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61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613A
KR20170075613A KR1020160011884A KR20160011884A KR20170075613A KR 20170075613 A KR20170075613 A KR 20170075613A KR 1020160011884 A KR1020160011884 A KR 1020160011884A KR 20160011884 A KR20160011884 A KR 20160011884A KR 20170075613 A KR20170075613 A KR 20170075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input
connecto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6182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85568A1/en
Priority to US15/238,851 priority patent/US10116896B2/en
Priority to RU2018121889A priority patent/RU2018121889A/ru
Priority to PCT/KR2016/010923 priority patent/WO2017111264A1/en
Priority to CN201611186009.1A priority patent/CN107040737A/zh
Publication of KR20170075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613A/ko
Priority to US16/152,012 priority patent/US1054781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Abstract

서로 다른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두 케이블을 통합하고, 어느 방식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방식으로 전달되는 제1영상 신호와, 상기 제1방식과 다른 제2방식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 중 하나인 제2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영상 케이블,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음향 케이블 및 상기 제1영상 케이블 및 상기 음향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1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신호 전달 장치; 상기 제2방식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영상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제2영상 케이블 및 상기 제2영상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2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신호 전달 장치;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1입력 단자 및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2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수신부; 상기 제1출력 커넥터와 상기 제1입력 단자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제2출력 커넥터 상기 제2입력 단자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신호 전달 장치를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방송국이 송출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지상파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여 영상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전달되는 신호의 포맷이 달라지기 때문에,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 기기에 맞는 적절한 케이블을 이용해야 한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두 케이블을 통합하고, 어느 방식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방식으로 전달되는 제1영상 신호와, 상기 제1방식과 다른 제2방식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 중 하나인 제2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영상 케이블,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음향 케이블 및 상기 제1영상 케이블 및 상기 음향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1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신호 전달 장치; 상기 제2방식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영상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제2영상 케이블 및 상기 제2영상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2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신호 전달 장치;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1입력 단자 및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2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수신부; 상기 제1출력 커넥터와 상기 제1입력 단자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제2출력 커넥터 상기 제2입력 단자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영상 신호는 컴포지트(composite) 신호이고, 상기 제2영상 신호는 복수의 컴포넌트(component) 신호 중 하나이며, 상기 영상 출력 모드는, 상기 컴포지트 신호를 처리하여 컴포지트 영상을 출력하는 제1모드 및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를 처리하여 컴포넌트 영상을 출력하는 제2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입력 단자 및 상기 제2입력 단자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 커넥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입력 단자에 삽입되고, 상기 제2출력 커넥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입력 단자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입력 단자에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단자에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출력 커넥터와 상기 제1입력 단자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신호 전달 장치는, 컴포지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외부 기기 또는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외부 기기와 상기 제1영상 케이블을 연결하는 제1영상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제1외부 기기 또는 상기 제2외부 기기와 상기 음향 케이블을 연결하는 음향 입력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신호 전달 장치는, 상기 제2외부 기기와 상기 제2영상 케이블을 연결하는 제2영상 입력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입력 단자에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에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음향 입력 커넥터와 상기 제1외부 기기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입력 단자에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에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영상 입력 커넥터, 상기 음향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제2영상 입력 커넥터와 상기 제2외부 기기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 중 하나인 제1컴포넌트 신호와 컴포지트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영상 케이블,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음향 케이블, 상기 제1영상 케이블 및 상기 음향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1출력 커넥터 및 컴포지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외부 기기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외부기기와 외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1입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신호 전달 장치;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 중 제2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제2영상 케이블,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 중 제3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제3영상 케이블, 상기 제2영상 케이블 및 상기 제3영상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2출력 커넥터 및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외부기기와 외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2입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신호 전달 장치; 및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1입력 단자 및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2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입력 커넥터는, 상기 제1영상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1영상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음향 케이블과 연결되는 음향 입력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입력 커넥터는, 상기 제2영상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2영상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제3영상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3영상 입력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영상 입력 커넥터, 상기 음향 입력 커넥터, 상기 제2영상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제3영상 입력 커넥터는 암(female)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케이블 및 상기 음향 케이블은, 그 길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제2영상 케이블 및 상기 제3영상 케이블은, 그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컴포넌트 신호와 컴포지트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영상 케이블,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음향 케이블, 상기 제1영상 케이블 및 상기 음향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1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신호 전달 장치와 제1입력 단자가 연결되었는지 판단하고; 제2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제2영상 케이블, 제3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제3영상 케이블, 상기 제2영상 케이블 및 상기 제3영상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2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신호 전달 장치와 제2입력 단자가 연결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출력 커넥터와 상기 제1입력 단자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제2출력 커넥터 상기 제2입력 단자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컴포지트 신호를 처리하여 컴포지트 영상을 출력하는 제1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컴포넌트 신호를 처리하여 컴포넌트 영상을 출력하는 제2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두 케이블을 통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형화 및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어느 방식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영상만 출력되고 음향은 출력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적절한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1신호 전달 장치의 출력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1신호 전달 장치의 출력 커넥터와 입력 커넥터 사이의 회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2신호 전달 장치의 출력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2신호 전달 장치의 출력 커넥터와 입력 커넥터 사이의 회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신호 전달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가 구체화된 도면이다.
도 14는 제1신호 전달 장치 및 제2신호 전달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출력 모드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제1신호 전달 장치 및 제2신호 전달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신호 전달 장치의 커넥터 외관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신호 전달 장치의 길이에 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이 구체화된 제어 블록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모드 전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모드 전환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30은 신호 전달 장치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신호 전달 장치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 및 도 33은 신호 전달 장치와 외부 기기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가 더 구체화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5 및 도 36은 신호 전달 장치의 연결을 가이드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에 관한 선택을 입력 받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에 관한 선택을 입력 받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신호 전달 장치 사이의 연결을 가이드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1 및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실제 입력되는 신호를 판별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기기는 처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TV일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 기기(2, 3)와 연결되면 외부 기기(2, 3)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 장치(2)에 전달하는 신호 전달 장치(10), 신호 전달 장치(10)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 신호 전달 장치(1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30),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0) 및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50)를 포함한다.
신호 전달 장치(10)는 수신부(2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복수 포맷의 영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복수의 신호 전달 장치(100, 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신호의 포맷은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영상 표준의 하나인 컴포넌트(component)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영상 신호를 세 개의 정보로 나누어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YPbPr 색공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휘도 신호(Y), 적색과 휘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적색 색차 신호(Pr), 청색과 휘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청색 색차 신호(Pb)를 각각 나누어 전달할 수 있다.
