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138B1 -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138B1
KR101547138B1 KR1020130159812A KR20130159812A KR101547138B1 KR 101547138 B1 KR101547138 B1 KR 101547138B1 KR 1020130159812 A KR1020130159812 A KR 1020130159812A KR 20130159812 A KR20130159812 A KR 20130159812A KR 101547138 B1 KR101547138 B1 KR 101547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mergency
automatic call
emergency termina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231A (ko
Inventor
박윤아
백서린
정희원
김진호
이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Priority to KR102013015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1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7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을 구비한 비상 단말기의 비상 버튼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이 이루어지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 단말기에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이 이루어지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은 버튼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호 연결이 이루어지며, 급격한 움직임에도 비상 단말기의 버튼을 작동시켜 자동 전화 통화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버튼을 동작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도 자동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AUTOMATIC CALLING SYSTEM USING EMERGENCY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버튼을 구비한 비상 단말기의 비상 버튼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이 이루어지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상 단말기에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이 이루어지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신자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수신자의 휴대전화로 전송할 수 있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상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 경보음이 출력되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2000년에 들어서면서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2%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다. 2011년 현재 고령화율은 11.4%이며,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총 5,656,000여 명이다.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급격한 고령화는 향후에도 계속 지속되어 2017년 14.0%로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핵가족화와 고령화로 인한 독거 세대의 급격한 증가로 독거노인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의 필요성 증대와 함께 일상 생활에 있어서 독거노인에 대한 안부를 확인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안전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독거노인은 긴급 상황에 따른 대처가 취약하고, 낙상 등의 갑작스런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보호자(가족, 독거노인 관리사 등)가 항시 주시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 해소하기 위해서 노약자 또는 환자들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원격지에서 관찰하고 갑자기 악화되는 등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보호자 및 관제센터에 신속하게 경보해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호자 및 관제센터에서 이동통신기기를 주변 컴퓨터에 연결하여 노약자 또는 환자 주변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한편, 휴대전화 소지자가 위험상황에 전화번호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버튼의 동작으로 자동 통화가 이루어진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자동 통화 기술 중에서, 공개특허공보 제0-2008-0036974호에 이동전화 비상발신방법이 기재되었다.
위에 기재된 종래 기술은 리모컨의 비상버튼을 누를 때 휴대전화를 통해서 구조신호가 발신되거나 리모컨 단독으로 휴대전화 본체를 통하지 않고서도 구조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는, 휴대전화의 리모컨에 긴급구조신호발신용 비상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123404호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통화 발신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기재되었다.
위의 기술은 외부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화번호를 포함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휴대전화; 및 상기 휴대전화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송신하여 상기 휴대전화에서 상기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되도록 하는 외부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휴대전화에서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외부 장치를 클릭(Click)하면 외부 장치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고, 외부 장치에서 통화연결버튼을 누르면 외부 장치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휴대전화로 전송되어 전화 연결을 자동으로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공통으로, 리모컨 또는 외부장치에 버튼을 구비하고 이 버튼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자동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자동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고 당사자(발신자)가 음성 통화가 곤란하거나 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자동 통화의 연결은 의미가 없어진다. 즉, 발신자는 위험 상태에서 음성을 수신자에게 전달할 수 없을 정도의 사고가 발생된 경우에는 발신자에 대한 후속조치가 상당히 난해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더하여 사고 등에 따라 몸을 움직일 수 없는 긴급상황에서는 리모컨 등에 구비된 버튼을 동작시킬 수 없어 자동 통화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상 단말기의 버튼을 동작하는 것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호 연결이 이루어지되, 사용자의 급격한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에도 비상 단말기의 버튼이 동작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로 호 연결이 이루어지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 단말기의 비상 신호는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와 거리가 일정 이상 멀어지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 경보음을 출력하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은 버튼을 구비한 비상 단말기; 및 비상 단말기의 버튼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발신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를 포함하며, 비상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속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검출값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비상 