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396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396A
KR20100052396A KR1020090076570A KR20090076570A KR20100052396A KR 20100052396 A KR20100052396 A KR 20100052396A KR 1020090076570 A KR1020090076570 A KR 1020090076570A KR 20090076570 A KR20090076570 A KR 20090076570A KR 20100052396 A KR20100052396 A KR 20100052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external port
signal
port device
input 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성진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614,72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118000A1/en
Priority to EP09175540A priority patent/EP2184916A1/en
Publication of KR2010005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를 구비한 외부포트장치가 연결되는 통합입력포트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신호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를 구비한 외부포트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통합입력포트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통합입력포트부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림화가 가능해지고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Figure P1020090076570
디스플레이장치, 통합입력포트부, 슬림화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를 구비한 외부포트장치가 접속가능한 통합입력포트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영상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장치에 DVD 플레이어, 컴퓨터, USB 또는 오디오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외부기기가 연결되어 그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DVD/BD 플레이어, 컴퓨터, USB 또는 오디오 시스템과 같은 외부기기가 접속되도록 각각의 규격에 맞는 입력포트가 모두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신호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를 구비한 외부포트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통합입력포트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통합입력포트부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포트장치로부터 수신되는 ID 신호와 상기 외부포트장치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ID 신호는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입력포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UI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입력포트부에 상기 외부포트장치가 연결될 경우,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를 표시하는 UI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UI 생성부를 제어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가 접속된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를 표시하는 UI 정보가 활성화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UI 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통합입력포트부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를 구비한 외부포트장치가 연결되는 통합입력포트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포트장치로부터 ID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ID 신호와 상기 외부포트장치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더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포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ID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ID 신호는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의 제어방법은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UI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UI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가 접속된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를 표시하는 UI 정보가 활성화되도록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50), 통합입력포트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UI 생성부(1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30); 상기 영상신호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210)를 구비한 외부포트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통합입력포트부(110);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200)를 제어하고,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30)는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 방송수신모듈(미도시)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 또는 세탑박스, DVD 플레이어/BD 플레이어, 컴포넌트 비디오, 컴포지트 비디오 또는 PC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CRT, LCD 또는 PDP 패널과 같은 다양한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면에 위치하고,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210)를 구비한 외부포트장치(200)와 연결가능하다. 이에 의해, 복수의 입력포트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직접 마련되던 기존 장치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가 마련된 외부포트장치와 연결되는 통합입력포트부만 마련되어 있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림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가 마련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되어야 하는 입력포트의 수 제한이 있었고, 특히 벽걸이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 후면부에 보통 입력포트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가 디스플레이장치에 반드시 구비되지 않아도 되기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림화가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200)를 제어하고,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외부포트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ID 신호와 상기 외부포트장치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식별한다.
상기 외부포트장치(200)는 같은 종류의 입력포트 복수 개 및/또는 다른 종류의 입력포트 복수 개를 위한 복수의 입력포트(21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210)가 PC를 위한 입력포트(211), 컴포넌트 비디오를 위한 입력포트(212), S-Video를 위한 입력포트(213) 및 HDMI를 위한 입력포트(2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UI 생성부(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에 상기 외부포트장치(200)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를 표시하는 UI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상기 UI 생성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가 접속된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를 표시하는 UI 정보가 활성화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상기 UI 생성부(140)를 제어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포트장치(200)는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210);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를 단속하는 스위칭부(220); 및 영상 및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는 HDMI, PC, USB, DVD/BD 플레이어, 컴포넌트 비디오, 컴포지트 비디오, S-Video 또는 Audio와 같은 다양한 외부기기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210)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외부기기의 커넥터와 접속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210)는 같은 종류의 입력포트 복수 개 및/또는 다른 종류의 입력포트 복수 개가 상기 외부포트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220)는 상기 제어부(120)에 의한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210)를 단속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PC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입력포트(211)를 위한 스위치 1(221), 컴포넌트 비디오 또는 S-Video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입력포트(212, 213)를 위한 스위치 2(222), HDMI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입력포트(214)를 위한 스위치 3(223)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210)에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제어부(120)에 의한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220)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 만이 상기 출력부(230)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출력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에 의한 제어신호가 상기 컴포넌트 비디오의 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스위치 2(222)은 ON 되어 상기 컴포넌트 비디오의 영상신호가 상기 출력부(230)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출력된다. 이때, 스위치 1(221)및 스위치 3(223)은 OFF 되어 PC 또는 HDMI로부터의 영 상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되지 않는다.
