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839B1 -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839B1
KR101134839B1 KR1020100049089A KR20100049089A KR101134839B1 KR 101134839 B1 KR101134839 B1 KR 101134839B1 KR 1020100049089 A KR1020100049089 A KR 1020100049089A KR 20100049089 A KR20100049089 A KR 20100049089A KR 101134839 B1 KR101134839 B1 KR 10113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mergency signal
user
emergenc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609A (ko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9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83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상 상황에 관련된 여건 정보를 설정하고, 비상 여건에 노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폰이 강도 등의 위협자가 눈치채지 못하게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상황에 노출됨을 원격의 특정인에게 알릴 수 있게 한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 3자가 눈치채지 못하게 간단하고 신속하게 원격의 제 3자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는 비상신호를 발행할 수 있으므로 범죄자나 사용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조속한 사건 해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ING OF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비상 상황에 관련된 여건 정보를 설정하고, 비상 여건에 노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폰이 강도 등의 위협자가 눈치채지 못하게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상황에 노출됨을 원격의 특정인에게 알릴 수 있게 한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자본주의가 고도화되면서 사유재산에 대한 부의 축적이 매우 큰 개인적 과제가 되어 있는 현 시점에는 개인과 가족의 일신에 대한 보호 서비스의 필요성을 당위적으로 받아들이고 있게 되었다.
실제로, 빈부간의 격차가 심화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면서 각종 강력 범죄율이 증가되고 있으며, 납치, 강도 상해사건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신에게 강도, 납치사건이 발생될 경우, 직접 상대방을 제압할 수 있는 휴대용 고전압장치들이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용 고전압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상대방을 제압하기에는 상당한 용기와 순발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고전압 장치는 주로 손가방 등에 넣은 상태에서 휴대하기 때문에 칼 등의 흉기로 위협받는 상황에서 손가방내에 넣어놓은 물건을 외부로 인출하기는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강도 상해, 납치사건의 경우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노인이나, 유아, 여성들을 대상으로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힘이 약한 사용자가 상대방을 직접 제압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강도 상해, 납치사건의 경우 상대방 제압에 실패한 경우에는 오히려 상대방의 감정을 더욱 자극하여 역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GPS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버튼을 직접 조작하여 자신의 위치 및 자신이 처한 위급상황을 경찰청서버 또는 보안업체의 서버 등의 원격 서버로 자동으로 알려주는 보안폰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보안폰의 경우에도 직접 핸드폰을 조작하여야 되나, 마찬가지로 칼 등의 흉기로 위협받는 상황에서 핸드폰의 핫키(Hot Key)를 조작하여 특정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용이하지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안폰은 위급상황을 경찰청서버 또는 보안업체측으로 전송한다고는 하지만, 위급상황을 경찰청서버 또는 보안업체측 어느 한 서버나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게 되므로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이거나,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 예컨대,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면 위급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움직임센서가 탑재된 사용자의 휴대폰을 응급 상황시 흔들어서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상황에 노출됨을 원격의 특정인에게 알릴 수 있게 한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귀가 시간과 같은 특정 시간대에 귀가 소요시간을 반영한 타이머를 미리 설정하고 구동시켜 일정 시간주기로 확인버튼 입력을 요청케 함으로써 확인버튼 미입력시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상황에 노출됨을 원격의 특정인에게 알릴 수 있게 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상황에 관련된 비상신호 발생 여건정보를 설정하고, 비상신호 발생 여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 처리하는 사용자 휴대폰과;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부터 전화번호 정보, 비상신호 정보, 위치정보로 이루어진 비상신호를 착신하는 착신자 휴대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부터 발생된 비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찰청 서버 또는 보안업체 서버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부터 발생된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서버나 휴대폰으로 전송 중개할 수 있도록 서버의 URL 이나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등록 및 갱신 처리하는 비상신호 통보 관리서버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휴대폰은 그 내부에, 비상신호를 통보받을 착신측 전화번호 등록 및 비상신호 발생모드 선택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휴대폰의 움직임에 의한 강도와 방향 및 가속도를 검출하는 움직임센서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값을 수신하고 절대좌표값과 비교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GPS 좌표수신부와; 상기 GPS 좌표수신부를 통해 검출한 위치정보를 통해 주소정보나 위치명칭 정보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비상신호를 나타내는 위급상황 알림정보 및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전송코자 하는 SMS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조합부와; 착신측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비상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움직임센서 값이 저장되고,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 