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510A -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510A
KR20050116510A KR1020040041589A KR20040041589A KR20050116510A KR 20050116510 A KR20050116510 A KR 20050116510A KR 1020040041589 A KR1020040041589 A KR 1020040041589A KR 20040041589 A KR20040041589 A KR 20040041589A KR 20050116510 A KR20050116510 A KR 20050116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mergency
wearer
activit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423B1 (ko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2004004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42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9Automatic dialling or redialling systems, e.g. on off-hook or redial on bus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에 내장되어 휴대폰 착용자의 움직임을 적어도 2축 이상에 대해 검출하고, 그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활동신호를 출력하는 다축 반도체 가속도 센서와, 응급상황발생시 연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긴급호출 전화번호와, 전달할 메세지 및 휴대폰 착용자의 활동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기준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 기억장치와,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의 출력신호를 기억장치에 저장된 비교기준테이터와 비교하여 휴대폰 착용자의 활동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휴대폰 착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기억장치에 등록된 긴급호출 전화번호로 설정된 메세지를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송출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응급상황 발생시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다. 이러한 휴대폰에 의하면, 휴대폰 착용조건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키면서도 휴대폰 착용자에 응급조치가 필요한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가 휴대폰의 키입력부를 통해 등록한 긴급호출전화번호로 긴급 구호 요청 문자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어 구호메세지 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대폰 착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움직임을 검출하면서 응급상황으로 판단시 등록된 긴급호출 전화번호로 위급상황 보고 메세지를 송출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 또는 질병이 발생시 신속한 구급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반신불수 또는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뇌졸중의 경우 발생시점으로부터 4시간 이내에 응급처치를 받지 않으면 반신불수 등의 치명적인 신체의 손상을 야기시킨다. 또한, 등산과정에서의 추락, 교통사고에 의한 의식불명 등 각종 사고시 환자를 회복시킬 수 있느냐의 여부는 얼마나 빠르게 응급조치 또는 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냐에 따라 대부분 결정된다.
특히, 노인의 경우 성인병에 의한 급작스런 발병이 예기치 못하게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발병가능성은 나이가 많을 수록 상대적으로 높아 주기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그런데, 최근의 핵가족화와, 취업주부의 증가로 인해 독거하거나, 주간에는 홀로 생활하여야 하는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위급상황 발생시 긴급한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망하거나 반신불수가 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의료구호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 등록 제 386702호에는 응급환자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응급환자 감시시스템은 휴대용 활동 감지수단을 피보호자의 신체에 착용하고, 활동감지수단으로부터 근거리무선통신수단에 의해 이상신호 발생 수신시 감시센터로 신호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수단을 갖는 이중 전달 구조로 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해지고, 피보호자가 주거공간에서 멀리 이동할 경우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응급상황발생시 감시센터 하나에만 의존하여 구호요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감시센터에 통신장애 발생시 구호요청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활동감지센서가 1축에 대한 운동만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착용자에 착용되는 활동감지수단의 착용방향, 각도에 따라 정상활동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여 응급상황으로 판단처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활동감지센서의 진자 운동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착용자가 움질이는 경우 활동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할 수 없게 되어 착용자에 대해 이상상태로 판단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어 활동상태에 대한 검출 능력이 일정방향으로 제한되고 이에 따른 착용방법에 대한 제약이 많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호요청 전화연결 대상자에 대한 제약 및 착용자의 활동상황 검출 방향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키면서도 위급상황판단능력을 높여 위급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구호 요청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은 무선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 내장되어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움직임을 적어도 2축 이상에 대해 검출하고, 그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활동신호를 출력하는 다축 반도체 가속도 센서와; 응급상황발생시 연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긴급호출 전화번호와, 전달할 메세지 및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활동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기준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 기억장치와; 상기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의 출력신호를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상기 비교기준테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활동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억장치에 등록된 상기 긴급호출 전화번호로 설정된 메세지를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송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응급상황 발생시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긴급호출 전화번호로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응급상황 보고용 문자 메시지를 송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어 상기 긴급호출 전화번호로 상기 문자메시지를 송출한 후 설정된 긴급구호 조치 시간 동안 상기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로부터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정상활동이 다시 감지되지 않으면 119전화번호로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응급구호요청 음성메세지를 송신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외관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폰(100)은 하우징(110)과,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기억장치(140), 송/수신부(150), 스피커(160), 마이크로폰(170),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 및 제어부(190)를 구비한다.