도 3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는 상기 외부포트장치(200)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에 외부포트장치(200)에 마련되고, 케이블이 없는, 커넥터 방식의 접속단자(240)가 접속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에 외부포트장치(200)가 유선의 케이블(400)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에 외부포트장치(200)가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송수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수신모듈은 외부포트장치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안테나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고, 외부포트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안테나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 6은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에 외부포트장치(200)가 유선의 케이블(400)로 연결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케이블은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케이블과 같은 24p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소비자의 연결 편의성이 증대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할 때, 연결 잭의 길이로 인한 깊이의 제약이 없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외부포트장치로부터 수신되는 ID 신호와 상기 외부포트장치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외부포트장치(200)는 같은 종류의 입력포트 복수 개 및/또는 다른 종류의 입력포트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어떤 조합에 의한 복수 개의 입력포트가 마련되어 있는지에 따라 ID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HDMI, PC, 컴포넌트 비디오를 위한 복수의 입력포트가 마련된 외부포트장치의 경우, 그 ID 신호는 1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HDMI를 위한 복수의 입력포트가 마련된 외부포트장치는 그 ID 신호를 2로 설정할 수 있고, 컴포넌트 비디오를 위한 복수의 입력포트가 마련된 외부포트장치는 그 ID 신호를 3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ID 신호에 따른 외부포트장치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어부(120)에 기설정된 식별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포트장치(200)가 통합입력포트부(11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외부포트장치(200)의 ID 신호와 기설정되어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식별하여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가 파악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포트장치에 맞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포트장치가 식별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가 ON 상태라 할지라도 소프트웨어적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 외부포트장치의 ID 신호는 시리얼 저항에 의해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상기 ID 신호는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에 연결된 외부포트장치가 어떤 종류의 입력포트가 몇 개 마련되어 있는 지에 대해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입력포트부에 외부포트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포트장치의 ID 신호와 기설정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식별하여, 어떤 종류의 입력포트가 몇 개 마련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한 정보에 따른 UI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상기 UI 생성부(140)를 제어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120)는 두 개의 HDMI, PC 및 USB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가 마련된 외부포트장치가 통합입력포트부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입력포트 종류 및 개수의 정보에 대한 UI정보(170)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복수의 커넥터 중에서 실질적으로 커넥터가 접속된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를 표시하는 UI 정보가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상기 UI 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120)는 두 개의 HDMI, PC 및 USB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가 마련된 외부포트장치가 통합입력포트부에 접속되고, 이 중에서 한 개의 HDMI와 PC의 커넥터가 실질적으로 입력포트에 접속된 경우, 상기 HDMI 및 PC가 접속된 입력포트의 정보를 표시하는 UI(180)가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UI는 OSD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 선택부(300)를 더 포함하는데(도 6 참조), 상기 사용자 선택부(300)는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210) 중 어느 하나를 선 택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8과 같이, 실질적으로 커넥터가 접속된 입력포트의 정보를 표시하는 UI(180)가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경우, 사기 사용자 선택부(300)에 의해 상기 활성화된 UI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어느 하나의 UI가 상기 사용자 선택부(300)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선택된 UI가 표시하는 입력포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도록 외부포트장치(20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9a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상세 회로도를, 도 9b는 외부포트장치의 상세 회로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통합입력포트부(110)를 통하여 상기 외부포트장치의 ID 신호 뿐만 아니라,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전원, 일반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일반신호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잭 ID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상기 외부포트장치의 ID 신호와는 별도로, 상기 잭 ID 신호에 의하여 외부포트장치의 어느 입력포트가 활성화 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컴포넌트 비디오, PC 및 HDMI 커넥터가 외부포트장치의 입력포트에 접속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포트장치의 ID 신호를 기 실정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포트장치에 접속된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를 UI 정보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 선택부(300)에 의해 상기 컴포넌트 비디오의 UI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컴포넌트 비디오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만 출력되도록, 스위치 2(222)는 ON이 되고, HDMI 신호를 단속하는 스위치 3(223)은 OFF 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HDMI신호는 출력되지 않고, 컴포넌트 비디오의 영상신호가 외부포트장치(200)의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하여, 통합입력포트부(110)를 통해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선택부에 의해 HDMI의 UI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HDMI의 영상신호만 출력되도록, 스위치 2(223)은 ON 되도록 하고, 컴포넌트 비디오의 신호를 단속하는 스위치 2(222)는 OFF 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컴포넌트 비디오의 신호는 출력되지 않고, HDMI의 영상신호가 외부포트장치(200)의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하여, 통합입력포트부(110)를 통해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원공급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포트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합입력포트부(110)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 상이한 종류 및 개수의 입력포트를 갖는 복수의 외부포트장치가 상기 복수의 통합입력포트부(111, 112, 113)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통합입력포트부(111)에 연결가능한 외부포트장치는 2개의 HDMI와 PC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를 구비한 것이고, 통합입력포트부(112)에 연결가능한 외부포트장치는 HDMI, PC 및 USB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를 구비한 것이고, 통합입력포트부(113)은 HDMI, PC, USB 및 S-Video의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를 구비한 외부포트장치가 연결되는 통합입력포트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포트장치로부터 ID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ID신호와 상기 외부포트장치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포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ID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ID 신호는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의 제어방법은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UI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UI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가 접속된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를 표시하는 UI 정보가 활성화되도록 표시하는 단계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통합입력포트부에 접속가능한 외부포트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통합입력포트부와 외부포트장치가 커넥터 방식으로 연결되는 일 예를 보여주고,
