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947A - 듀얼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947A
KR20090066947A KR1020070134693A KR20070134693A KR20090066947A KR 20090066947 A KR20090066947 A KR 20090066947A KR 1020070134693 A KR1020070134693 A KR 1020070134693A KR 20070134693 A KR20070134693 A KR 20070134693A KR 20090066947 A KR20090066947 A KR 20090066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personal computer
master
slav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선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07013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947A/ko
Publication of KR20090066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편리하게 망 전환을 수행하고 보안 기능이 강화된 듀얼(dual)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퍼스널컴퓨터 기능을 위한 메인 보드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가 내장되며 제1네트워크와 접속된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퍼스널컴퓨터 기능을 위한 메인 보드와 외부 장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연결장치 및 드라이브가 내장되며 제2네트워크와 접속된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 또는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를 선택하기 위한 보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보드 선택부와; 보드 선택부에 의해 발생한 보드 선택신호에 따라 망 전환 및 퍼스널컴퓨터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영상신호 변환 보드와; 보드 제어신호에 따라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 중 어느 하나의 보드와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다중화 보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보드 선택에 따라 컴퓨터 보드를 전환하는 방식으로 망을 전환함으로써, 망 전환 시간을 단축하고 독립적인 컴퓨터 사용과 동일하게 보안 기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70134693
듀얼 PC, 망 전환, 인터넷, 인트라넷, 보안 기능

Description

듀얼 컴퓨터 시스템{Dual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편리하게 망 전환(내부 망과 외부 망 전환)을 수행하고 보안 기능이 강화된 듀얼(dual)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등 컴퓨터를 사용한 통신환경이 급격히 신장하고 있으며, 내부 시스템 구축용 자체 네트워킹 망을 설치하여 네트워킹으로 상호 결제 및 자료 이송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킹이 국가 보안을 요하는 군부대나 원자력 발전소 등의 네트워킹일 경우, 해커의 침입으로 인한 우려가 염려되며, 해커가 국방 전산망에 침입하여 미사일 제어 등의 에러나 오작동을 유발한다면 이는 국가국방에 치명적인 손상을 의미한다. 또한, 금융기관에 침입하는 경우에도 고객들의 예금 등을 부당하게 인출하여 가는 사태가 발생한다면 이는 역시 컴퓨터 시스템의 치명적인 손상과 고객에게 신뢰성 저하를 초래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손상을 막고자, 외부 망과 내부 망을 분리하여 각각의 분리된 컴퓨터를 2대 구비하여 내부 망과 외부 망 용도로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와, 키보드와, 본체와, 내부 망(LAN망)을 연결 사용하는 랜카드를 포함하는 제 1 컴퓨터와; 모니터와, 키보드와, 본체와, 외부 망(인터넷망)을 연결 사용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제 2 컴퓨터를 구비하여 각 원하는 망에 따라 해당하는 컴퓨터를 선택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각 개인이 2대의 컴퓨터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컴퓨터를 선택하여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 제안된 것이 망 전환장치이다.
