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838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838A
KR20190033838A KR1020170122506A KR20170122506A KR20190033838A KR 20190033838 A KR20190033838 A KR 20190033838A KR 1020170122506 A KR1020170122506 A KR 1020170122506A KR 20170122506 A KR20170122506 A KR 20170122506A KR 20190033838 A KR20190033838 A KR 20190033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signal
cable
electronic devi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000B1 (ko
Inventor
구자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000B1/ko
Priority to US16/020,306 priority patent/US10645355B2/en
Priority to PCT/KR2018/009473 priority patent/WO2019059532A1/en
Publication of KR20190033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1Multi-purpose receivers, e.g. for auxiliar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2Multi-standard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3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for restoring the colour component sequence of the reproduced chrominanc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1 포트 및 제2 포트에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면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제2 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1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제1 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L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전 제품 중 하나인 TV와 같은 전자 장치는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전자 장치의 성능이 고급화되면서,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도 다양해 지고 있다. 특히, 최근의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와 같은 전자 장치는 셋톱 박스와 연결되어, 셋톱 박스로부터 영상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TV는 PC와 연결되어 PC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장치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신호의 포맷은 외부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에 맞는 적절한 포트를 이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외부장치 별로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외부 장치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전자 장치의 포트도 같이 늘어남으로써 제품 원가가 증대되고, 복잡한 회로 구성에 의해 동작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포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에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면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2 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제1 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포트는 컴포넌트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적색 색차 신호(Pr) 핀 및 청색 색차 신호(Pb) 핀 및 Ex-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Ex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트는 좌측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L 핀, 우측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R 핀 및, 휘도 신호(Y) 및 AV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Y/AV 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색 색차 신호 및 청색 색차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케이블이 상기 제1 포트에 연결되고, 휘도 신호 및 AV 신호를 를 전달하기 위한 제2 케이블이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면, 상기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2 포트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상기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제1 포트에 상기 Ex-링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3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Ex-링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색 색차 신호 및 청색 색차 신호를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단자 및 상기 Ex-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포트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1 단자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단자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여 상기 제2 단자로 전달하고,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여 상기 제1 포트로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적어도 하나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에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면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2 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제1 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포트는 컴포넌트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적색 색차 신호(Pr) 핀 및 청색 색차 신호(Pb) 핀 및 Ex-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Ex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트는 좌측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L 핀, 우측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R 핀 및, 휘도 신호(Y) 및 AV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Y/AV 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적색 색차 신호 및 청색 색차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케이블이 상기 제1 포트에 연결되고, 휘도 신호 및 AV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2 케이블이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면, 상기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포트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상기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포트에 상기 Ex-링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3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상기 Ex-링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색 색차 신호 및 청색 색차 신호를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단자 및 상기 Ex-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포트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1 단자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단자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여 상기 제2 단자로 전달하고,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여 상기 제1 포트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2개의 포트만으로 컴포지트 기능, 컴포넌트 기능 및 Ex-링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자 장치 내부의 회로 구성을 간소화시키고, 제품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적어도 하나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영상 제공 장치(200) 및 외부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처리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 또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TV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TV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나, 전자 장치(10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 제공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제공 장치(200)는 셋탑 박스, DVD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등과 같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 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제공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은 전송 방식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영상 표준의 하나인 컴포넌트(component)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영상 제공 장치(200)는 영상 신호를 세 개의 정보로 나누어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제공 장치(200)는 YPbPr 색공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휘도 신호(Y), 적색과 휘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적색 색차 신호(Pr), 청색과 휘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청색 색차 신호(Pb)를 각각 나누어 전달할 수 있다. 