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458B1 - 조난방지용 등산복 - Google Patents

조난방지용 등산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458B1
KR100761458B1 KR1020070057000A KR20070057000A KR100761458B1 KR 100761458 B1 KR100761458 B1 KR 100761458B1 KR 1020070057000 A KR1020070057000 A KR 1020070057000A KR 20070057000 A KR20070057000 A KR 20070057000A KR 100761458 B1 KR100761458 B1 KR 100761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ess
warning sound
determination signal
heating pa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례
Original Assignee
김순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례 filed Critical 김순례
Priority to KR1020070057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41D2400/12Heat retention or warming using temperature-controll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난방지용 등산복에 관한 것으로서, 등산객이이 착용하는 것으로서, 내측에 위치되는 내피(11)와,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12)와, 포켓(15)을 가지는 몸체부(10); 몸체부(10)의 내부에 내장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열되는 발열패드(20); 발열패드(20)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30); 몸체부(10)의 어깨부분에 설치되어, 등산객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센서(40); 등산객이 특정시간동안 움직이지 않을 경우 그 등산객이 조난을 당한 것이라 판단하여 대응되는 조난판단신호를 발생하는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 조난판단신호가 입력될 때 배터리(30)로 부터 발열패드(2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로 조난판단신호가 입력될 때 그 제어부(6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경고음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음신호발생부(70); 경고음신호에 의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80); 및 포켓(15)으로부터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배터리(30),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 제어부(60), 경고음신호발생부(70), 스피커(80)가 내장되는 케이스(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난방지용 등산복{A mountain-wear for preventing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난방지용 등산복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조난방지용 등산복에 있어서, 몸체부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난방지용 등산복에 있어서,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몸체부 11 ... 내피
12 ... 외피 15 ... 포켓
20 ... 발열패드 21 ... 면상발열체
22 ... 내피 23 ... 도전성외피
30 ... 배터리 40 ... 움직임센서
50 ... 조난판단신호발생부 60 ... 제어부
70 ... 경고음신호발생부 80 ... 스피커
90 ... 케이스
본 발명은 등산하는 사람이 착용하는 등산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 도중 발생되는 조난에 의하여 동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난 위치를 외부로 알리는 조난방지용 등산복에 관한 것이다.
등산하는 사람에 있어 등산복은 매우 필요한 의복중 하나이다. 이러한 등산복은 통상적으로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아주고, 몸에서 발생되는 땀을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며, 등산복의 내부에는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온재가 채워져 있다.
그런데, 여름을 제외한 계절에 등산하는 도중, 음지에 얼어있는 얼음이나 눈등에 의하여 미끄러짐으로써 갑작스럽게 조난(사고)을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특히, 미끄러지거나 절벽에서 떨어지는 갑작스런 조난시 정신을 잃거나 큰 부상 때문에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생명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갑작스럽게 조난당할 때, 조난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자동으로 조난사실을 외부로 알릴 수 있는 조난방지용 등산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난방지용 등산복은,
등산객이이 착용하는 것으로서, 내측에 위치되는 내피(11)와,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12)와, 포켓(15)을 가지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내장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열되는 발열패드(20); 상기 발열패드(20)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30); 상기 몸체부(10)의 어깨부분에 설치되어, 등산객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센서(40); 상기 등산객이 특정시간동안 움직이지 않을 경우 그 등산객이 조난을 당한 것이라 판단하여 대응되는 조난판단신호를 발생하는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 상기 조난판단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배터리(30)로 부터 발열패드(2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 상기 제어부(60)로 조난판단신호가 입력될 때 그 제어부(6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경고음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음신호발생부(70); 상기 경고음신호에 의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80); 및 상기 포켓(15)으로부터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배터리(30),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 제어부(60), 경고음신호발생부(70), 스피커(80)가 내장되는 케이스(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패드(20)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21)와, 상기 면상발열체(21)를 감싸는 내피(22)와, 상기 내피(22)를 감싸여는 것으로서 상기 면상발열체(21)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도전성외피(23)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난방지용 등산복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난방지용 등산복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난방지용 등산복에 있어서, 몸체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난방지용 등산복에 있어서,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난방지용 등산복은, 등산을 하고자 하는 사람(이하, 등산객이라 함)이 착용하는 것으로서, 내측에 위치되는 내피(11)와,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12)와, 포켓(15)을 가지는 몸체부(10)와; 몸체부(10)의 내부에 내장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열되는 발열패드(20)와; 발열패드(20)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30)와; 몸체부(10)의 어깨부분에 설치되어, 등산객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센서(40)와; 등산객이 특정시간동안 움직이지 않을 경우 그 등산객이 조난을 당한 것이라 판단하여 대응되는 조난판단신호를 발생하는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와; 조난판단신호가 입력될 때 배터리(30)로 부터 발열패드(2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제어부(60)로 조난판단신호가 입력될 때 그 제어부(6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경고음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음신호발생부(70)와; 경고음신호에 의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80)와; 포켓(15)으로부터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배터리(30),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 제어부(60), 스피커(80), 경고음신호발생부(70)가 내장되는 케이스(90);를 포함한다.
