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747A -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747A
KR20130087747A KR1020120008848A KR20120008848A KR20130087747A KR 20130087747 A KR20130087747 A KR 20130087747A KR 1020120008848 A KR1020120008848 A KR 1020120008848A KR 20120008848 A KR20120008848 A KR 20120008848A KR 20130087747 A KR20130087747 A KR 20130087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upgrade
upgrade apparatu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욱
이태영
조순제
천세희
함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7747A/ko
Priority to US13/747,678 priority patent/US20130194282A1/en
Priority to EP13153115.4A priority patent/EP2620867A2/en
Priority to CN2013100368729A priority patent/CN103227958A/zh
Publication of KR2013008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6Use of more than one graphics processor to process data before displaying to one or more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0Details of the management of multiple sources of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업그레이드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간에 통신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입력부와; 상기 영상신호입력부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제2영상처리부를 구비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상기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출력된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제1장치정보가 저장된 제1저장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업그레이드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간에 통신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다양한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장치이다. 가령, TV의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디코딩, 스케일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러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여러 종류의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회로로 구현된 영상처리보드를 내장한다.
그런데, 기술이 발달하고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요구되는 능력은 점점 심화되거나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사용자가 새로이 부가된 기능이나 심화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다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매해야 한다면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자원활용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에 새로운 기능 또는 심화기능을 쉽게 추가 또는 확장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입력부와; 상기 영상신호입력부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제2영상처리부를 구비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상기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출력된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제1장치정보가 저장된 제1저장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의 제2장치정보를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상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2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장치정보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데이터 전송방식정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버전정보 및 최대패킷사이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는 USB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USB 포트를 통신 가능하게 제어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는, 제1영상처리부 및 제1제어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와; 상기 본체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3장치정보가 저장된 제2저장부와; 상기 본체접속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3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본체 접속부가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4장치정보를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본체 접속부가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4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장치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데이터 전송방식정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버전정보 및 최대패킷사이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접속부는 USB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USB 포트를 통신 가능하게 제어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제1입력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 상기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이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제1저장부 및 제1제어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와, 제2입력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 제2저장부 및 제2제어부를 구비한 업그레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2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접속된 상대방 장치에 관한 장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2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된 상기 장치정보를 기초로 접속된 상대방 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 및 상기 본체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USB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USB 포트를 통신 가능하게 제어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로 접속되는 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2저장부에서 상대방 장치에 대한 장치정보를 읽어오는 단계; 및 상기 장치정보를 기초로 상대방 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대방장치의 상기 장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기 장치정보를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의 개략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중복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시키는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1)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술한 TV 이외에도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서, TV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 없이 영상처리기능만을 수행하는 셋톱박스(set-top box)등과 같은 영상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업그레이드하고, 업그레이드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영상신호가 처리되게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화질의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1영상신호입력부(110)와; 상기 영상신호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130)와; 제2영상처리부(220)를 구비한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와; 상기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 및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의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신호 처리된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70)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대한 제1장치정보가 저장된 제1저장부(150)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제1제어부(14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수용하는 케이싱(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및/또는 방송신호를 제1영상처리부(130)에 전달한다.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는,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규격은 영상공급원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접속단자(미도시)에 영상공급원을 비롯한 다양한 외부장치가 접속됨으로써,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영상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가 아닌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는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복수로 가져서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 또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만으로 입력신호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는,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데이터로 분류하는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는 디멀티플렉싱부(미도시), 분류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영상포맷으로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미도시) 및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소정 해상도로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는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7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 간에 데이터, 신호, 정보 및 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본체접속부(210)에 접속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데이터/신호/정보/전원을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소정 개수의 그라운드 단자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케이싱(110)에 외부로 노출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이 노출된 측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후방이라고 할 때,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케이싱(110)의 후방측에 외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장착되기 전에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서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접속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출력신호는 제1영상신호 및 제1음성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컴포넌트(component),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및 IEEE 1394 포트 등의 범용 상용규격에 따른 접속포트로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규격에 따라 데이터/신호/정보/전원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간에 데이터, 신호, 정보 및 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상술한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통해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160)와; 상기 본체접속부(16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영상처리부(220)와;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제1제어부(140)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상기 제2제어부(230) 간의 제어명령을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제어명령을 송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접속포트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USB 접속포트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USB 접속포트에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USB접속포트에 접속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 및 제2외부장치(P1, P2)와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제1 및 제2접속부(191, 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191, 193)는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및 IEEE 1394 포트 등의 범용 상용규격에 따른 접속포트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191, 193)는 무선랜, 와이파이, 와이브로 및 LTE(Long term evolu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및 제2외부장치(P1, P2)와 접속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외부장치(P1, P2)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USB 저장매체, 하드디스크, 플래시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장치 및 PDA,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과 같은 모바일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191, 193)의 2개의 접속부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접속부의 개수는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도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술한 제1영상처리부(130) 외에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반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제1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
상기 제1저장부(150)는, 상기 제1장치정보 외에도 제1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1저장부(1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4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1제어부(14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상기 제1저장부(150)에는, 일례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상기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가 USB 접속포트로 마련된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제1저장부(150)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1장치정보, 즉,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관한 USB 디스크립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USB 디스크립터는 디바이스 디스크립터(device descriptor), 설정 디스크립터(configuration descriptor), 인터페이스 디스크립터(interface descriptor), 엔드포인트 디스크립터(endpoint descrip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터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관한 일반정보, 가령, 지원 가능한 USB 버전정보, 업그레이드장치(200)의 고유정보(제조사 정보, 제품식별정보), 데이터 전송방식(transfer type)정보 및 전송가능한 최대패킷사이즈(MaxPacketSize)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 USB 호스트가 USB 디바이스가 접속된 것을 감지한 경우, 버스조사(Bus Enumeration)라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거쳐야 비로소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먼저, USB 디바이스에 USB전원 또는 자체 전원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이를 통상 "전원공급상태(Powered State)"라고 한다.