또한, RGB 색공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색 신호(R), 녹색 신호(G) 및 청색 신호(B 신호)를 각각 나누어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제공 장치(200)는 아날로그 영상 표준의 다른 하나인 컴포지트(composite)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휘도 신호와 색상 신호를 나누어 전달하지 않고 하나의 신호로 한꺼번에 전달할 수 있다. 컴포지트 방식의 영상 신호는 CVBS(Composite video Blanking and Sync) 신호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영상 제공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은 전송 방식에 따라 상이하다는 점에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영상 신호를 포맷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0)는 컴포넌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포트(110) 및 컴포지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포트(120)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외부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로 다양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300)는 RSC-232C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 장치(300)에 저장된 각종 영상 또는 외부 장치(300)가 접속한 웹 페이지 화면 등 다양한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제어 신호 등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장치(300)는 PC, 셋탑 PC, 태블릿 PC 등과 같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외부 장치(300)가 RSC-232C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외부 장치(300)가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다양한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외부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300)가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신호의 포맷은 상술한 컴포넌트 신호 및 컴포지트 신호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포트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전자 장치 내부의 회로가 복잡해짐에 따라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제품 원가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컴포넌트 신호 및 컴포지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포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300)가 전송하는 신호까지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100)가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포트(110), 제2 포트(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제1 포트(110)에는 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 및 Ex-링크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 중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은, 영상 제공 장치(200)에 연결되어 컴포넌트 방식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로써, 적색 색차 신호(Pr) 및 청색 색차 신호(Pb)를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그리고, Ex-링크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은, 외부 장치(300)에 연결되어 RSC-23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Ex-링크 신호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장치(300)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 또는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포트(110)는 컴포넌트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적색 색차 신호(Pr) 핀 및 청색 색차 신호(Pb) 핀을 포함할 수 있고, Ex-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Ex 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포트(110)는 스위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미도시)는 제2 포트(120)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포트(11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경로를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2개의 포트만으로 컴포넌트 기능, 컴포지트 기능 및 Ex-링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포트(120)에는 컴포지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포지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은, 영상 제공 장치(200)에 연결되어 컴포지트 방식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로써, 휘도 신호(Y) 및 AV 신호를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포트(120)는 휘도 신호(Y) 및 AV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Y/AV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2 포트(120)는 음향을 출력하기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포트(120)는 좌측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L 핀, 우측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R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30)는 제1 포트(110) 및 제2 포트(120) 중 적어도 하나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1 포트(110) 및 제2 포트(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1 포트(110) 및 제2 포트(120) 중 적어도 하나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제1 포트(110) 및 제2 포트(120)에 연결된 케이블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1 포트(110) 및 제2 포트(120)에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면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제2 포트(120)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1 포트(110)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제1 포트(110)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2 포트(120)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1 포트(110)에 적색 색차 신호 및 청색 색차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2 포트(120) 휘도 신호 및 AV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케이블이 연결되면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제2 포트(120)에 휘도 신호 및 AV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1 포트(110)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제1 포트(110)에 Ex-링크 신호를 전달하는 제3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2 포트(120)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포지트 기능이란 비디오 플레이어와 같은 영상 제공 장치(200)가 컴포지트 방식으로 제공하는 영상을, 프로세서(130)가 처리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2 포트(120)로부터 컴포지트 영상 신호(CVBS), 즉 휘도 신호 및 AV 신호와 음향 신호(SL, SR)가 수신되고, 제1 포트(110)가 연결 해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컴포지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컴포지트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컴포넌트 기능이란 셋톱 박스와 같은 영상 제공 장치(200)가 컴포넌트 방식으로 제공하는 영상을, 프로세서(130)가 처리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2 포트(120)로부터 컴포지트 영상 신호(CVBS)와 음향 신호(SL, SR)가 수신되고, 제1 포트(110)로부터 컴포넌트 영상 신호인 청색 색차 신호(Pb) 및 적색 색차 신호(Pr) 가 수신되면, 컴포넌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컴포넌트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Ex-링크 기능이란 PC와 같은 외부 장치(300)가 RSC-232C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영상을, 프로세서(130)가 처리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1 포트(110)로부터 Ex-링크 신호가 수신되고, 제2 포트(120)가 연결 해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Ex-링크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Ex-링크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x-링크 신호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온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온하여 영상을 출력하고, Ex-링크 신호가 컨텐츠 전송을 위한 신호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포트(110), 제2 포트(120), 프로세서(130), 스위치(140) 및 신호 변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을 설명을 생략 내지 축약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제1 단자(131), 제2 단자(132) 및 제3 단자(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단자(131)는 제1 포트(110)와 연결되어 컴포넌트 신호, 즉 적색 색차 신호 및 청색 색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자가 될 수 있고, 제2 단자(132)는 제1 포트(11)와 연결되어 Ex-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자가 될 수 있으며, 제3 단자(133)는 제2 포트(120)와 연결되어 컴포지트 신호, 즉 휘도 신호 및 AV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자가 될 수 있다.