내피(11)와 외피(12) 사이에는 쿠션을 제공하는 단열제로서 솜이나 털등이 채워진다. 내피(11)와 외피(12)는 몸으로부터 발생되는 습기는 밖으로 배출하고, 외부의 바람이 몸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로 되며, 예를 들면 고어텍스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15)은 몸체부(10)의 허리부분에 설치되며, 포켓(15)에는 배터리(30),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 제어부(60), 스피커(80), 경고음신호발생부(70)가 내장되는 케이스(90)가 내장된다. 이러한 케이스(90)는, 본원의 등산복을 세탁하고자 할 때 분리될 수 있다.
발열패드(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몸체부(10) 내부에 여러장 내장된다. 이러한 발열패드(20)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21)와, 면상발열체(21)를 감싸는 내피(22)와, 내피(22)를 감싸여는 것으로서 면상발열체(21)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도전성외피(23)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열패드(20)는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균일하게 발열하고, 또한 전열선으로 된 히터에 비하여 수명이 길고 열효율이 높아 경제적이다. 더 나아가 발열되는 시간이 짧고, 다량의 원적외선이 발생된다. 그리고 도전성외피(23)를 채용함으로써 발열패드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어, 정신을 잃고 있는 동안에 발생될 수 있는 전자파의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
배터리(30)는, 포켓(15)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발열패드(2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30)는 외부전원에 의하여 충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움직임센서(40)는, 본원의 등산복을 착용한 등산객이 갑작스런 사고를 당하여 조난되고, 이 과정에서 부상을 입어 의식을 잃음으로써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센서(40)는 등산객이 움직이는 동안에 지속적 으로 움직임신호를 발생하여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로 전송하며, 이때 움직임센서(40)는 등산객의 움직임을 가장 잘 검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어깨부분에 설치된다.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는, 움직임센서(40)로부터 움직임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예를 들면 20분 동안 움직임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등산객이 조난당한 것이라 판단하여 대응되는 조난판단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60)로 전송한다.
제어부(60)는, 상기한 조난판단신호가 입력될 때, 조난당한 등산객이 동사하지 않도록 배터리(30)로부터 발열패드(2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난당한 등산객이 수 시간동안 정신을 잃거나 큰 부상을 당하더라도, 본원의 등산복이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등산객이 동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경고음신호발생부(70)는, 제어부(60)로 조난판단신호가 입력될 때, 스피커(80)가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경고음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경고음은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저주파 경고음, 예를 들면 음성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조자는 조난당한 등산객의 위치를 경고음를 통하여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경고음은 정신을 잃은 등산객이 다시 정신을 찾을 수 있도록 자극을 준다.
다음, 상기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조난방지용 등산복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본원의 등산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등산을 할 경우, 일반적인 등산복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움직임센서(40)는 등산객이 움직이는 동안 지속적으로 움직임신 호를 발생하여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로 전송한다.
등산객이 등산도중에, 비탈길에서 미끄러지거나, 절벽에서 떨어짐으로써 갑작스럽게 조난을 당하여 정신을 잃거나 심한 부상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움직임센서(40)는 움직임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로 움직임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는데,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는 특정시간, 예를 들면 20분 이상 움직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등산객이 조난을 당한 것이라 판단하여 대응되는 조난판단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조난판단신호는 제어부(60)로 전송되고, 제어부(60)는 조난당한 등산객이 동사하지 않도록 배터리(30)로부터 발열패드(2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난당한 등산객의 몸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동사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으로 제어부(60)는 경고음신호발생부(70)를 제어하여, 스피커(80)가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고음은 멀리까지 전달됨으로써, 구조자가 조난당한 등산객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더 나아가, 경고음은 정신을 잃은 등산객이 다시 정신을 찾을 수 있도록 자극을 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 따른 조난방지용 등산복은, 몸체부의 내부에 내장된 발열패드와, 등산객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검지하여 움직임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센서와, 움직임센서로부터 특정시간동안 움직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조난판단신호를 발생하는 조난판단신호발생부와, 조난판단신호에 의하여 발열패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조난판단신호가 입력될 때 경고음를 출력하는 경고음신호발생부를 포함함으로써, 등산객이 갑작스런 조난에 의하여 의식을 잃거나 심한 부상으로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때 등산객이 동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구조자가 조난당한 등산객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등산객이이 착용하는 것으로서, 내측에 위치되는 내피(11)와,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12)와, 포켓(15)을 가지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내장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열되는 발열패드(20);
    상기 발열패드(20)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30);
    상기 몸체부(10)의 어깨부분에 설치되어, 등산객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센서(40);
    상기 등산객이 특정시간동안 움직이지 않을 경우 그 등산객이 조난을 당한 것이라 판단하여 대응되는 조난판단신호를 발생하는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
    상기 조난판단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배터리(30)로 부터 발열패드(2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
    상기 제어부(60)로 조난판단신호가 입력될 때 그 제어부(6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경고음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음신호발생부(70);
    상기 경고음신호에 의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80); 및
    상기 포켓(15)으로부터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배터리(30), 조난판단신호발생부(50), 제어부(60), 경고음신호발생부(70), 스피커(80)가 내장되는 케이스(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방지용 등산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패드(20)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21)와, 상기 면상발열체(21)를 감싸는 내피(22)와, 상기 내피(22)를 감싸여는 것으로서 상기 면상발열체(21)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도전성외피(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방지용 등산복.
