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977A -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977A
KR20050112977A KR1020040038452A KR20040038452A KR20050112977A KR 20050112977 A KR20050112977 A KR 20050112977A KR 1020040038452 A KR1020040038452 A KR 1020040038452A KR 20040038452 A KR20040038452 A KR 20040038452A KR 20050112977 A KR20050112977 A KR 20050112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video
display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6586B1 (ko
Inventor
신중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586B1/ko
Priority to CN2005800168251A priority patent/CN1957323B/zh
Priority to US11/138,303 priority patent/US20050268008A1/en
Priority to EP05744817A priority patent/EP1800205A4/en
Priority to PCT/KR2005/001578 priority patent/WO2005116814A1/en
Publication of KR2005011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586B1/ko
Priority to US13/220,233 priority patent/US20110310306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4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dest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신호처리부와;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신호처리부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신호로 재생하는 비디오 재생부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소정의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중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비디오 재생부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신호처리부가 처리 가능한 상기 비디오신호로 재생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처리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컴퓨터에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연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에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enal)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는 TV나 컴퓨터용 모니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모니터의 경우, 단지 컴퓨터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신호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기능 외에, TV 수신용 튜너를 내장하여 TV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 자체 스피커를 가지고 컴퓨터로부터의 사운드신호를 출력하는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모니터를 멀티 펑션 모니터(Multi Function Monitor)라 한다.
한편, 현재의 모니터와 컴퓨터는 D-Sub 커넥터나 DVI 커넥터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의 비디오신호가 모니터로 전달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멀티 평션 모니터의 경우, D-Sub 커넥터나 DVI 커넥터 이외에도, S-비디오 커넥터, 컴포넌트(Component) 커넥터 또는 컴포지트(Composite) 커넥터를 별도로 마련하여 DVD나 VCR 등과 같은 외부 영상기기로부터의 비디오신호도 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의 경우에도 D-Sub 커넥터 등의 하나의 출력용 커넥터 만을 지원하던 것에서 벗어나, D-Sub 커넥터, DVI 커넥터, S-비디오 커넥터 등의 2 이상의 출력용 커넥터를 지원하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컴퓨터에 2 이상의 모니터가 접속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컴퓨터의 경우,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출력용 커넥터의 수가 제한되어,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는 모니터의 개수 또한 제한되었다.
따라서,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대의 모니터를 접속해야 할 경우, 예컨대, 서버에 여러 대의 모니터를 연결하는 경우나, 전시장에서와 같이 여러 대의 모니터를 통해 동일한 이미지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넥터 간을 연결하여 케이블을 연장하는 멀티 커넥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하나의 컴퓨터에 다수의 모니터를 연결하는 경우, 길어진 케이블의 처리 문제나 길어진 케이블에 의한 비디오신호의 손실이나 노이즈로 인한 화질의 저하 등이 문제시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신호처리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신호처리부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신호로 재생하는 비디오 재생부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소정의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중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비디오 재생부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신호처리부가 처리 가능한 상기 비디오신호로 재생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처리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오디오 재생부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와 접속되어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비디오 재생부 및 상기 오디오 재생부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재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기기와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 USB)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재생부, 상기 네트워크모듈, 상기 오디오 재생부 및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루틴과; 상기 제어루틴이 로딩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루틴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실행시키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부는 상기 제어루틴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코덱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루틴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뷰어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루틴은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상기 뷰어 프로그램에 의해 재생되는 뷰어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뷰어 프로그램이 상기 뷰어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재생부가 재생 가능한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루틴이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제어신호 및 제1 제어신호를 상기 CPU에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루틴은 상기 CPU를 통해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CPU를 통해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2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부 및 상기 오디오 재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입력부(10), 비디오 신호처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네트워크모듈(60) 및 비디오 재생부(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비디오 신호처리부(20)로부터의 비디오신호를 이미지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미도시)과,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모듈에 이미지가 표시되게 하는 모듈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은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모듈이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모듈이 DLP인 경우 모듈구동부는 광학엔진을 포함하게 되고, 디스플레이모듈이 LCD인 경우 모듈구동부는 비디오신호를 데이터신호 및 게이트신호로 변환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처리부(20)는 비디오 신호입력부(10)나 비디오 재생부(5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가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처리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러(22)와, 비디오 신호입력부(10)로부터의 비디오신호를 스케일러(22)가 처리 가능한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신호변환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변환부는 다양한 비디오신호의 포맷에 대응하여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수신부(미도시), A/D 컨버터, 비디오 디코더 및 튜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일러(22)는 비디오 신호변환부(21)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한다.
