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000A -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000A
KR20180088000A KR1020170012480A KR20170012480A KR20180088000A KR 20180088000 A KR20180088000 A KR 20180088000A KR 1020170012480 A KR1020170012480 A KR 1020170012480A KR 20170012480 A KR20170012480 A KR 20170012480A KR 20180088000 A KR20180088000 A KR 20180088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timer
countdown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영
Original Assignee
장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영 filed Critical 장광영
Priority to KR102017001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8000A/ko
Priority to JP2019541182A priority patent/JP7177070B2/ja
Priority to PCT/KR2018/001174 priority patent/WO2018139893A1/ko
Priority to US16/480,879 priority patent/US20210287514A1/en
Publication of KR2018008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00A/ko
Priority to KR1020180144083A priority patent/KR102517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Landscapes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본 발명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입력된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동안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수행하되,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적 약자의 범주에 속하는 여성, 어린이 및 노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의 발생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강간, 강제 추행과 같이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발생할 확률의 감소폭이 다른 범죄에 비해 가장 적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최근 행정자치부가 공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자료에 따르면, 1인가구의 세대주는 모두 736만106명으로서 이중 20~30대 여성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사회적 약자 중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의 발생은 앞으로도 줄어들지 않고 계속해서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에는 상기 사회적 약자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일몰 이후의 시간에는 외출을 삼가하거나 혹은 집으로 귀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최근 사회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번화가의 간판 및 구획마다 설치된 가로등의 수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현대 사회의 생활 패턴에 큰 변화를 불러와, 보다 많은 사람들이 늦은 시간까지 외부 활동을 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
위와 같이, 보다 많은 사람들이 늦은 시간까지 외부 활동을 하게 되는 현상은, 사람들의 외부 활동 가능 시간을 증가시킨다는 장점을 제공하였으나, 그 이면으로는 그들로 하여금 외부에서 발생되는 범죄의 위험성에 노출될 확률 또한 더욱 증가시키는 원인으로서 작용하게 되었다.
결국, 현재의 시대에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폭력, 강도, 살인, 성폭행, 납치 등 위협적인 범죄 사건의 피해자로서 다양한 위험에 빠지게 될 수도 있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에 따라, 최근 번화가, 도로 이외에도 주택가, 골목길 등 지역 곳곳에 많은 수의 CCTV가 설치되고 있어, 범죄 발생의 예방에 어느 정도 기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기 CCTV의 경우 범죄 예방 보다는 범죄가 발생된 이후 현장 분석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아 실질적인 범죄 예방의 효과는 아직도 미흡한 상황이다. 한편, 위와 같은 범죄 사건은 주로 심야 시간에 발생되기는 하나, 반드시 그러한 시간적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특히 엘리베이터, 골목길, 택시, 공중화장실, 가정집 등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협소한 노출 범위를 갖는 장소에서는 범죄 사건이 구체적인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종래에는, 위와 같은 범죄 사건이 발생된 경우, 위급 상황에 놓인 피해자가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소형화 된 구조 요청 장치 등이 제작되어 보급되기도 하였으나, 범죄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급박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피해자가 이러한 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한다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므로, 그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피해자가 예상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되는 범죄 사건의 경우에는 그 예방이나 대응이 매우 어려울 수 있으나, 만약 어느 정도 예상이 되는 상황, 즉 어두운 골목길을 걸어가야만 하는 상황, 늦은 밤 택시를 타고 집으로 귀가해야만 하는 상황, 가정집에 정확한 신원을 확인하기 어려운 방문자가 찾아온 상황 등과 같이 범죄 사건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것을 어느 정도 예견할 수 있는 상황의 경우에는, 본인 스스로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거나 혹은 미리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놓으면 위와 같은 범죄 사건의 발생 등을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며, 혹은 신속한 보호 요청을 통해 빠른 대처가 가능할 수도 있다.