변환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조합된 데이터를 SMS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SMS 처리부와; 휴대폰의 움직임 정도를 검출하여 비상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정보를 위급상황 알림정보와 조합하고 SMS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등록된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신호 발생 여건은 일정 강도이상의 휴대폰 움직임 발생이나, 일정 주기별로 확인신호 미입력시 또는 비상신호로 지정된 핫키 조작여부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신호 통보 관리서버는 그 내부에, 사용자 휴대폰 및 경찰청 서버나 보안업체 서버, SMS 전송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가입자 신상정보 및 전화번호를 등록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등록부와; 가입자의 위급신호 발생 여부에 따라 가입자 전화번호 및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위급신호 알림데이터를 조합하는 대행 처리를 수행하는 가입자 데이터 처리부와; 가입자의 휴대폰으로부터 위급신호를 수신하여 위급신호 정보처리를 대행 처리하는 위급신호 발생부와; 가입자의 휴대폰으로부터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여 주소정보나 명칭정보로 변환하는 대행 처리를 수행하는 사건발생 위치 관리부와; 미리 각 가입자가 통보 전화번호를 등록 및 갱신하기 위한 통보처 설정부와; 가입자 신상정보 및 각 가입자별로 분류된 통보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가입자의 휴대폰으로부터 위급신호 통보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갱신 관리하며, 위급신호 및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여 조합하고 SMS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등록된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그 내부에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정 주기로 확인 버튼 입력을 요구하는 요청신호가 발생되는 지를 판단하고, 미발생시 자동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 휴대폰에 통보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제 1과정과; 일정 강도이상의 휴대폰 움직임 발생이나, 일정 주기별로 확인신호 미입력으로 인한 어느 한 위급신호에 대한 발생 모드를 선택하는 제 2과정과; 사용자 휴대폰이 사용자가 기설정한 위급신호 발생모드의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 3과정과; 해당 사용자 휴대폰의 GPS좌표값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제 4과정과; 위급신호 알림정보 및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위급정보를 SMS 데이터로 생성하는 제 5과정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6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과정은 휴대폰 움직임 발생모드로 설정된 경우라면, 움직임 센서를 통해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움직임 신호를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기준값 이상인 경우, 위급신호 발생모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과정은 확인신호 입력모드로 설정된 경우라면, 귀가 확인신호를 입력(타이머 설정)하는 과정과; 타이머가 구동되는 과정과; 설정시간 도래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설정시간 도래시, 확인신호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과; 신호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신호 미입력시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은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 3자가 눈치채지 못하게 간단하고 신속하게 원격의 제 3자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는 비상신호를 발행할 수 있으므로 범죄자나 사용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조속한 사건 해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의 신호처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유저 휴대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비상신호 통보 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은 움직임센서가 탑재된 사용자의 휴대폰을 응급 상황시 흔들어서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상황에 노출됨을 원격의 특정인에게 알릴 수 있게 한 휴대폰을 이용한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은 귀가 시간과 같은 특정 시간대에 귀가 소요시간을 반영한 타이머를 미리 설정하고 구동시켜 일정 시간주기로 확인버튼 입력을 요청케 함으로써 확인버튼 미입력시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상황에 노출됨을 원격의 특정인에게 알릴 수 있게 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은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처한 경우 제 3자가 눈치채지 못한 상태에서 원격의 특정 전화번호로 사용자의 비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한 시스템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폰에서 비상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제 3자가 눈치채지 못하게 자동으로 비상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두가지 방식을 예시하는 바, 그 중 한 방식은 휴대폰을 흔드는 동작만으로 비상신호가 자동으로 전송되게 하는 방식이고, 다른 방식은 귀가시간 등의 특정 시간대에 목적지까지의 소유시간을 개략적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타이머를 구동시켜 휴대폰이 일정 주기로 사용자에게 확인버튼을 입력하도록 유도하고 확인신호 미입력시 비상신호를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자동 전송케 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에는 비상 상황에 관련된 비상신호 발생 여건정보를 설정하고, 비상신호 발생 여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 처리하는 사용자 휴대폰(2)과;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부터 전화번호 정보, 비상신호 정보, 위치정보로 이루어진 비상신호를 착신하는 착신자 휴대폰(4)이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휴대폰(2)이나 착신자 휴대폰(4)은 단지 휴대폰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휴대폰의 일종인 스마트폰, PDA 등 휴대용 통신기기를 광범위하게 포함하고 있음을 미리 밝힌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휴대폰(2)은 선택된 모드별로 사용자의 신호입력이거나, 신호 미입력 상태를 휴대폰이 체크하여 현재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미리 등록된 착신자 휴대폰(4)의 전화번호로 위급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를 통해, 착신자는 발신자인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비상신호 발생 여건은 일정 강도이상의 휴대폰 움직임 발생이나, 일정 주기별로 확인신호 미입력시 또는 비상신호로 지정된 핫키 조작여부에 따른 여건을 의미한다.