또한, RGB 색공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색 신호(R), 녹색 신호(G) 및 청색 신호(B 신호)를 각각 나누어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영상 표준의 다른 하나인 컴포지트(composite)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휘도 신호와 색상 신호를 나누어 전달하지 않고 하나의 신호로 한꺼번에 전달할 수 있다. 컴포지트 방식의 영상 신호는 CVBS(Composite video Blanking and Sync) 신호라고도 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신호 전달 장치(10)가 외부 기기(2, 3)로부터 출력되는 컴포넌트 방식의 영상 신호(이하, 컴포넌트 신호라 함) 및 컴포지트 방식의 영상 신호(이하, 컴포지트 신호라 함)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거나 지지하는 본체(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60)의 전면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가 배치되고, 본체(60) 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본체 입력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방식,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방식,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방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방식,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체 입력부(71)는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밀거나 돌리는 방식의 다이얼이나 조그셔틀(jogshuttle)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본체(60)에 마련된 본체 입력부(71) 외에도 사용자가 본체(60)와 이격된 거리에서도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원격 입력부(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의 예시로는, 전원 온/오프, 음향 레벨 조절, 방송 채널 선택, 화면의 휘도, 명도, 채도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특성 조절 등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출력할 컨텐츠의 신호 포맷에 관한 선택, 즉 영상 출력 모드에 관한 선택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 방식으로 전달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할 것인지 또는 컴포지트 방식으로 전달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할 것인지 등에 관한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전달 장치(10)와 연결된 외부 기기(2)가 비디오 플레이어인경우에는 컴포지트 방식으로 영상 신호가 전달될 수 있고, 신호 전달 장치(10)와 연결된 외부 기기(3)가 셋탑 박스나 DVD 플레이어인 경우에는 컴포넌트 방식으로 영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출력 모드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모드는 컴포지트 신호를 출력하는 컴포지트 모드, 제2모드는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하는 컴포넌트 모드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출력 모드는 지상파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방송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체(60)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5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적용될 수 있는 일 예시에 불과하고, 스피커(50)는 본체(60)의 전면 또는 측면에 마련될 수도 있는바, 스피커(50)의 위치나 개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본체(60)의 후면에는 신호 전달 장치(10)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21)가 형성될 수 있고, 단자부(21)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연결되는 제1단자(21a) 및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되는 제2단자(21b)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21)와 신호 전달 장치(10)의 구체적인 연결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의 예시에서는, 본체(60)가 스탠드(S)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예시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60)의 후면에 브라켓(B)이 연결되고, 브라켓(B)이 벽면에 설치되어 벽걸이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신호 전달 장치(100)는 외부 기기(2, 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복수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출력하는 하나의 출력 커넥터(120) 및 복수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를 각각 하나의 출력 커넥터(120)에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130a, 130b, 130c)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기기(2, 3)에 연결되고, 하나의 출력 커넥터(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연결된다.
복수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 및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음향 입력 커넥터(110b, 110c)를 포함한다.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는 서로 다른 포맷의 제1영상 신호와 제2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 신호는 컴포지트 신호일 수 있고, 제2영상 신호는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 중 하나인 제1컴포넌트 신호일 수 있다.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를 컴포지트 신호가 출력되는 제1외부 기기(2)에 연결하면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에 컴포지트 신호가 입력되고,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를 컴포넌트 신호가 출력되는 제2외부 기기(3)에 연결하면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에 제1컴포넌트 신호가 입력된다.
음향 입력 커넥터(110b, 110c)는 좌음향 입력 커넥터(110b)와 우음향 입력 커넥터(110c)를 포함할 수 있고, 영상 입력 커넥터(110a)가 연결된 외부 기기(2, 3)에 음향 입력 커넥터(110b, 110c)를 연결하면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동기화된 음향 신호가 음향 입력 커넥터(110b, 110c)에 입력될 수 있다.
복수의 케이블(130a, 130b, 130c)은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와 출력 커넥터(120)를 연결하는 제1영상 케이블(130a), 좌음향 입력 커넥터(110b)와 출력 커넥터(120)를 연결하는 좌음향 케이블(130b) 및 우음향 입력 커넥터(110c)와 출력 커넥터(120)를 연결하는 우음향 케이블(130c)을 포함한다.
출력 커넥터(120)는 복수의 케이블(130a, 130b, 130c)을 통해 복수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와 모두 연결되어 외부 기기(2, 3)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달한다.
출력 커넥터(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입력 단자(21a)에 삽입 가능한 출력 단자(121)를 포함한다.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출력 단자(121)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입력 단자(21a)에 삽입되고, 복수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가 외부 기기(2, 3)에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와 외부 기기(2, 3)가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신호 전달 장치(200)는 제2외부 기기(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복수의 입력 커넥터(210a, 210b),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출력하는 하나의 제2출력 커넥터(220) 및 복수의 입력 커넥터(210a, 210b)를 각각 하나의 제2출력 커넥터(220)에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230a, 230b)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커넥터(210a, 210b)는 컴포넌트 신호를 제공하는 제2외부 기기(3)에 연결되고, 하나의 출력 커넥터(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연결된다.
복수의 입력 커넥터(210a, 210b)는 각각 제3영상 신호와 제4영상 신호를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3영상 신호와 제4영상 신호는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 중 제1신호 전달 장치(100)에 입력되는 제2영상 신호에 포함되지 않는 컴포넌트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3영상 신호는 제2컴포넌트 신호, 제4영상 신호는 제3컴포넌트 신호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에 입력되는 제2영상 신호가 밝기 신호(Y)인 경우에는, 제2영상 입력 커넥터(210a)에 청색 색차 신호(Pb)가 입력되고 제3영상 입력 커넥터(210b)에 적색 색차 신호(Pr)가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에 입력되는 제2영상 신호가 컴포넌트 신호 중 청색 색차 신호(Pb)인 경우에는, 제2입력 커넥터(210a)에 밝기 신호(Y)가 입력되고 제3영상 입력 커넥터(210b)에 적색 색차 신호(Pr)가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에 입력되는 제2영상 신호가 컴포넌트 신호 중 적색 색차 신호(Pr)인 경우에는, 제2영상 입력 커넥터(210a)에 밝기 신호(Y)가 입력되고 제3영상 입력 커넥터(210b)에 청색 색차 신호(Pr)가 입력될 수 있다.
복수의 케이블(230a, 230b)은 제2영상 입력 커넥터(210a)와 제2출력 커넥터(220)를 연결하는 제2케이블(230a), 제3영상 입력 커넥터(210b)와 제2출력 커넥터(220)를 연결하는 제3케이블(230b)을 포함한다.
제2출력 커넥터(220)는 복수의 케이블(230a, 230b)을 통해 복수의 입력 커넥터(210a, 210b)와 모두 연결되어 제2외부 기기(3)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달한다.
