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170A - 다기능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다기능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170A
KR20030070170A KR1020020009190A KR20020009190A KR20030070170A KR 20030070170 A KR20030070170 A KR 20030070170A KR 1020020009190 A KR1020020009190 A KR 1020020009190A KR 20020009190 A KR20020009190 A KR 20020009190A KR 20030070170 A KR20030070170 A KR 20030070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ignal
video
computer
proces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성
Original Assignee
이미지퀘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지퀘스트(주) filed Critical 이미지퀘스트(주)
Priority to KR102002000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0170A/ko
Publication of KR2003007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1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웹 터미널, 컴퓨터 및 TV와 연결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컴퓨터 신호처리수단과; TV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TV 신호처리수단과; 메모리, 연산유닛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인터넷 서핑 및 네트워크 작업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웹 터미널 처리수단과; 상기 컴퓨터 신호처리수단, 상기 TV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웹 터미널 처리수단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디스플레이를 위해 이를 전달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달받아 지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디스플레이{Multi-function display}
본 발명은 다기능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의 사용 용도에 따라 웹 터미널, 컴퓨터 및 TV용 디스플레이로서 사용 가능한 다기능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윈도우 기반 터미널(WBT: Window Based Terminal): 윈도우 기반의 운영체제하에서 하드 디스크 없이 확장이 제한된 네트워크 전용의 단말기를 말한다.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주로 컴퓨터용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윈도우 기반 터미널 내지 LCD를 웹 터미널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를 구입하는 경우 PC와 상술한 웹 터미널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PC용 디스플레이는 PC에서 처리되는 화면밖에 표시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가 TV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TV용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TV를 시청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또는 TV 시청 등을 같은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면, 사용자가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그 이외에 컴퓨터를 이용하는 등의 경우에는 컴퓨터에 사용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있어야 된다.
그런데, 컴퓨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와, 웹 터미널 및 TV 시청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는 크게 차이가 없어, 3개를 별도로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은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또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놓고 보아도, 사용자가 컴퓨터 프로세서의 연산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하던가, 아니면 컴퓨터를 통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컴퓨터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 되지만, 웹 터미널이나 TV 시청 등 간단한 작업 등의 경우에는 컴퓨터를 구동시지지 않고 디스플레이와 필요한 주변기기인 키보드, 마우스 등만을 이용하여도 되는데, 이를 이용하기 위해 컴퓨터를 구동하고 사용하는 것은 전력을 낭비하고, 컴퓨터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연결을 제어하여 웹 터미널, 컴퓨터 및 TV 에 연결될 수 있는 다기능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대한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대한 일실시예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웹 터미널, 컴퓨터 및 TV와 연결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컴퓨터 신호처리수단과; TV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TV 신호처리수단과; 메모리, 연산유닛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인터넷 서핑 및 네트워크 작업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웹 터미널 처리수단과; 상기 컴퓨터 신호처리수단, 상기 TV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웹 터미널 처리수단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디스플레이를 위해 이를 전달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달받아 지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상태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인가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색상, 동기, 클럭, 제어신호 등을 추출하고, 연속적인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수하여 출력하는 컴퓨터 신호처리수단과; TV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상태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인가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색상, 동기, 클럭, 제어신호 등을 추출하고, 연속적인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수하여 출력하는 TV 신호처리수단과; 네트워크 연결부, 메모리,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유닛, 입력정보 처리부 및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네트워크 작업 및 인터넷 서핑작업 등을 처리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처리유닛을 통해 색상, 동기, 클럭, 제어신호 등을 출력하는 웹 터미널 처리수단과; 상기 컴퓨터 처리수단, 상기 TV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웹 터미널 처리수단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디스플레이를 위해 이를 전달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를 받아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PC용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다가 인터넷 서핑 전용이나 TV 시청 등으로 전환하고 싶은 경우, 간단히 디스플레이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웹 터미널로서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PC용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다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대한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 신호처리부(11), TV 신호처리부(12), 웹 터미널 신호처리부(13) , 신호연결부(14) 및 디스플레이부(15)등을 포함한다.
모니터 신호처리부(11)는 PC 등과 같은 컴퓨터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연결부(1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로 전달하거나, 입력받은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임시 저장하여 요청된 시간에 디스플레이부(15)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 신호처리부(11)는 입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방식을 확인하여 전달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신호연결부(14)가 파악할 수 있는 신호 방식으로 변환한다.
TV 신호처리부(12)는 PC 등과 같은 컴퓨터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연결부(1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로 전달하거나, 입력받은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임시 저장하여 요청된 시간에 디스플레이부(15)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TV 신호처리부(12)는 입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방식을 확인하여 전달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신호연결부(14)가 파악할 수 있는 신호 방식으로 변환한다.