즉, 비상신호 발생여건이라 함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할 경우, 이를 원격지로 통보할 수 있도록 위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복수의 여건을 통칭하는 바,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비상신호 발생 방식 또는 모드를 제시한다.
이 중 한 모드는 사용자 휴대폰(2)의 내부에 탑재된 움직임 센서를 통해 사용자 휴대폰(2)이 일정 강도 이상으로 흔들리면 비상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설정하는 모드이며, 다른 한 모드는 일정 주기나 일정 시간에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폰(2)에 직접 확인신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비상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설정하는 모드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폰(2)을 이용하여 휴대폰 움직임 발생모드로 설정한 상태라면, 사용자 휴대폰(2)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흔들리는 경우, 비상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키게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폰(2)을 이용하여 확인신호 입력모드로 설정한 상태라면, 사용자 휴대폰(2)은 일정 주기 또는 일정 시간에 확인신호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로인해 확인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여, 확인신호 미입력시 자동으로 비상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폰(2)으로부터 발생된 비상신호는 상기 착신자 휴대폰(4)으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착신자 휴대폰(4) 대신 경찰청 서버(6) 또는 보안업체 서버(8)가 비상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폰(2)이 직접 착신자 휴대폰(4)이나 경찰청 서버(6) 또는 보안업체 서버(8)로 비상신호를 전송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특정 서버 예컨대, 비상신호 통보 관리서버(10)를 중개수단으로 하여, 비상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비상신호 통보 관리서버(10)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2)으로부터 발생된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서버나 휴대폰으로 전송 중개할 수 있도록 서버의 URL 이나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등록 및 갱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의 신호처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휴대폰(2)을 통해 비상신호를 발송하게 하는 신호를 직접 입력, 예컨대 사용자 휴대폰(2)을 흔들거나, 특정 핫키를 조작하는 행위를 통해 위급 상황에 처했을 때 비상신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확인신호 미입력 즉, 사용자 휴대폰(2)을 이용하여 확인신호 입력모드로 설정한 상태라면, 사용자 휴대폰(2)은 일정 주기 또는 일정 시간에 확인신호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로인해 확인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여, 확인신호 미입력시 자동으로 비상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비상신호란 해당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했음을 알리는 문구 정보와, 사용자의 전화번호 정보 및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바, 사용자 휴대폰(2)은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해당 휴대폰의 GPS 좌표값을 수신하고 인식 가능한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해당 위급상황 알림정보와 좌표정보를 조합하여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해당 메시지를 통보받은 착신자가 해당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했으며, 어느 위치인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유저 휴대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유저 휴대폰(2)은 그 내부에 키입력부(12)와, 표시부(14), 수신부(30), 송신부(32), 음성처리부(34), 마이크로폰(36), 스피커(38), 듀플렉서(26), 안테나(24), SMS 처리부(28), GPS 좌표 수신부(40), 데이터 변환부(42), 데이터조합부(44), 메모리(48), 제어부(50)로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12)는 비상신호를 통보받을 착신측 전화번호 등록 및 비상신호 발생모드 선택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표시부(14)는 비상신호 발생모드에 대한 설정상태, 착신 전화번호 등록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해 각종 메시지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액정표시소자와 같은 박형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동 도면에서, 상기 듀플렉서(26)는 상기 안테나(24)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고, 내부에 조합된 데이터를 SMS 서버(11)로 전송하기 위한 SMS 처리부(28)가 별도로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수신부(30)는 상기 안테나(24)와 듀플렉서(26)를 통해서 상대방측 모바일폰이나 유선전화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미도시)로부터의 음성신호 또는 문자정보를 수신받게 되며, 상기 송신부(32)는 상기 마이크로폰(38)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송신 가능하게 필터링 및 증폭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34)는 상기 수신부(30)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방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36)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38)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32)에 출력하게 된다.