제2출력 커넥터(220) 역시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2입력 단자(21b)에 삽입 가능한 제2출력 단자(221)를 포함한다.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제2출력 단자(221)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2입력 단자(21b)에 삽입되고, 복수의 입력 커넥터(210a, 210b)가 제2외부 기기(3)에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와 제2외부 기기(3)가 제2신호 전달 장치(20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하나의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를 통해 서로 다른 포맷의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케이블과 입력 커넥터의 수가 줄어든다. 따라서, 제1신호 전달 장치(100) 및 제2신호 전달 장치(2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소형화 및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신호 전달 장치(100)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는 모두 디스플레이 장치(1)와 연결되는 출력 커넥터(120, 220)가 단일하게 구성되므로, 출력 커넥터(120, 220)를 연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에 형성되는 단자(21a, 21b)도 단일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커넥터를 어느 단자에 삽입해야 하는지에 관한 사용자의 혼란을 줄여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 및 도 6의 예시에서는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210a, 210b)를 암(female) 커넥터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신호 전달 장치(100) 및 제2신호 전달 장치(200)는 별도의 외부 케이블을 통해 외부 기기(2, 3)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외부 기기(2, 3)의 출력 단자가 수(male) 단자로 구현되어 외부 기기(2, 3)의 출력 단자와 신호 전달 장치(100, 2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210a, 210b)가 직접 연결 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210a, 210b)에도 출력 단자(121, 222)와 같은 수(male) 단자를 형성하여 수 커넥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당해 실시예에서 신호 전달 장치(100, 200)가 외부 기기(2, 3)에 연결된다고 함은, 신호 전달 장치(100, 2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210a, 210b)가 외부 기기(2, 3)의 단자에 직접 연결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것도 포함한다.
도 7은 제1신호 전달 장치의 출력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제1신호 전달 장치의 출력 커넥터와 입력 커넥터 사이의 회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제1출력 단자(121)는 단일 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1출력 단자(121)에는 복수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신호 영역(122a, 122b, 122c)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영상 신호 영역(122a)은 제1영상 케이블(130a)과 연결되어,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를 통해 입력되는 제1영상 신호 또는 제2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달할 수 있다.
좌음향 신호 영역(122b)은 좌음향 케이블(130b)과 연결되어, 좌음향 입력 커넥터(110b)를 통해 입력되는 좌음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달할 수 있다.
우음향 신호 영역(122c)은 우음향 케이블(130c)과 연결되어, 우음향 입력 커넥터(110c)를 통해 입력되는 우음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달할 수 있다.
출력 단자(121)에는 그라운드 영역(123)이 더 형성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영역(123)은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 좌음향 입력 커넥터(110b) 및 우음향 입력 커넥터(110c)의 그라운드와 연결된다.
제1영상 신호 영역(112a), 좌음향 신호 영역(112b), 우음향 신호 영역(112c) 및그라운드 영역(123)은 출력 단자(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각각의 영역으로 전달되는 신호들 사이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 신호 영역(112a), 좌음향 신호 영역(112b), 우음향 신호 영역(112c) 및 그라운드 영역(123) 사이에는 절연 물질(125)이 배치될 수 있다.
당해 예시에 따르면, 제1신호 전달 장치(100)는 하나의 출력 단자(121)를 통해 영상 신호, 좌음향 신호 및 우음향 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달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의 입력 단자(21a)를 통해 영상 신호, 좌음향 신호 및 우음향 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전달 장치(100), 디스플레이 장치(1) 및 신호 전달 장치(100)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 모두 외관의 혼잡성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제2신호 전달 장치의 출력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제2신호 전달 장치의 출력 커넥터와 입력 커넥터 사이의 회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제2출력 단자(221)도 단일 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2출력 단자(221)에는 복수의 입력 커넥터(210a, 210b)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신호 영역(222a, 22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영상 신호 영역(222a)은 제2영상 케이블(230a)과 연결되어, 제2영상 입력 커넥터(210a)를 통해 입력되는 제2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달할 수 있다.
제3영상 신호 영역(222b)은 제3영상 케이블(230b)과 연결되어, 제3영상입력 커넥터(210b)를 통해 입력되는 제3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달할 수 있다.
제2출력 단자(221)에는 그라운드 영역(223)이 더 형성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영역(223)은 제2영상 입력 커넥터(210a) 및 제3영상 입력 커넥터(210b)의 그라운드와 연결된다.
제2영상 신호 영역(212a), 제3영상 신호 영역(212b) 및 그라운드 영역(223)은 제2출력 단자(2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각각의 영역으로 전달되는 신호들 사이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제2영상 신호 영역(212a)과 제3영상 신호 영역(212b) 사이에는 절연 물질(225)이 배치될 수 있다.
당해 예시에 따르면, 제1신호 전달 장치(100) 및 제2신호 전달 장치(200)는 각각 하나의 출력 단자(121, 221)를 통해 영상 신호, 좌음향 신호 및 우음향 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달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의 입력 단자(21a) 또는 두 개의 입력 단자(21a, 21b)를 통해 영상 신호, 좌음향 신호 및 우음향 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전달 장치(10), 디스플레이 장치(1) 및 신호 전달 장치(10)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 모두 외관의 혼잡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 신호와 컴포지트 신호를 각각 별도의 케이블로 전달하는 기존의 구조와 달리, 신호 전달 장치(10)는 컴포넌트 신호 중 하나와 컴포지트 신호를 하나의 영상 케이블(110a)을 통해 전달하기 때문에, 케이블 수의 감소를 통한 외관 혼잡성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신호 전달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본체 후면(61)에는 단자부(21)가 형성되는 단자 형성부(62)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단자 형성부(6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후면(6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후면(61)으로부터 본체(60)의 내부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단자 형성부(62)는 총 5개의 표면을 가질 수 있는바, 그 중 4개의 표면(62a, 62b, 62c, 62d)은 본체 후면(61)과 수직한 표면이고, 1개의 표면(62e)은 본체 후면(61)과 평행한 표면이다.
단자부(21)는 본체 후면(61)과 수직한 표면(62a, 62b, 62c, 62d)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전달 장치(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본체(60)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므로, 본체(60)의 두께 방향에서 부피를 차지하지 않게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벽쪽에 밀착시키기가 용이하다.
일 예로, 제1 입력 단자(21a)와 제2 입력 단자(21b)는 지면을 향하는 표면(62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제1출력 단자(121)가 디스플레이부(40)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고,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제2출력 단자(221)가 디스플레이부(40)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에 연결할 외부 기기(2, 3)는 디스플레이 장치(1)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신호 전달 장치(10)가 아래에서 위로 디스플레이 장치(1)에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아래에 위치하는 외부 기기(2, 3)와 디스플레이 장치(1)를 연결하기가 용이하다.
