) 전차선용 홀딩장치
JP4695719B1 (ja) 鉄橋用まくらぎ固定装置
RU2758219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система торможения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856696B1 (ko)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철탑 연결용 어댑터
EP2607148B1 (en) Clamp for suspending a section of a rigid catenary
KR101482061B1 (ko) 강체전차선 장치
KR100984846B1 (ko) 선로전환장치용 기억쇠
KR101588228B1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KR102295061B1 (ko) 강체전차선 지지클램프 구조체
KR20200000049U (ko) 파이형 전차선 병행 습동장치
CA3213224A1 (en) Wedge driver and method therefor
KR101482060B1 (ko) 전차선 운반기
JP2011162033A (ja) スイッチアジャスタ
KR101944071B1 (ko) 프레스 방식의 천공장치
KR20130131065A (ko) 항만 크레인 주행레일 크램프 장치
KR200472985Y1 (ko) 전차선로용 행거 프로텍터
KR101494295B1 (ko) 강체 전차선로용 접속금구
CN211117259U (zh) 钳式制动器
KR200494542Y1 (ko) 강체전차선용 급전클램프
KR100723059B1 (ko) 전차선지지용 조가선에 설치되는 전차선행거용절연보호커버의 분해공구
KR101888768B1 (ko) 레일주행장치의 레일 클램핑 방법
KR101941534B1 (ko) 프레스 방식의 밴딩장치
RU2261949C1 (ru) Комплект путев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KR101007305B1 (ko)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