또, 상기 움직임 센서(46)는 휴대폰의 움직임에 의한 강도와 방향 및 가속도를 검출하는 수단이고, GPS 좌표수신부(40)는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위치좌표값을 수신하고 절대좌표값과 비교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이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42)는 상기 GPS 좌표수신부(40)를 통해 검출한 위치정보를 통해 주소정보나 위치명칭 정보로 변환하는 수단이다.
한편, 상기 데이터 조합부(44)는 비상신호를 나타내는 위급상황 알림정보 및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전송코자 하는 SMS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이고, 상기 메모리(48)는 착신측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비상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움직임센서 값이 저장되고,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 변환정보가 저장된 수단이다.
또, 상기 제어부(50)는 휴대폰의 움직임 정도를 검출하여 비상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정보를 위급상황 알림정보와 조합하고 SMS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등록된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수단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그 내부에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5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정 주기로 확인 버튼 입력을 요구하는 요청신호가 발생되는 지를 판단하고, 미발생시 자동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비상신호 통보 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휴대폰(2)과 착신자 휴대폰(4) 또는 경찰청 서버(6) 또는 보안업체 서버(8)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들 사이에서 비상신호 전송을 중개하는 비상신호 통보 관리서버(10)를 더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비상신호 통보 관리서버(10)는 그 내부에 통신모듈과, 가입자 정보 등록부, 가입자 데이터 처리부, 위급신호 발생부, 사건발생 위치관리부, 통보처 설정부, 데이터 저장부, 제어부를 갖는다.
상기 통신모듈(52)은 사용자 휴대폰(2) 및 경찰청 서버(6)나 보안업체 서버(8), SMS 전송서버(11)와 통신을 수행하는 수단이며, 상기 가입자 정보 등록부(54)는 가입자 신상정보 및 전화번호를 등록 관리하는 수단이고, 상기 가입자 데이터 처리부(56)는 가입자의 위급신호 발생 여부에 따라 가입자 전화번호 및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위급신호 알림데이터를 조합하는 대행 처리를 수행하는 수단이다.
또, 상기 위급신호 발생부(58)는 가입자의 휴대폰으로부터 위급신호를 수신하여 위급신호 정보처리를 대행 처리하는 수단이며, 상기 사건발생 위치관리부(60)는 가입자의 휴대폰으로부터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여 주소정보나 명칭정보로 변환하는 대행 처리를 수행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비상신호 통보 관리서버(10)가 시스템에 구성된 경우라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2)은 위치좌표를 지명이나 주소명으로 변환하거나 텍스트로 위치좌표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통보처 설정부(62)는 미리 각 가입자가 통보 전화번호를 등록 및 갱신하기 위한 수단이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64)는 가입자 신상정보 및 각 가입자별로 분류된 통보처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이며, 상기 제어부(66)는 가입자의 휴대폰(2)으로부터 위급신호 통보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갱신 관리하며, 위급신호 및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여 조합하고 SMS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등록된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수단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휴대폰(2)에 비상신호를 통보받을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어느 한 비상신호 발생모드를 선택하는 바, 일정 강도이상의 휴대폰 움직임 발생이나, 일정 주기별로 확인신호 미입력으로 인한 어느 한 위급신호에 대한 발생 모드를 선택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 휴대폰(2)은 사용자가 기설정한 위급신호 발생모드의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한다. 위급신호 발생모드에 대한 조건 만족여부에 대한 판단은 도 5b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위급신호 발생모드에 대한 조건을 만족한 경우라면, 해당 사용자 휴대폰(2)의 GPS좌표값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위급신호 알림정보(예컨대, 000님이 위급상황에 처했습니다. 도움을 요청합니다.) 및 위치정보(예컨대, 한전 사거리 시티은행앞)를 조합하여 위급정보를 SMS 데이터로 생성한다.