KR1020070057000A 2007-06-12 2007-06-12 조난방지용 등산복 KR100761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000A KR100761458B1 (ko) 2007-06-12 2007-06-12 조난방지용 등산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000A KR100761458B1 (ko) 2007-06-12 2007-06-12 조난방지용 등산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458B1 true KR100761458B1 (ko) 2007-10-04

Family

ID=3941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000A KR100761458B1 (ko) 2007-06-12 2007-06-12 조난방지용 등산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4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959B1 (ko) 2007-08-23 2008-04-17 위우량 다기능 방한복
WO2009072793A2 (en) * 2007-12-07 2009-06-11 Woo-Suk Kye Neck muffler having heating function
KR100924028B1 (ko) 2008-01-08 2009-10-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탈수방지를 위한 웨어러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303A (ja) * 1989-07-19 1991-03-05 Yoshiaki Sugitani 暖房着
KR980009375U (ko) * 1997-07-16 1998-04-30 박관식 졸음 방지용 경보기
KR200267480Y1 (ko) 2001-09-08 2002-03-09 박무범 원적외선 보온조끼
KR20050080971A (ko) * 2004-02-12 2005-08-18 김정근 면상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유도전류, 정전기 방지하는 방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6510A (ko) * 2004-06-08 2005-12-13 김성식 휴대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303A (ja) * 1989-07-19 1991-03-05 Yoshiaki Sugitani 暖房着
KR980009375U (ko) * 1997-07-16 1998-04-30 박관식 졸음 방지용 경보기
KR200267480Y1 (ko) 2001-09-08 2002-03-09 박무범 원적외선 보온조끼
KR20050080971A (ko) * 2004-02-12 2005-08-18 김정근 면상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유도전류, 정전기 방지하는 방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6510A (ko) * 2004-06-08 2005-12-13 김성식 휴대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959B1 (ko) 2007-08-23 2008-04-17 위우량 다기능 방한복
WO2009072793A2 (en) * 2007-12-07 2009-06-11 Woo-Suk Kye Neck muffler having heating function
WO2009072793A3 (en) * 2007-12-07 2009-07-23 Woo-Suk Kye Neck muffler having heating function
KR100924028B1 (ko) 2008-01-08 2009-10-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탈수방지를 위한 웨어러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390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heat stress
CA2986468C (en) System for regulating body temperature of a subject
US20070177651A1 (en)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for helmet or head gear
US20080023460A1 (en) Garment with heating assembly
US20070205903A1 (en) Integrated System for Monitoring the Allowable Heat Exposure Time for Firefighters
AU2018305648B2 (en) Couplable portable device for the thermal medical treatment of skin
KR100761458B1 (ko) 조난방지용 등산복
CN106580285A (zh) 带监测功能的智能防跌倒损伤背心
KR101059855B1 (ko) 조난방지용 등산복
WO2020066564A1 (ja) 温度制御装置、衣服および取付補助具
US20050167412A1 (en) Electrical garment heating system
US10736366B2 (en) Breathable garment
KR101142285B1 (ko) 발열위치조정이 용이한 건강 열 조끼
US6671903B2 (en) Walking bag
KR100849107B1 (ko) 조난방지용 등산복
KR200441192Y1 (ko) 조난방지용 등산복
KR200432410Y1 (ko) 구명조끼
KR20120048070A (ko) 충전식 발열 귀마개
KR200438701Y1 (ko) 조난방지용 등산복
JP2004030180A (ja) 防護装具のヒートストレス報知システム
Bartkowiak et al.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N113260265B (zh) 温度调节系统
CN210726796U (zh) 可降温的相变智能头盔装置
KR100818959B1 (ko) 다기능 방한복
Bartkowiak et al.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the work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