이러한 망 전환장치는 이종 망간의 데이터 전송을 허용치 않으며, 인터넷망 온-라인 상태에서 전산통신망 HDD접근 불가, 물리적인 잠금(열쇠)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외에 PC 사용 통제, 안전한 네트워크 전환을 위한 입력, 출력 릴레이 제어방식(물리적) 채택, 운영체제 업그레이드에 따른 호환성 등의 장점으로, 근래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망 전환장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전환할 때 cold booting 방식을 사용하므로, 컴퓨터의 전환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A컴퓨터와 B컴퓨터 2대로 각각의 서로 다른 망을 사용할 경우, A컴퓨터 사용 후 망을 전환하기 위해 B컴퓨터로 넘어갈 때 현재 보관중이거나 사용중 발생한 A컴퓨터의 내용을 전부 삭제한 후 B컴퓨터로 전환하기 때문에 망 전환시간 즉, 컴퓨터 전환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컴퓨터 2대를 사용하여 망을 전환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 및 망 전환장치를 사용하는 데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본체에 서로 다른 망(network)과 접속된 퍼스널컴퓨터(PC) 보드 2개를 실장하고,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2개의 퍼스널컴퓨터 보드를 취사 선택하여 동작시키도록 한 듀얼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망 전환시 퍼스널컴퓨터를 전환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전환함으로써, 종래 망 전환장치 사용시 cold booting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듀얼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의 본체에 퍼스널컴퓨터 보드 2개를 실장하고, 하나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이용하여 2개의 퍼스널컴퓨터 보드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듀얼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의 본체에 퍼스널컴퓨터 보드 2개를 실장하고, 망 전환시 퍼스널컴퓨터를 전환함으로써 망에 따라 별개의 퍼스널컴퓨터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이종 망의 전환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사전에 해소하도록 한 듀얼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컴퓨터 시스템"은,
퍼스널컴퓨터 기능을 위한 메인 보드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가 내장되며 제1네트워크와 접속된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상기 퍼스널컴퓨터 기능을 위한 메인 보드와 외부 장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연결장치 및 드라이브가 내장되며 제2네트워크와 접속된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 또는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를 선택하기 위한 보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보드 선택부와;
상기 보드 선택부에 의해 발생한 보드 선택신호에 따라 망 전환 및 퍼스널컴퓨터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영상신호 변환 보드와;
상기 보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 중 어느 하나의 보드와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다중화 보드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1네트워크는 인터넷이고, 제2네트워크는 인트라넷이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다중화 보드 및 영상신호 변환 보드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전원 공급기와; 상기 다중화 보드와 접속하고,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및 마우스와; 상기 다중화 보드와 접속하고 저장장치와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광학 드라이브와; 상기 영상신호 변환 보드에 접속되어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의 영상 데이터 및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드 선택부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보드 선택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화 보드는,
상기 전원 공급기에서 공급된 직류 전원을 다수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와; 상기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로부터 전송된 USB데이터 및 오디오를 인터페이스하는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와;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로부터 전송된 USB데이터 및 오디오를 인터페이스하는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와; 보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와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각각 전달된 USB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와; 상기 보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와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각각 전달된 오디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와; 상기 제1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USB데이터를 키보드 또는 마우스 또는 광학드라이브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USB허브와; 상기 제2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앰프와; 상기 앰프의 출력 오디오를 접속된 헤드폰으로 연결하기 위한 폰 잭과; 상기 앰프의 출력 오디오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내부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 변환 보드는,
공급된 직류 전원을 다수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와; 상기 다중화 보드로 망 전환 및 보드 선택을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화 보드 인터페이스와;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 및 OSD보드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각각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OSD보드 인터페이스와; 입력되는 보드 선택신호에 따라 망 전환과 보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 및 OSD보드에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기로 출력하는 스케일러와; 상기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에서 제공되는 SDVO 영상 데이터를 DVI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영상신호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일러는, 입력되는 보드 선택신호에 따라 망 전환과 보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을 내장한다.
또한, 상기 광학 드라이브는,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버스 방식 데이터와 USB(Universal Serial Bus)방식 데이터의 형식을 상호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 변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상기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는 단일의 본체에 함께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본체에 서로 다른 망(network)과 접속된 퍼스널컴 퓨터(PC) 보드 2개를 실장하고, 제어장치(MCU)를 이용하여 상기 2개의 퍼스널컴퓨터 보드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서로 다른 망과 접속된 2개의 퍼스널컴퓨터를 별도로 사용하는 데 따르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망 전환시 퍼스널컴퓨터를 전환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전환함으로써, 종래 망 전환장치 사용시 cold booting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일의 본체에 퍼스널컴퓨터 보드 2개를 실장하고, 망 전환시 퍼스널컴퓨터를 전환함으로써 망에 따라 별개의 퍼스널컴퓨터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이종 망의 전환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사전에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컴퓨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마스터 퍼스널컴퓨터(PC) 보드(110)와,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와, 다중화 보드(200)와,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와, 전원 공급기(440)와, 키보드(410)와, 마우스(420)와, 보드 선택부(430)와, 디스플레이기(500)로 구성된다.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는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 기능을 위한 메인 보드와 외부 장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연결장치 및 드라이브가 내장되며, 특정의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내부 망인 인트라넷(예를 들어, LAN)과 접속된다. 아울러 키보드 및 마우스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일반적인 PC와 동일하게 동작을 하여 입력 명령을 처리하게 되며, 처리된 결과 데이터는 SDVO(Serial Digital Video Output) 형식으로 출력한다.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는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 기능을 위한 메인 보드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가 내장되며, 상기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와 동일한 본체에 내장된다. 아울러 키보드 및 마우스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일반적인 PC와 동일하게 동작을 하여 입력 명령을 처리하게 되며, 처리된 결과 데이터는 RGB 형식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는 외부 망인 인터넷과 접속된다.