웹 터미널 신호처리부(13)는 기존에 존재하는 웹 터미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메모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신호연결부(14)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카드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방식의 주변기기,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의 주변기기, 키보드, 마우스, 사운드 카드 등이 신호연결부(14)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이용한다. 물론, 웹 터미널 외에 WBT, Net PC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V 신호처리부(12)는 사용자가 TV 신호처리부(12)를 통해 서비스받기를 요청하거나, 이전에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동작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 상기 웹 터미널 신호처리부(13)는 모니터 신호처리부(11) 또는 TV 신호처리부(12)로부터의 전달신호에 의해, 상기한 것처럼, 주어진 조건이나 사용장의 입력에 따라 어느 한 신호를 선택하여 신호연결부(14)로 전달한다. 신호의 선택은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입력상태를 체크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신호연결부(14)는 상기한 웹 터미널 신호처리부(13)로부터 전달받은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대한 일실시예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 신호처리수단(21), 웹 터미널 및 WBT 신호처리수단(22), 버스 스위치 및 패널 인터페이스 처리수단(23), 디스플레이 패널(24), 전력공급부(25) 및 TV 신호처리수단(29)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컴퓨터 신호처리수단(21)은 컴퓨터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 신호 입력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26), 디지털 인터페이스(27) 및 공통처리부(28)를 포함한다.
물론, 그 상세한 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경제성, 추세 등의 요인으로부터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26)는, 15핀 디-서브 커넥터(15P D-SUBConnector)(261)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6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15핀 디-서브 커넥터(261)는 컴퓨터(PC)로부터의 아날로그 방식의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은 후, 이를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62)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62)에서는 입력된 아날로그 방식의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방식의 비디오/오디오 신호로 변환함과 동시에, 색상신호(R, G 및 B),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 클럭(Clock) 및 제어신호(Control) 등을 추출하여 공통처리부(28)로 전달한다.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27)는, 디브이아이(DVI) 커넥터(271)와, 패널 링크 리시버(27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브이아이 커넥터(271)는 컴퓨터(PC)로부터의 디지털 방식의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받은 티엠디에스(TMDS: Transistion )방식의 비디오/오디오 신호는 패널링크 리시버(272)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를 위한 색상신호,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 클럭 및 제어신호 등을 추출하여 공통처리부(28)로 전달한다. 이는 실리콘 이미지사의 패널링크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디브이아이 스펙에 따른 것이다. 그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공통처리부(28)는 버스 스위치(281), 플래쉬 메모리(282), 메인 스케일러(283) 및 비디오 디코더(284)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 스위치(281)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26) 또는 디지털 인터페이스(27)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달받아 메인 스케일러(283)로 전달한다. 이때, 신호의 전달에 있어서, 버스 스위치(281)는 디스플레이 신호가 입력되는 쪽으로 스위칭하여 해당 신호를 메인 스케일러(283)로 전달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고, 별도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따라 해당 신호출력부쪽으로 스위칭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스위치(281)는 웹 터미널 및 WBT 처리부(22)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달받아 스위칭하여 메인 스케일러(28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스케일러(283)는 플래쉬 메모리(282)에서 지정된 제어정보를 읽어오며,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플래쉬 메모리(282)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다. 물론, 외부로부터의 요청이 아니라, 다른 주어진 조건에 따라 데이터의 갱신 및 저장이 행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스케일러(283)는 전달받은 디스플레이 신호에 대해 주어진 조건에 따라 버스 스위치 및 패널 인터페이스 처리부(23)로 전달한다.
다음에, 웹 터미널 및 WBT 처리수단(22)을 설명한다. 이는 웹 터미널이 될 수 있고, WBT도 될 수 있다.
우선, 그 구성에 있어서는, SDRAM(220), USB 콘트롤러(221), 플래쉬 메모리(222), 랜 접속부(223), PCMCIA(224), 비디오/오디오 프로세서(225), 중앙제어부(226), 입력제어부(227), 오디오 코덱(228) 및 오디오 앰프(22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웹 터미널이나 WBT의 구성과 큰 차이는 없다.
또한, 상기 USB 콘트롤러(221), 랜 접속부(223), PCMCIA(224)를 통해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또 외부로의 데이터 전달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제어부(227)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로부터의 입력을 "6P-MINI DIN-1"을 통해 전달받으며, 마우스로부터의 입력을"6P-MINI DIN-2"를 통해 전달받는다.
상기 웹 터미널 및 WBT 처리수단(22)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처리, 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 연결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소리 정보 등도 처리하여야 하므로, 오디오 코덱(228) 및 오디오 앰프(229)가 구동된다.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소리 입력은 오디오 코덱(228)으로 전달되고,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소리 정보는 오디오 코덱(228)과 오디오 앰프(229)를 거쳐 스피커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웹 터미널 및 WBT 처리수단(22)은 컴퓨터의 복잡한 연산이나 저장부가 필요없는 작업 또는 인터넷 서핑 등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버스 스위치 및 패널 인터페이스 처리부(23)는, 상기 컴퓨터 신호처리수단(21) 및 웹 터미널 및 WBT 처리수단(22)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4)로 향하는 디지털 신호를 선택해주며,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해주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4)은, 실제로 화면을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TFT-LCD, PDP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전력공급부(25)는, 어댑터 혹은 배터리로부터 받은 전압을 각각의 부분에 필요한 전압인 5V, 3.3V 으로 변환시키는 부분으로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전원 분리 등을 통한 노이즈 저감의 역할도 행한다.