한편, 단자 형성부(62)에는 컴포넌트 신호와 컴포지트 신호를 입력 받는 제1단자(21a)와 제2단자(21b) 외에도 다른 포맷의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단자들(21c, 21d, 21e)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안테나 케이블을 통해 방송 신호를 입력 받는 안테나 입력 단자(21c), PC 케이블을 통해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PC 입력 단자(21d), HDMI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HDMI 단자(21e)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단자 형성부(62)의 위치나 형태, 단자부(21)의 위치나 개수 등이 도 11 및 도 12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단자부(21)의 개수, 단자부(21)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형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기기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단자 형성부(62)의 위치나 형태, 단자부(21)의 위치나 개수 등을 전술한 예시와 다르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가 구체화된 도면이고, 도 14는 제1신호 전달 장치 및 제2신호 전달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출력 모드를 나타낸 테이블이며, 도 15 내지 도 17은 제1신호 전달 장치 및 제2신호 전달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제1출력 단자(121)가 제1입력단자(21a)에 삽입되면, 제1영상 신호 영역(122a)을 통해 영상 신호(IS)가 입력되고, 좌음향 신호 영역(122b)을 통해 좌음향 신호(SL)가 입력되며, 우음향 신호 영역(122c)을 통해 우음향 신호(SR)가 입력된다.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제2출력 단자(221)가 제2입력 단자(21b)에 삽입되면, 제2영상 신호 영역(222a)을 통해 제3영상 신호(IS3)가 입력되고, 제3영상 신호 영역(222b)을 통해 제4영상 신호(IS4)가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는 제1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고, 제1영상 신호와 다른 포맷의 제2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가 컴포지트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기기(2)에 연결되면 제1영상 신호로서 컴포지트 신호가 입력되고,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가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기기(3)에 연결되면 제2영상 신호로서 제1컴포넌트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영상 입력 커넥터(110a)가 휘도 신호와 컴포지트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경우에는, 제2영상 신호는 휘도 신호(Y)가 될 수 있고, 제3영상 신호(IS3)는 청색 색차 신호(Pb)가 될 수 있으며, 제4영상 신호(IS4)는 적색 색차 신호(Pr)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상 입력 커넥터(110a)가 청색 색차 신호와 컴포지트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경우에는, 제2영상 신호는 청색 색차 신호(Pb) 가 될 수 있고, 제3영상 신호(IS3)는 휘도 신호(Y)가 될 수 있으며, 제4영상 신호(IS4)는 적색 색차 신호(Pr)가 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입력 커넥터(110a)가 적색 색차 신호(Pr)와 컴포지트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경우에는, 제2영상 신호는 적색 색차 신호(Pr)가 될 수 있고, 제3영상 신호(IS3)는 휘도 신호(Y)가 될 수 있으며, 제4영상 신호(IS4)는 청색 색차 신호(Pb)가 될 수 있다.
한편,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제1입력 단자(21a)에 연결된 경우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전달하는 영상 신호는 제1영상 신호일 수도 있고, 제2영상 신호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와의 연결 여부 및 제2신호 전달 장치(200)와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 전달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전달하는 도선을 쇼트(short)시켜 제어부(300)의 제1영상 신호 입력 포트(301)와 제2영상 신호 입력 포트(302)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통해 전달된 영상 신호가 제1영상 신호인 경우에도 영상 신호는 제1영상 신호 입력 포트(301) 및 제2영상 신호 입력 포트(302)에 모두 입력되고,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통해 전달된 영상 신호가 제2영상 신호인 경우에도 영상 신호는 제1영상 신호 입력 포트(301) 및 제2영상 신호 입력 포트(302)에 모두 입력될 수 있다.
나머지 신호들, 즉 좌음향 신호(SL), 우음향 신호(SR), 제3영상 신호(IS3) 및 제4영상 신호(IS4)도 각각 그와 대응되는 입력 포트(303, 304, 305, 306)에 각각 입력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예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통해 컴포지트 신호 또는 휘도 신호가 전달되고, 제2신호 전달 장치(100)를 통해 청색 색차 신호(Pb)와 적색 색차 신호(Pr)가 전달되는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신호 전달 장치(100)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모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00)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모드 비활성화시킨다.
제1신호 전달 장치(100)는 연결되고 제2신호 전달 장치(200)는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00)는 제1모드만 활성화시키고 제2모드는 비활성화시킨다.
제1신호 전달 장치(100)는 연결되지 않고 제1신호 전달 장치(200)는 연결된 경우, 제어부(300)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모두 비활성화시킨다.
제1신호 전달 장치(100)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모두 연결된 경우, 제어부(300)는 제1모드는 비활성화시키고 제2모드는 활성화시킨다.
당해 실시예에서 모드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은 영상 출력 모드를 해당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당해 실시예에서, 신호 전달 장치(100, 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가 연결된다는 것, 신호 전달 장치(100, 200)와 입력 단자(21a, 21b)가 연결된다는 것 또는 신호 전달 장치(100, 200)의 출력 커넥터(120, 220)가 디스플레이 장치(1) 또는 입력 단자(21a, 21b)에 연결된다는 것은 모두 출력 단자(121, 221)가 입력 단자(21a, 21b)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전달 장치(100, 200)가 외부 기기(2, 3)와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 연결되는 것 뿐만 아니라, 외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도 14의 테이블에 도시된 각각의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당해 예시에서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 및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외부 케이블(111a, 111b, 11c, 111d, 111e)를 통해 외부 기기(2, 3) 와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와 신호 전달 장치(100, 2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210a, 210b)와 외부 기기(2, 3)는 별도의 외부 케이블(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을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케이블(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은 신호의 규격을 변환시키는 변환 젠더, 길이를 연장시켜주는 연장 젠더, 단자를 여러 개로 나눠주는 분배 젠더 등 다양한 젠더(gender) 중 하나일 수 있다.
