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362A -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휴대폰과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휴대폰과 운영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362A
KR20050014362A KR1020030052961A KR20030052961A KR20050014362A KR 20050014362 A KR20050014362 A KR 20050014362A KR 1020030052961 A KR1020030052961 A KR 1020030052961A KR 20030052961 A KR20030052961 A KR 20030052961A KR 20050014362 A KR20050014362 A KR 20050014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mergency
mother
guardian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퍼스트에프엔
김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퍼스트에프엔, 김승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퍼스트에프엔
Priority to KR102003005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4362A/ko
Publication of KR2005001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362A/ko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 휴대폰과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충격감지, 온도감지, 수분감지, 소리감지 장치와 메세지 전송키와 보호자(이하:모) 연결키가 구비된 노약자(이하:자)휴대폰 장치가 구비되고, 자의 응급상황에 의해 연결되거나 위치정보 메세지를 수신하는 모휴대폰이 구비되고, 통신사에 있어서, 자휴대폰의 활동영역과 모휴대폰과의 한계거리를 저장하고 계산하는 통신사 서버가 구비됨으로써, 통신사에 자휴대폰의 활동영역과 모휴대폰과의 거리를 저장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통신사는 서버의 등록내용에 의해 영역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벗어난 경우 자휴대폰의 위치정보를 모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또한 자휴대폰 내의 감지장치가 응급상황이 감지되거나 메세지 전송키 또는 모연결키가 작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감지된 경우 자동으로 자의 감지내용과 위치정보 메세지를 모휴대폰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모휴대폰과 연결되게 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자가 응급상황에 처할 경우 자동 또는 임의 작동으로 모에게 메세지나 전화연결이 되게 하는 노약자용 휴대폰과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 휴대폰과 운영시스템{SENIOR AND CHIELDREN'S ALERF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NECTS TO GUARDIANS IN CASE OF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 휴대폰과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노약자휴대폰 내에 응급상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온도감지, 수분감지, 소리감지 장치, 메세지 전송키와 보호자 연결키가 내장되고, 통신사에 자휴대폰의 활동위치 또는 모휴대폰과의 한계거리가 기 설정되어 있어서, 자 휴대폰의 응급상황 발생시 또는 위치나 거리를 벗어난 경우, 위치정보 메세지를 전달하게 하는 노약자용 휴대폰과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약자의 응급상황을 알기 위해서는 보호자가 노약자에게 수시로 연락을 해야 하거나 노약자가 응급상황을 알려야 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언제 발생할 지도 모르는 응급상황에서 수시로 연락으로 완벽하게 알수 있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후자의 경우에도 응급상황에서 본인의 상황때문에 연락하기가 쉽지가 않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주로 노약자가 치매노인의 가출, 아동의 유괴, 화재사고, 익수사고, 교통사고, 미아사고의 예가 그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노약자 휴대폰 내에 응급상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온도감지, 수분감지, 소리감지 장치, 메세지 전송키와 보호자 연결키가 내장되고, 통신사에 자휴대폰의 활동위치 또는 모휴대폰과의 한계거리가 기 설정되어 있어서, 응급상황 발생시 또는 위치나 거리를 벗어난 경우 모 휴대폰으로 자동으로 call 하거나 위치정보 메세지를 전달하게 함으로써 노약자에게 수시로 연락하지 않으면서 응급상황을 알수 있도록 하는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 휴대폰과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예의 흐름도
도 2는 노약자 휴대폰이 영역을 벗어난 경우 전송된 보호자 휴대폰 화면
도 3은 노약자 휴대폰이 응급이 감지된 경우 전송된 보호자 휴대폰 화면
도 4는 메세지전송키와 보호자연결키가 구비된 노약자 휴대폰
도 5는 시계 형태로 제작된 노약자 휴대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격감지, 온도감지, 수분감지,소리감지 장치와 메세지 전송키와 보호자(이하:모) 연결키가 구비된 노약자(이하:자)휴대폰 장치가 구비되고, 자의 응급상황에 의해 연결되거나 위치정보 메세지를 수신하는 모휴대폰이 구비되고, 통신사에 있어서, 자휴대폰의 활동영역과 모휴대폰과의 한계거리를 저장하고 계산하는 통신사 서버가 구비됨으로써, 통신사에 자휴대폰의 활동영역과 모휴대폰과의 거리를 저장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통신사는 서버의 등록내용에 의해 영역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벗어난 경우 자휴대폰의 위치정보를 모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또한 자휴대폰 내의 감지장치가 응급상황이 감지되거나 메세지 전송키 또는 모연결키가 작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감지된 경우 자동으로 자의 감지내용과 위치정보 메세지를 모휴대폰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모휴대폰과 연결되게 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자가 응급상황에 처할 경우 자동 또는 임의 작동으로 모에게 메세지나 전화연결이 되게 하는 노약자용 휴대폰과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예의 흐름도로써 도 2 내지 4에 의해 도 1의 과정에 의해 목적이 되는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 휴대폰노약자 휴대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동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통신사는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가입자로 부터 자휴대폰의 전화번호와 함께, 자휴대폰의 활동영역과 모휴대폰과의 거리를 저장장치에 등록(S1)하는 단계로써 예를 들면 활동영역을 유치원과 집이 위치하고 있는 (A)기지국으로 하고 모휴대폰과의 거리를 200미터로 할 경우로 등록하게 된다.