만약,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범죄 사건이 일어날 수도 있음이 어느 정도 예견될 수 있는 상황에서, 만약 본인 스스로 단순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 외에 범죄 사건이 발생되지 않음을 해제조건으로 하여 미리 외부로 보호 요청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범죄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급박한 순간에 피해자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더라도 혹은 타인에게 별도의 보호 요청을 수행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위와 같은 범죄 사건이 발생 될 확률을 최대한 감소시키되, 범죄 사건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위와 같은 해결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3378호 (공개일:2015년10월14일)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실행된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실행된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녹음 기능 및 녹화 기능을 활성화 시켜, 상기 녹음된 음성 및 녹화된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비밀번호정보 또는 지문정보를 이용하되, 미리 지정된 제1 비밀번호정보 또는 제1 지문정보가 아닌 제2 비밀번호정보 또는 제2 지문정보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안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되, 상기 사용자의 위험 해제를 알리는 위험 해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 또는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밀번호 정보는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제2 비밀번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문 정보는 제1 지문 정보 또는 제2 지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상기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고 상기 위험 해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되,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상기 제2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2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의 연장 요청을 상기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시간 범위 정보를 미리 정해진 범위의 시간만큼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되는 상기 수신자 단말은, 경찰서, 소방서, 의료 기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전 기관 단말 및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음성 녹음 기능 및 영상 녹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 및 상기 영상 녹화 기능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음성 정보 및 영상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기 설정된 특정 시간이 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특정 장소에 진입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기 설정된 외부 장치와의 간격이 소정 범위만큼 멀어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외부 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세기의 위험 알림 소리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울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이동식 장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시간 범위 동안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는 타이머 및 상기 이동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실행된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실행된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녹음 기능 및 녹화 기능을 활성화 시켜, 상기 녹음된 음성 및 녹화된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제1 비밀번호정보 또는 제1 지문정보가 아닌 제2 비밀번호정보 또는 제2 지문정보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어, 위험 상태에 놓인 사용자가 가해자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외부 장치로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실행된 타이머가 계속되고 있는 중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에 공유하기 전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사용자가 단순 조작 실수로서 위험 상태를 외부 장치에 알리는 행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포함된 비밀번호 정보 및 지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로 공유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과 서버의 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가 포함된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타이머가 계속되고 있는 중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및 네트워크(30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언급되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는 각각 하나의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네트워크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하나 이상의 서버(예를 들어, 관리 서버, 중개 서버, 중계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 및 서버 간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들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는 미리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과 관련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aded Software)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API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웹사이트(WEBSITE)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자체적으로 상기 서버(200)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혹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200)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송되거나 수신된 데이터 또는 신호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의 실행과 관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일례로는, 단말 장치, 터미널(Terminal),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상술한 예시들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또는 향후 개발될 데이터 또는 신호 전송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서버(20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객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200)는 추가적으로 중개 서버 및/또는 클라이언트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의 일예로 클라우드(Cloud) 서버,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20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객체를 지칭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상기 서버(200) 간의 텍스트(Text), 디지털 이미지, 디지털 영상, 디지털 음성 정보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300)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100)을 이루는 필수적인 것들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사용자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200)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상기 서버(200)로 하여금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서버(20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카메라(121)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 주변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서버(20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마이크(122)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 주변의 음성을 녹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개폐 상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사용자 단말(100)의 방위, 사용자 단말(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와 관련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존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 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게임 모드 혹은 일정 관리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일정 관리에 입력한 일정이 수행되어야 할 시기가 도래한 경우 출력되는 알림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사용자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 혹은 진동과 알림 신호의 혼합된 형태 등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람부(153)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의 위험 해제를 알리는 위험 해제 메시지가 표현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알람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일정 관리 정보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일정 입력 횟수, 다른 사용자와의 일정 조율 횟수 등)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사용자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일정 관리,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은,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aded Software)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그 방법의 실시를 위해 별도로 제작된 이동식 장치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내용은 상기 이동식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장치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입력 버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입력 버튼을 클릭하는 횟수 내지 클릭하는 시간에 따라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사용자는,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시간 범위 정보는 시(hour), 분(minute), 초(second) 등 다양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4를 참고하면, 타이머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시간 범위 정보가 10분으로 설정된 타이머의 모습(401)이 도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범위 정보는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시간 범위가 타이머에 설정된 이 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할 수 있다. (S301 내지 S302)
이 때, 상기 카운트 다운은, 만약 상기 시간 범위가 1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10:00으로부터 시작하여 09:59, 09:58, 09:57, 09:56과 같이 1초 단위로 차감되면서 00:00이 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은, 상기 사용자가 그에 대한 별도의 입력을 수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미리 정해진 기준이 충족될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별도 입력이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가 있는데, 이는 상기 사용자가 머지 않아 범죄 사건이 발생될 수도 있다는 느낌이 든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서 상기 타이머를 실행시키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머지 않아 범죄 사건이 발생될 수도 있다는 느낌이 든 상황이라 함은, 이를 테면, 어두운 골목길을 걸어가야만 하는 상황, 늦은 밤 택시를 타고 집으로 귀가해야만 하는 상황, 공중 화장실에 들어가야만 하는 상황, 누군가 뒤?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한 상황, 인적이 드문 곳에 위치한 차에 타거나 내려야만 하는 상황, 가정집에 정확한 신원을 확인하기 어려운 방문자가 찾아온 상황 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을 가하면,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서버는 상기 타이머를 실행시켜 상기 사용자가 기 입력한 시간 범위 동안 카운트 다운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에도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가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전송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기준을 설정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위험 예측 순간에 별도의 입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전송될 수 있도록 기준 내지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가 있다.