그 다음에, USB 디바이스를 리셋하고, USB 디바이스에 디폴트 주소(default address)를 할당한다. 이 과정을 "디폴트상태(Default State)"라고 한다.
그 다음에, USB 디바이스에 고유주소를 할당하여 해당 주소를 계속 유지하게 한다. 이를 "어드레스상태(Address State)"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USB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하기 전에 USB 디바이스의 설정값을 설정하는데, 이를 "설정상태(Configuration State)"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USB 호스트는 상기 USB 디바이스에 디바이스 디스크립터를 요청한다. 상기 USB 디바이스는 상기 USB 호스트의 요청에 따라 USB 디바이스 내부에 저장된 디바이스 디스크립터를 상기 USB 호스트로 전송한다. 상기 USB 호스트는 상기 USB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디바이스 디스크립터를 수신하여 상기 USB 디바이스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
즉, 전원공급상태(Powered State) -> 디폴트상태(Default State) -> 어드레스상태(Address State) -> 설정상태(Configuration State)라는 4가지 프로세스를 거쳐야 한다.
그러나,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 접속을 위한 전용 USB 포트가 마련된 경우, 상술한 버스조사(Bus Enumeration)과정을 순서대로 모두 진행하는 것은 통신 개시시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의 상기 제1저장부(150)에 통신 대상이 되는 상대방 업그레이드장치(200)에 대한 제1장치정보를 미리 저장하면 상기 제1장치정보를 이용하여 바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USB 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1장치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디스크립터를 상기 제1저장부(150)에 미리 저장함으로써, 상술한 버스조사(Bus Enumeration) 과정에서 디폴트상태(Default State) 및 어드레스상태(Address State)는 생략하고 바로 설정상태(Configuration State)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를 리셋한 후 바로 설정상태(Configuration State)로 돌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간의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준비시간, 즉, 통신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되었는 지 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처음으로 On 시키는 부팅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부팅시킬 때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간의 통신준비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체감하는 부팅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게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USB로 접속되지 않고 다른 통신방식에 의해 접속되더라도, 통신설정과정에 필요한 상대방 장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자신의 저장공간에 저장해 놓고 이를 이용하여 통신 준비시간을 단축하는 과정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또는 방송신호 또는 미도시된 네트워크접속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인터넷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상용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용메모리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 및 상기 제1제어부(14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 상기 제1제어부(140)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단일의 영상처리보드(101)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보드(101)는 상기 케이싱(110)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가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한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된 경우, 상기 입력 영상신호 및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로 전송되어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신호처리가 수행 가능하도록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상기 본체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해 처리된 제2출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출력신호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하도록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출력된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이 표시된다. 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출력된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7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7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서 분류된 음성신호를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증폭하기 위한 변환증폭부(182)와; 상기 증폭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출력부(185)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기 설정된 커맨드를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120)와,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1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콘(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입력부(120)는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통신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입력부(120)는 상술한 리모콘 외에도 무선키보드, 무선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입력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7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1제어부(14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140)는 제1영상처리부(13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상기 사용자입력부(12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의 제2장치정보를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여부는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제1장치정보와 상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전송된 장치정보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상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제2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상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간의 통신 준비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로 데이터/정보/신호/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유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본체접속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도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와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본체접속부(210)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가령,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가 USB 포트인 경우, USB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상기 업그레이장치(200)에서 요구하는 전원을 모두 변환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미도시)는 생략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작동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상기 본체접속부(210)를 통해 직접 입력받지 않고 별도의 외부전원(상용전원 또는 배터리)을 입력받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외에 별도의 외부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을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기 전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단독으로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이 업그레이드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해서 새로운 기능 또는 심화된 기능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 단독으로 구현되는 것보다 고화질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210)와; 상기 본체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220)와;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기 제1제어부(140)에 의해서만 제어되는 것으로 마련된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제2제어부(2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출력된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의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서 