버튼이 동작되며, 휴대 단말기는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거나 편집하고 자동통화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수신된 발신용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등록된 전화번호로 자동 호(call)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비상 단말기의 버튼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발신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통화를 제어하는 유무선중계기; 를 포함하며, 유무선중계기는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거나 편집하고 자동통화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수신된 발신용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유선전화기를 제어하여 등록된 전화번호로 자동 호(call)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은 버튼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호 연결이 이루어지며, 급격한 움직임에도 비상 단말기의 버튼을 작동시켜 자동 전화 통화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버튼을 동작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도 자동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신자의 위치정보가 수신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되므로, 발신자의 위치를 신속히 알 수 있어, 긴급상황에 대한 조속한 후속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서 비상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 형태의 비상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시계 형태의 비상 단말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서 유무선중계기와 유선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및 "인터페이스"의 의미는 하드웨어 수단 또는 소프트웨어 수단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수단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을 구비한 비상 단말기의 비상 버튼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이 이루어지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 단말기에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이 이루어지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신자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수신자의 휴대전화로 전송할 수 있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 경보음이 출력되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의 구성은 비상 단말기(100), 휴대 단말기(200), 유무선중계기(300), 유선전화기(400) 및 수신자 단말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상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소지하며, 긴급상황에서 비상 버튼을 조작하여 발신 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서 비상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비상 단말기(100)의 구성은 비상 버튼(110), 단말기 통신부(120), 가속도 센서(130), 음성입출력부(140), 취소 버튼(150), 배터리(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비상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장신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 형태 및 시계 형태의 비상 단말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물론, 목걸이 형태 및 시계 형태 이외에도, 팔찌형, 브로치(brooch)형, 이어폰형, 뱃지형, 머리핀형 및 반지형뿐만 아니라 필기구형 또는 열쇠고리형 등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거나 사용자가 소지한 물품에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비상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비상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비상 버튼(110)은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서 조작하는 것으로, 전면에 돌출 형태로 구성된 테두리 내측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비상 버튼(110)의 상부는 그 중심부로 갈수록 함몰된 형태로 하여 의도하지 않은 동작에 의해 비상 버튼(110)이 동작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무선 통신으로,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바이너리 CDMA(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와이브리(wibree), UWB(Ultra Wide Band),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중에서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휴대 단말기(200)에 기본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과 동일한 통신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는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등이 채용되어 있으므로, 단말기 통신부(120)는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채택하여 무선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30)는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나 충격을 센싱하는 센서로, 물체의 가속도, 진동 또는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한다.
가속도 센서(130)를 통해 검출된 값은 설정된 크기와 비교하여 비상 버튼(110)이 동작되도록 하는 신호로 사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 적용된 가속도 센서(130)는 낙상에 의해 충격을 센싱하도록 구성되어 피보호자의 사고를 감지하는 것이나, 피보호자의 낙상 또는 거동이 불편한 경우 비상 단말기를 흔드는 동작 또는 비상 단말기에 일정 이상의 충격을 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비상 버튼이 동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보호자가 낙상에 의해 버튼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비상 단말기를 흔들거나 치는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되게 하는 것으로 자동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입출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결과를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휴대 단말기(200)와의 음성통신에 따라 음성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것으로, 스피커(141) 및 마이크(14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취소 버튼(150)은 의도하지 않은 비상 버튼(110)의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 통화 연결을 취소하기 위한 것으로, 비상 버튼(110)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160)는 비상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건전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비상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비상 버튼(110)의 동작에 따라 단말기 통신부(120)를 통해 발신용 무선신호를 송출 제어한다. 