이 때, 설정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기준은, (1) 기 설정된 특정 시간이 된 경우 (501), (2)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특정 장소에 진입한 경우(혹은 기 설정된 특정 장소를 기준점으로 할 때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 502), (3) 기 설정된 외부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 연동이 이루어진 후 양자의 간격이 소정 범위만큼 멀어진 경우, (4) 기 설정된 외부 장치의 신호(예를 들어, 비콘(Beacon), 블루투스 신호, QR 코드 인식 등)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503), (5) 갑작스런 속도 변화(예를 들어, 1분 사이에 시속 50km 이상의 속도 변화가 발생한 경우 등)가 일어난 경우, (6) 상기 사용자 단말을 미리 정해진 횟수 및/또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흔드는 경우, (7)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사용자와 친구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또 다른 방법에 의해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준 내지 조건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외부 장치는 엘리베이터, 골목길, 택시, 공중화장실, 가정집 등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협소한 노출 범위를 갖는 특정 장소 혹은 미리 설정된 특정 영역에 설치된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장치는 블루투스, 비콘 또는 QR 코드 등 통신 신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내지 도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예컨대,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특정 장소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입하게 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장소로의 진입이 예상될 수 있는 특정 영역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지나치게 될 때, 상기 특정 영역에 설치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그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외부 장치와의 간격이 소정 범위만큼 멀어질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외부 장치와의 간격이 소정 범위만큼 멀어졌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특정 장소로의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장치는 고유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장치가 엘리베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고유 번호(504)가 상기 외부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이 입력되지 않아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될 경우, 상기 외부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와 함께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이 입력되지 않는 상황, 즉, 사용자(또는 사용자 단말)가 위험 상태에 놓여진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실외(outside)라면, GPS 등을 통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자 단말 측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위험 상태에 놓여진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실내(inside)라면, GPS 등을 통해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정확하게 확인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상기 수신자 단말 측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손쉽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와 함께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위험 상태에 놓인 상기 사용자(또는 사용자 단말)가 실내에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수신자 단말 측에서 그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위험 예측 순간에 별도의 입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전송될 수 있도록 기준 내지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가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각각 마다 개별적으로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위험이 예측되는 순간에 미리 타이머가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이 없는 경우 제3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범죄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급박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에는 피해자가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한다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범죄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급박한 상황 속에서 사용자가 특정 행동(예를 들어, 소리 지르기, 전화 신고, 구조 요청 장치 버튼 클릭, 도움 요청 등)을 하지 않더라도 혹은 할 수 없더라도, 범죄 사건이 발생되지 않음을 해제조건으로 하여 외부에 도움 요청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각별한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한 이후,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 (S309)
이 때,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되는 상기 수신자 단말은, 경찰서, 소방서, 의료 기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전 기관 단말일 수 있다. 그 뿐 아니라 상기 수신자 단말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가족, 친구, 친척, 남자친구 등, 701)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수신자 단말로서 상기 안전 기관 단말 및 상기 사용자의 지인 등을 상기 사용자가 미리 등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음성 녹음 기능 및 영상 녹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8)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되는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 녹음 기능 및 상기 영상 녹화 기능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음성 정보 및 영상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정보 및/또는 사진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702 내지 704)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결 중인 AP(Access Point) 등을 통해 측정된 정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1)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타이머가 실행되는 시점에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2) 상기 위험 상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전송되는 시점(혹은 전송되기 직전)에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 각각은 설정에 따라 서로 다른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 각각은 그 측정이 이루어진 때마다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위험 상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전송되는 시점에 상기 측정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한꺼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 각각은 그 측정 및 전송 시점 각각마다 전부 또는 일부가 서로 같은 수신자 단말 혹은 서로 다른 수신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수신자 단말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가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되는 특정 시점에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만을 상기 수신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할 경우, 만약 상기 사용자 단말(또는 사용자)이 정확한 위치 측정이 어려운 장소(예를 들어, 실내, 엘리베이터, 지하주차장 등)에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면, 상기 수신자 단말로 공유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그 정확도가 떨어져 구조 행위 등 원활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최초로 위험 상태를 인지하거나 혹은 최초로 위험 상태에 놓이게 된 장소(901)와 실제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되는 장소(902) 간에는 다양한 외부 상황(예를 들어, 자동차를 이용한 납치 등)에 따라 일정한 거리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1)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타이머가 실행되는 시점에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2) 상기 위험 상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전송되는 시점(혹은 전송되기 직전)에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모두가 상기 수신자 단말로 전송될 경우, 보다 정확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위험 상태에 놓인 상기 사용자 단말(또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 이동 경로 등이 추적될 수 있어 구조 행위 등 후속 조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세기의 위험 알림 소리(예를 들어, 사이렌 소리 등)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울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705)