키입력부(120)는 하우징(110)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다양한 키가 마련되어 있다.
키입력부(120)는 전화번호 입력, 문자메시지 입력, 그 밖에 지원되는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키입력부(120)는 긴급구호 요청신호를 발생 및 긴급구호요청 해제신호를 발생 수 있는 키가 마련된다.
여기서 긴급구호 요청신호를 발생 및 긴급구호요청 해제 신호를 발생 수 있는 키의 구현방법으로서는 하우징(110)에 예시된 키 이외에 독립되게 마련된 별도의 키를 마련하는 방식, 또는 예시된 키의 조합에 의해 해당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방식 또는 예시된 키의 조작시간의 차이에 의해 해당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방식, 폴더형 핸드폰(100)의 경우 상호 접히면 해제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90)로부터 전송된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송/수신부(150)는 안테나(151)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전송지시된 정보를 안테나(151)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한다.
스피커(160)는 제어부(190)에 제어되어 음향정보를 출력한다.
마이크로폰(170)은 수신된 음향신호를 제어부(190)에 전송한다.
기억장치(140)에는 사용자가 등록한 긴급호출 전화번호 및 응급상황 안내 문자 및 음성 메세지, 활동상태 판단용 비교기준 데이터 등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활동상태 판단용 비교기준 데이터는 휴대폰(100) 착용자의 활동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100) 착용자가 정상적인 활동상태시 다축 반도체 가속도 센서(18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비교기준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활동상태 판단용 비교기준 데이터는 착용자의 활동상태를 다양한 모드별로 예를 들면 휴대폰(100) 착용자의 수면시, 운동시, 이동시 등의 운동 모드별로 세분되게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일정시간 동안 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패턴 테이터를 비교 기준 데이터로 이용한다.
또한, 기억장치(140)에 등록된 긴급호출 전화번호는 보호자의 핸드폰 전화번호 등 사용자에 따라 적절하게 다수개 등록하면 된다.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는 휴대폰(100)의 하우징(110)내에 내장되게 설치되어 있고, 움직임에 대응되는 활동신호를 출력한다.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는 상호 직교되는 방향에 대한 가속도 성분을 각각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2축 이상에 대한 가속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 적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다축 가속도 센서(180)는 3축 예를 들면 x, y, z 세축 방향에 대한 가속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3축형 가속도센서를 적용한다.
3축형 반도체 가속도센서는 국내 공개특허 제2004-0010394호 등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90)는 키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신호 및 송/수신부(15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90)는 통상의 통화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의 출력신호를 기억장치(140)에 저장된 비교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휴대폰(100) 착용자의 활동에 대한 이상유무를 판단한다.
제어부(190)내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미도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제어부(190)의 통화수행 기능은 공지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응급상황 발생시의 처리과정과 관련된 부분을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90)는 긴급호출 전화번호의 등록 및 응급상황 안내용 문자 및 음성 메세지 등록을 키입력부(120)에 마련된 키의 조작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일 예로서, 제어부(190)는 휴대폰(100)의 메뉴키(121)를 조작하면 긴급호출 전화번호 등록메뉴(미도시), 응급상황 안내 음성 등록메뉴(미도시), 응급상황 문자 메세지 등록메뉴(미도시)를 포함하는 각종 메뉴를 표시부(130)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긴급호출 전화번호 등록메뉴가 키입력부(120)의 조작을 통해 선택되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순번이 나열된 전화번호 기입부분에 키입력부(120)의 숫자키를 조작하여 입력하고 확인키(123)를 누르면 긴급호출 전화번호를 기억장치(140)에 등록시킨다. 긴급호출 전화번호 등록메뉴를 통해 등록된 긴급호출 전화번호는 응급상황 발생시 제어부(190)가 자동으로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세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신 전화번호로 이용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응급상황 안내 음성 등록메뉴가 선택되면 마이크로폰(170)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응급상황 안내 음성메시지로서 기억장치(140)에 저장한다. 기억장치(140)에 등록된 응급상황 안내 음성 메세지는 119로 구호요청을 하고자 할 때 이용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90)는 응급상황 문자 메세지 등록메뉴가 선택되면 숫자키에 병행기재된 문자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된 문자를 응급상황 안내 문자메시지로 기억장치(140)에 저장한다. 등록된 응급상황 안내 문자 메시지는 응급상황 발생시 긴급호출 전화번호로 송신할 때 이용된다.