다음으로, 해당 데이터를 기등록된 착신자 휴대폰(4)으로 발송 처리한다.
위급 상황에 대한 판단은 도 5b를 통해 도시된 바, 먼저 휴대폰 움직임 발생모드로 설정된 경우라면, 움직임 센서를 통해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
움직임 신호가 입력된 경우라면, 움직임 신호를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고, 기준값 이상인 경우, 위급신호 발생모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확인신호 입력모드로 설정된 경우라면, 사용자가 입력한 귀가 확인신호 및 타이머 설정(예컨대, 귀가 시간 1시간 등)하면, 타이머가 구동된다.
그 상태에서, 가입자 휴대폰(2)은 설정시간 도래여부를 판단하는 바, 이때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시간의 도래 시점에 확인신호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으며, 총 귀가에 소요되는 시간중 일정 주기(예컨대, 20분 간격)별로 확인신호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
확인신호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2)은 확인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고, 신호 미입력시 위급상황으로 판단하여 비상신호 발생을 처리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은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 3자가 눈치채지 못하게 간단하고 신속하게 원격의 제 3자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는 비상신호를 발행할 수 있으므로 범죄자나 사용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조속한 사건 해결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사용자 휴대폰, 4:착신자 휴대폰,
6:경찰청 서버, 8:보안업체서버,
10:비상신호 통보관리서버.

Claims (10)

  1. 일정강도이상 휴대폰의 움직임이 발생되거나, 일정 주기별로 확인신호가 미입력됨을 감지함을 비상 상황에 관련된 비상신호 발생 여건정보로 설정하고, 일정강도이상 휴대폰의 움직임이 발생되거나, 일정 주기별로 확인신호가 미입력됨을 감지되면 비상신호 발생 여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 처리하는 사용자 휴대폰과;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부터 전화번호 정보, 비상신호 정보, 위치정보로 이루어진 비상신호를 착신하는 착신자 휴대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부터 발생된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서버나 휴대폰으로 전송 중개할 수 있도록 서버의 URL 이나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등록 및 갱신 처리하는 비상신호 통보 관리서버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휴대폰은 그 내부에, 비상신호를 통보받을 착신측 전화번호 등록 및 비상신호 발생모드 선택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휴대폰의 움직임에 의한 강도와 방향 및 가속도를 검출하는 움직임센서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값을 수신하고 절대좌표값과 비교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GPS 좌표수신부와;
    상기 GPS 좌표수신부를 통해 검출한 위치정보를 통해 주소정보나 위치명칭 정보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비상신호를 나타내는 위급상황 알림정보 및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전송코자 하는 SMS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조합부와;
    착신측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비상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움직임센서 값이 저장되고,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 변환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조합된 데이터를 SMS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SMS 처리부와;
    휴대폰의 움직임 정도를 검출하여 비상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정보를 위급상황 알림정보와 조합하고 SMS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등록된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신호 통보 관리서버는 그 내부에,
    사용자 휴대폰 및 경찰청 서버나 보안업체 서버, SMS 전송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가입자 신상정보 및 전화번호를 등록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등록부와;
    가입자의 위급신호 발생 여부에 따라 가입자 전화번호 및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위급신호 알림데이터를 조합하는 대행 처리를 수행하는 가입자 데이터 처리부와;
    가입자의 휴대폰으로부터 위급신호를 수신하여 위급신호 정보처리를 대행 처리하는 위급신호 발생부와;
    가입자의 휴대폰으로부터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여 주소정보나 명칭정보로 변환하는 대행 처리를 수행하는 사건발생 위치 관리부와;
    미리 각 가입자가 통보 전화번호를 등록 및 갱신하기 위한 통보처 설정부와;
    가입자 신상정보 및 각 가입자별로 분류된 통보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가입자의 휴대폰으로부터 위급신호 통보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갱신 관리하며, 위급신호 및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여 조합하고 SMS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등록된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그 내부에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정 주기로 확인 버튼 입력을 요구하는 요청신호가 발생되는 지를 판단하고, 미발생시 자동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8. 사용자 휴대폰이 통보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제 1과정과;
    사용자 휴대폰이 일정 강도이상의 휴대폰 움직임 발생이나, 일정 주기별로 확인신호 미입력으로 인한 어느 한 위급신호에 대한 발생 모드로 입력받아 설정되는 제 2과정과;
    사용자 휴대폰이 사용자가 기설정한 위급신호 발생모드의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 3과정과;
    해당 사용자 휴대폰이 GPS좌표값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제 4과정과;
    해당 사용자 휴대폰이 위급신호 알림정보 및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위급정보를 SMS 데이터로 생성하는 제 5과정과;