이 때, 상기 위험 알림 소리의 미리 정해진 세기는 86 데시벨(dB)이상의 세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를 통해 혹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직접, 상태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혹은 온라인 대화방 개설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 소정의 시간 범위가 추가적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태 공유 요청 메시지 혹은 온라인 대화방을 통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버튼 클릭 또는 답변 메시지를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상태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에게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한 이후 상기 타이머의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정보 공유 요청(또는 위험 상태 정보 알림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한 이후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에 이미 위험 상태에 놓여짐을 인지하거나 확신하는 경우에는 보다 신속하게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필요가 있으므로, 아직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이라도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라면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머가 12시 시침의 위치(1001)에서 시작되어 다시 12시 시침의 위치(1001)로 돌아오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1분으로 시간 설정된 경우를 상정하면,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한 이후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되도록 설정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아직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 즉 타이머가 2시 시침의 위치(1002)에 근접하여 아직 카운트 다운의 종료까지 50초의 시간이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만약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라면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도 위와 같이 위급 상황에 놓인 사용자(또는 피해자)가 외부의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형화 된 구조 요청 장치 등이 존재하였으나, 이러한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구조 요청을 위한 버튼 등을 실수로 잘못 누른 경우에도 외부의 수신자 단말로 구조 요청 등이 이루어져, 잘못된 구조 요청이 전송되는 상황을 종종 발생시키곤 하였으며, 그에 따라 반복된 실수 후 진정한 구조 요청이 있는 때에도 이를 실수에 의한 구조 요청으로 취급하여 실제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서도 구조를 받지 못하게 되버리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이머가 계속되고 있는 중에 상기 사용자가 별도로 위험 상태 정보 공유 요청을 하면, 그 때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에 공유하기 전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순 조작 실수로서 위험 상태를 외부의 수신자 단말에 알리는 행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타이머 기능이 존재하지 않은 종래의 구조 요청 장치 등에 비해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를때, 상기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별도로 위험 상태 정보 공유 요청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미리 설정된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미리 정해진 횟수 및/또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흔드는 경우, 미리 정해진 단어(예를 들어, 도와줘, 구해줘, 살려줘 등)에 대한 음성 표현이 있는 경우, 상기 타이머 실행 시 설정 가능한 미리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외에 설정에 따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한 이후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타이머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타이머의 종료와 함께 위험 상태가 무사히 해제 되었음을 알리는 위험 해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 또는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밀번호 정보는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제2 비밀번호 정보와 같이 복 수개의 비밀번호가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지문 정보 또한 제1 지문 정보 또는 제2 지문 정보와 같이 복 수개의 지문이 설정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사용자가 제1 비밀번호 정보는 1004, 제1 지문정보는 왼쪽 엄지손가락의 지문을 설정한 것으로 가정하고, 제2 비밀번호 정보는 2580, 제2 지문정보는 오른속 검지손가락의 지문을 설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비밀번호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각각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별다른 범죄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기 위한 해석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비밀번호 또는 상기 제2 지문 정보 각각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범죄 상황이 발생하였으나, 상기 사용자가 가해자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한 해석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일 뿐 설정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더 많은 수의 비밀번호 정보 내지 지문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포함되어 상기 서버로 전송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별다른 범죄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취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타이머를 종료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위험 상태가 무사히 해제 되었음을 알리는 위험 해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의 연장 요청이 상기 서버로 전송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별다른 범죄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취급하고,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간 범위 정보의 연장 요청이 상기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전송된 경우에 한해 상기 시간 범위 정보를 연장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장되는 시간 범위는 미리 설정된 범위만큼의 시간(예를 들어, 1분)일 수 있으나, 만약, 사용자가 상기 연장 요청에 자신이 원하는 연장 시간 범위(예를 들어, 3분)를 포함하여 전송할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시간 범위만큼(3분) 상기 시간 범위를 연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2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포함되어 상기 서버로 전송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범죄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취급하고,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타이머는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위험 상태가 무사히 해제 되었음을 알리는 위험 해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포함될 수 있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 또는 지문 정보가 복 수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범죄 사건이 발생된 경우를 상정해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피해자에 해당할 것이므로, 상기 범죄 사건의 가해자에게 신체적 혹은 정신적으로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
이 때, 만약 상기 가해자가 상기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할 것을 강요한다면, 상기 사용자로서는 어쩔 수 없이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외부에 별다른 도움 요청을 수행할 수도 없을 것이며, 결국 상기 가해자로부터 위해를 당할 수 밖에 없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포함될 수 있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 또는 지문 정보가 복 수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경우라면,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해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할 것을 강요받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2 비밀번호 정보 또는 제2 지문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가해자를 안심시키되, 동시에 상기 가해자에게 노출됨이 없이 자신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하게 된다.