출력된 제1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처리하여 제2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제2출력신호는 다시 상기 본체접속부(210)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의 기능을 심화한 것이거나 제1영상처리부(130)에서 수행하지 못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는 기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구현할 수 없거나 구현하기 곤란한 업그레이드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로는 Full HD급 영상을 제공할 수 없는 데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Full HD급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로는 3D화면이 제공될 수 없는 것을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를 통해 3D화면이 구현되게 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추가 및 확장되는 기능은 일례에 불과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는 영상신호 외에도 상기 음성신호도 재처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재처리되어 업그레이드 된 음성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를 통해서 수신 또는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제2영상신호입력부(250)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10)와는 별도로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영상신호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는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로 전송되어 영상처리되고,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서 출력된 제2출력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상기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제2영상신호입력부(250)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독자적으로 영상신호(방송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출력하도록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 상에는 상기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이 주화면 또는 부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제2영상신호입력부(25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서 처리하여 제2출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 상에는 상기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상기 제1영상에 대응하여 부화면 또는 주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1입력신호(방송신호 및/또는 영상신호)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영상신호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제2입력신호(방송신호 및/또는 영상신호)가 처리된 제1 및 제2영상이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서 PIP(Picture in picture)로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 및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상기 제2제어부(230)와 함께 공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1제어부(140)가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의 상기 디멀티플렉싱부(미도시), 상기 디코딩부(미도시) 및 상기 스케일링부(미도시) 중 일부의 제어를 담당하고, 상기 제2제어부(230)가 나머지의 제어를 담당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제어부(140)가 우선적으로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할 권한을 가지고 상기 제2제어부(230)가 상기 제1제어부(140)를 보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반대로 상기 제2제어부(230)가 우선적으로 상기 제1영상신호입력부(110)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할 권한을 가지고 상기 제1제어부(140)가 상기 제2제어부(230)를 보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제어부(140)의 제어기능을 상기 제2제어부(230)로 완전히 이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제어명령을 내리지 않고, 기존의 상기 제1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대상들과 상기 제2제어부(230)간의 제어명령은 전달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2제어부(230)와 기존의 상기 제1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대상간의 제어명령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용제어통신라인이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제2저장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240)에는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24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240)는 상기 제1제어부(140) 또는 상기 제2제어부(230)에 의해 액세스되며, 이들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한편, 제1저장부(150) 또한 구현 방식에 따라서 제1제어부(140) 뿐만 아니라 제2제어부(230)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저장부(240)에는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운영체제보다 업그레이드된 운영체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제어부(140) 또는 상기 제2제어부(230)는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상기 업그레이드된 운영체제로 업데이트시키고, 업데이트된 운영체제를 구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운영체제 대신에 상기 제2저장부(240)의 운영체제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이상에서는 통신준비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관한 제1장치정보(또는 제2장치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신준비과정을 단축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USB 호스트가 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USB 디바이스가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상기 제2저장부(240)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제3장치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230)가 상기 본체접속부(21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 정확하게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2저장부(240)에 저장된 상기 제3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 간의 통신 준비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가 USB 포트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제2제어부(230)는 상기 USB포트를 통신 가능하게 제어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장치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USB 디스크립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SB 디스크립터는 디바이스 디스크립터(device descriptor), 설정 디스크립터(configuration descriptor), 인터페이스 디스크립터(interface descriptor), 엔드포인트 디스크립터(endpoint descrip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관한 일반정보, 가령, 지원 가능한 USB 버전정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고유정보(제조사 정보, 제품식별정보), 데이터 전송방식정보 및 전송가능한 최대패킷사이즈(MaxPacketSize)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240)는 상기 본체접속부(210)에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제4장치정보를 상기 제2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는 상기 제2저장부(240)에 저장된 제3장치정보와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한 상기 제4장치정보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240)는, 상기 본체접속부(210)에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2저장부(240)에 저장된 상기 제4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간의 통신 준비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업그레이드장치(200)간의 통신 준비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전자기기들 간의 통신 준비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서로 접속되는 지 감지한다(S10).
접속이 감지된 경우(S10의 YES),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저장부(150)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저장부(240)에서 상대방 장치에 대한 장치정보를 읽어온다(S20).