별도의 외부 케이블(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은 신호 전달 장치(100, 2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210a, 210b)의 개수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 기기(3)에 연결되는 입력 단자의 수는 외부 기기(3)의 출력 단자의 개수에 대응되는 입력 단자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비디오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 기기(2)로부터 컴포지트 방식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컴포지트 영상 신호(CVBS)와 음향 신호(SL, SR)가 입력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외부 기기(2)로부터 컴포지트 방식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를 제1외부 기기(2)에 연결하고 출력 커넥터(120)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외부 케이블(111a, 111b, 111c)를 통해 제1외부 기기(2)와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가 제1외부 기기(2)에 삽입 가능한 입력 단자를 구비한 경우에는 외부 케이블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제1외부 기기(2)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0)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 중 제1신호 전달 장치(100)만 디스플레이 장치(1)에 연결된 경우, 컴포지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제1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시간 차를 두고 연결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제1신호 전달 장치(100) 또는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제1입력 단자(21a) 또는 제2입력 단자(21b)에 연결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 모드를 결정하지 않고 대기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연결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2입력 단자(21b)에 추가적인 연결이 있으면, 컴포넌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제2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추가적인 입력이 없으면, 컴포지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제1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는,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1입력 단자(21a)에 추가적인 연결이 있으면, 컴포넌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제2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추가적인 입력이 없으면, 컴포넌트 신호 중 하나가 누락된 것으로 인식하여 제1모드와 제2모드를 모두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셋탑 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3)로부터 컴포넌트 방식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세 개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인 휘도 신호(Y), 청색 색차 신호(Pb) 및 적색 색차 신호(Pr)와 음향 신호(SL, SR)가 입력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 기기(3)로부터 컴포넌트 방식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를 제2외부 기기(3)에, 제1출력 커넥터(120)를 디스플레이 장치(1)에 연결하고,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입력 커넥터(210a, 210b)를 제2외부 기기(3)에, 제2출력 커넥터(220)에 디스플레이 장치(1)에 연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외부 케이블(111a, 111b, 111c, 111d, 111e)를 통해 제1외부 기기(2)와 제1신호 전달 장치(100), 제2외부 기기(3)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입력 커넥터(210a, 210b)가 외부 기기(2, 3)에 삽입 가능한 입력 단자를 구비한 경우에는 외부 케이블을 통하지 않고 직접 외부 기기(2, 3)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0)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모두 디스플레이 장치(1)에 연결된 경우, 컴포넌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제2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신호 전달 장치(200)만 디스플레이 장치(1)와 외부 기기(3)에 연결하고 제1신호 전달 장치(100)는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휘도 신호(Y)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300)는 제1모드와 제2모드 어느 쪽도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300)는 전술한 모드 결정 동작 외에도 입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나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하는 신호 처리 동작을 포함한 제어를 더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30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수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S램(S-RAM), D램(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를 구성하는 프로세서나 메모리는 하나의 칩(chip)에 집적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해당 칩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함께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00)는 복수의 프로세서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프로세서나 메모리를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신호 전달 장치(100, 200)의 외관과 관련된 다양한 예시들을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는 신호 전달 장치의 커넥터 외관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신호 전달 장치(100, 200)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제어부(300)이나, 신호 전달 장치(100, 200)를 디스플레이 장치(1)와 외부 기기(2, 3)에 연결하는 것은 사용자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호 전달 장치(100, 2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210a, 210b)와 출력 커넥터(120, 220)를 외부 기기(2, 3)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단자에 각각 적절하게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신호 전달 장치(100, 200)에 각각의 커넥터가 연결되어야 하는 단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시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2, 3)와 연결되는 입력 커넥터 (110a, 110b, 110c, 210a, 210b)의 색을 서로 다르게 표현하여 상호 구분 가능하게 하고, 외부 기기(2, 3)의 단자 또는 그와 인접한 위치에 입력 커넥터 (110a, 110b, 110c, 210a, 210b)의 색과 동일한 색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 커넥터 (110a, 110b, 110c, 210a, 210b)를 그와 대응되는 입력 단자(21a, 21b)에 연결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블(111a, 111b, 111c, 111d, 111e)를 통해 연결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영상 입력 커넥터(110a)는 컴포지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외부 기기(2)에 연결될 수도 있고,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외부 기기(3)에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력 커넥터(110a)는 제1외부 기기(2)의 영상 출력 단자(2a)와 대응되는 색 및 제2외부 기기(3)의 영상 출력 단자(3a)와 대응되는 색을 모두 가질 수 있다.
이 때, 두 색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나,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색을 나타내기만 하면 되고 그 배열 방향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는 녹색과 노란색을 가질 수 있고, 좌음향 입력 커넥터(110b)는 흰색을, 우음향 입력 커넥터(110c)는 주황색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대응되는 제1외부 기기(2)의 영상 출력 단자(2a)는 노란색을, 음향 출력 단자(2b, 2c)는 각각 흰색, 주황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제2영상 입력 커넥터(210a)는 청색을 가질 수 있고, 제3영상 입력 커넥터(210b)는 적색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대응되는 제2외부 기기(3)의 영상 출력 단자(3a, 3b)는 각각 청색과 적색을 가질 수 있고, 컴포넌트 신호 중 나머지 하나의 신호가 출력되는 영상 출력 단자(3c)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제1영상 입력 커넥터(110a)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녹색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2외부 기기(3)의 음향 출력 단자(3d, 3e)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음향 입력 커넥터(110b, 110c)와 동일하게 각각 흰색, 주황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전달 장치(100, 200)의 출력 커넥터(120, 220) 역시 색을 서로 다르게 표현하여 상호 구분 가능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입력 단자(21a, 21b) 또는 입력 단자(21a, 21b)와 인접한 위치에 출력 커넥터(120, 220)의 색과 동일한 색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출력 커넥터(120, 220)를 그와 대응되는 입력 단자(21a, 21b)에 적절하게 삽입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신호 전달 장치의 길이에 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의 예시를 참조하면,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각각의 케이블(130a, 130b, 130c)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각각의 케이블(230a, 230b)도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어느 케이블의 길이가 더 길고 짧은지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세 케이블(130a, 130b, 130c)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두 케이블(230a, 230b)의 길이가 서로 다르면 된다.
여기서,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세 케이블(130a, 130b, 130c)과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두 케이블(230a, 230b)의 상호 간의 길이 역시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일부 동일하게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 및 도 21의 예시와 같이, 각각의 케이블의 길이가 서로 다르면,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210a, 210b)들끼리 겹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호 간에 겹쳐진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210a, 210b)의 부피 증가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를 벽에 최대한 밀착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이 구체화된 제어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수신부(20)와 신호 전달 장치(10)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310) 및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 및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신호 처리부(320)는 외부 기기(2, 3)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21), 디지털 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와 스피커(50)에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322) 및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40)와 스피커(50)로 출력하는 디코더(3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320)는 튜너(미도시)에서 출력된 방송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를 분리하는 DEMUX(Demultiplex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튜너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안테나가 수신한 다수의 방송 신호로부터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코더(323)는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와 음향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디코더에서 영상 신호의 디코딩과 음향 신호의 디코딩이 모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코더(323)는 소프트웨어 디코더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 디코더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모드 결정부(310)와 신호 처리부(320)는 동일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공유할 수도 있고, 별도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모드 전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 또는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바, 이 때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모드 전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3의 예시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모드에서 동작하는 중에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출력 단자(121)가 삽입되면, 제어부(300)는 컴포지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제1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이 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가 제1모드로 전환됨을 알려주는 화면(41a)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모드 전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출력 모드가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부(40)에 외부 기기(2)로부터 전달된 컴포지트 영상을 출력하기 전까지 화면(41a)의 배경에는 기존에 표시되던 방송 화면이 그대로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1모드로 전환됨을 알려주는 화면(41a)을 보고 신호 전달 장치(100)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4의 예시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모드에서 동작하는 중에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제1출력 단자(121)가 삽입되고,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제2출력 단자(221)가 삽입되면, 제어부(300)는 컴포넌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제2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이 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가 제2모드로 전환됨을 알려주는 화면(41b)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모드 전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출력 모드가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부(40)에 외부 기기(3)로부터 전달된 컴포넌트 영상을 출력하기 전까지 팝업(41b)의 배경에는 기존에 표시되던 방송 화면이 그대로 표시될 수도 있고, 다른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2모드로 전환됨을 알려주는 화면(41b)을 보고 신호 전달 장치(100, 200)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모드 전환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술한 예시와 같이 영상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 출력 모드를 전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5의 예시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모드에서 동작하는 중에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제1출력 단자(121)가 삽입되면, 제어부(300)는 영상 출력 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한다. 