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711Y1 -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711Y1
KR200256711Y1 KR2020010026418U KR20010026418U KR200256711Y1 KR 200256711 Y1 KR200256711 Y1 KR 200256711Y1 KR 2020010026418 U KR2020010026418 U KR 2020010026418U KR 20010026418 U KR20010026418 U KR 20010026418U KR 200256711 Y1 KR200256711 Y1 KR 200256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splay
output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범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6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711Y1/ko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장치는 적어도 1이상의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AV 기기에서 적어도 1이상의 외부 기기에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입력부 및 출력부의 검출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입/출력 신호를 검출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입/출력 단자의 신호 유무를 OSD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거나 VFD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AV 기기와 외부 기기사이의 연결 상태를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서로 연결된 AV 기기와 외부 기기를 동작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경우 문제의 원인이 어느 기기에 있는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DISPLAY FOR INPUT/OUTPUT CONNECTIONS OF AV SYSTEM}
본 고안은 AV(audiovisual)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AV 기기의 동작시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한 모든 입/출력 단자의 신호 유무를 영상장치의 화면 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V 기기는 TV, VCR, AUDIO, DVD 플레이어, 캠코더, AV리시버 등이 있다. 이러한 AV기기는 서로 연결해서 멀티미디어로 작동시킬 수 있다.
AV 기기들을 서로 호환해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장치에 설치된 입/출력 연결 단자를 서로 연결시켜야만 한다. 예를 들어, TV의 연결 단자에는 비디오 입/출력 단자와 오디오 입/출력 단자가 있기 때문에 VCR 또는 DVD 플레이어 등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연결 단자를 TV의 입/출력 단자에 맞추어 연결해야만 TV를 통해 비디오 영상과 오디오가 출력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AV 리시버, HDTV(high density TV) 등의 AV 기기가 입/출력 단자의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이들을 정확하게 연결하기가 쉽지는 않다. 그리고, 각 입/출력 단자의 연결 상태가 맞는지는 실제 기기를 작동시켜서 비디오 영상 또는 오디오 입/출력 신호가 정확하게 전송되는지를 사용자가 직접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각의 AV 기기의 입/출력 단자가 서로 불완전하게 연결되어 있거나, 입/출력 연결 단자가 서로 잘못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잘못된 부분을 정확하게 고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AV 기기의 동작시 비디오 영상 및 오디오 등을 포함한 모든 입/출력 단자의 신호 유/무를 화면 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어도 1이상의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AV 기기에서 적어도 1이상의 외부 기기에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입력부 및 출력부의 검출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입/출력 신호를 검출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를 나타낸 회로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AV기기의 입/출력 단자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도 3의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AV기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도 5의 방법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AV기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수의 AV기기 입력부 20 : 다수의 AV기기 출력부
30 : 마이크로 프로세서 40 : 디스플레이
50 : OS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를 나타낸 회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는 적어도 1이상의 입력부(10)와, 적어도 1이상의 출력부(2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와, 디스플레이(40)와, OSD(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입력부(10)는 적어도 1이상의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 예컨대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입력부(10)는 제1입력부(12), 제 2입력부(14) …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입력 연결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의 신호가 입력되는 회로이다.
출력부(20)는 적어도 1이상의 외부 기기에 AV 기기의 신호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출력부(20)도 제 1출력부(22), 제 2출력부(24) …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출력 연결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에 AV 기기의 신호가 출력되는 회로이다.
디스플레이(40)는 AV기기와 외부 기기의 입/출력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기기들이 서로 연결/비연결되었는지의 상태를 표시하는데, 바람직하게는 VFD를 사용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입력부(10) 또는 출력부(20)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AV 기기와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검출해서 디스플레이(40)에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원격제어장치 또는 키스위치(미도시함)를 통해 전송된 입력부(10) 및 출력부(20)의 표시 신호(dav)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40)가 아닌 AV기기의 OSD(50)를 통해 화면에 AV 기기 및 외부 기기의 연결 상태 유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는 일반적인 AV기기의 입/출력 단자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DVD 플레이어의 후면에 있는 입/출력 단자를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도 2와 같이 AV기기의 입/출력 단자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 유무를 디스플레이 또는 화면으로 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AV기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AV 기기의 연결/비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AV 기기에 전원이 들어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는 입/출력 연결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예컨대 DVD 플레이어)와 유선으로 연결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입력부(10) 및 출력부(20)를 통해서 입/출력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10∼S12)
이에 입/출력 신호가 검출될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AV 기기의 다스플레이(40)에 도 4와 같이 AV 기기와 DVD 플레이어와의 입/출력 연결 상태를 표시한다.(S14)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0)는 오디오 표시 부분에 DVD 플레이어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L, R, C, Op를 어둡게 표시하고, 비디오 표시 부분에도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S를 어둡게 표시한다.
반면에, 입/출력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AV 기기의 다스플레이(40)에 AV 기기와 DVD 플레이어와의 입/출력 비연결 상태를 표시한다.(S16)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0)에서 나머지 오디오 표시 부분인 Ls, Rs, S, Lt, Rt, Coaxial 등이 밝게 표시되면, 연결 단자를 통해 이들 오디오 신호들이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나머지 비디오 표시 부분인 Co, Y, Cr, Cb도 밝게 표시되면, 이들 비디오 신호들이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40)의 표시를 보고 AV 기기와 외부 기기의 연결 상태가 정확한지, 입/출력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법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AV기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화면을 통해 AV 기기의 연결/비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먼저 AV 기기에 전원이 들어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는 원격제어장치 또는 키스위치(미도시함)로부터 입/출력부(10, 20)의 표시 신호(dav)가 전송되는지 검출한다.(S20)
이에 표시 신호(dav)가 검출될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입/출력 연결 단자를 통해 DVD 플레이어와 유선으로 연결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입력부(10) 및 출력부(20)를 통해서 입/출력 신호의 유무를 검출한다.(S22∼S24)
그 결과, 검출되는 입/출력 신호가 있을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AV 기기의 OSD(50)를 통해 화면에 도 6과 같이 AV 기기와 DVD 플레이어와의 입/출력 연결 상태를 표시한다.(S26) 이때 도 6의 화면 표시는 도 4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반면에, 검출되는 입/출력 신호가 없을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AV 기기의 OSD(50)를 통해 화면에 AV 기기와 DVD 플레이어와의 입/출력 비연결 상태를표시한다.(S28)
그러므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AV 기기와 외부 기기의 연결 상태 유무를 디스플레이(40)가 아닌 AV기기의 OSD(5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입/출력 단자의 신호 유무를 OSD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거나 VFD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AV 기기와 외부 기기사이의 연결 상태를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연결된 AV 기기와 외부 기기를 동작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경우 문제의 원인이 어느 기기에 있는지를 쉽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이 높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4)