주지한 바와 같이,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와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는 단일의 본체에 함께 내장하게 되며, 설치 방법은 2개의 보드를 서로 대향 또는 대칭되게 설치하거나,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를 위쪽에 그리고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를 아래쪽에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단일의 본체에 2개의 퍼스널컴퓨터 보드를 설치하는 모든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설치 방법은 컴퓨터 관련 업체에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와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 에는 주지한 메인 보드와 각종 드라이브는 물론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에 부가적으로 포함되는 구성들이 부가될 수 있다.
전원 공급기(420)는 단일의 본체에 내장된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와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와 다중화 보드(200) 및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 장치로서,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에 적용되는 파워 서플라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용량 면에서는 2개의 보드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해주어야 하므로, 이것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보드(430)는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에 사용하는 입력장치로서, 선택된 보드로의 사용자 조작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마우스(440) 또한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에 사용하는 입력장치로서, 선택된 보드로의 사용자 조작 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광학 드라이브(ODD)(450)는 CD-ROM, DVD-ROM, CD-RW 등과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 또는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와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버스 방식 데이터와 USB(Universal Serial Bus)방식 데이터의 형식을 상호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 변환기를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기(500)는 상기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에 접속되어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의 영상 데이터 및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의 영상 데이터 또는 OSD보드(470)의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LC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기(500)는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와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 또 는 OSD보드(470)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필요에 따라 PIP, POP 기능을 통해 복수 보드의 데이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드 선택부(4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 (120) 또는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를 선택하기 위한 보드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대응하는 보드 선택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조작 스위치는 2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가장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화 보드(200)는 상기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에서 제공해주는 보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 중 어느 하나의 보드와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이러한 다중화 보드(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기(420)에서 공급된 직류 전원을 다수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컨버터(201)와, 상기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로부터 전송된 USB데이터 및 오디오를 인터페이스 하는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202)와,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로부터 전송된 USB데이터 및 오디오를 인터페이스 하는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203)와, 보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202)와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203)에서 각각 전달된 USB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204)와, 상기 보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202)와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203)에서 각각 전달된 오디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205)와, 상기 제1멀티플렉서(204)에서 출력된 USB데이터를 키보드(430) 또는 마우스(440) 또는 광학드라이브(450)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USB허브(206)와, 상기 제2멀티플렉서(20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앰프(207)와, 상기 앰프(207)의 출력 오디오를 접속된 헤드폰(460)으로 연결하기 위한 폰 잭(209)과, 상기 앰프(207)의 출력 오디오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내부 스피커(208)를 포함한다.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는, 상기 보드 선택부(410)에 의해 발생한 보드 선택신호에 따라 망 전환 및 퍼스널컴퓨터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처리한다.
이러한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된 직류 전원을 다수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직류/직류 컨버터(301)와, 상기 다중화 보드(200)로 망 전환 및 보드 선택을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화 보드 인터페이스(302)와,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 및 OSD보드(470)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각각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303)/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305)/OSD보드 인터페이스(304)와, 입력되는 보드 선택신호에 따라 망 전환과 보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 및 OSD보드(470)에서 제 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기(500)로 출력하는 스케일러(307)와, 상기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에서 제공되는 SDVO 영상 데이터를 DVI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영상신호 변환기(3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케일러(307)는, 입력되는 보드 선택신호에 따라 망 전환과 보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컴퓨터 시스템"은, 전원 공급기(420)에 의해 구동용 전원(DC 12V 또는 DC 5V)이 공급되면 다중화 보드(200)의 직류/직류 컨버터(201) 및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의 직류/직류 컨버터(301)에서 이를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을 하여 각각의 보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게 된다.