이러한 긴급호출 전화번호의 등록, 응급상황 안내용 문자 및 음성 메세지 등록 방법은 예시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키입력부(120)에 마련된 키의 조작을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90)는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억장치(140)에 기억된 응급상황 판단용 비교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 비교결과 휴대폰(100) 착용자의 활동상태가 비정상상태로 판단되면 즉,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스피커(16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곧바로 또는 후술되는 제1대기시간 이후에 기억장치(140)의 긴급호출 전화번호 등록 리스트에 등록된 긴급호출 전화번호들로 응급구호를 요청하는 문자 메세지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90)는 일시적인 동작 중지 상황에 대해서는 비정상상태로 판단처리하지 않도록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로부터 비정상 활동신호가 수신될 경우 비정상활동 검출시점부터 설정된 지속시간 예를 들면 5분 이상 지속될 경우 비정상활동 상태 즉 응급상황으로 판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90)는 응급상황으로 판단한 시점 이후에 설정된 제2대기시간 동안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로부터 구호조치에 대응되는 정상활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기억장치에 등록된 119 전화번호로 저장된 응급상황 안내용 음성메세지를 송출한다.
여기서 제어부(190)의 비정상상태 이후 정상활동의 재개에 대한 판단은 일정시간 이상 예를 들면 5분 이상 정상상태에 대응되는 신호가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로부터 수신된 경우에 정상활동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급상황 발생시 제어부(190)의 긴급구호요청 방식은 앞서 설명된 방식의 변경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한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어부(190)의 응급상황 판단에 대한 연산처리부담을 줄이기 위한 구조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폰(200)은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송/수신부(150), 스피커(160), 마이크로폰(170), 제어부(290), 기억장치(240),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를 구비한다.
A/D변환기(231)는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A/D변환기(231)는 보조제어부(293)내에 내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290)는 상호 접속된 메인제어부(291)와 보조 제어부(293)로 되어 있다.
메인제어부(291)와 보조제어부(293)는 각각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제어부(190)의 기능을 상호 분담처리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기억장치(240)는 메인제어부(291)와 보조제어부(293)의 역할분담에 대응되어 각각 이용될 수 있게 메인 제어부(291)에 의해 이용되는 메인 기억장치(241)와, 보조제어부(293)에 의해 이용되는 보조기억장치(243)를 구비한다.
메인제어부(291)와 보조제어부(293)의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기능에 대한 분담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분담구조를 설명한다.
보조 제어부(293)는 휴대폰(200) 착용자의 활동상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메인제어부(291)에 알려준다.
보조기억장치(243)에는 휴대폰(200) 착용자의 활동상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앞서 설명된 활동상태 판단용 비교기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 제어부(293)는 A/D변환기(23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보조기억장치(243)에 기록된 비교기준 테이터와 비교하고, 비교결과 활동상태가 이상상태로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91)에 활동이상 신호를 출력한다.
메인 제어부(191)는 보조제어부(293)로부터 이상신호가 수신되면 스피커(160)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고, 설정된 위급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긴급호출 전화번호로 문자메세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다축 반도체 가속도 센서(18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실시간 또는 설정된 간격으로 비교기준데이터와 비교해야 하는 연산부담이 보조제어부(293)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통화수행을 포함한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291)의 연산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된 휴대폰(100)(200)의 바람직한 위급상황 처리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축 반도체 가속도 센서(180)의 출력신호를 수신한다(단계 310).
수신된 다축 반도체 가속도 센서(180)의 출력신호를 비교기준테이터와 비교하여 응급상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20).