한편, 앞서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치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aded Software)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미리 회원 가입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전제될 수 있으나, 이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원 가입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개인 프로필 등)를 입력/인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회원 가입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미리 연계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포털 서비스(Portal Service)의 기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직/간접적으로 연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회원 가입을 수행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본 시간(예를 들어, 60분)이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사용자는,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상기 서버로 입력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시간 범위 정보는 상기 기본 시간의 범위 내에서 입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본 시간을 넘어서는 범위만큼 상기 시간 범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별도의 결제를 수행하여 추가 시간을 구입하거나(예를 들어, 10분에 1달러, 10분에 1,000원 등), 혹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가입된 다른 사용자로부터 추가 시간을 제공(예를 들어, 선물 하기 등)받아야만 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상기 사용자가 특정 미션(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광고 등)을 시청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서 출석이 인정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를 추천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회원 가입을 수행하는 경우 등)을 완료하는 경우 소정의 추가 시간이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카운트 다운 된 시간 범위에 대응하여 상기 기본 시간 내지 추가 시간의 차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의 연장 요청이 상기 서버로 전송된 경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연장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연장되는 시간 범위인 연장 시간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시간 내지 추가 시간의 차감이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가입된 다른 사용자들과 일정한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 일촌, 팔로잉, 팔로우 등)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일정한 관계를 맺은 다른 사용자를 탐색하여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수신자 단말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서로 간의 기본 시간 내지 추가 시간 등의 잔여량, 사용 내역 등을 확인하되, 이를 공유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버(200)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부(Radio Communication unit, 820)와 메모리부(821), 디스플레이부(822) 및 제어부(또는 프로세서, 8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도 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200)의 신호 처리, 계층 처리 등 사용자 단말(100)과의 데이터 통신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은 메모리(821) 및 제어부(82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메모리부(821), 유무선 통신부(820) 및 제어부(823) 간에는 연결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서버(200)에 포함된 유무선 통신부(8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823)는 유무선 통신부(820) 내 송신부 및 수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 간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가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23)는 전송할 데이터에 대한 각종 전처리를 수행한 후 송신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외 수신부가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어부(823)는 송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메모리부(821)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사용자 단말(100)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부(810), 메모리부(811), 디스플레이부(812) 및 제어부(8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의 제어부(813, 823)는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의 동작들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어부들(813, 823)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811, 821)들과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811, 821)는 제어부(813, 823)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813, 823)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813, 823)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811, 821)에 저장되어 제어부(813, 823)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813, 823)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장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다양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되, 상기 사용자의 위험 해제를 알리는 위험 해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 또는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밀번호 정보는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제2 비밀번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문 정보는 제1 지문 정보 또는 제2 지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상기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고 상기 위험 해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되,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상기 제2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2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의 연장 요청을 상기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시간 범위 정보를 미리 정해진 범위의 시간만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되는 상기 수신자 단말은, 경찰서, 소방서, 의료 기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전 기관 단말 및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음성 녹음 기능 및 영상 녹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 및 상기 영상 녹화 기능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음성 정보 및 영상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기 설정된 특정 시간이 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특정 장소에 진입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기 설정된 외부 장치와의 간격이 소정 범위만큼 멀어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외부 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세기의 위험 알림 소리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울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11.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12.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이동식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시간 범위 동안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는 타이머; 및
    상기 이동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이동식 장치.