통신사는 저장장치의 등록내용에 의해 영역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써, 모휴대폰과 자휴대폰의 위치정보를 파악(S2)하여, 자휴대폰이 활동영역 내 또는 모 휴대폰과의 거리 이내를 벗어났는지를 판단(S3)한다. 즉 예를 들면 상기의 등록된 영역에 의해 자휴대폰이 (A)기지국을 벗어나거나 모휴대폰과의 거리가 200미터를 벗어났는가를 판단한다.
벗어난 경우 자휴대폰의 위치정보를 모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로써, 상기 단계에서 영역을 벗어난 경우 모 휴대폰으로 상황을 메세지로 전송(S4)해 준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자 휴대폰이 벗어난 상태를 문자메세지를 통해 발송하게 된다.
모는 휴대폰에서 메세지를 확인(S5)하고 내용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거나 자휴대폰으로 CALL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자휴대폰 내의 감지장치가 응급상황이 감지되거나 메세지 전송키가 작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써, 교통사고나 추락 또는 아동이 긴급을 알리기 위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장치, 화재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익수사고를 감지하는 수분감지, 아동의 목소리감지 장치와 키 조작을 위한 메세지 전송키에 의해 감지 혹은 조작이 되는가를 판단(S6)한다.
감지된 경우 자동으로 자의 감지내용과 위치정보 메세지를 모휴대폰으로 전송(S7)하는 단계로써, 상기의 단계에서 감지 혹은 조작이 된 경우, 미리 작성된 문자메세지가 자동으로 모전화에 전송된다. 예를 들면 상기의 감지장치가 감지를 하거나 키패드의 도 4의 메세지 전송키를 누르면 사전에 작성되어 있는 도 3과 같은 메세지가 모전화에 자동으로 전송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자가 응급상황에 처할 경우 자동 또는 임의 작동으로 모에게 메세지가 전송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응급상황시 자휴대폰에서 모휴대폰으로 메세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자휴대폰에서 모휴대폰으로 CALL 함으로써 응급상황을 모휴대폰을 통해 들을 수도 있다.