여기서 응급상황의 판단은 다축 반도체 가속도 센서(180)의 출력신호와 비교기준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일 예로서, 다축 반도체 가속도 센서(180)의 출력신호가 정상상태에 대해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비교기준데이터 들 중 어느 하나와도 일치하는 것이 없거나, 비교기준데이터들에 대해 확장되게 설정된 허용범위를 벗어날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축 반도체 가속도 센서(180)의 출력신호가 정상상태에 대해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비교기준데이터 들 중 어느 하나와도 일치하는 것이 없거나, 비교기준데이터에 대해 확장되게 설정된 허용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러한 비정상상태가 설정된 판단대기시간 예를 들면 5분을 초과한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판단대기시간은 사용자의 연령, 활동 능력, 지병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경보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시간카운팅을 시작한다(단계 330).
여기서 경보음은 기억장치(140)(240)에 응급상황용으로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후, 제어부(190)(290)는 응급상황 해제조건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40). 여기서 응급상황 해제조건은 키입력부(120)에 설정해 놓은 긴급호출 해제용 키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긴급호출 해제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와, 경보음 발생에 의해 외부인의 도움을 받아 구호조치가 수행되어 착용자의 정상적인 활동이 재개되거나 구호자가 휴대폰 착용자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활동에 의해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에서 정상적인 활동신호가 수신된 경우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휴대폰(100)(200) 착용자가 쓰러진 후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간헐적으로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제어부(190)(290)는 경보음 발생 이후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180)에서 정상적인 활동신호가 수신될 경우 정상활동신호의 지속시간이 설정된 지속시간 예를 들면 30초 이상 지속될 경우 응급상황 해제조건에 해당하는 정상활동 상태로 판단하고, 지속시간이 30초 이내 이면 비정상상태로 판단하도록 설정된다.
제어부(190)(290)는 응급상황 해제조건에 해당하면 경보음 발생을 중지시킨다(단계 350).
이와는 다르게 제어부(191)는 응급상황 해제조건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설정된 제1 보고 대기시간을 경과하였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360).
여기서 제1 보고 대기시간은 경보음에 의한 구호가 이루어지지 않아 긴급호출 요청전화번호로 문자메세지를 전송할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적용된 시간이다.
단계 360에서 설정된 제1 보고 대기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기억장치(140)(240)에 등록된 긴급호출전화번로 응급 구호요청 문자메세지를 송신한다(단계 370).
여기서 응급구호요청 문자메시지는 기억장치(140)(240)에 응급구호 요청용으로 미리 등록된 문자메세지를 그대로 보내거나, 위급상황 발생일시, 시간, 위치 및 사용자의 이름을 등록된 문자메세지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00일 00시 00분에 000에서 000님께서 활동이 중지되어 응급조치가 필요합니다"라와 같은 메세지를 송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응급 구호요청 메세지는 등록된 긴급구호 요청전화번호에 모두 전송한다.
또한, 응급 메시지 송신 이후 설정된 제2보고대기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80).
제2보고대기시간은 제1보고대기시간 보다 길게 설정된 시간이고, 119로 구호요청 호출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380에서 제2보고대기 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119로 구호요청 음성메세지를 전송한다(단계 390).
