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453A -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453A
KR20080083453A KR1020070024036A KR20070024036A KR20080083453A KR 20080083453 A KR20080083453 A KR 20080083453A KR 1020070024036 A KR1020070024036 A KR 1020070024036A KR 20070024036 A KR20070024036 A KR 20070024036A KR 20080083453 A KR20080083453 A KR 20080083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put terminal
image
output
inpu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848B1 (ko
Inventor
정재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848B1/ko
Priority to US11/846,735 priority patent/US7990370B2/en
Priority to EP07120724A priority patent/EP1970889A3/en
Priority to CN2007101702270A priority patent/CN101266771B/zh
Publication of KR2008008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14Vertical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1Horizontal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2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display information or of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a corresponding information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 및,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상태와 동일한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기기 연결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단자, 그래픽 이미지

Description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Display apparatus for having a plurality fo inpu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입력단자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 그래픽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복수 개의 입력단자
120 : 출력부 130 : 판단부
140 : 제어부 150 : 입력부
160 : 저장부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최근 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다양한 외부신호를 수신받아 시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외부신호를 공급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는 VCR, DVD 플레이어, 위성방송수신기, PC, 게임기 등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외부신호를 재생하고 있는 중에 외부기기를 전환하고자 할 경우, 리모컨에 구비된 외부기기 전환 키를 눌러 순차적으로 외부기기를 선택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외부기기 리스트 화면을 출력하여 어느 하나의 외부기기를 선택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었다.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기기 전환시, 외부기기 연결 여부를 알려주기는 하나, 어느 외부기기가 어느 입력단자에 꽂혀 있는지를 알 수 없었다. 특히, 외부기기 리스트 상에서, 외부기기 명이 아닌, 콤포넌트(component)1 또는 콤포넌트2(component)로 표시된 경우, 콤포넌트1 입력단자에 연결된 외부기기가 어느 것인지를 알 수 없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뒷면을 일일이 확인해야만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반적으로 벽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확인 절차는 사용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와 동일한 이미지를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 및,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단자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에 대한 이미지 일측에 각 입력단자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각각의 외부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활성화시키고, 외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는 비활성화시키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 단자 중 동일 기기와 연결될 1군 입력 단자 이미지의 표시 상태를, 상기 동일 기기의 연결 여부에 따라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외부기기 연결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그래픽 이미지를 상기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활성화된 입력단자 상에서만 커서가 이동하도록 표시하고, 비활성화된 입력단자는 스킵(skip)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에 대한 확대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특정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은, 외부기기 연결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단자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에 대한 이미지 일측에 각 입력단자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각각의 외부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활성화시키고, 외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는 비활성화시켜 상기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 단자 중 동일 기기와 연결될 1군 입력 단자의 이미지 출력 상태를, 상기 동일 기기의 연결 여부에 따라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단계는, 입력되는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활성화된 입력단자 상에서만 커서를 이동 표시하고, 비활성화된 입력단자는 스킵(skip)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에 대한 확대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특정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 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 및 출력부(12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다수의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외부신호를 수신받는다. 이 경우, 입력단자로는, 안테나 포트, VTR(Video Tape Recorder) 포트,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포트, DVI(Digital Video Interactive) 포트, component 포트, PC 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는 각 외부기기와 연결되기 위해 일정한 형태로 배치된다.
출력부(120)는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의 배치 상태에 대한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이 경우, 출력부(120)는 외부기기 연결단자와 외부기기 미연결 단자의 출력 상태를 상이하게 표시함으로써, 외부기기 연결 상태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외부기기 연결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입력단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옆면, 상부 또는 하부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 출력부(120), 판단부(130), 제어부(140), 입력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는 다수의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외부신호를 수신받는다.
판단부(130)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 각각의 외부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외부신호 수신 여부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 각각에 케이블 잭이 꽂혀있는지를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입력단자에 케이블 잭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와 미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입력단자로부터 검출되는 전압의 크기가 상이하므로, 판단부(130)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 각각의 전압을 검출하여 외부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저장한다.