다만, 바로 제1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40)에 제1모드로 전환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가이드하는 화면(41c)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50)를 조작하여 예 버튼(41c-1) 또는 아니오 버튼(41c-2)을 선택할 수 있고, 예 버튼(41c-1)이 선택되면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를 제1모드로 전환하고, 아니오 버튼(41c-2)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를 기존의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6의 예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모드에서 동작하는 중에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제1출력 단자(121)가 삽입되고,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제2출력 단자(221)가 삽입되면, 제어부(300)는 영상 출력 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0)에 제2모드로 전환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가이드하는 화면(41d)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50)를 조작하여 예 버튼(41d-1) 또는 아니오 버튼(41d-2)을 선택할 수 있고, 예 버튼(41d-1)이 선택되면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를 제2모드로 전환하고, 아니오 버튼(41d-2)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를 기존의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0은 신호 전달 장치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4의 테이블을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만 연결되고, 제1신호 전달 장치(100)는 연결되지 않은 경우, 영상 재생에 필요한 세 개의 컴포넌트 신호 중 하나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300)는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어느 영상 출력 모드도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40)는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신호의 입력이 누락되었음을 알려주는 화면(41e, 41f, 41g)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청색 색차 신호(Pb)와 적색 색차 신호(Pr)를 전달하고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밝기 신호(Y)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기 신호의 입력이 누락되었음을 알려주는 화면(41e)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적색 색차 신호(Pr)와 밝기 신호(Y)를 전달하고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청색 색차 신호(Pb)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색차 신호(Pb)의 입력이 누락되었음을 알려주는 화면(41f)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청색 색차 신호(Pb)와 밝기 신호(Y)를 전달하고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적색 색차 신호(Pr)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색차 신호(Pb)의 입력이 누락되었음을 알려주는 화면(41g)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음향 신호의 경로 역시 제1입력 단자(21a)를 통하기 때문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연결되지 않으면, 음향 신호도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신호(SL, SR)의 입력이 누락되었음을 알려주는 화면(41h)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존에는 세 개의 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세 개의 케이블이 동일한 출력 커넥터에 연결되었으나, 당해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장치(100, 200)에서는 컴포넌트 신호 중 하나가 컴포지트 신호와 하나의 케이블(130a)을 공유하면서 나머지 컴포넌트 신호와는 다른 신호 전달 장치(100)를 통해 전달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가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연결을 가이드하는 화면을 표시해주면, 사용자는 컴포넌트 방식으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연결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외부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연결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신호 전달 장치(100, 200)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1)를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31은 신호 전달 장치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27 내지 도 30의 예시에서는 입력이 누락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누락된 신호 전달 장치의 연결을 가이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누락된 신호 전달 장치에 관한 정보를 직접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31의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는 누락된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화면(41j)을 표시함으로써,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연결을 가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화면(41j)은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케이블(130a, 130b, 130c)의 개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의 개수, 출력 커넥터(120)의 개수 및 각 커넥터의 색상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화면(41j)을 보고 연결이 필요한 신호 전달 장치가 무엇인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은 신호 전달 장치와 외부 기기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출력 단자(121)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입력 단자(21a)에 삽입되고,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출력 단자(221)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2입력 단자(21b)에 삽입되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입력 커넥터(210a, 210b)가 각각 그에 대응되는 제2외부 기기(3)의 출력 단자(3a, 3b, 3c, 3d, 3e)에 연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41k)을 표시할 수 있다. 별도의 외부 케이블을 통한 연결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제1출력 단자(121)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입력 단자(21a)에 삽입되고, 제2입력 단자(21b)에는 제2출력 단자(221)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가 각각 그에 대응되는 제2외부 기기(2)의 출력 단자(2a, 2b, 2c)에 연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41l)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가 더 구체화된 제어 블록도이고, 도 35 및 도 36은 신호 전달 장치의 연결을 가이드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입력 단자(21a) 및 제2입력 단자(21b)와 신호 전달 장치(100, 200)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한 이후에, 실제로 입력되는 신호의 포맷을 판별하는 신호 판별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력 단자(21a)와 제1신호 전달 장치(100)만 연결되고, 제2입력 단자(21b)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는 연결되지 않은 경우, 모드 결정부(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를 컴포지트 영상을 출력하는 제1모드로 결정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컴포지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외부 기기(2)에 연결되지 않고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외부 기기(3)에 연결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처리부(320)에는 세 개의 컴포넌트 신호 중 하나만 입력되기 때문에, 입력된 신호를 그대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할 경우, 디스플레이부(40)에는 색차 정보가 없거나 밝기 정보가 없는 영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신호 판별부(330)는 제2외부 기기(3)로부터 출력되어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통해 전달된 신호가 컴포넌트 신호임을 판별하고, 모드 결정부(310)는 영상 출력 모드를 제1모드가 아니라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은 제2모드인 것으로 재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40)는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연결을 가이드하는 화면(41m, 41n)을 표시할 수 있다.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컴포넌트 신호 중 밝기 신호(Y)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색차 신호(Pb)와 적색 색차 신호(Pr)의 입력이 누락되었음을 텍스트로 알려주는 화면(41m)을 표시할 수도 있고,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외관을 나타내는 화면(41n)을 표시하여 연결이 필요한 신호 전달 장치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경우 외에도 모드 결정부(310)는 입력 단자(21a, 21b)와 신호 전달 장치(100, 200)의 연결 여부에 따라 결정된 모드와 실제로 입력된 신호의 포맷이 대응되지 않는 다른 경우도 판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와 입력되는 신호가 대응될 수 있도록 신호 전달 장치(10)의 연결을 가이드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력 단자(21a)와 제2입력 단자(21b)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각각 연결되어 출력 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하였으나, 실제로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제2외부 기기(3)가 아닌 제1외부 기기(2)에 연결된 경우, 신호 판별부(330)가 입력된 신호 중 컴포지트 신호를 판별하면, 모드 결정부(310)는 결정된 제2모드와 컴포지트 신호가 대응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0)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제1외부 기기(2)가 아닌 제2외부 기기(3)에 연결하도록 가이드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 및 그에 포함되는 신호 전달 장치(100, 200)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36에 대한 설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세 개의 컴포넌트 신호 중 두 개의 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고,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나머지 한 개의 컴포넌트 신호 또는 컴포지트 신호, 그리고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연결되고(510의 예),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되면(511의 예), 제어부(300)는 컴포넌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전환될 영상 출력 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한다(512).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는 제1 모드와 제2모드를 포함하고, 제1모드는 컴포지트 방식으로 전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하는 모드이고, 제2모드는 컴포넌트 방식으로 전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하는 모드이다.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를 제2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513).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가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3모드(방송 모드)에서 동작 중이었던 경우, 제어부(300)가 제1입력 단자(21a) 및 제2입력 단자(21b)의 연결을 인식하고 제2모드로의 전환을 결정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3모드에서 제2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즉, 영상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이 없더라도, 신호 전달 장치(100, 200)가 입력 단자(21a, 21b)에 연결되면 영상 출력 모드가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는 연결되었으나(510의 예),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511의 아니오), 제어부(300)는 컴포지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전환될 영상 출력 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한다(517).