특히,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의 직류/직류 컨버터(301)는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의 각 부에서 필요로 하는 다수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을 하여 해당 부분에 구동용 전압을 공급해줌은 물론, 일부의 전원은 스케일러(307)에 내장된 마이컴에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컴퓨터 사용자가 보드 선택부(410)에 구비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망(인터넷, 인트라넷)을 선택하게 되면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내 스케일러(307)에 내장된 마이컴에서 이를 인식한다. 이후 마이컴은 보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다중화 보드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생성한 보드 제어신호를 다중화 보드(200)로 전송해준다.
보드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다중화 보드(200)의 제1 및 제2 멀티플렉서(204)(205)는 그 보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 또는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에서 발생한 USB 데이터 및 오디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보드 제어신호가 마스터 보드 선택신호일 경우, 제1멀티플렉서(204)는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전달되는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의 USB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되고, 제2멀티플렉서(205)는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전달되는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의 오디오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보드 제어신호가 슬레이브 보드 선택신호일 경우, 제1멀티플렉서(204)는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전달되는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의 USB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되고, 제2멀티플렉서(205)는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전달되는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의 오디오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보드 제어신호에 의해 보드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보드와 키보드(430)와 마우스(440)와 광학 드라이브(450)와 디스플레이기(500)가 하나의 퍼스널컴퓨터 시스템으로 연결된다. 이때 선택된 보드를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키보드(430) 및 마우스(440)를 이용하여 특정의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조작 명령 신호는 다중화 보드(200)의 USB허브(206)를 통한 후 제1멀티플렉서(204)와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1멀티플렉서(204) 및 제2멀티플렉서(205)는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와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의 USB 데이터 및 오디오를 다중 화하는 기능도 수행하지만, 역으로 키보드, 마우스 및 광학 드라이브의 출력 신호를 상기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와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로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제2멀티플렉서(205)에서 선택되어 출력되는 오디오는 앰프(207)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헤드폰(460)이 폰 잭(209)에 접속된 경우에는 상기 폰 잭(209)을 통해 헤드폰(460)으로 제공되고, 상기 폰 잭(209)에 헤드폰(460)이 접속되지 않을 경우에는 내장 스피커(208)로 출력된다. 여기서 앰프(207)에서 증폭된 오디오가 선택적으로 헤드폰 측으로 송출되거나 내장 스피커로 출력되는 방식은, 일반적인 오디오 출력기기에서 헤드폰을 접속할 경우와 헤드폰을 접속하지 않을 경우 오디오의 출력 라인을 달리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와 광학 드라이브(450)가 접속된 경우는, 광학 드라이브(450)에서 출력되는 IDE 버스 데이터는 내장된 데이터 형식 변환기에 의해 USB 방식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USB 허브(206), 제1멀티플렉서(204),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202)를 순차 통해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로 전달되고, 상기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에서 상기 광학 드라이브(450)로 출력되는 USB 데이터는 상기와는 역순으로 광학 드라이브(450)에 전달된다. 이때 전달되는 데이터 형식은 USB 방식 데이터이므로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기를 이용하여 IDE 버스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해야하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영상신호 변환 보드(300)의 스케일러(305)는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에서 출력된 영상 데이터(RGB신 호) 또는 OSD보드 인터페이스(304)를 통해 OSD보드(470)의 영상 데이터 또는 마스터보드 인터페이스(305)를 통해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에서 출력된 영상 데이터가 각각 인가된다. 여기서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SDVO 형식 데이터이므로, 영상신호 변환기(306)에서 DVI 형식 데이터로 변환을 하여 상기 스케일러(307)에 인가한다.