그리고, TV 신호처리수단(29)은, 비디오 신호생성원(291), TV 튜너(292), 오디오 프로세서(293), 오디오 앰프(294) 및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신호생성원(291)은 비디오 디코더(284)와 연결되어 VTR, DVD 플레이어 및 캠코더등의 S 비디오 신호 혹은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출력이 생성되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TV 튜너(292)는, 외부 안테나에서 신호를 받아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튜너로서, 비디오 신호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284)로 전송하고, 오디오 신호는 필터링 등을 거쳐 믹서 또는 이퀄라이저 등을 포함하는 오디오 프로세서(293)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앰프(294)는 상기 스피커에서 높은 출력을 얻기 위해,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293)에서 전송된 신호를 증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웹 터미널, 컴퓨터 및 TV용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소비전력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웹 터미널, 컴퓨터 및 TV와 연결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컴퓨터 신호처리수단과;
    TV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TV 신호처리수단과;
    메모리, 연산유닛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인터넷 서핑 및 네트워크 작업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웹 터미널 처리수단과;
    상기 컴퓨터 신호처리수단, 상기 TV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웹 터미널 처리수단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디스플레이를 위해 이를 전달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달받아 지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2. 다기능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상태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인가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색상, 동기, 클럭, 제어신호 등을 추출하고, 연속적인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수하여 출력하는 컴퓨터 신호처리수단과;
    TV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상태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인가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색상, 동기, 클럭, 제어신호 등을 추출하고, 연속적인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수하여 출력하는 TV 신호처리수단과;
    네트워크 연결부, 메모리,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유닛, 입력정보 처리부 및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네트워크 작업 및 인터넷 서핑작업 등을 처리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처리유닛을 통해 색상, 동기, 클럭, 제어신호 등을 출력하는 웹 터미널 처리수단과;
    상기 컴퓨터 처리수단, 상기 TV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웹 터미널 처리수단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디스플레이를 위해 이를 전달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를 받아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KR1020020009190A 2002-02-21 2002-02-21 다기능 디스플레이 KR20030070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190A KR20030070170A (ko) 2002-02-21 2002-02-21 다기능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190A KR20030070170A (ko) 2002-02-21 2002-02-21 다기능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170A true KR20030070170A (ko) 2003-08-29

Family

ID=3222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190A KR20030070170A (ko) 2002-02-21 2002-02-21 다기능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01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55B1 (ko) * 2006-06-16 2007-07-06 옵티시스 주식회사 Iic 통신 프로토콜을 채용한 ddc 통신 모듈 내의레벨 변환기
KR100831216B1 (ko) * 2002-03-16 2008-05-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멀티 미디어 플레이어
KR101038512B1 (ko) * 2011-01-10 2011-06-01 (주)한동알앤씨 기능성 신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216B1 (ko) * 2002-03-16 2008-05-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멀티 미디어 플레이어
KR100736855B1 (ko) * 2006-06-16 2007-07-06 옵티시스 주식회사 Iic 통신 프로토콜을 채용한 ddc 통신 모듈 내의레벨 변환기
KR101038512B1 (ko) * 2011-01-10 2011-06-01 (주)한동알앤씨 기능성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1117B2 (en) Display controller architecture for portable computers
US7283104B2 (en) PIP processing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08045A (ko) 디스플레이장치, 호스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967948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ata transmitting device using a USB connector and a method thereof
US200702967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0471057B1 (ko) 휴대용 컴퓨터 및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 재생 방법
EP1887794A2 (en) Portable device integrated with external video signal display function
KR20090066947A (ko) 듀얼 컴퓨터 시스템
US20040257320A1 (en) Computer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elevision programs without the need of executing an operating system
KR20030070170A (ko) 다기능 디스플레이
EP1736866B1 (en) Display apparatus with a network connection
KR10059841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574684B1 (en) Monitor comprising two-way interface
KR100755842B1 (ko)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와,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US20090262264A1 (en) Display device providing optional independent display
KR200261166Y1 (ko) 웹터미널 기능을 가진 컴퓨터용 모니터
KR20060004410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36992A (ko) 웹터미널 기능을 가진 컴퓨터용 모니터
EP2552107A2 (e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JPH1128258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手段並びに表示装置
US2009011575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003022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witching control method for audio output destination
KR20070006163A (ko) 영상 시스템
KR100475862B1 (ko) 웹 터미널 기능을 가진 컴퓨터용 모니터
JP2001005430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