마찬가지로,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를 제1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518).
또는,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연결되지 않았으나(510의 아니오),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된 경우(514의 예)에는 제어부(300)는 컴포넌트 신호 중 하나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모드를 비활성화시킨다(515). 여기서, 모드를 비활성화시킨다는 것은 외부 기기(2, 3)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출력하는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어느 모드도 활성화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제1입력 단자(21a)와 제2입력 단자(21b) 모두 제1신호 전달 장치(100) 및 제2신호 전달 장치(200)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510의 아니오, 514의 아니오)에도 외부 기기(2, 3)로부터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모드를 비활성화시킨다(516).
한편, 당해 예시에서는 제어부(300)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출력 모드를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자동 전환시키는바, 전술한 도 23 및 도 24의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전환 시에 디스플레이부(40)에 모드 전환을 안내하는 화면(41a, 41b)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에 관한 선택을 입력 받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연결되고(520의 예),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되면(521의 예), 제어부(300)는 컴포넌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전환될 영상 출력 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한다(522).
이 때, 바로 영상 출력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에 관한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선택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523),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이 선택되면(524), 출력 모드를 제2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525).
예를 들어, 전술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에 제2모드로 전환할 지 여부를 묻는 화면(41d)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화면(41d)에 표시된 예 버튼(41d-1)이나 아니오 버튼(41d-2)을 선택하여 모드 전환에 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는, 예 버튼(41d-1)이 선택되면 영상 출력 모드를 제2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525).
또는,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는 연결되었으나(520의 예),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521의 아니오), 제어부(300)는 컴포지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전환될 영상 출력 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한다(529).
이 경우에도, 영상 출력 모드를 바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에 관한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선택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530),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이 선택되면(531), 출력 모드를 제1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532).
예를 들어, 전술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에 제1모드로 전환할 지 여부를 묻는 화면(41c)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화면(41c)에 표시된 예 버튼(41c-1)이나 아니오 버튼(41c-2)을 선택하여 모드 전환에 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는, 예 버튼(41c-1)이 선택되면 영상 출력 모드를 제1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532).
또는,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연결되지 않았으나(520의 아니오),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된 경우(526의 예)에는 제어부(300)는 컴포넌트 신호 중 하나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모드를 비활성화시킨다(527).
또는, 제1입력 단자(21a)와 제2입력 단자(21b) 모두 제1신호 전달 장치(100) 및 제2신호 전달 장치(200)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520의 아니오, 526의 아니오)에도 외부 기기(2, 3)로부터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모드를 비활성화시킨다(528).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에 관한 선택을 입력 받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도 37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9를 참조하면,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연결되지 않았으나(510의 아니오),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된 경우에(514의 예), 바로 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제1입력 단자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519)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통해 전달되는 컴포넌트 신호가 밝기 신호(Y)인 경우에는 전술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기 신호(Y)의 입력이 없음을 알려주는 화면(41e)을 표시할 수 있고,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통해 전달되는 컴포넌트 신호가 청색 색차 신호(Pb)인 경우에는 전술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색차 신호(Pb)의 입력이 없음을 알려주는 화면(41f)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통해 전달되는 컴포넌트 신호가 적색 색차 신호(Pb)인 경우에는 전술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색차 신호(Pr)의 입력이 없음을 알려주는 화면(41g)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신호(SL, SR)의 입력이 없음을 알려주는 화면(41h)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외관을 직접 나타내는 화면(41j)을 표시하여 연결이 필요한 신호 전달 장치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입력 단자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 이후에, 제1입력 단자가 연결되면, 제어부(300)는 출력 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하고,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전술한 도 38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에 관한 선택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신호 전달 장치 사이의 연결을 가이드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도 37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연결되고(510의 예),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되면(511의 예), 제어부(300)는 컴포넌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전환될 영상 출력 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한다(512).
케이블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다수의 입력 커넥터를 외부 기기(2)에 연결함에 있어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는 제2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540).
예를 들어, 전술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에 외부 기기(3)의 출력 단자(3a, 3b, 3c, 3d, 3e)와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입력 커넥터(210a, 210b) 사이의 연결 관계를 이미지로 나타낸 화면(41k)을 표시함으로써, 신호 전달 장치(100, 200)와 외부 기기(2, 3)의 연결을 직관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는,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는 연결되었으나(510의 예),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511의 아니오), 제어부(300)는 컴포지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전환될 영상 출력 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한다(517).
이 경우에는 제1외부 기기(2)와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541)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에 외부 기기(2)의 출력 단자(2a, 2b, 2c)와 제1신호 전달 장치(100)의 입력 커넥터(110a, 110b, 110c) 사이의 연결 관계를 이미지로 나타낸 화면(41l)을 표시함으로써, 신호 전달 장치(100)와 외부 기기(2)의 연결을 직관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1 및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실제 입력되는 신호를 판별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도 37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1을 참조하면, 제1입력 단자(21a)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연결되고(510의 예), 제2입력 단자(21b)에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아(511의 아니오), 영상 출력 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517)한 경우, 제어부(300)는 실제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입력된 신호가 컴포지트 신호인 경우(550의 예)에는 영상 출력 모드를 제1모드로 자동 전환하고(518), 컴포지트 신호가 아닌 경우(550의 아니오)에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가 컴포지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외부 기기(2)가 아닌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외부 기기(3)와 연결된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입력된 신호가 제1모드에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영상 출력 모드를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은 제2모드인 것으로 재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0)는 제2입력 단자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551).
예를 들어, 전술한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신호 전달 장치(200)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화면(41m, 41n)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제1입력 단자(21a)와 제2입력 단자(21b)에 제1신호 전달 장치(100)와 제2신호 전달 장치(200)가 각각 연결되어(510의 예, 511의 예) 출력 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한 경우(512)에도 제어부(300)는 입력된 신호의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입력된 신호에 컴포지트 신호가 포함된 경우(552의 예), 제어부(300)는 결정된 제2모드와 컴포지트 신호가 대응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0)는 제1신호 전달 장치(100)를 제1외부 기기(2)가 아닌 제2외부 기기(3)에 연결하도록 가이드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553).