  1. AV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1이상의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AV 기기에서 적어도 1이상의 외부 기기에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의 검출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입/출력 신호를 검출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VF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입력부 및 출력부의 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입/출력 신호를 검출해서 상기 AV기기의 OSD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의 표시 신호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AV기기의 키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KR2020010026418U 2001-08-30 2001-08-30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KR200256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18U KR200256711Y1 (ko) 2001-08-30 2001-08-30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18U KR200256711Y1 (ko) 2001-08-30 2001-08-30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711Y1 true KR200256711Y1 (ko) 2001-12-24

Family

ID=7310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418U KR200256711Y1 (ko) 2001-08-30 2001-08-30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7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28B1 (ko) * 2006-05-23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입력 연결여부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380848B1 (ko) * 2007-03-12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28B1 (ko) * 2006-05-23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입력 연결여부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380848B1 (ko) * 2007-03-12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73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신호의체크방법
KR200256711Y1 (ko)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JP2001008115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487303B1 (ko) 티브이/외부기기의 자동 절환 제어장치 및 방법
US6130659A (en) Signal management apparatus for use in display monitor of a multimedia computer system and method using on screen display
KR100716161B1 (ko) 텔레비전의 범용 에이/브이 입력 장치
EP2071829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30093467A (ko) 복수의 외부입력단자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외부입력신호선택방법
JPH08223493A (ja) オーディオ/ビデオの記録/再生システムでのオーディオ/ビデオ入力信号自動スイッチング装置
KR0166697B1 (ko) 다단 연결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JPH077679A (ja) 映像信号切換装置
JP3001459B2 (ja) テレビ接続検出装置
JP200608081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54907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631138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20100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외부 연결단자 입/출력 절환방법
JP4003191B2 (ja) 映像音響装置
KR0144957B1 (ko) 텔레비젼의 잭 스위칭 방법 및 그 장치
KR950015046B1 (ko) 에이브이(a/v) 기기의 입출력 자동 절환회로
KR0146115B1 (ko) 복합 티브이 회로 및 그의 제어방법
JPH06233203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681627B1 (ko) 영상재생기기의 비디오 출력 자동 제어 방법
KR200252656Y1 (ko) 모니터음성과 가변음성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KR101276836B1 (ko) 영상기기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JP2007049403A (ja) ディジタル信号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