비디오 신호입력부(10)는 컴퓨터(200, 도 4 및 도 5 참조)로부터 다양한 포맷의 비디오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 신호처리부(20)로 출력한다. 여기서, 비디오 신호입력부(10)는 비디오 신호처리부(20)의 비디오 신호변환부(21)의 구성에 대응하여 다양한 포맷의 비디오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아 A/D 컨버터로 출력하는 D-SUB 접속단자, 컴포지트(Composite) 접속단자, 컴포넌트(Component) 접속단자 등의 아날로그 입력단자나, 디지털 비디오신호의 입력을 지원하는 DVI 접속단자 등의 디지털 입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비디오 신호처리부(20), 비디오 신호입력부(10) 및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제어부(40)는 기 설졍된 변수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상태가 변경되도록 비디오 신호처리부(20), 비디오 신호입력부(10) 및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한다.
네트워크모듈(60)은 랜(LAN : Local Area Network) 등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소정의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모듈(60)은 TCP/IP 통신 규약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체 IP 어드레스를 보유한다. 이에 따라, 컴퓨터(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IP 어드레스로 후술할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또는 뷰어 데이터를 제공한다.
비디오 재생부(50)는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신호처리부(20)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신호로 재생한다. 여기서, 제어부(40)는 네트워크모듈(60)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 예컨대, MPEG-2 포맷 등에 의해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비디오 재생부(50)로 보낸다.
이 때, 비디오 재생부(50)는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비디오 신호처리부(20)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신호로 재생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비디오 재생부(50)는 MPEG-2 포맷에 의해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MPEG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디오 데이터의 코딩 방식에 따라 다양한 포맷의 디코딩을 지원하는 디코더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부(50)는 비디오 데이터를 스케일러(22)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신호, 즉, 디지털 R.G.B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디오 재생부(50)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가 비디오 신호변환부(21)의 변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스케일러(22)에 입력됨으로써, 변환 과정을 통한 비디오신호의 손실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비디오 재생부(50)는 비디오 신호변환부(21)가 처리 가능한 신호, 예컨대, 아날로그 R.G.B 신호 등으로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a)의 제어블럭도이다. 여기서,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네트워크모듈(60)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오디오 재생부(80)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부(80)는 MPEG-2나 AC-3 포맷에 의해 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MPEG-2 디코더 및/또는 AC-3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재생부(80)는 스피커와, MPEG-2 디코더 및/또는 AC-3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D/A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캠코더(300a), 핸드폰(300b) 등과 같은 외부기기(300a,300b)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재생부(50)나 오디오 재생부(80)가 각각 재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 USB)를 통해 외부기기(300a,300b)와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따라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커넥터(72)와 USB 컨트롤러(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100a)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제어루틴(43)과, 메모리부(42)와, CPU(41)(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루틴(4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재생부(50), 네트워크모듈(60), 오디오 재생부(80)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루틴 들의 집합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루틴(43)은 비디오 재생부(50), 네트워크모듈(60), 오디오 재생부(80)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를 제어하는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 OS)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루틴(43)은 읽기 쓰기 가능한, 예를 들어 FDM(Flash Disk Module), HDD(Hard Disk Drive) 등과 같은 데이터 저장부(47)에 저장될 수 있다.