전술한 도 40 내지 도42의 예시에서는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전술한 도 39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에 관한 선택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컴포넌트 신호 중 하나와 컴포지트 신호를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신호 전달 장치의 부피와 외관의 혼잡성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입력 단자와 신호 전달 장치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판단 및 활성화시킴으로써, 신호 전달 장치의 연결 상태에 맞는 적절한 출력을 구현하여 영상은 표시되고 음향은 출력되지 않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0: 제1신호 전달 장치
200: 제2신호 전달 장치
20: 수신부
300: 제어부
40: 디스플레이부
50: 스피커

Claims (20)

  1. 제1방식으로 전달되는 제1영상 신호와, 상기 제1방식과 다른 제2방식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 중 하나인 제2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영상 케이블,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음향 케이블 및 상기 제1영상 케이블 및 상기 음향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1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신호 전달 장치;
    상기 제2방식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영상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제2영상 케이블 및 상기 제2영상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2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신호 전달 장치;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1입력 단자 및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2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수신부;
    상기 제1출력 커넥터와 상기 제1입력 단자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제2출력 커넥터 상기 제2입력 단자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 신호는 컴포지트(composite) 신호이고, 상기 제2영상 신호는 복수의 컴포넌트(component) 신호 중 하나이며,
    상기 영상 출력 모드는, 상기 컴포지트 신호를 처리하여 컴포지트 영상을 출력하는 제1모드 및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를 처리하여 컴포넌트 영상을 출력하는 제2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제1모드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결정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입력 단자 및 상기 제2입력 단자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 커넥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입력 단자에 삽입되고,
    상기 제2출력 커넥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입력 단자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입력 단자에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단자에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출력 커넥터와 상기 제1입력 단자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전달 장치는,
    컴포지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외부 기기 또는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외부 기기와 상기 제1영상 케이블을 연결하는 제1영상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제1외부 기기 또는 상기 제2외부 기기와 상기 음향 케이블을 연결하는 음향 입력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신호 전달 장치는,
    상기 제2외부 기기와 상기 제2영상 케이블을 연결하는 제2영상 입력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입력 단자에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에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음향 입력 커넥터와 상기 제1외부 기기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입력 단자에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에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영상 입력 커넥터, 상기 음향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제2영상 입력 커넥터와 상기 제2외부 기기의 연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 중 하나인 제1컴포넌트 신호와 컴포지트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영상 케이블,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음향 케이블, 상기 제1영상 케이블 및 상기 음향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1출력 커넥터 및 컴포지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외부 기기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외부기기와 외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1입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신호 전달 장치;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 중 제2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제2영상 케이블,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 중 제3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제3영상 케이블, 상기 제2영상 케이블 및 상기 제3영상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2출력 커넥터 및 복수의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외부기기와 외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2입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신호 전달 장치; 및
    상기 제1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1입력 단자 및 상기 제2출력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2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커넥터는,
    상기 제1영상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1영상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음향 케이블과 연결되는 음향 입력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입력 커넥터는,
    상기 제2영상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2영상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제3영상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3영상 입력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영상 입력 커넥터, 상기 음향 입력 커넥터, 상기 제2영상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제3영상 입력 커넥터는 암(female) 커넥터인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 케이블 및 상기 음향 케이블은, 그 길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제2영상 케이블 및 상기 제3영상 케이블은, 그 길이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컴포넌트 신호와 컴포지트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영상 케이블,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음향 케이블, 상기 제1영상 케이블 및 상기 음향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1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신호 전달 장치와 제1입력 단자가 연결되었는지 판단하고;
    제2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제2영상 케이블, 제3컴포넌트 신호를 전달하는 제3영상 케이블, 상기 제2영상 케이블 및 상기 제3영상 케이블과 연결된 하나의 제2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신호 전달 장치와 제2입력 단자가 연결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출력 커넥터와 상기 제1입력 단자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제2출력 커넥터 상기 제2입력 단자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컴포지트 신호를 처리하여 컴포지트 영상을 출력하는 제1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컴포넌트 신호를 처리하여 컴포넌트 영상을 출력하는 제2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입력 단자와 상기 제1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2입력 단자와 상기 제2신호 전달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결정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011884A 2015-12-23 2016-01-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5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2503.9A EP3185568A1 (en) 2015-12-23 2016-08-0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necting external sources
US15/238,851 US10116896B2 (en) 2015-12-23 2016-08-1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018121889A RU2018121889A (ru) 2015-12-23 2016-09-29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PCT/KR2016/010923 WO2017111264A1 (en) 2015-12-23 2016-09-2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11186009.1A CN107040737A (zh) 2015-12-23 2016-12-20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6/152,012 US10547810B2 (en) 2015-12-23 2018-10-0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387163P 2015-12-23 2015-12-23
US62/387,163 2015-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613A true KR20170075613A (ko) 2017-07-03

Family

ID=5935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884A KR20170075613A (ko) 2015-12-23 2016-01-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70075613A (ko)
CN (1) CN107040737A (ko)
RU (1) RU20181218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5355B2 (en) 2017-09-22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7272A1 (en) * 2004-04-14 2005-11-10 Thomson Licensing S.A. A system and a method for sharing video input jacks
CN100527809C (zh) * 2006-03-30 2009-08-1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具有辅助接线功能的影音播放系统与方法
EP2192573B1 (en) * 2008-11-26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ing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and method of determining format of input image thereof
JP2010278530A (ja) * 2009-05-26 2010-12-09 Sanyo Electric Co Ltd 画像表示装置
CN203181090U (zh) * 2013-01-22 2013-09-04 深圳市显盈电子科技有限公司 高清晰度多媒体信号转换装置
JP2015050709A (ja) * 2013-09-03 2015-03-16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686012A (zh) * 2013-12-05 2014-03-2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信号端子复用装置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5355B2 (en) 2017-09-22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8121889A (ru) 2019-12-16
CN107040737A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0117B2 (en) Channel selection device used in digital/analog broadcasting receiver
KR100739405B1 (ko) 텔레비전 장치의 프로그래밍 중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US9134950B2 (en) Video wall display system
US20090281643A1 (en) Audio processing device, audi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210325B2 (en) Video signal and tally signal switcher system
US201500359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urrently displaying multiple views
US10516835B2 (en) Imag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video signal in multiple video modes
US20140205024A1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EP209274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7561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52431A1 (en) Screen adju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multi-display unit
US105478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097020A1 (en) Display device
US8810737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external device
WO2013098994A1 (ja) 映像表示装置
JP2005333293A (ja) 映像音声信号出力機器
MX2008010367A (es) Caja de correccion automatica con receptor digital para mejorar tv con receptor analogo.
US9621837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TV program accompanying sounds
JP4424371B2 (ja) 表示装置
US20120050499A1 (en) Information Output Control Apparatus
US8296795B2 (en) Method for tuning to channel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00107192A (ko) 텔레비전의 다기능 거치대
JP2008166898A (ja) テレビ受信機、そのリモコン、及びテレビゲームシステム
JP2008072557A (ja) リモコン装置
EP242423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broadcast channel for a 2D/3D switchable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