스케일러(307)에 내장된 마이컴은 보드 선택부(410)의 보드 선택에 따라 각각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LVDS 형식 데이터로 디스플레이기(50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전술한 설명에서는 마스터 보드가 선택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므로, 마이컴도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기(500)에 전달하게 된다. 물론, 슬레이브 보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마이컴도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기(500)에 전달하게 된다.
디스플레이기(50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며, 이후 망 전환을 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는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를 사용하게 되며, 망 역시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110)에 접속된 망(예를 들어, 인트라넷)만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독립된 컴퓨터와 인터넷 망만을 사용하는 개념이 되므로, 2개의 망을 전환하여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보안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신속하게 망 전환 및 컴퓨터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기존과 같이 망 접합장치를 이용할 경우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주지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인트라넷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망을 전환하기 위해서 보드 선택부(410)의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망 전환을 요구하면, 스케일러(307)에 내장된 마이컴은 이를 인식하고, 슬레이브 보드를 선택하기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다중화 보드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다중화 보드(200)에 보드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즉,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의 데이터 및 오디오를 선택하도록 한다.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가 선택되면,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와 다중화 보드(200)와 키보드(430)와 마우스(440)와 광학 드라이브(450)와 디스플레이기(500)가 하나의 퍼스널컴퓨터 시스템으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키보드(430) 및 마우스(440)를 이용하여 특정의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조작 명령 신호는 제1멀티플렉서(204)를 통해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로 전달된다.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는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그 결과 데이터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RGB 방식 데이터로 출력하여 스케일러(307)로 전달하게 되고, 스케일러(307)는 이러한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기(50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디스플레이기(50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며, 이후 망 전환을 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는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를 사용하게 되며, 망 역시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120)에 접속된 망(예를 들어, 인터넷)만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독립된 컴퓨터와 인트라넷 망만을 사용하는 개념이 되므로, 2개의 망을 전환하여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보안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신속하게 망 전환 및 컴퓨터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기존과 같이 망 접합장치를 이용할 경우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망을 사용하는 복수의 컴퓨터 보드를 하나의 본체에 내장하고, 간단한 조작에 따라 컴퓨터를 전환하는 방식으로 망을 전환함으로써, 서로 다른 망을 사용하는 컴퓨터의 보안 기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컴퓨터를 이용하는 모든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한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다중화 보드의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영상신호 변환 보드의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
120…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
200… 다중화 보드
300… 영상신호 변환 보드
500… 디스플레이기

Claims (12)

  1. 퍼스널컴퓨터 기능을 위한 메인 보드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가 내장되며 제1네트워크와 접속된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상기 퍼스널컴퓨터 기능을 위한 메인 보드와 외부 장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연결장치 및 드라이브가 내장되며 제2네트워크와 접속된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 또는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를 선택하기 위한 보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보드 선택부와;
    상기 보드 선택부에 의해 발생한 보드 선택신호에 따라 망 전환 및 퍼스널컴퓨터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영상신호 변환 보드와;
    상기 보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 중 어느 하나의 보드와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다중화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네트워크는 인터넷이고, 상기 제2네트워크는 인트라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다중화 보드 및 영상신호 변환 보드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전원 공급기와;
    상기 다중화 보드와 접속하고,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및 마우스와;
    상기 다중화 보드와 접속하고 저장장치와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광학 드라이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영상신호 변환 보드에 접속되어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의 영상 데이터 및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선택부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보드 선택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보드는,
    상기 전원 공급기에서 공급된 직류 전원을 다수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와;
    상기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로부터 전송된 USB데이터 및 오디오를 인터페이스하는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와;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로부터 전송된 USB데이터 및 오디오를 인터페이스하는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와;
    보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와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각각 전달된 USB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와;
    상기 보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와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에서 각각 전달된 오디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와;
    상기 제1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USB데이터를 키보드 또는 마우스 또는 광학드라이브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USB허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보드는,
    상기 제2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앰프와;
    상기 앰프의 출력 오디오를 접속된 헤드폰으로 연결하기 위한 폰 잭과;
    상기 앰프의 출력 오디오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내부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변환 보드는,
    공급된 직류 전원을 다수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와;
    상기 다중화 보드로 망 전환 및 보드 선택을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화 보드 인터페이스와;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 및 OSD보드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각각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슬레이브 보드 인터페이스/마스터 보드 인터페이스/OSD보드 인터페이스와;
    입력되는 보드 선택신호에 따라 망 전환과 보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 및 OSD보드에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기로 출력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는,
    입력되는 보드 선택신호에 따라 망 전환과 보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보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변환 보드는,
    상기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에서 제공되는 SDVO 영상 데이터를 DVI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영상신호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드라이브는,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버스 방식 데이터와 USB(Universal Serial Bus)방식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퍼스널컴퓨터 보드와 상기 마스터 퍼스널컴퓨터 보드는 단일의 본체에 함께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 시스 템.