상기 읽어온 장치정보를 기초로 상대방 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S30).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간의 통신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상대방의 상기 장치정보가 변경된 경우(S40의 YES), 변경된 상기 장치정보를 상기 제1저장부(150) 또는 상기 제2저장부(240)에 저장한다(S5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관한 장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장치정보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상기 제2저장부(240)에 저장한다. 반대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관한 장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장치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1a :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100a : 디스플레이장치
110: 제1영상신호입력부 120: 사용자입력부
130: 제1영상처리부 140: 제1제어부
150: 제1저장부 170: 디스플레이부
160: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
182: 변환증폭부 185: 음성출력부
200: 업그레이드장치 210: 본체접속부
220: 제2영상처리부 230: 제2제어부
240: 제2저장부 250: 제2영상신호입력부

Claims (14)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입력부와;
    상기 영상신호입력부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제2영상처리부를 구비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상기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출력된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제1장치정보가 저장된 제1저장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의 제2장치정보를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상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2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새로운 업그레이드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정보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데이터 전송방식정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버전정보 및 최대패킷사이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는 USB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USB 포트를 통신 가능하게 제어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업그레이드장치에 있어서,
    제1영상처리부 및 제1제어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와;
    상기 본체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제3장치정보가 저장된 제2저장부와;
    상기 본체접속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3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본체 접속부가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4장치정보를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본체 접속부가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4장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장치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데이터 전송방식정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버전정보 및 최대패킷사이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접속부는 USB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USB 포트를 통신 가능하게 제어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11.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제1입력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 상기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이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제1저장부 및 제1제어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와, 제2입력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 제2저장부 및 제2제어부를 구비한 업그레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2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접속된 상대방 장치에 관한 장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2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된 상기 장치정보를 기초로 접속된 상대방 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 및 상기 본체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USB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USB 포트를 통신 가능하게 제어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3.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로 접속되는 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2저장부에서 상대방 장치에 대한 장치정보를 읽어오는 단계; 및
    상기 장치정보를 기초로 상대방 장치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장치의 상기 장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기 장치정보를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20008848A 2012-01-30 2012-01-30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7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48A KR20130087747A (ko) 2012-01-30 2012-01-30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3/747,678 US20130194282A1 (en) 2012-01-30 2013-01-23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153115.4A EP2620867A2 (en) 2012-01-30 2013-01-29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100368729A CN103227958A (zh) 2012-01-30 2013-01-30 显示装置、升级装置、包括其的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48A KR20130087747A (ko) 2012-01-30 2012-01-30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747A true KR20130087747A (ko) 2013-08-07

Family

ID=4784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848A KR20130087747A (ko) 2012-01-30 2012-01-30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94282A1 (ko)
EP (1) EP2620867A2 (ko)
KR (1) KR20130087747A (ko)
CN (1) CN1032279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415B1 (ko) * 2014-08-19 2016-02-16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6131B (zh) * 2018-03-13 2020-10-0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以及存储介质
CN108958363A (zh) * 2018-06-05 2018-12-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4904B2 (en) * 2003-04-25 2010-06-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setting a system in response to changes of component settings
US20080148335A1 (en) * 2006-12-15 2008-06-19 Thomas Patrick Dawson Expansion of television functionality
KR101377864B1 (ko) * 2007-05-15 201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713209B2 (en) * 2009-01-13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startup of USB devices
US8334927B2 (en) * 2009-02-19 2012-12-18 Sony Corporation Television operative to download new functional applications via an external software module and to execute the same without additional hardware
US7988037B2 (en) * 2009-11-02 2011-08-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contact information exchange
US8996747B2 (en) * 2011-09-29 2015-03-3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s and physical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initiating re-enumeration of USB 3.0 compatibl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415B1 (ko) * 2014-08-19 2016-02-16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7958A (zh) 2013-07-31
EP2620867A2 (en) 2013-07-31
US20130194282A1 (en)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2485B (zh) 影音播放系統、影音播放系統之控制方法及顯示裝置
JP2009141720A (ja)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US20130024709A1 (en) Display device, host device, display system, methods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he host device, and the display system
US20130169655A1 (en) Electronic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and data input/output process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KR20140017394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검사방법
US11314663B2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multiple external apparatuses having different protocols through a connection por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611195B1 (en) Displa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upgrade apparatus
JP2013141230A (ja) アップグレード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20130087747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508311B2 (en) Display apparatus, connectable external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US20130169653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EP2611193B1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13885826B (zh) 一体机设备及其扬声器扩展方法、装置及系统
US20130169876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30169654A1 (en) Upgrad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US20130194397A1 (en) Display apparatus, apparatus for upgrading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of display system
US20140379941A1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JP2009141940A (ja)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KR20130088622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3141221A (ja) 映像処理装置、アップグレード装置、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97095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69892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system
CN108924458B (zh) 用于具有hdmi扩展通道的edid数据改写方法、装置及显示终端
JP2008109219A (ja) テレビジョンおよびedid書換回路
KR20130076675A (ko) 디스플레이장치,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