또한 전화 호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단말기 통신부(120)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는 수신자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비상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비상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수신자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비상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음성신호를 스피커(141)로 출력하고, 마이크(142)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130)에서 센싱된 값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로 판단되면, 비상 버튼(110)이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130)에 의해 검출된 값에 근거하여 실질적으로 비상 버튼(110)이 동작(눌림)되는 것은 아니며, 비상 버튼(110)의 동작으로 그 이후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비상 버튼(110)의 동작에 따라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취소 버튼(150)이 동작되면 자동 통화 연결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비상 버튼(110) 및 취소 버튼(150)의 동작에 따라 적절한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상 버튼(110)이 동작되면, "자동 연결을 수행합니다. 중지하시려면 취소 버튼을 눌러 주세요"라는 멘트가 출력되도록 하며, 취소 버튼(150)이 동작되면, "자동 연결을 취소하는 중입니다. 재연결을 하시려면 비상 버튼을 눌러 주세요" 하는 멘트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비상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소지하기가 간편하고 비상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부주의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게 비상 버튼을 조작한 경우에도 취소 버튼을 조작하는 것으로 자동 통화 연결을 취소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비상 단말기(100)를 소지한 상태에서 갑작스런 움직임(예를 들면, 낙상사고 또는 교통사고 등)이 발생된 경우에도,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비상 버튼을 동작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도 자동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비상 단말기(100)의 비상 버튼(110)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발신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통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은 무선 통신부(210), 전화번호 저장부(220), 위치정보 검출부(230), 경보발생부(240), 자동통화 설정부(250) 및 자동통화 연결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를 이루는 기본적인 구성, 예를 들면 버튼, 배터리, 메모리, 디스플레이, GPS 및 카메라 등은 생략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비상 단말기(100)의 단말기 통신부(1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휴대 단말기(200)와 비상 단말기(100)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단말기 통신부(120)로부터 발신용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00)와 비상 단말기(100)가 음성 통화하는 과정에서는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전화번호 저장부(220)는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저장 관리되는 것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거나 편집하도록 구성된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 저장되는 전화번호는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순위부터 제3순위까지 전화번호가 저장되고, 제1 순위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여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음 순위의 전화번호로 자동 통화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출부(230)는 휴대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한다.
경보발생부(240)는 비상 단말기(100)와 통신 상태를 확인하여 일정 시간 이상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무선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비상 단말기(100)의 단말기 통신부(120)에 주기적인 싱크(sync) 신호를 송신하여 수신하고, 일정 시간 이상 송신된 싱크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로 판단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비상 단말기(100)에도 경보발생부를 구성하여 일정 시간 이상 싱크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음성입출력부(140)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보발생부의 구성은 휴대 단말기(2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경보발생부는 비상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200)가 통신 가능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경우에 동작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200)를 임의의 장소에 두고 통신 거리 이상으로 이탈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토록 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통화 설정부(250)는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거나 편집하고 자동통화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수신자 전화번호는 복수 개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등록된 수신자 전화번호를 편집을 통해 수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자동통화 설정 정보는 수신자 단말기로 발신 전화번호 부재 중 발신 누적 횟수, 부재 중 발신되는 누적 시간, 스피커폰 동작 유무, 카메라 동작 유무, 수신자 전화번호 우선 순위 및 수신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자의 개인정보는 수신자의 이름, 나이 및 성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동통화 설정부(250)는 비상 단말기(100)를 등록하고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 이때, 비상 단말기(10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각 비상 단말기(100)에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코드 등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수신자 단말기(400)에도 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수신자는 누구의 비상 단말기(100)가 동작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자동통화 연결부(260)는 비상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발신용 무선신호와 자동통화 설정부(250)에 저장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저장된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자동 통화(호) 연결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동통화 연결부(260)는 자동통화모듈, 카메라동작모듈 및 스피커동작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통화모듈은 수신된 발신용 무선신호와 자동통화 설정부(250)에 저장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저장된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자동 통화(호) 연결을 수행하되, 카메라동작모듈 및 스피커동작모듈과 연계하여 자동 통화(호) 연결을 수행한다.
즉, 카메라동작모듈은 자동통화 설정 정보에 저장된 카메라 동작 유무 설정에 근거하여 동작되며, 스피커동작모듈은 자동통화 설정 정보에 저장된 스피커폰 동작 유무에 근거하여 동작되는데, 자동 호 연결시 카메라가 동작되도록 설정된 경우, 자동 호 연결은 영상통화로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자동 호 연결시 스피커폰이 동작되도록 설정된 경우, 자동 호 연결은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호 연결을 수행한다. 물론 카메라 및 스피커폰 모두 동작되도록 설정된 경우에 자동 호 연결은 스피커폰을 통한 영상통화로 연결된다.