    해당 사용자 휴대폰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6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해당 사용자 휴대폰이 휴대폰 움직임 발생모드로 설정된 경우라면, 움직임 센서를 통해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사용자 휴대폰이 움직임 신호를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사용자 휴대폰이 위급신호 발생모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확인신호 입력모드로 설정된 경우라면, 해당 사용자 휴대폰이 귀가 확인신호를 입력(타이머 설정)받는 과정과;
    해당 사용자 휴대폰의 타이머가 구동되는 과정과;
    해당 사용자 휴대폰이 설정시간 도래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설정시간 도래시, 해당 사용자 휴대폰이 확인신호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과;
    해당 사용자 휴대폰이 신호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신호 미입력시 해당 사용자 휴대폰이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방법.
KR1020100049089A 2010-05-26 2010-05-26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089A KR101134839B1 (ko) 2010-05-26 2010-05-26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089A KR101134839B1 (ko) 2010-05-26 2010-05-26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609A KR20110129609A (ko) 2011-12-02
KR101134839B1 true KR101134839B1 (ko) 2012-04-16

Family

ID=4549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089A KR101134839B1 (ko) 2010-05-26 2010-05-26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138B1 (ko) * 2013-12-20 2015-08-26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984B1 (ko) * 2012-12-04 2014-06-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레벨에 따라 수신자가 정해지는 방식의 응급 상황 전파 장치, 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
KR102517545B1 (ko) * 2017-01-26 2023-04-03 장광영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88000A (ko) * 2017-01-26 2018-08-03 장광영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301A (ko) * 1999-11-26 2001-06-15 백순태 화상휴대전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4362A (ko) * 2003-07-31 2005-02-07 주식회사 유퍼스트에프엔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휴대폰과 운영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301A (ko) * 1999-11-26 2001-06-15 백순태 화상휴대전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4362A (ko) * 2003-07-31 2005-02-07 주식회사 유퍼스트에프엔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휴대폰과 운영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138B1 (ko) * 2013-12-20 2015-08-26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비상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통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609A (ko) 201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344B1 (ko) 모바일폰을 이용한 지능형 위급신호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US87557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E-LIS)
US9025735B2 (en)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US86497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based monitoring of mobile object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497045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and evacuation route in case of emergency
CA2635700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ms short code messaging to facilitate the transmission of a status update for a security system
US20120003956A1 (en) Real time sound/image capture and distibution to end recipient
US10446016B2 (en) Advanced mobile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JP2007072622A (ja) 防犯状況通知装置、防犯状況提供装置、防犯状況通知方法、および防犯状況通知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11077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KR101134839B1 (ko)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JP5360405B2 (ja) 災害安否確認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182929A (ja) 緊急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電子装置
JP5422169B2 (ja) 携帯端末
JP2008234562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JP2013152502A (ja) 安否情報発信装置及び安否情報発信プログラム
JP6000093B2 (ja)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87683A (ja) 安否確認システムおよび監視センタ装置
KR20090124626A (ko) 가족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026863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0602654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ail server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JP5224997B2 (ja) 携帯端末
JP2003274050A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KR101886331B1 (ko)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긴급 신호 처리 방법
KR101671995B1 (ko) 발신기, 이를 이용하여 위험을 방지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