입력부(150)는 소정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50)는 외부기기 연결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화면상에 그래픽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확대하기 위한 확대출력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 또는 리모컨에 구비된 키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입력부를 통해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160)로부터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독출하여, 화면상에 출력한다. 이 경우, 출력부(120)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에 대한 이미지 일 측에 각 입력단자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PC' 기기와 연결되는 입력단자 이미지 일 측에 'PC'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입력단자에 'PC' 기기가 연결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0)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단자 종류에 따라 이미지를 분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 중 PC 기기와 연결 가능한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분류하여 출력하고, VCR 기기와 연결 가능한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분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각 입력단자 이미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활성화시키고, 외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는 비활성화시키도록 출력부(120)를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출력부(120)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110-1, 110-2, ... 110-N)의 외부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출력 상태를 달리한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활성화 상태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입력단자는 현재 외부기기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비활성화 상태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입력단자는 현재 외부기기가 미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어느 하나의 외부기기를 연결할 경우, 하나 이상의 입력단자를 이용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VD 기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할 경우, 좌/우 음성 입력단자 및 Pb/Pr/Y 입력단자 등과 같이 5개의 입력단자를 이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좌/우 음성 입력단자 및 Pb/Pr/Y 입력단자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동일 기기(예를 들어, "DVD")와 연결될 1군 입력단자에 해당한다.
출력부(120)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동일 기기와 연결될 1군 입력단자의 출력 상태를 동일 기기의 연결 여부에 따라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DVD' 기기와 연결된 1군 입력단자가 5개의 입력단자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5개의 입력단자 중 연결된 입력단자는 활성화 상태로 출력하고, 미연결된 입력단자는 비활성화 상태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1군 입력단자의 각각에 대한 연결 상태를 출력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외부기기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출력부(120)는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커서를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활성화된 입력단자만이 이동 가능하고, 비활성화된 입력단자는 스킵(skip)하도록 이동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기기가 미연결된 입력단자를 선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력부(120)는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에 대한 확대표시명령이 입력되면, 특정 입 력단자를 확대하여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커서를 '콤포넌트1'의 이미지로 이동 표시한 상태에서 확대 키를 누르면, 해당 이미지의 확대표시 명령이 입력되어, 해당 이미지가 확대 출력된다.
한편, 출력부(120)는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특정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상에 출력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단자를 전환하여, 전환된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실제 형태에 대응되는 이미지(310)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입력단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 상부 또는 하부 등과 같이 다양한 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그래픽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그래픽 이미지(310)는 도 3a에 도시된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화면상에 출력한 것으로, 그래픽 이미지(310)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 이미지를 동일 기기 별로 분류하여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PC(310a)에 해당하는 2개의 입력단자는 PC에 해당하는 하나의 블럭 이미지 상에 분류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동일 기기 별로 입력단자의 이미지(310a 내지 310m)를 분류함으로써, 해당 입력단자가 어느 기기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그래픽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그래픽 이미지(320)는 외부신호 출력단자(330), 외부기기 연결단자(340a 내지 340h) 및 외부기기 미연결단자(350a 내지 350d) 이미지를 포함한다.