이에, 영상통화로 전화가 연결된 경우, 수신자는 휴대 단말기(200)에서 전송되는 영상이 수신자 단말기에 표시되어 휴대 단말기(200) 사용자의 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전화가 연결된 경우, 휴대 단말기(200)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도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통화 연결부(260)는 위치정보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위치정보를 수신자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위치정보가 전송되는 시점은 호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 또는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발신이 종료된 시점에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수신자 단말기(500)에 표시되는 위치정보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연동하여 표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신자가 사용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자동통화 연결부(260)는 수신자 단말기(500)와 호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미약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성 입력 수신 감도 및 출력 음성을 순차적으로 상향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와 휴대 단말기(200)가 소정 이격된 상태(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로 접근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수신되는 음량을 조절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신 음량을 분석하여 수신 음량이 미약하다라고 판단되는 경우 자동통화 연결부(260)는 음성 수신 감도 및 음량 출력 감도를 순차적으로 상향 조정하여 출력하거나 수신하여 수신자와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200)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음성 통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휴대 단말기(200)의 구성 중에서 경보발생부(240), 자동통화 설정부(250) 및 자동통화 연결부(260)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휴대 단말기(2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경보발생부(240), 자동통화 설정부(250) 및 자동통화 연결부(260) 등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경우, 나머지 구성(무선 통신부(210), 전화번호 저장부(220) 및 위치정보 검출부(230))는 휴대 단말기(200)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무선 통신부(210), 전화번호 저장부(220) 및 위치정보 검출부(230)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 구성들은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경보발생부(240), 자동통화 설정부(250) 및 자동통화 연결부(260) 등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통신망과 연결되는 서버 또는 앱스토어 등에 업로드되어 통신망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가 댁내에 위치하는 경우, 유선전화기(400)를 통해 수신자와 자동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상 단말기(100)와 유선단말기(400)를 연결하는 유뮤선중계기(300)가 구비된다.
유무선중계기(300)는 비상 단말기의 버튼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발신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통화를 제어하는 것으로, 유선전화기(400)와는 유선 연결되며, 비상 단말기(100)와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 유무선중계기(300)와 유선전화기(4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에서 유무선중계기와 유선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유무선중계기(300)는 무선 통신부(310), 전화번호 저장부(320), 자동통화 설정부(350) 및 자동통화 연결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선전화기(400)는 후크 온/오프모듈(410) 및 음성입출력모듈(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유선전화기(400)에 구비되는 후크 온/오프모듈(410) 및 음성입출력모듈(420)은 별도의 장치가 더 부가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유선전화기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다.
무선 통신부(310), 전화번호 저장부(320) 및 자동통화 설정부(350)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기능이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통화 연결부(360)는 자동통화 설정부(350)에 설정된 정보에 근거하여 자동 통화(호)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후크제어모듈, 전화번호 송신모듈 및 음성송수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크제어모듈은 유선전화기(400)의 후크 온/오프모듈을 제어하는 것으로, 유선전화기의 후크버튼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후크제어모듈은 유선전화기의 후크버튼을 동작시켜 유선전화기를 발신 가능상태로 전환시킨다.
전화번호전송모듈은 전화번호 저장부(320)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유선전화기(400)로 전화번호를 전송하여 자동 호 연결을 수행한다.
음성송수신모듈은 자동 호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유선전화기(400)와 비상 단말기(100)가 서로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유선전화기(400)가 수신자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비상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비상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음성은 유선전화기(400)로 전송 제어한다.
또한 전화번호 저장부(320)에 저장되는 전화번호는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순위부터 제3순위까지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이때, 제1 순위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여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동통화 연결부(360)는 후크제어모듈을 통해 유선전화기(400)의 후크를 오프하고 다시 온 제어하여 발신상태로 전환하고 제2 순위의 전화번호로 자동 호 연결을 수행한다.