KR1020170012480A 2017-01-26 2017-01-26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88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480A KR20180088000A (ko) 2017-01-26 2017-01-26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9541182A JP7177070B2 (ja) 2017-01-26 2018-01-26 タイマーを利用してユーザーの危険状態を共有する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PCT/KR2018/001174 WO2018139893A1 (ko) 2017-01-26 2018-01-26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6/480,879 US20210287514A1 (en) 2017-01-26 2018-01-26 Method for sharing risk status of user using timer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180144083A KR102517545B1 (ko) 2017-01-26 2018-11-21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480A KR20180088000A (ko) 2017-01-26 2017-01-26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083A Division KR102517545B1 (ko) 2017-01-26 2018-11-21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00A true KR20180088000A (ko) 2018-08-03

Family

ID=6297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480A KR20180088000A (ko) 2017-01-26 2017-01-26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87514A1 (ko)
JP (1) JP7177070B2 (ko)
KR (1) KR20180088000A (ko)
WO (1) WO201813989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378B1 (ko) 2014-04-04 2016-01-19 김명환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2541B2 (ja) * 2003-07-25 2009-08-12 セコム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移動者安全確認システム
JP4292943B2 (ja) 2003-10-16 2009-07-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携帯電話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286817A (ja) 2004-03-30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行動監視端末、行動監視システム、行動監視方法、及び行動監視プログラム
US20060223494A1 (en) 2005-03-31 2006-10-05 Mazen Chmaytelli Location-based emergency announcements
US8116724B2 (en) * 2009-05-11 2012-02-14 Vocare, Inc. System containing location-bas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 device
KR101134839B1 (ko) * 2010-05-26 2012-04-1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938556A (zh) * 2010-08-26 2011-01-0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手机的摔倒监测方法及手机
JP2012221071A (ja) 2011-04-06 2012-11-12 Naomichi Nakamura 安否確認システム
JP2015084167A (ja) *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安否確認システムおよび装置および方法
KR20150116178A (ko) * 2014-04-07 2015-10-15 주식회사 더클레버 스마트폰 앱과 경보기를 통한 안전 귀가 시스템
JP6588717B2 (ja) * 2015-03-25 2019-10-09 株式会社富士通エフサス 安否確認システム、安否確認方法および安否確認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378B1 (ko) 2014-04-04 2016-01-19 김명환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9893A1 (ko) 2018-08-02
US20210287514A1 (en) 2021-09-16
JP2020511707A (ja) 2020-04-16
JP7177070B2 (ja)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165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mergency responses and safety
US9418537B2 (en) Mobile computing device including personal security system
US94266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and 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US9454889B2 (en) Security and public safety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US20200346751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emergency dispatch and diagnostics data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202103147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activating emergency response assets
US8768294B2 (en) No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for mobile devices
US202002882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US1014281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201202828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distress signal from a mobile device without requiring focused visual attention from a user
US20150080021A1 (en) Mobile device utilizing time of flight for personal security and localization
US201401181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questing the aid of security volunteers using a security network
US20110227730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surveillance of persons and/or surroundings
US20130250080A1 (en) Modularized mobile health and security system
US10506413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mergency responses and safety
WO2013184180A2 (en) Escort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KR102207713B1 (ko) 사용자의 상태 정보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7072622A (ja) 防犯状況通知装置、防犯状況提供装置、防犯状況通知方法、および防犯状況通知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74909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arm and sensor data to emergency networks
KR102052735B1 (ko) 사용자의 상태 정보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52449B1 (ko) 사용자의 위험 상태 공유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 타이머를 실행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49187A (ko) 사용자의 위험 상태 공유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 타이머를 실행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27755B1 (ko) 신변 보호를 위한 안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7545B1 (ko)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88000A (ko)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