스위치(140)는 제2 포트(120)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포트(110) 및 프로세서(130)간 전송되는 신호의 경로를 스위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140)는 제2 포트(120)에 케이블이 연결되면 제2 포트(12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경로를 제1 단자(131) 방향으로 스위칭할 수 있고, 제2 포트(120)에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으면, 즉 연결 해제 상태이면 제2 포트(12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경로를 제2 단자(131) 방향으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140)는 제2 포트(12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140)는 제2 포트(120)와 연결되어 제2 포트(12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되는 신호의 유무에 따라 제2 포트(120)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140)는 제2 포트(120)를 통해 컴포지트 신호가 수신되면, 제2 포트(12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경로를 제1 단자(131) 방향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120)는 제2 포트(120)를 통해 컴포지트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2 포트(12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경로를 제2 단자(131) 방향으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1 포트(110)에 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2 포트(120)에 컴포지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면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제2 포트(120)에 컴포지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1 포트(110)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제1 포트(110)에 Ex-링크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2 포트(120)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Ex-링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150)는 스위치(140)와 제2 단자(13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변환부(150)는 제1 포트(110)를 통해 수신되는 Ex-링크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여 제2 단자(132)로 전달할 수 있고, 제2 단자(13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여 제1 포트(11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변환부(150)는 제1 포트(110)를 통해 수신되는 Ex-링크 신호의 크기를 전자 장치(100)에서 이용 가능한 크기로 변환하여 제2 단자(13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호 변환부(150)는 레벨 쉬프터(level shifter)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제2 포트(120)가 스위치(14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스위치(140)는 제2 포트(12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위치(140)의 스위칭 방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위치(140)가 프로세서(130)에 연결될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2 포트(12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스위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포넌트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포트(110) 및 컴포지트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포트(120)만을 이용하여, Ex-링크 신호까지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100)의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Ex-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포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품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 및 적어도 하나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에 있어서, 실행되는 전자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포트(110)에 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고, 제2 포트(120)에 컴포지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Ex-링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물론, 제1 포트(110)에 Ex-링크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Ex-링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포트(110)에 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고, 제2 포트(120)에 컴포지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Ex-링크 기능을 실행할 수 없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포트(110)에 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2 포트(120)에 컴포지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Ex-링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물론, 제1 포트(110)에 Ex-링크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Ex-링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포트(110)에 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2 포트(120)에 컴포지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Ex-링크 기능을 실행할 수 없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포트(110), 제2 포트(120), 프로세서(130), 스위치(140), 신호 변환부(150), 저장부(160), 디스플레이(165), 영상 처리부(170), 오디오 처리부(175) 및 스피커(170)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거나 축약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CPU(13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 134-n) 및 버스(135)를 포함한다. 여기서, RAM(131), ROM(132), 메인 CPU(13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 134-n) 등은 버스(13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 134-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6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33)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및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메인 CPU(133)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도록 영상 처리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CPU(133)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180)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도록 오디오 처리부(17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0')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미도시)는 소프트웨어 디코더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 디코더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코더(미도시)는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와 음향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디코더에서 영상 신호의 디코딩과 음향 신호의 디코딩이 모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RAM(131)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30)의 동작은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6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베이스 모듈,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스토리지 모듈,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그래픽 처리 모듈, 보안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5)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65)는 전자 장치(100')가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컴포넌트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컴포지트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가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외부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65)는 지상파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65)는 전자 장치(100')가 실행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할 경우,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165)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할 경우,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165)를 제어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Ex-링크 기능을 실행할 경우, Ex-링크 기능을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16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가 실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피드백 받을 수 있고, 케이블이 전자 장치(100')의 포트에 제대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6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피커(180)는 다양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상 제공 장치(200) 및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180)는 전자 장치(100') 본체의 전면에 한 개 또는 측면 에 두 개 배치될 수 있으나, 그 배치 위치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포트(110) 및 제2 포트(120) 중 적어도 하나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61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1 포트(110) 및 제2 포트(120)를 통해서 흐르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해서, 제1 포트(110) 및 제2 포트(120) 중 적어도 하나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포트(110) 및 제2 포트(120)에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면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제2 포트(120)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1 포트(110)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제1 포트(110)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2 포트(120)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Ex-링크 기능을 실행한다(S62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제2 포트(120)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710). 여기에서, 제2 포트(120)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컴포지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포트(120)에 케이블이 연결된 것으로 검출되면, 제1 포트(110)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720). 그 결과, 제1 포트(110)에 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된 것으로 검출되면, 전자 장치(100)는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S730), 제1 포트(110)에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740).