그래픽 이미지(320) 중 외부신호 출력단자의 이미지(330)는 현재 화면상에 출력되고 있는 외부신호에 대응되는 것이며, 외부기기 연결단자의 이미지(340a 내지 340h)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외부기기 미연결 단자 이미지(350a 내지 350d)는 외부기기와 미연결된 상태를 표시한다. 이 경우, 그래픽 이미지(320) 상에서, 외부신호 출력단자의 이미지(330) 및 외부기기 연결단자의 이미지(340a 내지 340h)는 활성화 상태로 출력되어 커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 외부신호 미연결단자의 이미지(350a 내지 350d)는 비활성화 상태로 출력되어 커서가 이미지에 근접할 경우, 활성화 상태의 이미지로 스킵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그래픽(320) 상에서 사용자가 커서를 이용하여, 특정 입력단자 이미지를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그래픽 이미지를 참조함으로써, 외부기기 연결상태 및 연결된 외부기기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 그래픽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래픽 이미지(400)는 특정 입력단자에 대한 확대출력화면 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그래픽 이미지(320) 중 특정 입력단자 이미지상에 커서를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대 키를 누를 경우, 해당 입력단자 이미지가 확대되어 화면상에 출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3c의 콤포넌트1(340a) 이미지 상에 커서를 위치한 상태에서, 확대 키를 누를 경우, 확대된 그래픽 이미지(400)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특정 입력단자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외부기기 연결이 편리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이미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기기 연결 상태에 대한 출력명령이 입력되면(S510),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한다(S520). 이 경우, 그래픽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뒷면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상태와 동일한 것으로, 외부기기가 연결된 입력단자와 외부기기가 미연결된 입력단자의 출력상태를 달리함으로써, 외부기기 연결 상태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외부기기가 연결된 입력단자와 외부기기가 미연결된 입력단자의 표시색을 달리하여 출력할 수도 있으며, 외부기기가 미연결된 입력단자의 표시상태를 불투명하게 표시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그래픽 이미지 출력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외부기기 연결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기기 연결 상태에 대한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S610), 복수 개의 입력단자 각각에 대 한 외부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620). 외부신호 수신 여부는, 각 입력단자의 전압 크기를 검출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독출하여, 외부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활성화시키고, 외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는 비활성화시킨다(S630).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한다(S640).
한편, 화면상에 그래픽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특정 입력단자에 대한 확대출력명령이 입력되면(S65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화면상에 출력한다(S660).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상에 그래픽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특정 입력단자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S670), 특정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상에 출력한다(S680).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구비된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와 동일한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외부기기 연결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어느 입력단자에 어느 외부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입력단자의 이미지 분류 표시, 특정 입력단자 이미지의 확대 표시, 특정 입력단자 이미지 선택 등의 다양한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실시예만을 포함하여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와 동일한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어느 외부기기가 어느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이미지를 참고하여 외부기기를 연결함으로써, 어느 단자에 외부기기를 연결하여야 할지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7)

  1. 복수 개의 입력단자; 및,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단자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에 대한 이미지 일측에 각 입력단자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각각의 외부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활성화시키고, 외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는 비활성화시키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 단자 중 동일 기기와 연결될 1군 입력 단자 이미지의 표시 상태를, 상기 동일 기기의 연결 여부에 따라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외부기기 연결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그래픽 이미지를 상기 화면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활성화된 입력단자 상에서만 커서가 이동하도록 표시하고, 비활성화된 입력단자는 스킵(ski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에 대한 확대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특정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에 있어서,
    외부기기 연결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단자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에 대한 이미지 일측에 각 입력단자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
  13. 제10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각각의 외부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활성화시 키고, 외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입력단자의 이미지는 비활성화시켜 상기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 단자 중 동일 기기와 연결될 1군 입력 단자의 이미지 출력 상태를, 상기 동일 기기의 연결 여부에 따라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입력되는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활성화된 입력단자 상에서만 커서를 이동 표시하고, 비활성화된 입력단자는 스킵(ski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에 대한 확대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특정 입력단자의 이미지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특정 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이미지 표시 방법.