수신자 단말기(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200) 또는 유선전화기(400)와 연결되는 단말기로, 휴대폰, PDA, 유선전화기 등 수신 가능한 단말기이면 충분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수의 비상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또는 비상 단말기와 유선전화기를 통하여 수신자와 자동 통화 연결이 될 수 있으며, 비상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및 유선전화기를 복합적으로 운용하여 수신자와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은 비상 단말기의 비상 버튼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통화 연결이 가능하여 직접 버튼을 누르거나 단축번호를 누르지 않아도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비상 버튼을 동작시킬 수 없는 상태에서도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거나 충격(또는 흔드는 동작(shaking))을 강제로 인가하면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를 피보호자로 하고 수신자를 보호자로 지정하는 경우, 피보호자의 안전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어 불의의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6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비상 단말기 110: 비상 버튼
120: 단말기 통신부 130: 가속도센서
140: 음성입출력부 141: 스피커
142: 마이크 150: 취소버튼
160: 배터리 170: 제어부
200: 휴대 단말기 210, 310: 무선 통신부
220, 320: 전화번호 저장부 230: 위치정보 검출부
240: 경보발생부 250, 350: 자동통화 설정부
260, 360: 자동통화 연결부 300: 유무선중계기
400: 유선전화기 410: 후크 온/오프모듈
420: 음성입출력모듈 500: 수신자 단말기

Claims (8)

  1. 버튼을 구비한 비상 단말기; 및 상기 비상 단말기의 버튼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발신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를 포함하는 자동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상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검출값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비상 버튼이 동작되며,
    상기 버튼은 그 상부가 중심부로 갈수록 함몰된 형태로 구성되어 의도하지 않은 누름에 의한 동작을 방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거나 편집하고 자동통화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수신된 발신용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등록된 전화번호로 자동 호(call) 연결을 수행하며,
    상기 수신자 단말기와 호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미약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성 입력 수신 감도 및 출력 음성을 순차적으로 상향 조정할 수 있고,
    상기 비상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음성통화가 가능하되,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비상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비상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상기 검출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비상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통신 상태를 확인하여, 일정 시간 이상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단말기는,
    착용 가능한 장신구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KR1020130159812A 2013-12-20 2013-12-20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KR101547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812A KR101547138B1 (ko) 2013-12-20 2013-12-20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812A KR101547138B1 (ko) 2013-12-20 2013-12-20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231A KR20150073231A (ko) 2015-07-01
KR101547138B1 true KR101547138B1 (ko) 2015-08-26

Family

ID=5378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812A KR101547138B1 (ko) 2013-12-20 2013-12-20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929B1 (ko) * 2017-06-22 2019-04-24 전광규 스마트폰과 실시간 양방향 통신기능을 갖는 스마트 키퍼 및 그 운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839B1 (ko) * 2010-05-26 2012-04-1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839B1 (ko) * 2010-05-26 2012-04-1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231A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100650B4 (en) A personal safety device, system and process
US20180357887A1 (en) Wearable personal safet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0446016B2 (en) Advanced mobile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ES2274393T3 (es) Metodo de llamada de emergencia.
US201202828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stand-by signal and a distress signal from a mobile device
US20220086618A1 (en) Low-power mobile telephony alert system
KR101422234B1 (ko) 생체정보 및 gps정보를 활용한 긴급상황 통보시스템
KR20140039580A (ko) 긴급 구난 요청 장치 및 방법
KR20140070356A (ko) 범죄 보호용 장치
KR20080036974A (ko) 이동전화 비상발신방법
KR101547138B1 (ko)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KR101810375B1 (ko) 개선형 모바일 개인 긴급 응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KR20160127200A (ko) 웨어러블 카메라 기반의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6676A (ko) 리모컨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구조 방법
KR20200076243A (ko)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KR20120135504A (ko) 액세서리 단말기를 이용한 안전 지킴이 시스템 및 방법
KR102318519B1 (ko) 통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967684B2 (en) Alerting system for deaf or hard of hearing people and application software to be implemented in an electronic device
JP2006311142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594429B1 (ko) 긴급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450869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안심단말장치
KR101038330B1 (ko) 발신제한 기능과 비상통화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세서리 장치
KR200295653Y1 (ko) 사용자의 위치파악이 가능한 무선단말장치
AU2021100213A4 (en) Women security using iot based intelligent electronic jewelry
US11522991B2 (en) Medical ale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