한편, 제2 포트(120)에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포트(110)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750). 그리고, 제1 포트(110)에 Ex-링크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된 것으로 검출되면, 전자 장치(100)는 Ex-링크 기능을 실행하고(S760), 제1 포트(110)에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아무런 기능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제1 포트
120: 제2 포트
130: 프로세서

Claims (1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에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면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2 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제1 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는
    컴포넌트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적색 색차 신호(Pr) 핀 및 청색 색차 신호(Pb) 핀; 및
    Ex-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Ex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트는,
    좌측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L 핀, 우측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R 핀 및, 휘도 신호(Y) 및 AV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Y/AV 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색 색차 신호 및 청색 색차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케이블이 상기 제1 포트에 연결되고, 휘도 신호 및 AV 신호를 를 전달하기 위한 제2 케이블이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면, 상기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2 포트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상기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제1 포트에 상기 Ex-링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3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색 색차 신호 및 청색 색차 신호를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단자; 및
    상기 Ex-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포트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1 단자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단자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여 상기 제2 단자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여 상기 제1 포트로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적어도 하나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에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면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2 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제1 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는
    컴포넌트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적색 색차 신호(Pr) 핀 및 청색 색차 신호(Pb) 핀; 및
    Ex-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Ex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트는,
    좌측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L 핀, 우측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R 핀 및, 휘도 신호(Y) 및 AV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Y/AV 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적색 색차 신호 및 청색 색차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케이블이 상기 제1 포트에 연결되고, 휘도 신호 및 AV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2 케이블이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면, 상기 컴포넌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포트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상기 컴포지트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포트에 상기 Ex-링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3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상기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색 색차 신호 및 청색 색차 신호를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단자; 및
    상기 Ex-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포트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1 단자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포트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단자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x-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여 상기 제2 단자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여 상기 제1 포트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122506A 2017-09-22 2017-09-2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6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506A KR102346000B1 (ko) 2017-09-22 2017-09-2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020,306 US10645355B2 (en) 2017-09-22 2018-06-27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8/009473 WO2019059532A1 (en) 2017-09-22 2018-08-17 ELECTRONIC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506A KR102346000B1 (ko) 2017-09-22 2017-09-2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838A true KR20190033838A (ko) 2019-04-01
KR102346000B1 KR102346000B1 (ko) 2022-01-03

Family

ID=6580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506A KR102346000B1 (ko) 2017-09-22 2017-09-2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45355B2 (ko)
KR (1) KR102346000B1 (ko)
WO (1) WO201905953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4604A1 (en) * 2002-05-17 2003-11-20 Lg Electronics Inc.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80291334A1 (en) * 2007-05-25 200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apparatus having integrated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187984A1 (en) * 2015-12-23 2017-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869B1 (ko) 2005-01-14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데이터 다운로드 장치
KR20060116065A (ko) 2005-05-09 2006-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39053Y1 (ko) 2006-11-24 2008-03-18 (주)다이나릿시스템 직렬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프로세서와 상호작용하는재설정가능칩이 구비된 장치 및 시스템
KR20100052396A (ko) 2008-11-10 201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94442A1 (en) 2011-01-31 2012-08-02 Robin Sheeley Touch screen video source control system
KR101562789B1 (ko) 2015-03-20 2015-10-23 (주)루먼텍 Hd/uhd급 멀티채널 비디오 라우팅 겸용 스위칭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75613A (ko) 2015-12-23 201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4604A1 (en) * 2002-05-17 2003-11-20 Lg Electronics Inc.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80291334A1 (en) * 2007-05-25 200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apparatus having integrated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187984A1 (en) * 2015-12-23 2017-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532A1 (en) 2019-03-28
KR102346000B1 (ko) 2022-01-03
US10645355B2 (en) 2020-05-05
US20190098273A1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8563B1 (en) Method and repeater for controlling multimedia interfaces
US8378791B2 (en) Image reproduction system and signal processor used for the same
US20080018789A1 (en) Portable device integrated with external video signal display function
TWI482485B (zh) 影音播放系統、影音播放系統之控制方法及顯示裝置
US20080062328A1 (en) Signal format selection based on physical connections
US896412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80165289A1 (en) Receiving apparatus
US20100064076A1 (en) Switching apparatus and displaying system
US9070321B2 (en) Tablet compu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9060204A (ja) ソース/シンク兼用機器
TW201418971A (zh) 影音播放系統之控制方法
US11743421B2 (en) Device for secure video streaming
US8142033B2 (en) Projector capable of indicating interface state
US20110310306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US106597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signals, and system for playing video signals
US20190335082A1 (en) Video signal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EP1887794A2 (en) Portable device integrated with external video signal display function
KR20190033838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157917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194397A1 (en) Display apparatus, apparatus for upgrading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of display system
KR20130087747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36846B1 (ko) Hdmi­dvi 겸용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영상 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059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CN108924458B (zh) 用于具有hdmi扩展通道的edid数据改写方法、装置及显示终端
US20230344963A1 (en) Docking device and method with video captur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