KR1020070024036A 2007-03-12 2007-03-12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138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036A KR101380848B1 (ko) 2007-03-12 2007-03-12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11/846,735 US7990370B2 (en) 2007-03-12 2007-08-29 Display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and method thereof
EP07120724A EP1970889A3 (en) 2007-03-12 2007-11-14 Display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and method thereof
CN2007101702270A CN101266771B (zh) 2007-03-12 2007-11-15 具有多个输入端的显示设备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036A KR101380848B1 (ko) 2007-03-12 2007-03-12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453A true KR20080083453A (ko) 2008-09-18
KR101380848B1 KR101380848B1 (ko) 2014-04-04

Family

ID=3905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036A KR101380848B1 (ko) 2007-03-12 2007-03-12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90370B2 (ko)
EP (1) EP1970889A3 (ko)
KR (1) KR101380848B1 (ko)
CN (1) CN1012667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0270B2 (ja) * 2006-12-05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撮像装置、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42369B1 (ko) * 2007-01-26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신호 싱크 및 그의동작 방법
JP4878060B2 (ja) * 2009-11-16 2012-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US20120110502A1 (en) 2010-10-28 2012-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screen captures to provide automatic contextual smart input-in device selection menu
US8817189B2 (en) * 2011-09-29 2014-08-26 Lsi Corporation Digital television with improved input selection functionality
KR101892260B1 (ko) * 2011-12-15 201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FI124661B (fi) 2012-02-08 2014-11-28 Beamex Oy Ab Prosessikalibraattori, menetelmä prosessikalibraattorin ohjaamiseksi ja käyttöliittymä prosessikalibraattorille
US8972858B2 (en) 2012-04-19 2015-03-03 Savant Systems, Llc Configuration interface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CN104066012A (zh) * 2014-06-24 2014-09-24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输入汉字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27010C (en) 1997-01-17 2004-08-10 Sony Corporatio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external input terminals thereof
KR100222615B1 (ko) * 1997-04-29 1999-10-01 윤종용 티브이 셋트와 주변기기의 연결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JP4329134B2 (ja) 1998-07-24 2009-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入力装置
JP2002094916A (ja) * 2000-07-14 2002-03-29 Sony Corp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256711Y1 (ko) * 2001-08-30 2001-12-24 대우전자주식회사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US7797711B2 (en) 2002-03-11 2010-09-14 Sony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evice having multiple input and output nodes
KR20030093467A (ko) 2002-06-03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외부입력단자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외부입력신호선택방법
JP2004357029A (ja) 2003-05-29 2004-12-16 Toshiba Corp 信号選択装置及び信号選択方法
KR100587539B1 (ko) * 2003-08-09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기기와 주변기기간의 지능화 연결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558198B1 (ko) 2003-09-17 200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643095B2 (en) * 2004-05-28 2010-01-05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television receiver
US7728911B2 (en) 2005-01-26 2010-06-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sitively indicating to user whether signal has been detected on each video input
TW200636478A (en) 2005-04-08 2006-10-16 Coretronic Corp Method for selecting signal sources of a display
JP2007034889A (ja) * 2005-07-29 2007-02-08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EP1944962B1 (en) * 2005-09-30 2013-10-16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device, external connection device, and screen control method
US8933879B2 (en) * 2005-10-26 2015-01-13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0889A2 (en) 2008-09-17
US7990370B2 (en) 2011-08-02
CN101266771B (zh) 2013-07-03
EP1970889A3 (en) 2009-06-24
KR101380848B1 (ko) 2014-04-04
US20080225038A1 (en) 2008-09-18
CN101266771A (zh)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848B1 (ko)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1051560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145609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input signals of display appliance
KR10140268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edid 정보 제공 방법
US8195853B2 (en) Keyboard-video-monitor-periphery (KVMP) switch
US20060161948A1 (en) Multi-screen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80126629A1 (en) Method of wake-up scan for kvm switch
TW201419842A (zh) 影音播放系統之控制方法
US20110122317A1 (en) Control method of prompt facility in hdmi-cec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such control method
WO2014136176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798272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ecking input signals
JP2009111864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5546090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US20120092558A1 (en) Television and displaying method for information source thereof
US20180167577A1 (en) Display apparatus presenting status of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18491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06138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031407A (ja) 表示装置
JP4929328B2 (ja) 表示処理装置
JP2008070512A (ja) 画像表示装置
EP3606080B1 (en) Method for notifying a user of a television to save power consumption by multiple multimedia devices connected to the television
JP5451867B2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259334A (ja) 電子機器
JP2011061402A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20090089461A1 (en) Image input/output switching method for a notebook computer and related notebook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