CPU(41)는 데이터 저장부(47)에 저장된 제어루틴(43)을 메모리부(42)에 로딩시켜 실행시킨다. 여기서, CPU(41)는 메모리부(42)를 관리하는 메모리 컨트롤러(44)와 연동하여 제어루틴(43)을 메모리부(42)에 로딩시켜 실행시킴으로서, 비디오 재생부(50), 네트워크모듈(60), 오디오 재생부(80)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부(42)는 적어도 하나의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유형의 메모리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b)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비디오 재생부(50), 네트워크모듈(60),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 및 오디오 재생부(80) 등의 구성요소들을 체크하여 초기화하는 부트 로더(Boot Loader)가 저장된 부트 롬(46)(Boot RO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트 로더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소정의 부팅과정을 통해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b)의 제어권을 제어루틴(43)으로 넘기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메모리 컨트롤러(44)와, 데이터 저장부(47), 부트 롬(46), 네트워크모듈(60),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 및 오디오 재생부(80) 간의 데이터 이동을 관리하는 I/O 컨트롤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b)는 제어루틴(43)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뷰어 프로그램(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뷰어 프로그램(48)은 데이터 저장부(47)에 저장될 수 있고,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뷰어 프로그램(48)은 자신이 인식 가능한 데이터(이하, "뷰어 데이터"라 함)를 비디오 재생부(50)가 재생 가능한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때, 처리루틴은 네트워크모듈(60)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뷰어 프로그램(48)에 의해 재생되는 뷰어 데이터를 추출하여, 뷰어 프로그램(48)이 추출된 뷰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사의 MS 워드에 의해 작성된 텍스프 파일 형태의 뷰어 데이터가 네트워크모듈(60)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처리루틴은 텍스프 파일의 확장자(여기서는, "doc")를 통해 해당 뷰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뷰어 프로그램(48)을 판단한다. 이 때, 뷰어 프로그램(48)은 뷰어 데이터를 비디오 재생부(50)가 재생 가능한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되어, 비디오 재생부(50) 및 비디오 신호처리부(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PU(41)로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루틴(43)은 CPU(41)를 통해 제1 제어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 경우 네트워크모듈(60)이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47)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루틴(43)은 CPU(41)를 통해 제2 제어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 경우 데이터 저장부(47)에 저장된 제2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비디오 재생부(50)나 오디오 재생부(80)를 통해 독출된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출력부(90)는 디스플레이장치(100b)의 전면에 마련된 제어버튼이나, 리모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루틴(43)은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미도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어신호 출력부(90)의 조작을 통해 다양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 출력부(9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비디오 재생부(50), 네트워크모듈(60), 오디오 재생부(80)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컴퓨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이다, 도 4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200)와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비디오 데이터를 인가하여, 하나의 컴퓨터(200)에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접속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100b)와, 컴퓨터(200) 및 외부기기(300a,300b)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00,1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0b)이고, 외부기기(300a,300b)는 디스플레이장치(100b)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와 접속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100b)와 접속되어 비디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00b)는 디지털 캠코더(300a)나 핸드폰(300b) 등과 같은 외부기기(300a,300b)와 접속되어 외부기기(300a,300b)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외부기기(300a,300b)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0)나 오디오 재생부(8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재생부(50)가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MPEG 디코더 등의 디코더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루틴(43)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예컨대, 코덱 프로그램일도 있다. 여기서, 코덱 프로그램은 데이터 저장부(47)에 저장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재생부(50)와 메모리 컨트롤러(44)가 별도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래픽 엔진과 메모리 컨트롤러(44)가 통합된 하나의 칩셋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신호처리부(20)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신호로 재생하는 비디오 재생부(50)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소정의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모듈(60)과, 네트워크모듈(60)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비디오 재생부(50)가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신호처리부(20)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신호로 재생하여 비디오 신호처리부(2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를 마련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100a,100b)가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200)와 연결되어 컴퓨터(20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컴퓨터(200)에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100a,100b)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300a,300b)와 접속되어 외부기기(300a,300b)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70)를 더 마련하여, 외부기기(300a,300b)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디오 신호입력부 20 : 비디오 신호처리부