KR1020070134693A 2007-12-20 2007-12-20 듀얼 컴퓨터 시스템 KR20090066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693A KR20090066947A (ko) 2007-12-20 2007-12-20 듀얼 컴퓨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693A KR20090066947A (ko) 2007-12-20 2007-12-20 듀얼 컴퓨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947A true KR20090066947A (ko) 2009-06-24

Family

ID=4099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693A KR20090066947A (ko) 2007-12-20 2007-12-20 듀얼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94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440B1 (ko) * 2010-05-14 2011-03-28 주식회사 모뉴엘 듀얼 컴퓨터
KR101255162B1 (ko) * 2012-01-30 2013-04-22 주식회사 성주컴텍 듀얼 pc 장치
CN104149155A (zh) * 2014-07-31 2014-11-19 广西三威林产工业有限公司 中纤维板毛板翻板轮冷却装置
KR20150095447A (ko) 2014-02-13 2015-08-21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비접촉 카드를 이용한 듀얼 컴퓨터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9317245B2 (en) 2013-04-11 2016-04-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KR20160131107A (ko) * 2014-03-13 2016-11-15 아쿠 (베이징) 리미티드 운영체제를 가진 키보드 장치 및 컴퓨터 조립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440B1 (ko) * 2010-05-14 2011-03-28 주식회사 모뉴엘 듀얼 컴퓨터
KR101255162B1 (ko) * 2012-01-30 2013-04-22 주식회사 성주컴텍 듀얼 pc 장치
US9317245B2 (en) 2013-04-11 2016-04-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KR20150095447A (ko) 2014-02-13 2015-08-21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비접촉 카드를 이용한 듀얼 컴퓨터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1107A (ko) * 2014-03-13 2016-11-15 아쿠 (베이징) 리미티드 운영체제를 가진 키보드 장치 및 컴퓨터 조립체
US10101821B2 (en) 2014-03-13 2018-10-16 Acooo (Beijing) Limited Keyboard apparatus having operation system and computer assembly
CN104149155A (zh) * 2014-07-31 2014-11-19 广西三威林产工业有限公司 中纤维板毛板翻板轮冷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92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367479B1 (ko) 화면 이외 부분에 보조 모니터가 설치된 모니터 구동 장치
KR101179912B1 (ko) 복수의 휴대 단말을 연동시키는 더미 터치 스크린 시스템
KR20090008045A (ko) 디스플레이장치, 호스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14234A1 (en) Keyboard-mouse-video switch with a digital visual interface
TWI332171B (en) On-screen display system
KR20090066947A (ko) 듀얼 컴퓨터 시스템
US20130009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device
EP2544173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US974027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JP200732336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EP1521236A2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uch a display device
KR101615994B1 (ko) 망 분리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퍼스널컴퓨터
KR100471057B1 (ko) 휴대용 컴퓨터 및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 재생 방법
KR2008006312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US20100194676A1 (en) KVM switch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H11272250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EP1736866B1 (en) Display apparatus with a network connection
KR100755842B1 (ko)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와,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EP2058794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191757A (ja) 映像表示装置の電源制御装置
US20050174319A1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61166Y1 (ko) 웹터미널 기능을 가진 컴퓨터용 모니터
KR20030070170A (ko) 다기능 디스플레이
KR100226655B1 (ko) 서버 신호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