이러한 프로세스에 의하면, 신체를 움직일 수 없거나 의식 불명에 의한 응급상황 발생시 1차로 경보음이 발생되어 주위 사람들이 있을 경우 적절한 구호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경보음 발생후에도 적절한 구호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등록된 긴급호출 전화번호로 문자메세지를 송신하여 2차적으로 구호조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긴급호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보호자로부터 긴급구호조치가 설정된 제2보고 대기시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119로 구호요청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응급상황이 발생한 휴대폰 착용차의 휴대폰(100)(200)의 현재위치에 대한 정보는 현재 이동통신회사에서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를 해주고 있어 현재 위치정보를 이동통신회사로부터 로밍시마다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 다르게는 GPS 수신기를 휴대폰(100)(200)에 추가로 장착하여 GPS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문자메세지 또는 음성메세지 송신시 함께 전송하도록 하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 의하면, 휴대폰 착용조건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키면서도 휴대폰 착용자에 응급조치가 필요한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가 휴대폰의 키입력부를 통해 등록한 긴급호출전화번호로 긴급 구호 요청 문자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어 구호메세지 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외관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응급상황 발생시 처리과정을 나타내 보인 플로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휴대폰 120: 키입력부
130: 표시부 140, 240: 기억장치
180: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 190, 290: 제어부

Claims (3)

  1. 무선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 내장되어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움직임을 적어도 2축 이상에 대해 검출하고, 그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활동신호를 출력하는 다축 반도체 가속도 센서와;
    응급상황발생시 연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긴급호출 전화번호와, 전달할 메세지 및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활동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기준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 기억장치와;
    상기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의 출력신호를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상기 비교기준테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활동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억장치에 등록된 상기 긴급호출 전화번호로 설정된 메세지를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송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응급상황 발생시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긴급호출 전화번호로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응급상황 보고용 문자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어 상기 긴급호출 전화번호로 상기 문자메시지를 송출한 후 설정된 긴급구호 조치 시간 동안 상기 다축 반도체 가속도센서로부터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정상활동이 다시 감지되지 않으면 119전화번호로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응급구호요청 음성메세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1020040041589A 2004-06-08 2004-06-08 휴대폰 KR100583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589A KR100583423B1 (ko) 2004-06-08 2004-06-08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589A KR100583423B1 (ko) 2004-06-08 2004-06-08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510A true KR20050116510A (ko) 2005-12-13
KR100583423B1 KR100583423B1 (ko) 2006-05-25

Family

ID=3729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589A KR100583423B1 (ko) 2004-06-08 2004-06-08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4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58B1 (ko) * 2007-06-12 2007-10-04 김순례 조난방지용 등산복
KR101420906B1 (ko) * 2010-12-24 2014-07-17 주식회사 케이티 Gps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조회 및 안심 서비스 방법
KR20170060392A (ko) *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케이티 분실 단말의 위치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9999395B2 (en) 2010-08-06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user action
US10219128B2 (en) 2015-11-06 2019-02-26 Princo Corp. Wristwatch, wearable device, emergency help seeking method, and speed dial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156B1 (ko) 2012-02-13 2013-01-11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스마트 폰의 정지 상태 감지방법 및 그 방법이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58B1 (ko) * 2007-06-12 2007-10-04 김순례 조난방지용 등산복
US9999395B2 (en) 2010-08-06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user action
KR101420906B1 (ko) * 2010-12-24 2014-07-17 주식회사 케이티 Gps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조회 및 안심 서비스 방법
US10219128B2 (en) 2015-11-06 2019-02-26 Princo Corp. Wristwatch, wearable device, emergency help seeking method, and speed dial method
KR20170060392A (ko) *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케이티 분실 단말의 위치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423B1 (ko)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0003B1 (en) Determining location and survivability of a captive person under a disaster situation by use of a mobile device
EP2036056A2 (en) Motion sensing in a wireless rf network
US20020137552A1 (en) Indication unit for a portable wireless device
US20120046009A1 (en) Personal Emergency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60244461A1 (en) Intelligent portabl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JP2018530083A (ja) アラームシステム
KR100583423B1 (ko) 휴대폰
KR101612507B1 (ko) 호신용 반지를 이용한 위험상황 관리시스템
KR101675665B1 (ko)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358175B2 (ja) 携帯端末
JP2013003815A (ja) 転倒検出装置、転倒検出ユニット、転倒検出システムおよび転倒検出方法
JP2008015659A (ja) 状況検知端末及びこれを用いた状況通報システム
KR20130055340A (ko) 긴급 호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JP2018034235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KR200374906Y1 (ko) 휴대용 모션센서를 이용한 사고 감지 장치 및 이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JP6664919B2 (ja) 携帯監視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7338312B2 (ja) 端末装置及び状態遷移制御プログラム
JP2006141679A (ja) 介護用端末および介護用通報システム
KR20120135504A (ko) 액세서리 단말기를 이용한 안전 지킴이 시스템 및 방법
KR100775534B1 (ko) 응급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원격 보호 단말기, 시스템 및방법
KR20160007111A (ko)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상황 알림 방법
JP2006318187A (ja) 消防士活動支援システム
KR101547138B1 (ko)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KR100386702B1 (ko) 응급환자 감시 시스템
JP2009276953A (ja) 安全確認設備および安全確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