도 4는 본 발명의 통합입력포트부와 외부포트장치가 케이블로 연결되는 일 예를 보여주고,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입력포트부와 외부포트장치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일 예를 보여주고,
도 6은 본 발명의 통합입력포트부와 외부포트장치가 케이블로 연결되는 다른 일 예를 보여주고,
도 7은 입력포트의 정보를 UI 정보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구성도이고,
도 8은 입력포트에 접속된 입력포트의 정보가 활성화된 UI 정보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구성도이고,
도 9a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며,
도 9b는 외부포트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며,
도 10은 복수 개의 통합입력포트부가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보여준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통합입력포트부
120: 제어부 130: 영상처리부
140: UI 생성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전원공급부 200: 외부포트장치
210: 복수의 입력포트 220: 스위칭부
230: 출력부 300: 사용자 선택부
400: 케이블

Claims (12)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신호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를 구비한 외부포트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통합입력포트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통합입력포트부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포트장치로부터 수신되는 ID 신호와 상기 외부포트장치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D 신호는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입력포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UI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입력포트부에 상기 외부포트장치가 연결될 경우,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를 표시하는 UI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가 접속된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를 표시하는 UI 정보가 활성화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입력포트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복수의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입력포트를 구비한 외부포트장치가 연결되는 통합입력포트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포트장치로부터 ID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ID신호와 상기 외부포트장치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포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도록 상기 외부포트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D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ID 신호는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UI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가 접속된 상기 입력포트의 종류 및 개수를 표시하는 UI 정보가 활성화되도록 표시하는 단계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76570A 2008-11-10 2009-08-1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2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14,721 US20100118000A1 (en) 2008-11-10 2009-11-0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9175540A EP2184916A1 (en) 2008-11-10 2009-11-1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191 2008-11-10
KR20080111191 2008-11-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296A Division KR20160006138A (ko) 2008-11-10 2015-12-2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396A true KR20100052396A (ko) 2010-05-19

Family

ID=422777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570A KR20100052396A (ko) 2008-11-10 2009-08-1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50185296A KR20160006138A (ko) 2008-11-10 2015-12-2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296A KR20160006138A (ko) 2008-11-10 2015-12-2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0523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3373B2 (en) 2011-12-27 2016-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receiving broadcasting and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ing
KR20180054052A (ko) * 2016-11-14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857521A (zh) * 2020-06-28 2020-10-30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多设备管理方法、装置以及集成化显示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000B1 (ko) * 2017-09-22 2022-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3373B2 (en) 2011-12-27 2016-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receiving broadcasting and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ing
KR20180054052A (ko) * 2016-11-14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857521A (zh) * 2020-06-28 2020-10-30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多设备管理方法、装置以及集成化显示控制系统
CN111857521B (zh) * 2020-06-28 2022-06-17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多设备管理方法、装置以及集成化显示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138A (ko)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68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953910B2 (en) All-in-one personal computer with external video input
EP3702903A1 (en) Video wall display system
CN102543032A (zh) 用于显示通过各种端口输入的视频的显示设备
US20060114234A1 (en) Keyboard-mouse-video switch with a digital visual interface
KR2009001847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236481A1 (en) On-screen display system
KR20040098341A (ko) 컴퓨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방법
US20110072380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resolu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614000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出力制御方法
KR20160006138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7914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nspecting method thereof
WO2014136176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20220044625A1 (en)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43861A (ko) 외장형 통신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39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80083453A (ko)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2010011800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78703B2 (en) KVM switch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090066947A (ko) 듀얼 컴퓨터 시스템
US20130067117A1 (en) Expansion input/output device
EP2639687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27180A (ko) 특장차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KR102382049B1 (ko)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449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