21 : 비디오 신호변환부 22 : 스케일러
30 : 디스플레이부 40 : 제어부
41 : CPU 42 : 메모리부
43 : 제어루틴 44 : 메모리 컨트롤러
45 : I/O 컨트롤러 46 : 부트 롬
47 : 데이터 저장부 48 : 뷰어 프로그램
50 : 비디오 재생부 60 : 네트워크모듈
70 :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80 : 오디오 재생부
90 : 제어신호 출력부

Claims (10)

  1.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신호처리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신호처리부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신호로 재생하는 비디오 재생부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소정의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중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비디오 재생부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신호처리부가 처리 가능한 상기 비디오신호로 재생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처리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오디오 재생부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접속되어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비디오 재생부 및 상기 오디오 재생부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재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기기와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 USB)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재생부, 상기 네트워크모듈, 상기 오디오 재생부 및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루틴과;
    상기 제어루틴이 로딩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루틴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실행시키는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재생부는 상기 제어루틴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코덱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루틴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뷰어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루틴은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상기 뷰어 프로그램에 의해 재생되는 뷰어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뷰어 프로그램이 상기 뷰어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재생부가 재생 가능한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루틴이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제어신호 및 제1 제어신호를 상기 CPU에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루틴은 상기 CPU를 통해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CPU를 통해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2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부 및 상기 오디오 재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컴퓨터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040038452A 2004-05-28 2004-05-28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046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452A KR101046586B1 (ko) 2004-05-28 2004-05-28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005800168251A CN1957323B (zh) 2004-05-28 2005-05-27 显示装置和使用其的显示系统
US11/138,303 US20050268008A1 (en) 2004-05-28 2005-05-27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EP05744817A EP1800205A4 (en) 2004-05-28 2005-05-27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PCT/KR2005/001578 WO2005116814A1 (en) 2004-05-28 2005-05-27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US13/220,233 US20110310306A1 (en) 2004-05-28 2011-08-29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452A KR101046586B1 (ko) 2004-05-28 2004-05-28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977A true KR20050112977A (ko) 2005-12-01
KR101046586B1 KR101046586B1 (ko) 2011-07-06

Family

ID=3542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452A KR101046586B1 (ko) 2004-05-28 2004-05-28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50268008A1 (ko)
EP (1) EP1800205A4 (ko)
KR (1) KR101046586B1 (ko)
CN (1) CN1957323B (ko)
WO (1) WO20051168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64B1 (ko) * 2009-08-31 2010-07-16 (주)엔시스 동영상 광고기능을 갖는 상품 전시 판매대 및 그 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775B2 (ja) * 2005-04-15 2010-08-2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そ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ならびに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表示方法
KR100699267B1 (ko) * 2005-08-12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
TW200844747A (en) * 2007-05-07 2008-11-16 Xgi Technology Inc Expansion device with AV input/output function of television
KR101379762B1 (ko) * 2007-09-12 201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이미지 표시방법
CN103021378B (zh) * 2012-12-25 2015-09-09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屏拼接显示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264A (en) * 1994-09-08 1996-12-17 Ibm Corporation Video optimized media streamer with cache management
US6133910A (en) * 1996-09-20 2000-10-17 Echostar Engineering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video sources
JPH10228758A (ja) * 1997-02-12 1998-08-25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7707613B1 (en) * 1998-01-05 2010-04-27 Gateway, Inc. Individualized parameter control for multiple media source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6928652B1 (en) * 1998-05-29 2005-08-09 Webtv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HTML and video simultaneously