핫라인 성격의 도 4와 같이 연결키를 키패드에 두어 키번호 누름 없이 연결키 일회 누름으로 모전화와 직접 통화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모휴대폰과 자휴대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GPS가 탑재된 휴대폰의 경우에는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이통사에 전송하여 처리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장치가 구비된 노약자 휴대폰을 도 5와 같이 시계의 형태로 제작하여 팔목에 항시 차고 다닐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효과를 증대시킬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 휴대폰과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휴대폰 내에 응급상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온도감지, 수분감지, 소리감지 장치, 메세지 전송키와 보호자 연결키가 내장되고, 통신사에 자휴대폰의 활동위치 또는 모휴대폰과의 한계거리가 기 설정되어 있어서, 자 휴대폰의 응급상황 발생시 또는 위치나 거리를벗어난 경우 모 휴대폰으로 자동으로 call 하거나, 응급상황과 위치정보 메세지를 전달함으로써, 노약자가 치매노인의 가출, 아동의 유괴, 화재사고, 익수사고, 교통사고, 미아사고 등의 응급상황에 처할 경우 자동 또는 임의 작동으로 모에게 메세지나 전화연결이 되게 하여 노약자에게 수시로 연락하지 않으면서 응급상황을 빨리 알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휴대폰 장치에 있어서;
    충격감지, 온도감지, 수분감지, 소리감지 장치와 메세지 전송키와 보호자(이하:모) 연결키가 내장된 노약자 휴대폰 장치가 구비되고;
    자의 응급상황에 의해 연결되거나 위치정보 메세지를 수신하는 모휴대폰이 구비되고;
    통신사에 있어서;
    자휴대폰의 활동영역과 모휴대폰과의 한계거리를 저장하는 저장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 휴대폰과 운영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통신사에 자휴대폰의 활동영역과 모휴대폰과의 거리를 저장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통신사는 저장장치의 등록내용에 의해 영역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벗어난 경우 자휴대폰의 위치정보를 모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모는 휴대폰에서 메세지를 확인하고 자휴대폰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운영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자휴대폰 내의 감지장치가 응급상황이 감지되거나 메세지 전송키가 작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감지된 경우 자동으로 자의 감지내용과 위치정보 메세지를 모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운영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시 자휴대폰에서 모휴대폰으로 메세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자휴대폰에서 모휴대폰으로 CALL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운영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일회 누름으로 모전화와 통화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핫라인 성격의 보호자 연결키를 포함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 휴대폰.
  6. 제 2항에 있어서;
    모휴대폰과 자휴대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GPS가 탑재된 휴대폰의 경우에는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이통사에 전송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운영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장치가 구비된 노약자 휴대폰을 시계의 형태로 제작하여 팔목에 항시 차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 휴대폰.
KR1020030052961A 2003-07-31 2003-07-31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휴대폰과 운영시스템 KR20050014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961A KR20050014362A (ko) 2003-07-31 2003-07-31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휴대폰과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961A KR20050014362A (ko) 2003-07-31 2003-07-31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휴대폰과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362A true KR20050014362A (ko) 2005-02-07

Family

ID=3722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961A KR20050014362A (ko) 2003-07-31 2003-07-31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휴대폰과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43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23B1 (ko) * 2006-03-07 2007-11-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34839B1 (ko) * 2010-05-26 2012-04-1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12025A1 (ko) * 2012-01-26 2013-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라이버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23B1 (ko) * 2006-03-07 2007-11-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34839B1 (ko) * 2010-05-26 2012-04-1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12025A1 (ko) * 2012-01-26 2013-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라이버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30086703A (ko) * 2012-01-26 2013-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라이버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826396B2 (en) 2012-01-26 2017-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receiving privacy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194B2 (en)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085718A1 (en)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KR100827709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00539467C (zh) 用于在紧急状况期间在移动台中连接呼叫的方法
WO2006135119A1 (en)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11684A (ko) 모바일 단말의 긴급 호출 장치 및 긴급 호출 방법
KR100956809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긴급호출기 및긴급호출기를 이용한 긴급호출방법
KR20050014362A (ko)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휴대폰과 운영시스템
JP2006133828A (ja) 緊急時の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サーバ装置及び携帯通信端末
KR100827157B1 (ko) 휴대단말기의 긴급 구조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60098113A (ko) 응급 구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1612A (ko) 이동통신 단말기(핸드폰, pda 등)를 이용한 주변인물 신원확보를 통한 비상구호 시스템
KR1005864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3004524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시 콜 방법 및 장치
JP2011091600A (ja) 監視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3667087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
KR101332548B1 (ko)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긴급상황 확인 방법
JP4353623B2 (ja) 非常通報装置
US11522991B2 (en) Medical alert device
JP2011029812A (ja) 電話システム
KR101988045B1 (ko) 긴급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3682203B2 (ja) 通信端末および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KR2006003066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JPH09261145A (ja) 携帯端末を用いた緊急信号通信方法及び緊急信号通信システム
KR101844244B1 (ko)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