US6543052B1 (en) * 1999-07-09 2003-04-01 Fujitsu Limited Internet shopping system utilizing set top box and voice recognition
US6323893B1 (en) * 1999-10-27 2001-11-27 Tidenet, Inc. Portable conference center
JP3504202B2 (ja) * 1999-12-21 2004-03-08 株式会社ナナオ 表示装置
JP4519389B2 (ja) * 2000-03-08 2010-08-04 ゼネラル インスツルメン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パーソナル多機能レコーダ、並びにそれを実装及び使用する方法
US7266772B2 (en) * 2000-05-31 2007-09-04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connected to a network, a display system, and a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and/or image data via a projector connected to a network
US6954615B2 (en) * 2000-07-25 2005-10-11 Sony Corporation Display terminal
US7870592B2 (en) * 2000-12-14 2011-01-11 Intertainer, Inc. Method for interactive video content programming
JP2002287242A (ja) * 2001-01-19 2002-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ジェクタ、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プロジェクタの集中管理方法
WO2002065771A1 (en) * 2001-02-09 2002-08-22 Quadriga Technology Limited System for and method of distributing television, video and other signals
US6724389B1 (en) * 2001-03-30 2004-04-20 Intel Corporation Multiplexing digital video out on an accelerated graphics port interface
US20020152117A1 (en) * 2001-04-12 2002-10-17 Mike Cristofalo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object oriented audio and video content to users
US20030079234A1 (en) * 2001-05-09 2003-04-24 Rasmussen Lars Blak System and a method of producing a picture and/or sound signal on the background of the execution of multimedia content
JP2002344898A (ja) * 2001-05-17 2002-11-29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表示装置、音声調整装置及び映像音声出力装置、並びに映像音声同期方法
US20030079919A1 (en) * 2001-10-31 2003-05-01 Hochmuth Roland M.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on a network attachable display device
US20030122966A1 (en) * 2001-12-06 2003-07-03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meta data distribution to customize media content playback
JP3753067B2 (ja) * 2001-12-25 2006-03-0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195841A (ja) * 2001-12-25 2003-07-09 Hitach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複数のディスプレイに画像を分配する表示制御装置
JP4221183B2 (ja) * 2002-02-19 2009-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0477671B1 (ko) * 2002-10-01 200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dvd 모니터
US7030934B2 (en) * 2002-10-18 2006-04-18 Huaya Microelectronics, Ltd. Video system for combining multiple video signals on a single display
US20040194137A1 (en) * 2003-03-26 2004-09-30 Vasanth Shreesh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ral presentation of program guide
US7966642B2 (en) * 2003-09-15 2011-06-21 Nair Ajith N Resource-adaptive management of video storage
TWI278813B (en) * 2003-11-21 2007-04-11 Acer Inc Monitor capable of controlling the power of host computer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7286132B2 (en) * 2004-04-22 2007-10-23 Pinnacl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graphics hardware for real time two and three dimensional, single definition, and high definition video effe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64B1 (ko) * 2009-08-31 2010-07-16 (주)엔시스 동영상 광고기능을 갖는 상품 전시 판매대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10306A1 (en) 2011-12-22
CN1957323B (zh) 2011-06-29
EP1800205A4 (en) 2009-05-06
KR101046586B1 (ko) 2011-07-06
US20050268008A1 (en) 2005-12-01
CN1957323A (zh) 2007-05-02
EP1800205A1 (en) 2007-06-27
WO2005116814A1 (en)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0668B (zh) 高清晰度多媒体接口设备的信号输出设备及其方法
US2005027560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EP3169075A1 (en) Audio and video playback device
EP1596581B1 (en) A display device with data reading means
US89531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9206995A (ja) 情報処理装置
JP2010021975A (ja) 映像音声再生装置、及び映像音声再生方法
US20110310306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US200903004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702967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07274296A (ja) 信号再生装置
US200901545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688981B1 (ko) 미디어 재생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미디어재생시스템
US6618636B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audio signal outputs from the computer system
US200900442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Startup Control Method
US20070035663A1 (en) Display apparatus to output an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JP2010081638A (ja) 情報処理装置
JP4970607B1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伝送方法
KR20100089328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2207472A (ja) 画像表示装置
KR10110181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0550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audios and videos
KR20190033838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05922A (ko) 영상 재생장치
KR20060112543A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